KR101292283B1 -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2283B1 KR101292283B1 KR1020130002584A KR20130002584A KR101292283B1 KR 101292283 B1 KR101292283 B1 KR 101292283B1 KR 1020130002584 A KR1020130002584 A KR 1020130002584A KR 20130002584 A KR20130002584 A KR 20130002584A KR 101292283 B1 KR101292283 B1 KR 1012922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buried
- construction
- storage tank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은 기둥 본체의 하측에 구비된 기둥부와 매립블록 사이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기립근이 노출되도록 매립블록을 연결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매립블록과 노출된 기립근을 통하여 저류조의 콘크리트 바닥에 기둥 구축물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직립되도록 고정시키는 시공이 용이하며, 다른 하나의 기둥 구축물은 기둥 본체의 상부에 확장 형성된 받침부 상면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하향 함몰되는 적층 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깊이가 깊은 대형의 저류조에 대하여서도 기둥 구축물을 복수 개로 다단 적층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간편하게 기둥 구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이 단층 구조로 시공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이 단층 구조로 시공완료된 기둥 구축물의 기둥 하부에 대한 시공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이 단층 구조로 시공완료된 기둥 구축물의 기둥 상부에 대한 시공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및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여 다단 적층 구조로 시공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시공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에서 기둥부 저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에서 기둥부 저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10: 매립 홈 20: 연결 홈
21: 전단철근 30: 연결근
CS: 콘크리트 슬래브
100, 100': 기둥 구축물
110: 받침부 111: 적층 홈
120: 기둥부 121, 124, 126: 요철면
123: 돌출부 125: 만곡 돌출부
130: 기둥 본체 150: 매립블록
151: 충전홀 170: 기립근
173: 제1 보강근 175: 제2 보강근
S: 스페이서 M1, M2: 모르타르
Claims (10)
- 저류조의 바닥을 이루도록 터파기 후 바닥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C1)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매립 홈(10)에 하단부가 일부 매립되어 직립고정되도록 시공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100, 100')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바닥(C1)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C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직립 고정되며, 상면에 저류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콘크리트 슬래브(CS)의 단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상단부 일정길이에 대하여 외향 확장 형성되는 받침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를 가지고 기둥부(120)가 연장형성되는 기둥 본체(130);
상기 기둥본체(130)와 대응되어 사각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본체(130)의 상기 기둥부(120)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기둥부(120)와 연결되며, 저면이 상기 콘크리트 바닥(C1)의 상기 매립 홈(10) 바닥에 안착되어 상기 매립 홈(10) 상에 현장 모르타르 충전, 양생에 의해 매립 고정되고, 상기 기둥부(120) 보다 외향 일정면적 확장 형성되는 매립블록(150);
상기 매립블록(150)이 상기 기둥 본체(130)의 상기 기둥부(120)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연결되도록, 상기 기둥 본체(130)의 각 모서리 내측에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매설되고 상기 기둥 본체(130)의 상기 기둥부(120) 하단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기둥 본체(130)의 상기 기둥부(120) 외부로 돌출된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상기 매립블록(150)의 각 모서리 내측에 매설 고정되되, 상기 매립블록(150) 내측에서 외향 일정길이 절곡 형성되어 매설 고정되는 기립근(170);
상기 기둥본체(130)의 각 모서리 내측에 복수 개로 배열되는 상기 기립근(170)의 둘레를 에워싸며 상기 기립근(17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상기 기둥본체(130) 내측에 더 매설되는 제1 보강근(173); 및
상기 매립블록(150)의 각 모서리 내측에 복수 개로 배열되는 상기 기립근(170)의 둘레를 에워싸도록 상기 매립블록(150) 내측에 더 매설되는 제2 보강근(1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축물(100, 100')이 적층되어 다단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구축물(100, 100') 중 어느 하나의 기둥 구축물(100')은 상기 기둥 본체(130)의 상기 받침부(110) 상면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하향 함몰되어 적층 홈(11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홈(10)은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고 하향 함몰되어 연결 홈(2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 홈(20) 측면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바닥(C1)의 내측에 매설된 전단철근(21)이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둥 본체(130)의 상기 기둥부(120) 하단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노출된 상기 기립근(170)의 노출된 상부영역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가지고 연결근(30)을 배열하여 상기 연결근(30)의 단부를 상기 전단철근(21)의 단부와 연결고정시켜 상기 기둥 본체(130)의 상기 기둥부(120) 하단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노출된 상기 기립근(170)의 노출 영역과 상기 기립근(170)의 하단부가 매설된 상기 매립블록(150)이 상기 매립 홈(10) 상에 현장 모르타르 충전, 양생에 의해 매설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 저류조의 바닥을 이루도록 터파기 후 바닥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C1)에 하단부가 일부 매립되도록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100, 100')을 직립 고정설치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100, 100')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C1)의 타설 양생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매립 홈(10)을 함몰 형성시키되, 상기 매립 홈(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매립 홈(10)의 상단 둘레와 단이 지도록 연결 홈(20)을 더 함몰 형성시키며, 상기 연결 홈(20)의 측면으로부터 전단철근(21)이 일정길이 돌출 되도록 하는 매립부 성형단계(S110);
상기 매립부 성형단계(S110) 후, 상기 매립홈(10)의 바닥에 스페이서(S)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1차적으로 모르타르(M1)를 일정량 충전하여 상기 스페이서(S)를 설치하는 스페이서 설치단계(S120);
상기 스페이서 설치단계(S120)를 통하여 설치된 상기 스페이서(S) 상에 기 제작된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100)의 하부에 구비된 매립블록(150)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1차 충전된 모르타르(M1)에 의해 상기 매립블록(150)의 저면을 안착 고정시키는 매립블록 고정단계(S130);
상기 매립블록 고정단계(S120)를 통하여 상기 매립 홈(10) 상에 안착고정된 상기 기둥 구축물(100)의 기둥부(120) 하단으로부터 상기 매립블록(150)의 상단에 이르기까지 노출된 기립근(170)의 노출 영역 상부에 수평방향에 대하여 격자 형상으로 연결근(30)을 배열하여 상기 연결근(30)의 중앙부를 상기 기립근(170)의 노출 영역과 용접하여 연결고정하고, 상기 연결근(30)의 단부를 상기 연결 홈(20) 상에 돌출된 상기 전단철근(21)의 단부와 용접하여 연결고정시키는 기둥 구축물 하단부 고정단계(S140); 및
상기 기둥 구축물 하단부 고정단계(S140) 후, 상기 매립 홈(10) 상에 안착 고정된 상기 기둥 구축물(100)의 매립블록(150)과 상기 매립블록(150) 상단으로부터 상기 기둥부(120)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노출된 상기 기립근(170)의 노출영역이 매설되도록, 상기 매립 홈(10)과 연결 홈(20) 상에 2차적으로 모르타르(M2)를 충전, 양생하여 상기 기둥 구축물(100)의 하단부를 매립부 내에 매설고정하는 기둥 구축물 매설고정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의 시공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블록 고정단계(S130), 기둥 구축물 하단부 고정단계(S140) 및 기둥 구축물 매설고정단계(S150)에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C1)의 매립 홈(10) 상에 매설고정되는 상기 기둥 구축물(100)은 상기 기둥부(120)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를 가지고 외향 확장 형성되는 받침부(110) 상면에 적층 홈(111)이 더 함몰 형성된 다른 하나의 기둥 구축물(100')로 적용되며, 상기 기둥 구축물 매설고정단계(S150) 후에 상기 다른 하나의 기둥 구축물(100') 상부에 상기 기둥 구축물(100)이 더 적층 고정되는 다단 적층단계(S151)가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의 시공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적층단계(S151)는 상기 다른 하나의 기둥 구축물(100') 상부에 상기 기둥 구축물(100)이 더 적층 고정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른 하나의 기둥 구축물(100')의 상기 적층 홈(111) 상에 상기 받침부(110) 상면에 상기 적층 홈(111)이 함몰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둥 구축물(100)의 하단부에 구비된 매립블록(150)과 상기 매립블록(150) 상단으로부터 기둥부(120) 하단에 이르기까지 노출된 기립근(170)의 노출영역이 삽입되도록 상기 매립블록(150)의 저면을 스페이서(S)를 개재하여 1차적으로 모르타르(M1)를 충전하여 안착시킨 후, 상기 다른 하나의 기둥 구축물(100') 상면에 함몰 형성된 상기 적층 홈(111) 내에 2차적으로 모르타르(M2)를 충전, 양생하여 마감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축물(100, 100')의 기둥부(120)는 저면에 일 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되는 요철면(1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축물(100)의 기둥부(120)는 저면에 사각뿔 형상으로 중앙부가 뾰족하게 하향 돌출되는 돌출부(123)가 더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123)는 표면에 외측단으로부터 내측 첨단부 측으로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는 요철면(1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축물(100)의 기둥부(120)는 저면에 반구 형상으로 중앙부가 볼록하게 하향 돌출되는 만곡 돌출부(12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만곡 돌출부(125)는 표면에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되는 요철면(1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블록(150)은 외측과 함께 내측 중앙에 현장 모르타르가 밀착되어 상기 매립홈(10) 상에 매설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협하광의 원기둥 형상으로 충전홀(151)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584A KR101292283B1 (ko) | 2013-01-09 | 2013-01-09 |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584A KR101292283B1 (ko) | 2013-01-09 | 2013-01-09 |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2283B1 true KR101292283B1 (ko) | 2013-08-01 |
Family
ID=4921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2584A Active KR101292283B1 (ko) | 2013-01-09 | 2013-01-09 |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22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498781A (zh) * | 2024-07-18 | 2024-08-16 | 厦门合诚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混凝土梁柱的加固施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9766A (ko) * | 2008-07-21 | 2010-01-2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쉬스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이용한기둥구조물 시공방법 |
KR100952605B1 (ko) | 2009-09-09 | 2010-04-16 | 김병기 | 우수 저류조 |
KR20120119824A (ko) * | 2011-04-22 | 2012-10-31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프리캐스트 고성능 섬유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복합기둥공법 |
KR101219938B1 (ko) | 2010-12-16 | 2013-01-08 | (주)협성엔지니어링 | 커플러를 이용한 내부 구속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 구조 |
-
2013
- 2013-01-09 KR KR1020130002584A patent/KR10129228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9766A (ko) * | 2008-07-21 | 2010-01-2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쉬스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이용한기둥구조물 시공방법 |
KR100952605B1 (ko) | 2009-09-09 | 2010-04-16 | 김병기 | 우수 저류조 |
KR101219938B1 (ko) | 2010-12-16 | 2013-01-08 | (주)협성엔지니어링 | 커플러를 이용한 내부 구속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 구조 |
KR20120119824A (ko) * | 2011-04-22 | 2012-10-31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프리캐스트 고성능 섬유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복합기둥공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498781A (zh) * | 2024-07-18 | 2024-08-16 | 厦门合诚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混凝土梁柱的加固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44373C (en) | Perimeter pile anchor foundation | |
CN104453274B (zh) | 利用支护结构和托换结构支撑既有建筑物地下增层方法 | |
CN105735325A (zh) | 一种集约化的永久支护装配式地下室结构体系及施工方法 | |
KR101281070B1 (ko) |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118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 |
KR20130006420A (ko) |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KR101345183B1 (ko) | 우수 저류조 | |
CN214614154U (zh) | 一种用于建造地下污水池的装配式沉井 | |
KR101083670B1 (ko) |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저류조용 벽체구조 | |
KR10127854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 |
KR20230090300A (ko) | Pc패널을 이용한 기초 트윈 월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1289155B1 (ko) | 친환경 우수저류조 | |
JP6240625B2 (ja) |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 |
KR101774952B1 (ko) |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292283B1 (ko) | 저류조용 기둥 구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 |
JP2009084918A (ja) |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この施工方法により得られた地下構造物 | |
KR101212619B1 (ko) |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 |
KR101677431B1 (ko) |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 |
TWI541408B (zh) | 透水鋪面強化裝置 | |
KR20090117440A (ko) |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 |
KR101372223B1 (ko) |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056395B1 (ko) |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 |
CN108474205A (zh) | 用于建筑物上部结构的地上基础 | |
KR101808833B1 (ko) |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 |
JP2023011057A (ja) | 基礎構造及び基礎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