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3306B1 -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306B1
KR101363306B1 KR1020070124231A KR20070124231A KR101363306B1 KR 101363306 B1 KR101363306 B1 KR 101363306B1 KR 1020070124231 A KR1020070124231 A KR 1020070124231A KR 20070124231 A KR20070124231 A KR 20070124231A KR 101363306 B1 KR101363306 B1 KR 10136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imary
shift control
shift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637A (ko
Inventor
다꾸이찌로오 이노우에
미도리 야마구찌
요시히사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3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5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 F16H61/66259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sensing or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7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torque transmitting capability of the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프라이머리압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차량의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벨트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 풀리로의 공급압인 프라이머리압을 제어하는 변속 제어 밸브와, 목표 변속비에 대응한 위치로 변속 작동기를 구동시킴으로써 변속 제어 밸브를 프라이머리압이 변화되는 위치로 이동키는 동시에, 프라이머리압이 변화되고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가 변위됨으로써 변속 제어 밸브를 프라이머리압이 유지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의 변위 속도와 프라이머리압을 배출하는 변속 제어 밸브의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 면적을 기초로 하여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발생압을 추정하고(S4), 최저 발생압을 기초로 하여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연산하고(S6),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기초로 하여 목표 변속비를 설정한다(S10).
벨트식 무단 변속기, 풀리, 변속 제어 밸브, 가동 시브, 변속 작동기

Description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Variable Speed Control Device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단부가 스텝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에 연결되는 링크 기구를 변속 제어 밸브에 연결하고, 스텝 모터의 이송량에 따라서 변속 제어 밸브를 구동하는 동시에 가동 시브의 변위에 의해 실변속비의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변속비를 제어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05174호 공보
무단 변속기 탑재 차량의 감속 시에는 재발진에 대비하여 변속비를 로우측으로 시프트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차량의 급감속 시에 급속하게 로우측으로 시프트시키고자 하면, 목표 변속비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스텝 모터의 이송량이 커지고, 이에 의해 변속 제어 밸브의 드레인측 개방도가 커진다. 프라이머리압이 드레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실변속비의 변화가 지연되고, 실 변속비와 목표 변속비의 편차가 커져, 그만큼 피드백 보정량이 커진다. 따라서, 변속 제어 밸브의 드레인측 개방도가 최대인 상태로 유지된 채 프라이머리압이 지나치게 저하되어 벨트 슬립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프라이머리압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프라이머리압이 소정압 이하가 되었을 때, 목표 변속비를 프라이머리압이 소정압보다 높아지는 소정치로 설정하여 스텝 모터의 이송량을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프라이머리압의 급저하를 방지하는 기술도 고려되지만, 프라이머리압 센서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무단 변속기의 경우에는 벨트 미끄럼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압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차량의 급감속 시에 있어서의 벨트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에 벨트를 권취하고, 각 풀리로의 공급압을 제어함으로써 각 풀리의 가동 시브가 변위되어 변속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무단 변속 기구와, 프라이머리 풀리로의 공급압인 프라이머리압을 제어하는 변속 제어 밸브와, 무단 변속 기구의 목표 변속비에 대응한 위치로 변속 작동기를 구동시킴으로써 변속 제어 밸브를 프라이머리압이 변화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프라이머리압이 변화되고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가 변위됨으로써 변속 제어 밸브를 프라이머리압이 유지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의 변위 속도와 프라이머리압을 배출하는 변속 제어 밸브의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 면 적을 기초로 하여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발생압을 추정하는 최저 발생압 추정 수단과,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발생압을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연산하는 변속 속도 상한치 연산 수단과,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기구의 목표 변속비를 설정하는 목표 변속비 설정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의 변위 속도와 변속 제어 밸브의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 면적을 기초로 하여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발생압을 추정하고, 이 최저 발생압을 기초로 하여 연산되는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기초로 하여 무단 변속 기구의 목표 변속비를 설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량의 급감속 시 등과 같이 변속비를 급속하게 로우측으로 시프트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실변속비를 목표 변속비로 추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측 통로의 개방도가 지나치게 증대되지 않고, 이에 의해 프라이머리압의 과잉 저하가 억지되므로, 벨트 슬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벨트식 무단 변속기(10)는 프라이머리 풀리(11)와, 세컨더리 풀리(12)와, V벨트(13)와, CVT 컨트롤 유닛(20)(이하 「CVTCU」라고 함)과, 유압 컨트롤 유닛(30)을 구비한다.
프라이머리 풀리(11)는 이 벨트식 무단 변속기(10)에 엔진(1)의 회전을 입력하는 입력축측의 풀리이다. 프라이머리 풀리(11)는 입력축(11d)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고정 원추판(11b)과, 이 고정 원추판(11b)에 대향 배치되어 V자형의 풀리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11c)로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원추판(11a)을 구비한다. 프라이머리 풀리(11)는 전후진 절환 기구(3),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2)를 통해 엔진(1)에 연결되고, 그 엔진(1)의 회전을 입력한다. 프라이머리 풀리(11)의 회전 속도는 프라이머리 풀리 회전 속도 센서(26)에 의해 검출된다.
V벨트(13)는 프라이머리 풀리(11) 및 세컨더리 풀리(12)에 권취되고, 프라이머리 풀리(11)의 회전을 세컨더리 풀리(12)로 전달한다.
세컨더리 풀리(12)는 V벨트(13)에 의해 전달된 회전을 차동부(4)에 출력한다. 세컨더리 풀리(12)는 출력축(12d)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고정 원추판(12b)과, 이 고정 원추판(12b)에 대향 배치되어 V자형의 풀리 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12c)로 작용하는 유압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원추판(12a)을 구비한다. 또한,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12c)의 수압 면적은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11c)의 수압 면적과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세컨더리 풀리(12)는 아이들러 기어(14) 및 아이들러 샤프트를 통해 차동부(4)를 연결하고 있고, 이 차동부(4)에 회전을 출력한다. 세컨더리 풀리(12)의 회전 속도는 세컨더리 풀리 회전 속도 센서(27)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이 세컨더리 풀리(12)의 회전 속도로부터 차속을 산출할 수 있다.
CVTCU(20)는 인히비터 스위치(23), 액셀러레이터 페달 스트로크량 센서(24), 유온 센서(25), 프라이머리 풀리 회전 속도 센서(26), 세컨더리 풀리 회전 속도 센서(27) 등으로부터의 신호나, 엔진 컨트롤 유닛(21)으로부터의 입력 토크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변속비나 접촉 마찰력을 결정하고, 유압 컨트롤 유닛(30)으로 지령을 송신하여 벨트식 무단 변속기(10)를 제어한다.
유압 컨트롤 유닛(30)은 CVTCU(20)로부터의 지령을 기초로 하여 응동한다. 유압 컨트롤 유닛(30)은 프라이머리 풀리(11) 및 세컨더리 풀리(12)에 대한 공급 유압을 제어하여 가동 원추판(11a) 및 가동 원추판(12a)을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원추판(11a) 및 가동 원추판(12a)이 이동하면 풀리 홈 폭이 변화된다. 그러면, V벨트(13)가 프라이머리 풀리(11) 및 세컨더리 풀리(12) 상에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V벨트(13)의 프라이머리 풀리(11) 및 세컨더리 풀리(12)에 대한 접촉 반경이 변하여 변속비 및 V벨트(13)의 접촉 마찰력이 제어된다.
엔진(1)의 회전은 토크 컨버터(2), 전후진 절환 기구(3)를 통해 벨트식 무단 변속기(10)로 입력되고, 프라이머리 풀리(11)로부터 V벨트(13), 세컨더리 풀리(12)를 통해 차동부(4)로 전달된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밟히거나, 매뉴얼 모드에서 시프트 체인지되면, 프라이머리 풀리(11)의 가동 원추판(11a) 및 세컨더리 풀리(12)의 가동 원추판(12a)을 축 방향으로 변위시켜 V벨트(13)와의 접촉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도2는 유압 컨트롤 유닛 및 CVTCU의 개념도이다.
유압 컨트롤 유닛(30)은 레귤레이터 밸브(31)와, 변속 제어 밸브(32)와, 감압 밸브(33)를 구비하고, 유압 펌프(34)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프라이머리 풀리(11) 및 세컨더리 풀리(12)에 공급한다.
레귤레이터 밸브(31)는 솔레노이드를 갖고, 유압 펌프(34)로부터 압송된 오일의 압력을 CVTCU(20)로부터의 지령(예를 들어, 듀티 신호 등)에 따라서 소정의 라인압으로 조압하는 조압 밸브이다.
유압 펌프(34)로부터 공급되고, 레귤레이터 밸브(31)에 의해 조압된 라인압은 변속 제어 밸브(32)와, 감압 밸브(33)에 각각 공급된다.
변속 제어 밸브(32)는,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11c)의 유압(이하 「프라이머리압」이라고 함)을 원하는 목표압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밸브이다. 변속 제어 밸브(32)는 메커니컬 피드백 기구를 구성하는 서보 링크(50)(링크 기구)에 연결되고, 서보 링크(50)의 일단부에 연결된 스텝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동시에, 서보 링크(50)의 타단부에 연결한 프라이머리 풀리(11)의 가동 원추판(11a)으로부터 홈 폭, 즉 실변속비의 피드백을 받는다. 변속 제어 밸브(32)는 스풀(32a)의 변위에 의해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11c)로의 유압의 흡입 배출을 행하여, 스텝 모터(40)의 구동 위치에서 지령된 목표 변속비가 되도록 프라이머리압을 조정하고, 실제로 변속이 종료되면 서보 링크(50)로부터의 변위를 받아서 스풀(32a)을 폐쇄 밸브 위치에 유지한다.
감압 밸브(33)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12c)로의 공급압(이하 「세컨더리압」이라고 함)을 원하는 목표압으로 제어하는 제어 밸브이다.
프라이머리 풀리(11) 및 세컨더리 풀리(12)의 변속비는 CVTCU(20)로부터의 변속 지령 신호에 따라서 구동되는 스텝 모터(40)에 의해 제어되고, 스텝 모터(40)에 응동하는 서보 링크(50)의 변위에 따라서 변속 제어 밸브(32)의 스풀(32a)이 구동되고, 변속 제어 밸브(32)에 공급된 라인압이 조정되어 프라이머리압을 프라이머리 풀리(11)로 공급되고, 홈 폭이 가변 제어되어 소정의 변속비로 설정된다.
CVTCU(20)는 인히비터 스위치(23)로부터의 레인지 신호, 액셀러레이터 페달 스트로크량 센서(24)로부터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스트로크량, 유온 센서(25)로부터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10)의 유온이나, 프라이머리 풀리 속도 센서(26), 세컨더리 풀리 속도 센서(27), 유압 센서(29)로부터의 신호 등을 판독하여 변속비나 V벨트(13)의 접촉 마찰력을 가변 제어한다. 또한, 유압 센서(29)는 세컨더리 풀리의 실린더실(12c)에 가하는 세컨더리압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CVTCU(20)는 차속이나 액셀러레이터 페달 스트로크량 등에 따라서, 그 운전 상태에서 최적인 변속비(도달 변속비)를 결정한다. 이 도달 변속비에 대해, 중간적인 목표의 변속비(목표 변속비)를 연산하고, 현재의 변속비로부터 도달 변속비를 향한 변화 과정을 원하는 특성이 되도록 제어한다. 목표 변속비는 도달 변속비에 대해 1차 지연계가 되도록 설정되고, 그때의 시상수(통상의 시상수)를 차량의 운전 상태나 벨트식 무단 변속기(10)의 동작 모드 등에 의해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변속 속도를 조정하고 있다. 이 목표 변속비에 피드 포워드 보상 처리, 피드백 보상 처 리, 외란 보상 처리 등을 행한 후, 최종적인 목표 변속비를 결정하고, 이를 스텝 모터(40)의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스텝 모터(40)를 구동하여 현재의 변속비를 목표 변속비를 향해 변화시킨다.
또한, 입력 토크 정보, 변속비, 유온으로부터 라인압의 목표치를 결정하고, 레귤레이터 밸브(31)의 솔레노이드를 구동함으로써 라인압의 제어를 행하고, 또한 세컨더리압의 목표치를 결정하고, 유압 센서(29)의 검출치와 목표치에 따라서 감압 밸브(33)의 솔레노이드를 구동하고, 피드백 제어에 의해 세컨더리압을 제어한다.
이하, CVTCU(20)에서 행하는 제어에 대해 도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제어는 미소 시간(예를 들어 10 ms)마다 반복해서 행해진다.
스텝 S1에서는 변속비가 다운시프트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변속비가 다운시프트 중이면 스텝 S2로 진행하고, 다운시프트 중이 아니면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도달 변속비와 목표 변속비의 편차가 소정치 이상일 때 다운시프트 중이라고 판정된다.
스텝 S2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스트로크 속도를 추정한다. 스트로크 속도는 미리 구해 둔 변속 속도에 대한 스트로크 속도의 배율을 현재의 변속 속도에 적산함으로써 연산된다.
스텝 S3(최저 발생압 추정 수단)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잔존압을 추정한다.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잔존압이라 함은, 프라이머리 풀리(11)가 스트로크함으로써 변속 제어 밸브(32)의 드레인측 통로에 발생하는 유량과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량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압력이고,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치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제어 밸브(32)의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량은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잔존압은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스트로크 속도를 기초로 하여 추정된다.
스텝 S4에서는 차추력을 연산한다. 차추력(差推力)이라 함은, 프라이머리압과 세컨더리압이 밸런스되어 변속비가 평형 상태에 있을 때의 프라이머리압인 밸런스압과,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잔존압과의 차압을 추진력으로 변환한 값이다.
스텝 S5(변속 속도 상한치 연산 수단)에서는 차추력을 기초로 하여 시상수의 한계치를 연산한다. 여기서, 시상수라 함은, 변속 속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이고, 시상수가 클수록 변속 속도는 느려지고, 시상수가 작을수록 변속 속도는 빨라진다. 시상수의 한계치는 스텝 S4에 있어서 연산된 차추력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최고의 변속 속도가 되는 시상수이고, 차추력이 클수록 변속 속도는 높아지고 시상수의 한계치는 작게 설정된다.
스텝 S6에서는 시상수의 한계치가 통상의 시상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시상수의 한계치가 통상의 시상수보다 크면 스텝 S7로 진행하고, 시상수의 한계치를 시상수로서 설정한다. 시상수의 한계치가 통상의 시상수 이하이면 스텝 S8로 진행하고, 통상의 시상수를 시상수로서 설정한다.
스텝 S9(목표 변속비 설정 수단)에서는 스텝 S7 또는 S8에 있어서 설정된 시상수를 기초로 하여 목표 변속비를 설정한다. 여기서, 목표 변속비는 스텝 S7 또는 S8에 있어서 설정된 시상수, 즉 현재 실현 가능한 최고의 변속 속도로 변속했을 때에 실변속비를 추종시킬 수 있는 최대의 변속비로 설정된다.
스텝 S10에서는 목표 변속비를 기초로 하여 스텝 모터(40)의 지시값을 설정한다.
다음에, 도4 및 도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변속 제어를 도시하는 타임 차트이고, (a)는 변속비, (b)는 스텝 모터 지시값, (c)는 세컨더리압, (d)는 프라이머리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타임 차트이고, (a)는 변속비, (b)는 스텝 모터 지시값, (c)는 세컨더리압, (d)는 프라이머리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처음에, 도4를 참조하면서 종래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4에 있어서는, 변속비의 변화가 커지는 차량이 급감속을 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시각(t1)에 있어서, 차속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목표 변속비도 급격히 커지고, 변속비를 로우측으로 시프트시키기 위해, 이 목표 변속비의 변화에 따라서 스텝 모터(40)의 지시값이 급격히 로우측으로 변화된다. 또한, 스텝 모터(40)의 작동에 의해 변속 제어 밸브(32)의 드레인측 통로가 개방되어 프라이머리압이 저하된다. 또한, 변속비를 로우측으로 시프트하기 때문에 세컨더리압은 상승시킨다.
여기서, 스텝 모터(40)의 지시값과 풀리 위치의 차가 변속 제어 밸브(32)의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량에 대응하고 있고, 개구량이 커지는 동시에 프라이머리압이 저하되어 가지만, 프라이머리압이 드레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실변속비를 목표 변속비에 추종시키는데 필요한 차추력을 발생시킬 수는 없다.
이에 의해, 실변속비와 목표 변속비의 편차가 커지기 때문에, 피드백 보정량이 커지고,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량을 증가시키도록 스텝 모터(40)의 지시값을 더 로우측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량이 최대의 상태가 되고, 시각(t2)에 있어서 프라이머리압이 급저하되어 벨트(13)의 미끄럼이 생기지 않는 한계압을 하회하여 벨트 미끄럼이 생긴다.
다음에, 도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5에 있어서도, 변속비의 변화가 커지는 차량이 급감속을 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시각(t1)에 있어서, 차속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서 도달 변속비가 크게 변경된다. 이때, 밸런스압과 프라이머리압의 차인 차추력을 연산하고, 이 차추력으로 변속 가능한 변속 속도(시상수)를 연산하고, 그 변속 속도(시상수)에 의해 목표 변속비가 결정된다. 그리고, 결정된 목표 변속비에 따라서 스텝 모터(40)가 구동된다.
이에 의해, 실변속비를 목표 변속비에 추종시킬 수 있으므로, 피드백 보정량이 과대해지지 않아, 프라이머리압이 급저하되어 벨트(13)의 미끄럼이 생기지 않는 한계압을 하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11)의 변위 속도와 변속 제어 밸브(32)의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 면적을 기초로 하여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잔존압을 추정하고, 이 잔존압을 기초로 하여 연산되는 변속 속도(시상수)의 한계치를 기초로 하여 목표 변속비를 설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량의 급감속 시 등과 같이 변속비를 급속하게 로우측으로 시프트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실변속비 를 목표 변속비에 추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측 통로의 개방도가 지나치게 증대되지 않고, 이에 의해 프라이머리압의 과잉 저하가 억지되므로, 벨트 슬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1에 대응).
또한, 밸런스압과 프라이머리 풀리(11)의 잔존압과의 차가 클수록 변속 속도의 상한치는 높게(시상수는 작게) 설정되므로, 차추력을 기초로 하여 실현 가능한 변속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어, 실변속비를 목표 변속비에 추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2에 대응).
또한, 변속 속도의 상한치가 높을수록 목표 변속비는 높게 설정되므로, 실변속비를 목표 변속비에 추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3에 대응).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2는 유압 컨트롤 유닛 및 CVTCU의 개념도.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4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변속 제어를 도시하는 타임 차트.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속 제어를 도시하는 타임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트식 무단 변속기
11 : 프라이머리 풀리
11a, 12a : 가동 원추판(가동 시브)
11b, 12b : 고정 원추판
12 : 세컨더리 풀리
13 : V벨트
20 : CVT 컨트롤 유닛
32 : 변속 제어 밸브
32a : 스풀
40 : 스텝 모터(변속 작동기)
50 : 서보 링크(링크 기구)

Claims (3)

  1.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에 벨트를 권취하고, 각 풀리로의 공급압을 제어함으로써 각 풀리의 가동 시브가 변위되어 변속비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무단 변속 기구와,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로의 공급압인 프라이머리압을 제어하는 변속 제어 밸브와,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목표 변속비에 대응한 위치로 변속 작동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변속 제어 밸브를 프라이머리압이 변화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프라이머리압이 변화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가 변위됨으로써 상기 변속 제어 밸브를 프라이머리압이 유지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풀리의 가동 시브의 변위 속도와 프라이머리압을 배출하는 상기 변속 제어 밸브의 드레인측 통로의 개구 면적을 기초로 하여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발생압을 추정하는 최저 발생압 추정 수단과,
    상기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발생압을 기초로 하여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연산하는 변속 속도 상한치 연산 수단과,
    상기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목표 변속비를 설정하는 목표 변속비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속도 상한치 연산 수단은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비가 평형 상태에 있을 때의 프라이머리압과 상기 프라이머리압의 최저 발생압과의 차가 클수록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 속도의 상한치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변속비 설정 수단은 상기 변속 속도의 상한치가 높을수록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목표 변속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20070124231A 2006-12-15 2007-12-03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63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7958A JP4755970B2 (ja) 2006-12-15 2006-12-15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JP-P-2006-00337958 2006-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637A KR20080055637A (ko) 2008-06-19
KR101363306B1 true KR101363306B1 (ko) 2014-02-18

Family

ID=3918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2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3306B1 (ko) 2006-12-15 2007-12-03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99729B2 (ko)
EP (1) EP1933064B1 (ko)
JP (1) JP4755970B2 (ko)
KR (1) KR101363306B1 (ko)
CN (1) CN1012059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875B2 (ja) * 2006-12-15 2011-08-31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WO2008103079A1 (en) * 2007-02-22 2008-08-28 Husqvarna Aktiebolag Retarding device for a rotational cutting machine
JP4852130B2 (ja) * 2009-07-17 2012-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5316692B2 (ja) 2010-02-26 2013-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DE112010005399B4 (de) * 2010-03-18 2021-05-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 stufenloses Getriebe
JP5244875B2 (ja) * 2010-09-08 2013-07-24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5379097B2 (ja) 2010-09-08 2013-12-25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及びパワーon/off判定方法
US8820341B2 (en) * 2011-01-25 2014-09-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e presence of hydraulic pressure in a transmission
WO2013145974A1 (ja) * 2012-03-28 2013-10-03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及びその油圧制御方法
KR101598751B1 (ko) * 2012-06-08 2016-02-29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무단 변속기 및 그 유압 제어 방법
JP6262052B2 (ja) * 2014-03-27 2018-01-17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9777835B2 (en) 2015-07-06 2017-10-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VT is set to a maximum gear ratio at vehicle startup
US11644094B2 (en) * 2020-01-23 2023-05-09 Kawasaki Motors, Ltd. Power unit
US11965593B2 (en) * 2020-11-02 2024-04-23 Jatco Ltd Damping pressure supply circuit for pulley pressure control valve
JP7241124B2 (ja) * 2021-04-21 2023-03-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3862A (en) 1996-03-13 1998-09-08 Nissan Motor Co., Lt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03343711A (ja) 2002-05-29 2003-12-0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ベルト滑り判定装置及びそれを含む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20040127330A1 (en) 2002-09-30 2004-07-01 Jatco Ltd Shift control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4360725A (ja) 2003-06-02 2004-12-24 Nissan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変速比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0286B2 (ja) 1990-10-31 1999-06-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3166672B2 (ja) * 1997-08-29 2001-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498901B2 (ja) * 1998-12-25 2004-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4565701B2 (ja) * 2000-05-12 2010-10-2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6813551B2 (en) * 2002-02-04 2004-11-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034148B2 (ja) * 2002-08-29 2008-01-16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4291555B2 (ja) * 2002-09-20 2009-07-08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047122B2 (ja) * 2002-09-30 2008-02-13 ジヤトコ株式会社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スリップ防止装置
JP4349958B2 (ja) * 2004-03-31 2009-10-21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4349959B2 (ja) * 2004-03-31 2009-10-21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CN100356045C (zh) * 2004-07-12 2007-12-19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动力单元及安装有该动力单元的车辆
JP4212541B2 (ja) 2004-09-30 2009-01-21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ATE406535T1 (de) * 2004-10-23 2008-09-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sowie fahrzeug mit einem derartigem getrie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3862A (en) 1996-03-13 1998-09-08 Nissan Motor Co., Lt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03343711A (ja) 2002-05-29 2003-12-0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ベルト滑り判定装置及びそれを含む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20040127330A1 (en) 2002-09-30 2004-07-01 Jatco Ltd Shift control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4360725A (ja) 2003-06-02 2004-12-24 Nissan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変速比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51197A (ja) 2008-07-03
CN101205973B (zh) 2013-01-02
KR20080055637A (ko) 2008-06-19
EP1933064B1 (en) 2012-03-28
EP1933064A3 (en) 2011-03-30
EP1933064A2 (en) 2008-06-18
US7699729B2 (en) 2010-04-20
US20080146410A1 (en) 2008-06-19
CN101205973A (zh) 2008-06-25
JP4755970B2 (ja)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306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1363307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1315641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 제어 장치
US8412636B2 (en)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22610B2 (en) Line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7819764B2 (en) Speed change control device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12223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
JP4072200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4124965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EP1406032B1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080096719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on
JP2004190492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7066855B2 (en) Line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