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436B1 -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5436B1 KR101345436B1 KR1020120092307A KR20120092307A KR101345436B1 KR 101345436 B1 KR101345436 B1 KR 101345436B1 KR 1020120092307 A KR1020120092307 A KR 1020120092307A KR 20120092307 A KR20120092307 A KR 20120092307A KR 101345436 B1 KR101345436 B1 KR 1013454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proof
- gel
- composition
- coating
- 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04B41/453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 C04B41/4537—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by the sol-gel proc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에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하여 방수력이 우수한 이중 방수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방수시트를 포함한 이중 방수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겔상 도막방수재 및 방수시트의 이중방수재 시공시 방수시트 간의 중첩부분에 대한 시공 단면도
시험항목 | 품질기준 | 시험결과 | 시험방법 |
고형분 중량비(%) | 85 이상 | 90.7 | KS M 3705 |
회분 중량비(%) | 15이상, 45이상 | 23.8 | KS M 0009 |
흐름저항성(mm) | 3매 모두 흐름길이가 3.0이하이고 주름발생등이 없을 것 | 이상없음 | KS F 3211 |
60℃ 내열성 | 이상 없을 것 | 이상없음 | KS F 4917 |
내알칼리성 | 이상 없을 것 | 이상없음 | KS M ISO 1812 |
-15℃ 저온굴곡성 | 이상 없을 것 | 이상없음 | KS M 5000 |
수분(%) | 1.0 이하 | 0.83 | KS M 0010:2011 (칼피셔법) |
실시예 | 비교예 1 | 비교예 2 | |
방수성능 | ◎ | ○ | ○ |
내구성 | ◎ | ◎ | △ |
바탕면과의 접착성 | ◎ | ○ | ○ |
접착유지력 | ◎ | ○ | ○ |
시공성 | ◎ | × | ◎ |
친환경성 | △ | ○ | × |
경제성 | ◎ | △ | △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시공성 | ◎ | ◎ | ◎ | △ | ○ |
내구성 | ○ | ◎ | ○ | △ | × |
바탕면과의 접착성 |
◎ | ◎ | ◎ | ○ | × |
방수성능 | ◎ | ◎ | ○ | △ | ×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유분리 현상 감소효과 | ◎ | ◎ | ◎ | △ | △ | × |
내구성 | ◎ | ○ | ◎ | ○ | △ | × |
방수성능 | ◎ | ◎ | ◎ | △ | △ | × |
12 : 고무아스팔트 혼합물층
13 : 방수 필름층
14 : 방수시트 간 중첩 부위 이형필름
21 : 콘크리트 슬라브
22, 25 : 겔상 방수조성물
23 : 제 1 방수시트
24 : 제 2 방수시트
26 : 방수 필름
Claims (22)
- 아스팔트, 프로세스 오일 및 석유 용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화합물 및 유분리 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분리 방지제는 4차 암모늄 화합물에 벤토나이트 또는 헥토라이트가 포함된 유기클레이이거나, 산성 폴리에스테르 및 불포화 폴리아민 아마이드가 포함된 염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오일과 상기 석유 용제의 부피비는 10:4 내지 1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화합물은 상기 아스팔트는 60 내지 80중량%이고,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10 내지 30중량%이고, 상기 석유 용제는 5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오일의 비중은 상기 석유 용제의 비중에 비하여 1.01 내지 1.3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또는 아로마틱계 오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또는 미네랄 스피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은 합성고무 화합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스팔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합성고무 화합물은 1 내지 1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 화합물은 폴리이소부틸렌계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6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상에 방수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에는 부칙포층이 구비되어,
상기 부직포층이 상기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에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수재.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단위면적당 질량이 80 내지 140g/m2인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 상에 형성된 고무아스팔트 혼합물층; 및
상기 고무아스팔트 혼합물층 상에 형성된 방수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수재.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의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수재. - 아스팔트, 프로세스 오일 및 석유 용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화합물을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아스팔트 화합물 혼합단계;
유분리 방지제, 합성고무 및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를 상기 아스팔트 화합물에 투입하는 유분리 방지제 및 합성고무 화합물 투입단계;를 포함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화합물 혼합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스 오일과 상기 석유 용제의 부피비는 10:4 내지 10:8이고,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또는 아로마틱계 오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석유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또는 미네랄 스피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리 방지제는 콜로이드 상태로 분쇄된 것이고, 분쇄시 선단 속도는 5 내지 25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 화합물 투입단계 후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첨가제 투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광물질 안정제, 산화방지제, 해포석, 플라이 애쉬,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또는 셀룰로오즈 필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투입단계 후, 상기 아스팔트 화합물, 상기 유분리 방지제, 상기 합성고무 화합물 및 상기 첨가제를 50 내지 70℃의 온도 하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리 방지제 및 합성고무 화합물 투입단계는 상기 아스팔트 화합물에 유분리 방지제를 투입한 후, 합성고무 및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제조방법. - 바탕면에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위에 제 1 방수시트를 접착하는 제 1 접착단계;
상기 제 1 방수시트의 말단부에 상기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을 도포하고 제 2 방수시트를 중첩하여 접착하는 제 2 접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단계를 1 내지 3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수재의 시공방법.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면에 도포되는 상기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1.0 내지 2.5mm이고, 상기 제 1 방수시트의 말단부에 도포되는 상기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0.3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수재의 시공방법.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단계 이후, 상기 제 2 방수시트의 말단부에 상기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을 도포하고 방수 필름을 접착하는 방수필름 접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수재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307A KR101345436B1 (ko) | 2012-08-23 | 2012-08-23 |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307A KR101345436B1 (ko) | 2012-08-23 | 2012-08-23 |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5436B1 true KR101345436B1 (ko) | 2013-12-27 |
Family
ID=4998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2307A Active KR101345436B1 (ko) | 2012-08-23 | 2012-08-23 |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543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87170A (zh) * | 2014-06-18 | 2014-10-08 | 蚌埠市光华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非离子型乳化沥青防水涂料制备方法 |
KR20160034045A (ko) * | 2014-09-19 | 2016-03-29 | 배문옥 | 교면용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CN109536027A (zh) * | 2018-11-27 | 2019-03-29 | 沈劲松 | 在户外矿山机械设备表面涂覆沥青涂层的方法 |
KR102645981B1 (ko) | 2023-12-28 | 2024-03-11 | 노시훈 | 신설 및 보수 교면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교면의 방수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7164B1 (ko) * | 2010-04-21 | 2010-08-23 | 주식회사페트로산업 |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
KR101027654B1 (ko) * | 2007-09-06 | 2011-04-12 | 배문옥 | 겔상태의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 및 아스팔트 펠트시트복합방수재 |
-
2012
- 2012-08-23 KR KR1020120092307A patent/KR10134543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7654B1 (ko) * | 2007-09-06 | 2011-04-12 | 배문옥 | 겔상태의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 및 아스팔트 펠트시트복합방수재 |
KR100977164B1 (ko) * | 2010-04-21 | 2010-08-23 | 주식회사페트로산업 |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87170A (zh) * | 2014-06-18 | 2014-10-08 | 蚌埠市光华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非离子型乳化沥青防水涂料制备方法 |
KR20160034045A (ko) * | 2014-09-19 | 2016-03-29 | 배문옥 | 교면용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KR101697819B1 (ko) * | 2014-09-19 | 2017-01-18 | 배문옥 | 교면용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CN109536027A (zh) * | 2018-11-27 | 2019-03-29 | 沈劲松 | 在户外矿山机械设备表面涂覆沥青涂层的方法 |
KR102645981B1 (ko) | 2023-12-28 | 2024-03-11 | 노시훈 | 신설 및 보수 교면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교면의 방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033611B (zh) | 具有防水功能的高等级沥青组合物及利用其的施工方法 | |
JP6434925B2 (ja) | 不透水性排水中間層形成用の非固化ゴムアスファル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不透水性排水中間層を一回の舗装により形成する方法 | |
KR102411289B1 (ko) |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와 유리섬유 부직포를 구비한 방수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
CN1163567C (zh) | 沥青砂胶铺展膜和板的双层防水材料及其施工方法 | |
KR101977585B1 (ko) | Sis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성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992952B1 (ko) |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제와 양면규사시트의 접착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0791587B1 (ko) | 건축용 아스팔트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57190B1 (ko) | 고점착 자착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의 제조방법 | |
KR101286575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시트 복합 방수재 | |
CN101575486B (zh) | 无溶剂粘合剂、防水片材、其制法和使用它的建筑方法 | |
KR101345436B1 (ko) |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859999B1 (ko) |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 |
KR102054820B1 (ko) |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sbs를 이용한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일체형 교면 균열부 보수공법 | |
KR102063653B1 (ko) |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 |
CN104945918A (zh) | 一种环氧沥青胶泥及应用 | |
KR102058021B1 (ko) |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
KR102119756B1 (ko) |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460723B1 (ko) |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
KR102207018B1 (ko) | 우레탄 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도로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207040B1 (ko) | Ldpe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207044B1 (ko) | Ldpe를 포함하는 도로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127999B1 (ko) | 고강성 아스팔트 개질제를 포함하는 불투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629433B1 (ko) | 교면방수층의 물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 교면방수공법 | |
KR101745921B1 (ko) | 탄소섬유를 활용한 고내구성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 시공방법 | |
KR102421306B1 (ko) |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