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1618B1 - 거푸집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618B1
KR101341618B1 KR1020130075801A KR20130075801A KR101341618B1 KR 101341618 B1 KR101341618 B1 KR 101341618B1 KR 1020130075801 A KR1020130075801 A KR 1020130075801A KR 20130075801 A KR20130075801 A KR 20130075801A KR 101341618 B1 KR101341618 B1 KR 10134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ssage
hold
connection support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해강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강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강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6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거푸집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거푸집장치는,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 시공에 사용하는 거푸집장치로서,
주탑의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의 성형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와, 상기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측에 통로를 구비한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일측 단부를 상기 제1 거푸집부 측에서 힌지 결합에 의한 고정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연결지지부 그리고, 상기 통로부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2 거푸집부 측에서 걸림 접촉에 의한 비(非) 고정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연결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장치{CONCRETE FORM APPARATUS}
본 발명은 현수교(懸垂橋)나 사장교(斜張橋) 등의 주탑 시공 작업에 사용하는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은 일반 교량의 교각들과 달리 교량상판의 위쪽으로 더욱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주탑 상부에서 와이어나 체인 등의 연결력으로 교량상판을 잡아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탑은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가 있지만 대부분 교량의 폭 방향과 대응하도록 간격을 띄우고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가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를 이루면서,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탑을 시공하는 작업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두 개의 거푸집장치를 간격을 띄우고 배치한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거푸집장치를 순차적으로 옮겨가면서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를 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주탑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데 사용하는 거푸집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1047527호의 주탑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장치."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거푸집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두 개의 거푸집장치를 이용하여 주탑의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를 시공할 때 거푸집장치들 간에 연결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어렵다.
즉, 거푸집장치들 간에 연결 통로가 확보되지 않으면, 작업 정보나, 인력, 도구(장치) 등을 쉽게 공유할 수 없으므로 작업 효율성 및 편의성 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일반 교각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주탑 시공 작업시 작업 효율성 및 편의성을 더욱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 시공시 특히 작업 공간의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거푸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 시공에 사용하는 거푸집장치로서,
주탑의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의 성형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
상기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측에 통로를 구비한 통로부;
상기 통로부의 일측 단부를 상기 제1 거푸집부 측에서 힌지 결합에 의한 고정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연결지지부;
상기 통로부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2 거푸집부 측에서 걸림 접촉에 의한 비(非) 고정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연결지지부;
를 포함하는 거푸집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탑 시공시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와 대응하는 제1 및 제2 거푸집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통로부를 구비하여, 이 통로부에 의해 상기 두 개의 거푸집부 간에 통행이 가능한 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통로부의 양측 단부 중에서 일측 단부는 제1 연결지지부의 힌지 결합에 의한 연결 고정 상태로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제2 연결지지부의 걸림 접촉에 의한 비(非) 고정 연결 상태로 설치되므로, 특히 두 개의 거푸집부의 클라이밍 동작시 상기 통로부가 수평 또는 어느 한쪽으로 적절하게 기울어지는 상태로 연결 지지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으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제1 거푸집부를 지칭하고, 도면 부호 4는 제2 거푸집부를 지칭한다.
그리고, 도면 부호 A는 주탑 구조물을 지칭하고, 도면 부호 A1 및 A2는 주탑 구조물(A)을 구성하는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는 작업대(B1) 및 성형폼(B2)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대(B1)는 예를 들어, 형강이나 금속 파이프들을 통상의 방법(용접, 볼팅)으로 연결 고정한 금속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업대(B1)는 작업자가 올라 탄 상태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와 같은 작업들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작업 면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성형폼(B2)은, 예를 들어, 스틸폼이나 목재폼, 알루미늄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면(성형면)이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B1) 측에 도 1에서와 같이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는 주탑 구조물(A) 시공시 제1 레그부(A1) 또는 제2 레그부(A2) 둘레면과 대응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한 조로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는 별도의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주탑 구조물(A)의 제1 레그부(A1) 및 제2 레그부(A2)의 시공을 위해 점차 위쪽으로 옮겨가는 상태로 이동 및 셋팅이 가능한 오토클라이밍 폼웍 시스템(AUTO CLIMBING SYSTEM)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은 가이드레일(C1) 및 유압잭(미도시)을 이용한 통상의 클라이밍 이동 방식에 의해 성형 위치와 대응하는 지점으로 이동 및 셋팅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의 구조에 의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성형 위치를 옮겨가는 방식으로 시공 작업이 진행되면서 지면에서 세워진 상태로 주탑 구조물(A)의 제1 레그부(A1) 및 제2 레그부(A2)를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장치는, 통로부(6) 그리고, 제1 연결지지부(8) 및 제2 연결지지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부(6)는,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 사이로 통행이 가능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로부(6)는 도 4에서와 같이 통로(D)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거푸집부(2)와 제2 거푸집부(4)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통로(D)는 상기 통로부(6) 내측에서 이 통로부(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6)는 예를 들어, 금속파이프나 형강 등을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 고정하여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금속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통로부(6)는 도 4에서와 같이 주탑 구조물(A)의 제1 레그부(A1)와 제2 레그부(A2) 시공이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연결지지부(8) 및 제2 연결지지부(10)는,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상기 통로부(6)를 연결 지지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연결지지부(8) 및 제2 연결지지부(10)는,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의 클라이밍 동작과 연계하여 가변(可變)의 연결 지지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통로부(6)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연결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지지부(8)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연결축(E)을 구비하고, 이 연결축(E)은 상기 통로부(6)의 일단과, 상기 제1 거푸집부(2) 일측을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지지부(8)는, 상기 통로부(6)의 일단이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상기 제1 연결지지부(8)는, 상기 통로부(6)의 일단과 상기 제1 거푸집부(2) 일측을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여 상기 통로부(6) 일단이 상기 제1 거푸집부(2) 측에서 상기 연결축(E)의 축선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고정된 상태의 연결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지지부(10)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로울러(F)를 구비하고, 이 지지로울러(F)는 상기 제2 거푸집부(4) 측에 고정되어 상기 통로부(6)의 타단 하부를 외부면으로 받쳐주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로울러(F)는 상기 통로부(6)가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때 이 통로부(6)의 타단 하부와 접촉된 상태로 롤링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지지부(10)는, 상기 통로부(6)의 타단이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상기 제2 연결지지부(10)는, 상기 제2 거푸집부(4) 측에서 상기 통로부(6)의 타단 하부를 상기 지지로울러(F)로 받쳐주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의 높낮이 위치에 따라 서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질 때 상기 통로부(6)의 타단이 지지로울러(F)의 롤링 동작에 의해 이동 방향이 안내되는 상태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비(非) 고정 상태의 연결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연결지지부(8) 및 제2 연결지지부(10)는, 상기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상기 통로부(6)를 잡아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거푸집부(2, 4)들의 클라이밍 동작과 연계하여 가변(可變)의 연결 지지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통로부(6)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연결 지지 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주탑 구조물(A)의 제1 레그부(A1)와 대응하는 제1 거푸집부(2)가 위쪽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연결지지부(8)의 연결축(E)에 의해 통로부(6)가 도면에서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제2 거푸집부(4)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통로부(6)의 타단이 들어올려지면서 다시 수평한 연결 상태가 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두 개의 거푸집부(2, 4) 사이에는 수평한 상태의 통로(D)가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면, 특히 주탑 구조물(A)의 제1 레그부(A1) 및 제2 레그부(A2)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상태로 연장되도록 시공할 때 상기 제1 및 제2 거푸집부(2, 4)와 대응하도록 상기 통로부(6)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거푸집부(2) 및 제2 거푸집부(4)를 이용하여 주탑 구조물(A)의 제1 레그부(A1)와 제2 레그부(A2)를 시공할 때, 통로부(6)에 의해 상기 두 개의 거푸집부(2, 4) 사이로 통행이 가능한 통로(D)를 용이하게 확보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통로부(6)가 제1 연결지지부(8) 및 제2 연결지지부(10)에 의해 상기 두 개의 거푸집부(2, 4)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클라이밍 동작과 연계하여 가변(可變)의 연결 지지 동작으로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셋팅되므로 한층 향상 된 사용 편의성 및 작동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제1 거푸집부 4: 제2 거푸집부 6: 통로부
8: 제1 연결지지부 10: 제2 연결지지부 A: 주탑 구조물
A1: 제1 레그부 A2: 제2 레그부:

Claims (7)

  1.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 시공에 사용하는 거푸집장치로서,
    주탑의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의 성형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
    상기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측에 통로를 구비한 통로부;
    상기 통로부의 일측 단부를 상기 제1 거푸집부 측에서 힌지 결합에 의한 고정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연결지지부;
    상기 통로부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2 거푸집부 측에서 걸림 접촉에 의한 비(非) 고정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연결지지부;
    를 포함하는 거푸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는,
    작업자의 작업 면적을 제공하는 작업대와, 이 작업대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성형폼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거푸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내측에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거푸집부 및 제2 거푸집부 사이를 상기 통로로 연결할 수 있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거푸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1 거푸집부 일측과 상기 통로부 일측 단부를 연결축의 힌지 결합에 의해 고정 연결하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푸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1 거푸집부 또는 상기 제2 거푸집부의 클라이밍 동작에 의한 높낮이 위치에 따라 상기 통로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축의 힌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가변(可變) 연결 동작에 의해 상기 통로부를 수평 또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셋팅되는 거푸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2 거푸집부 측에 배치되는 지지로울러를 구비하고, 이 지지로울러는 상기 통로부의 타측 단부의 하부를 받쳐주는 비(非) 고정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푸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1 거푸집부 또는 상기 제2 거푸집부의 클라이밍 동작에 의한 높낮이 위치에 따라 상기 통로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지지로울러 측에 걸쳐진 상태로 연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가변(可變) 연결 동작에 의해 상기 통로부를 수평 또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셋팅되는 거푸집장치.
KR1020130075801A 2013-06-28 2013-06-28 거푸집장치 Active KR101341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01A KR101341618B1 (ko) 2013-06-28 2013-06-28 거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01A KR101341618B1 (ko) 2013-06-28 2013-06-28 거푸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618B1 true KR101341618B1 (ko) 2013-12-13

Family

ID=4998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801A Active KR101341618B1 (ko) 2013-06-28 2013-06-28 거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6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75A (zh) * 2018-07-25 2018-12-18 重庆交通大学 斜拉桥索塔钢筋骨架
CN114086478A (zh) * 2021-11-25 2022-02-25 中铁广州工程局集团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牛腿兼做临时支撑的主塔下横梁施工体系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415A (ja) * 1992-09-30 1994-04-19 Maeda Corp コンクリート主塔の築造方法
JPH09310492A (ja) * 1996-05-22 1997-12-02 Hirose & Co Ltd 自昇式型枠装置及びその装置の上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415A (ja) * 1992-09-30 1994-04-19 Maeda Corp コンクリート主塔の築造方法
JPH09310492A (ja) * 1996-05-22 1997-12-02 Hirose & Co Ltd 自昇式型枠装置及びその装置の上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75A (zh) * 2018-07-25 2018-12-18 重庆交通大学 斜拉桥索塔钢筋骨架
CN114086478A (zh) * 2021-11-25 2022-02-25 中铁广州工程局集团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牛腿兼做临时支撑的主塔下横梁施工体系及方法
CN114086478B (zh) * 2021-11-25 2023-09-08 中铁广州工程局集团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牛腿兼做临时支撑的主塔下横梁施工体系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094B2 (ja) レールガイド式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
CN103821376B (zh) 单层网壳结构高空斜轨累积滑移施工工法
CN204266134U (zh) 重载大跨度钢桁梁步履式顶推装置
JP6247496B2 (ja) 鋼構造物の建方工法
JP2016194229A (ja) 押出架設工法
JP2011038381A (ja) 既存建物の改造方法
KR101341618B1 (ko) 거푸집장치
US9683338B2 (en) Form traveller for the construction of engineering works
CN113073839B (zh) 一种重载自爬施工装置及其爬升方法
JP612444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6375141B2 (ja) 足場装置、及び、その足場装置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躯体の施工方法
US9908751B2 (en) Telescopic boom and crane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6391135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KR20190122925A (ko)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CN112610014A (zh) 一种用于铁路客站改扩建工程的滑移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8057226A (ja) 橋桁上における建屋の構築方法および当該建屋を有する橋梁
KR101185578B1 (ko) 강교용 가설브래킷
CN114293769B (zh) 跨越式排架及其安装方法
CN113802462B (zh) 节拼架桥机及其吊重前支腿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JP5638443B2 (ja) 揚重システム
JP2016044470A (ja) 仮設柱の設置方法
KR101808296B1 (ko) 해양플랜트용 비계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