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5104B1 - 커넥터 유니트 - Google Patents

커넥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104B1
KR101335104B1 KR1020070103577A KR20070103577A KR101335104B1 KR 101335104 B1 KR101335104 B1 KR 101335104B1 KR 1020070103577 A KR1020070103577 A KR 1020070103577A KR 20070103577 A KR20070103577 A KR 20070103577A KR 101335104 B1 KR101335104 B1 KR 10133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cb
terminals
connector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203A (ko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1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형상의 단자를 적용하여 오결선이 방지되는 커넥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유니트는, 냉장고에 구비되는 피시비 및 전장부품에 제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단자가 구비되는 암부재와, 상기 전장부품과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자가 끼움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와 전장부품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단자결합부가 구비되는 숫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자는 2열 이상으로 형성되고, 각 열의 단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결선을 방지하며, 상기 암부재와 숫부재에는 체결 이후 서로 간섭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와 돌출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성이 향상되며, 오결선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커넥터, 피시비, 단자, 오결선

Description

커넥터 유니트{Connector unit}
본 발명은 상이한 형상의 단자를 적용하여 오결선이 방지되는 커넥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원 공급부인 피시비(PCB;Printed Circuit Board)와 전선을 연결하거나,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거나, 하나의 전선과 복수의 전선을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기구로서, 2∼100개를 접속할 수 있는 다극커넥터와 고주파용 동축커넥터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하에서는 각종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 가운데, 냉장고에 사용되는 커넥터를 살펴보도록 한다.
냉장고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도전체로 구성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가 일정한 형태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절연체 역할을 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자 및 하우징은 각각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되며, 암수의 결합에 의해 전기회로를 연결하여 냉장고 내부의 전기부품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다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의 경우, 단자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자와 전선을 연결할 때나 암수의 결합시 오결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의 전기부품이 오동작하게 되어, 냉장고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실추되어, 기업이미지의 실추 및 제품에 대한 불신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의 형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오결선이 방지되는 커넥터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유니트는 냉장고에 구비되는 피시비 및 전장부품에 제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단자가 구비되는 암부재와, 상기 전장부품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가 끼움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와 전장부품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단자결합부가 구비되는 숫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자는 2열 이상으로 형성되고, 각 열의 단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결선을 방지하며, 상기 암부재와 숫부재에는 체결 이후 서로 간섭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와 돌출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유니트에 의하면, 단자가 상호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결선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즉, 상하 또는 좌우의 단자가 서로 다른 모양으로 구비되므로, 전선 연결 작업시에 결선이 상하로 바뀌는 경우에 단자가 조립되지 않으므로 오결선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 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 유니트가 적용된 냉장고용 피시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유니트(10)는 냉장고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장부품에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피시비(P)에 연결되는 암부재(20)와, 상기 암부재(20)와 결합되어, 연결회로를 형성하는 숫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암부재(20)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숫부재(40)와 결합되는 하우징(26)과 상기 하우징(26)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시비(P)에 형성된 회로와 연결되는 단자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26)은 상면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내측에는 상기 숫부재(4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7)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7)은 아래에서 설명할 숫부재(40)의 삽입부(4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는 테이퍼부(28)를 형성하고 나머지 모서리는 직각으로 하여, 상기 삽입부(43)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도록 한다. 즉, 상기 삽입부(43)가 반대의 방향으로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테이퍼부(28)가 상기 삽입부(43)의 직각 모서리가 간섭되어, 역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27)의 양측면은 절개하여 상기 삽입부(43)가 완전히 삽 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절개된 양측면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부(4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29)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27)의 바닥면에는 단자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22) 상기 하우징(26)의 사출성형 시에 인서트 되어 고정되며, 상측 일부는 상기 수용홈(27)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 일부는 상기 수용홈(27)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피시비(P)에 형성된 단자홀(25)에 수용되어, 납땜(Soldering)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피시비(P)에 형성된 회로에 연결된다.
상기 단자부(22)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자(23, 24)로 적어도 2열 이상의 단자들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2열 즉, 제1단자(23)와 제2단자(24)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1단자(23)와 제2단자(24)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 오결선 방지를 위한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단자(23)는 상하로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24)는 상하로 길이가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23)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2단자(24)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면, 상기 숫부재(40)가 상기 암부재(20)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열의 단자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암부재(20)에 구비된 상기 단자(23, 24)의 결합상태를 육안으로 쉽게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행의 단자부(22)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 즉, 동일 행의 단자부(2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인접한 행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암부재(20)와 숫부재(40)가 상호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오결선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암부재(20)의 수용홈(27)에는 숫부재(40)의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숫부재(40)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20)와 결합되는 플러그하우징(42)과 상기 플러그하우징(4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22)와 결합되는 단자결합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하우징(42)은 상기 수용홈(27)에 삽입되는 삽입부(43)와 상기 삽입부(43)에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몸체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수용홈(27)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9)와 간섭되어, 상기 숫부재(40)가 암부재(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리브(49)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리브(49)는 상기 삽입부(43)가 상기 수용홈(27)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29)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3)의 양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3)의 상측에는, 상기 삽입부(43)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43)가 상기 수용홈(27)과 대응되는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몸체부(4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43)의 내측에는 도전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22)와 결합되는 단자결합부(46)가 고정된다. 상기 단자결합부(46)는 상기 단자부(22)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22)가 억지 끼움되어 전기회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단자결합부(46)의 일단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22)와 결합되며, 타단은 전선(W)에 의해 냉장고 내부의 전기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결합부(46)는 상기 제1단자(23)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제1단자(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단자(미도시)와 상기 제2단자(24)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제2단자(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단자(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호 대응되지 않는 형상은 서로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오결선 방지 구조가 적용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암부재(20)와 숫부재(40)에 구비된 단자부(22)와 단자결합부(46)가 상호 대응되지 않는 형상의 단자끼리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암부재(20)와 숫부재(40)가 상호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회로의 오결선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 유니트가 적용된 냉장고용 피시비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 유니트 20. 암부재
22. 단자부 23. 제1단자
24. 제2단자 26. 하우징
27. 수용홈 29. 걸림돌기
40. 숫부재 42. 플러그하우징
43. 삽입부 44. 몸체부
46. 단자결합부 49. 돌출리브
P. 피시비 W. 전선

Claims (6)

  1. 냉장고에 구비되는 피시비 및 전장부품에 제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단자가 구비되는 암부재와;
    상기 전장부품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가 끼움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와 전장부품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단자결합부가 구비되는 숫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자는 2열 이상으로 형성되며, 각 열의 단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결선을 방지하고,
    상기 암부재와 숫부재에는 체결 이후 서로 간섭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와 돌출리브가 더 형성되는 커넥터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동일 열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니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103577A 2007-10-15 2007-10-15 커넥터 유니트 KR10133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77A KR101335104B1 (ko) 2007-10-15 2007-10-15 커넥터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77A KR101335104B1 (ko) 2007-10-15 2007-10-15 커넥터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203A KR20090038203A (ko) 2009-04-20
KR101335104B1 true KR101335104B1 (ko) 2013-12-03

Family

ID=4076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577A KR101335104B1 (ko) 2007-10-15 2007-10-15 커넥터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1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38A (ja) * 1993-06-15 1995-01-10 Seiko Epson Corp 高密度実装
JPH11250992A (ja) * 1998-03-03 1999-09-17 Toshiba Corp 誤挿入防止キー付きコネクタ装置
KR20030043034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 결선 구조
KR20050037845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웨이퍼를 구비한 냉장고용 피씨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38A (ja) * 1993-06-15 1995-01-10 Seiko Epson Corp 高密度実装
JPH11250992A (ja) * 1998-03-03 1999-09-17 Toshiba Corp 誤挿入防止キー付きコネクタ装置
KR20030043034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 결선 구조
KR20050037845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웨이퍼를 구비한 냉장고용 피씨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203A (ko)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590A (en) Plug and socket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394818B1 (en) Power connector
EP2610974A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9218221A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2095769B1 (ko) 일체형 갈바닉 분리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차폐 요소
EP2553774B1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of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
KR20080034853A (ko)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US10879633B2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7153145B2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uning fork terminal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EP3876353B1 (en) Terminal block and terminal block set
CN105870675B (zh) 基板连接用连接器装置
TWI626804B (zh) 轉接器總成及轉接器
US7874858B2 (en) Connector
US7794289B1 (en) Circuit board connector assembly
KR101335104B1 (ko) 커넥터 유니트
US20030119342A1 (en) Rotatably mated connector couple
US5411399A (en) Circuit board connector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CN109390714B (zh) 转接器总成及转接器
CN107925232B (zh) 电力布线装置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KR20090006783U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0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