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8438B1 -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438B1
KR101308438B1 KR1020060084583A KR20060084583A KR101308438B1 KR 101308438 B1 KR101308438 B1 KR 101308438B1 KR 1020060084583 A KR1020060084583 A KR 1020060084583A KR 20060084583 A KR20060084583 A KR 20060084583A KR 101308438 B1 KR101308438 B1 KR 101308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viewing angle
control region
electrode
angle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042A (ko
Inventor
카즈요시 나가야마
유이치 모모이
히데후미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7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4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백(白) 화소를 형성할 필요없이 상하좌우 방향에 시야각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얻는다.
화소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화면을 갖는 수직 배향형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 각각은 경사 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된 표시 제어 영역(10)과, 상하방위 또는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고 상기 표시 제어 영역(10)과는 독립한 시야각 제어 라인(30)을 통해 제어전압이 인가되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을 구비한다.
시야각 조정, 액정표시장치, 액정분자, 수직 배향, 공통라인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근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근접의 다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A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에서의 액정분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인가전압 파형의 설명도이다.
삭제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6은 비밀 모드를 갖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7는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볼 때의 액정분자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를 기울어서 볼 때의 액정분자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표시의 비밀성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각 부화소의 액정분자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근접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근접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전압인가에 의한 액정분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표시 제어 영역 11 : 제방(또는 슬릿)
20 : 시야각 제어 영역 21 : 제방(또는 슬릿)
30 : 공통라인 40 : 기판
41 : 게이트 전극
43 : 데이터 패드 44 : 게이트 절연막
45 : 소오스 전극 46 : 드레인 전극
47 : 패시베이션층 48 : 화소전극
49 : 시야각 제어전극 50 : 투명전극
51 : 부하용량
본 발명은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특히 TFT(Thin Film Transistor : 박막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넓게는 휴대전화에서 대형 텔레비전까지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사용하고 있는 본인에게는 보이지만, 옆에서 들여다보아도 보이지 않는 표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어느 때에는 표시화면을 다수 인(人)이 공유하고, 어느 때에는 개인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비밀 모드를 갖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밀 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도 6에서, 액정패널을 배면측에서 조사하는 백라이트로서는, 지향성이 강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상의 액정패널과 이 지향성 백라이트 사이에, 산란 상태 및 비(非)산란 상태를 절환하는 예를 들면, 폴리머 성분형 액정패널(산란 및 비산란 스위칭)이 형성되어 있다.
산란층이 비산란 상태인 경우에는,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은, 정면으로밖에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기울어진 표시를 볼 수 없다.
한편, 산란층이 산란 상태인 경우에는, 백라이트 광은 기울어진 방향에도 조사되기 때문에 기울어진 표시를 볼 수 있어 표시를 복수 인이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통상의 액정패널과는 다르게 특별한 액정패널을 만들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가가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수직배향형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하, 그 기본원리를 도 7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액정분자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의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액정분자는 수직 배향하고 있고, 도 7(b)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분자는 상(上)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폴로라이저(polarizer)와 애널라이저(analyser)는 각각 상하방위 및 좌우방위로 그 흡수축을 향하고 있다.
도 7(a)은 전압 무인가의 수직 배향한 액정패널을 정면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액정분자의 복굴절(複屈折)은 발견되지 않고 모든 광은 누설되지 않는다.
한편, 도 7(b)은 전압 인가된 액정패널을 정면에서 본 경우이다. 액정분자의 광축은 폴로라이저의 흡수축과 평행이고, 결과 역시 복굴절은 보이지 않고 모든 광은 누설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 도 8은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를 경사지게 볼 때의 액정분자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무인가의 경우에는 액정분자의 축은 애널라이저(analyser)의 흡수축에 평행으로 보이기 때문에 광은 누설되지 않는다.
한편,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인가의 경우에는 액정분자의 축은 폴로라이저나 애널라이저의 축에서 어긋나게 되어 복굴절이 발견되어 광이 누설되고 있다.
상기 광의 누설을 이용하면, 상기 좌우방향에서는 표시 콘트라스트가 극단(極端)으로 떨어지게 되어 횡(橫)방향에서 표시를 보아도 무엇이 써 있는지 알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 현상을 이용하여 표시의 비밀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표시의 비밀성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하나의 화소내에는 RGB의 부(副)화소에 백(W)의 부화소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은 도 9에서 각 부화소의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백의 화소 부분의 액정분자의 배향 상태를 다른 RGB와는 다르게 상하방위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백 화소의 부분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부분은 모두 표시에는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표시가 실현된다.
한편, 백 화소의 부분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백 표시가 전면(前面)에 좌우방위로서 행해지게 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가 좌우 시각 방위로 저하하게 되어 타인에게 표시를 보여지는 것을 경감(輕減)된다.
이어, 종래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에서 표시 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종래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화소근접의 평면도이고, 도 12은 종래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화소근접의 단면도이다. 더구나 도 13은 종래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전압인가에 의한 액정분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칼라 필터측의 투명전극상에는 액정의 쓰러지는 방향을 규정하기 위해 "<"자 모양의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도 12 참조).
그리고 액정분자는 전압 무(無)인가 상태에서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다.
한편, 액정분자는 전압 인가상태에서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전극에 의한 경사 전계의 영향으로 결정되어진 방향 즉, 공통전극의 펼쳐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쓰러진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시야각을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실현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5-72529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백(白) 화소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백 수지(樹脂)를 새롭게 형성할 필요가 있고, 구동이 종래와 달라지게 된다.
둘째, 좌우방위에서는 콘트라스트가 저하하는데, 상하방위에서는 콘트라스트는 저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 화소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시야각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화면을 갖는 수직 배향형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 각각은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전극이 형성되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경사 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된 표시 제어 영역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공통 라인과 접속되는 시야각 제어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 제어 영역과 공통의 상기 공통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 전압에 따라 상하방위 또는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는 시야각 제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영역에 형성되는 화소전극 및 상기 시야각 제어 영역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전극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및 보호막을 사이에 두고 투명전극에 의한 2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경사 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된 표시 제어 영역에 투명한 화소전극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 공통 라인, 데이터 패드를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게이트 전극상에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패시베이션층을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한 후에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화소전극과 접속되는 부하 용량을 형성함과 함께 상하방위 혹은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고 상기 표시 제어 영역과 공통의 상기 공통라인을 통해 제어전압이 인가되는 시야각 제어 영역에 투명한 시야각 제어 전극을 형성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 근접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하나의 화소는 표시 제어 영역(10)과 시야각 제어 영역(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 제어 영역(10)은 경사 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어 있는 영역이고, "<"자 모양의 제방(혹은 슬릿)(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제어 영역(10)에는 화소 전극(48)이 형성된다.
한편, 시야각 제어 영역(20)은 상하방위 혹은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고, 표시 제어 영역(10)과는 공통의 공통라인(30)을 통해 제어전압이 인가되는 영역이고, 도 1에서는 좌우방위로 제방(혹은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야각 제어 영역(20)에는 콘택홀(55)을 통해 공통 라인(30)과 접속되는 시야각 제어 전극(49)이 형성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근접의 다른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의 제방(2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제방(21)이 횡(橫) 방향으로 되어 있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을 갖는 화소가 모여 있는 부분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A 패턴이라고 한다.
동일하게 도 2와 같이 제방(21)이 종 방향으로 되어 있는 시야각 제어 영역을 갖는 화소가 모여 있는 부분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B 패턴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1000 × 1000 정도 모여 형성되어 있는 표시화면에서는 이들 A 패턴과 B 패턴의 영역이 표시화면 내에서 분배(分配)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영역(10)의 화소 전극(48)은 공통라인(30)과 중첩된다. 또한, 시야각 제어 영역(20)도 표시 제어 영역(10)과 공통의 공통라인(30)을 통해 인가전압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통라인(30)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개구율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 제어 영역(10) 및 시야각 제어 영역(20)에서 각각의 전극이 투명전극에 의한 2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율의 손실없이 부하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2층 구조의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이어, 시야각 제어 영역(20)에서 전압의 인가/무인가 상태에 있어서 액정분자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A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에서의 액정분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A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은 수직으로 일어선 상태이다. 따라서 시야각 제어 영역(20)의 표시는 흑(黑)이 되어 전체의 표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것은 정면, 상하좌우, 기울어진 시각에 있어서도 동일하고, 표시 자체는 모두 자연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A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분자는 제방(21)에 의한 경사 전계의 영향으로 결정되어진 방향 즉, 제방(21)의 펼쳐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쓰러진다. 따라서 좌우방향에서 본 경우에는 횡 방향의 제방(21)이 들어간 부분은 밝은 광이 투과된다. 반대로 상하방향에서 본 경우에는 횡 방향의 제방(21)이 들어간 부분은 광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B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도 3(b)과는 90도 다른 방향에서 액정분자가 쓰러진다. 따라서 좌우방향에서만 본 경우에는 종 방향의 제방(21)이 들어간 부분에서는 광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하방향에서 본 경우에는 종 방향의 제방(21)이 들어간 부분은 밝은 광이 투과되게 된다.
그 결과,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 있어서, 좌우방향에서의 시야각에 대해서는, A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은 백(白), B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은 흑(黑)으로서 인식된다.
반대로 상하방향에서의 시야각에 대해서는, A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영역은 흑(黑), B 패턴을 갖는 시야각 제어영역은 백(白)으로서 인식된다.
그리고 이들의 패턴이 표시 제어 영역(10)에 의한 통상의 표시 패턴에 중첩되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에서 패턴을 볼 경우에는, 무엇이 써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A 패턴을 갖는 화소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좌우방향에서의 시야에 대한 표시를 밝게 할 수 있고, B 패턴을 갖는 화소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에서의 시야에 대한 화소를 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A 패턴과 B 패턴의 영역을 표시화면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비밀성을 갖는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게이트 메탈을 포함하여 투명전극이 2층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하용량의 크기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4는 본 발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인가전압 파형의 설명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영역(10)과 시야각 제어 영역(20)은 공통의 공통라인(30)을 통해 제어전압이 공급된다.
화소의 전압 라이트(write) 기간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면, 화소전압이 저하하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시야각 제어 영역(20)으로의 전압공급은, 화소의 라이트 기간이지 않고 즉, Vsinc의 블랭킹(blanking) 기간에 행한다. 이와 같이 인가전압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공통라인(30)을 공용화하면서 표시 제어 영역(10)과 시야각 제어 영역(20)의 전압 제어를 각각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시야각 제어 영역(20)은 표시에는 직접 기여하지 않고 표시정보를 보기 어렵게 하기 위해 기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대향하는 칼라 필터 기판 측에는 착색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부가하여 투명전극의 2층 구조를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시야각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표시 제어 영역과 시야각 제어 영역의 공통라인을 공용하는 것에 의해 개구율을 크게 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으로 인가되는 인가전압의 타이밍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시야각 제어 영역을 독립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투명전극의 2층 구조화에 의해 개구율의 손실없이 부하용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증대하는 것에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의 시야각 제어 패턴을 표시 화면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액정패널 전체로서 원하는 비밀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야각 제어 영역에 대향하는 칼라 필터 기판에는 착색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 삭감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5는 본 발명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먼저, 제 1 공정에 의해, 기판(40)상에 일층의 투명전극인 화소 전극(48)을 형성한다.
이어, 제 2 공정에 의해 기판(40)상에 게이트 전극(41), 공통 라인(30), 데이터 패드(43)를 형성한다.
이어, 제 3 공정에 의해, 게이트 절연막(44)을 형성함과 함께 a-Si층 및 N+ a-Si층을 차례로 형성하고, N+ a-Si층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며, 에칭에 의해 홀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41)상에 소오스 전극(45) 및 드레인 전극(46)을 형성한다.
이어, 제 4 공정에 의해, 패시베이션층(47)을 기판(40)의 전면에 형성한 후에, 콘택홀(55)을 형성함과 함께 표시 제어 영역(10)의 패시베이션층(47)을 제거하여 화소전극(48)을 노출시킨다.
최종적으로 제 5 공정에 의해, 드레인 전극(46) 및 화소 전극(48)과 접속되는 전극(57)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5 공정에 의해, 상하방위 혹은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고, 표시 제어 영역(10)과 공통의 공통라인(30)을 통해 제어전압을 인가하는 시야각 제어 영역(20)에 시야각 제어 전극(49)을 더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5 공정에 있어서는 마스크의 장소에 따라 부하용량(5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의 결과 도 1 혹은 도 2의 구조가 최종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 프로세스를 이용한 경우에도 제 1 공정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투명전극의 2층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4, 제 5 공정의 마스크를 제안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 공정을 증가하지 않고 시야각 제어 영역(20)을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부가하여, 투명전극의 2층 구조를 갖는 시야각 제어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시야각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표시 제어 영역과 시야각 제어 영역의 공통라인을 공용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개구율을 크게 유지함과 함께, 각각의 영역으로의 인가 전압의 타이밍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시야각 제어 영역을 독립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전극의 2층 구조화에 의해 개구율의 손실없이 부하용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더구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의 시야각 제어 패턴을 표시화면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액정패널 전체로서 원하는 비밀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시야각 제어 영역에 대향하는 칼라 필터 기판에는 착색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 삭감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 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된 표시 제어 영역과 함께, 상하방위 혹은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표시 제어 영역과 공통의 공통 라인을 통해 제어전압이 인가되는 시야각 제어영역을 투명전극에 의한 2층 구조를 갖도록 1화소 내에 더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백 화소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시야각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화소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표시화면을 갖는 수직 배향형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 각각은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전극이 형성되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경사 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된 표시 제어 영역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공통 라인과 접속되는 시야각 제어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 제어 영역과 공통의 상기 공통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 전압에 따라 상하방위 또는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는 시야각 제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영역에 형성되는 화소전극 및 상기 시야각 제어 영역에 형성되는 시야각 제어 전극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및 보호막을 사이에 두고 투명전극에 의한 2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어 영역은 상기 공통라인을 통해 블랭킹 기간에 제어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어 영역에 대향하는 기판상에 칼라 필터에 의한 착색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경사 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된 표시 제어 영역에 투명한 화소전극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 공통 라인, 데이터 패드를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게이트 전극상에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 3 공정과,
    패시베이션층을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한 후에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화소전극과 접속되는 부하 용량을 형성함과 함께 상하방위 혹은 좌우방위로 액정분자가 기울어지도록 배향 제어되고 상기 표시 제어 영역과 공통의 상기 공통라인을 통해 제어전압이 인가되는 시야각 제어 영역에 투명한 시야각 제어 전극을 형성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60084583A 2005-12-28 2006-09-04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ctive KR101308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9217A JP5518278B2 (ja) 2005-12-28 2005-12-28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5-00379217 200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042A KR20070070042A (ko) 2007-07-03
KR101308438B1 true KR101308438B1 (ko) 2013-09-16

Family

ID=3830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583A Active KR101308438B1 (ko) 2005-12-28 2006-09-04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800728B2 (ko)
JP (1) JP5518278B2 (ko)
KR (1) KR101308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4120B2 (ja) * 2005-12-28 2012-10-10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
US7667809B2 (en) 2005-12-28 2010-02-23 Lg. Display Co., Ltd. FF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00085513A1 (en) * 2006-11-20 2010-04-08 Dai Chiba Viewing angle contro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698988B2 (en) * 2007-01-09 2014-04-15 Japan Display West Inc.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viewing angle control pixels
KR100836495B1 (ko) * 2007-04-18 2008-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385629B (zh) * 2007-10-12 2013-02-11 Chimei Innolux Corp 液晶顯示裝置的驅動方法
EP2759873B1 (en) 2013-01-28 2019-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50113388A (ko) * 2014-03-28 2015-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116639B (zh) * 2018-09-27 2021-07-20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543A (ko) * 1999-03-17 2000-10-16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시야각 조절 방법
US20050140897A1 (en) 2003-12-29 2005-06-30 Woo-Hyun Kim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ulti-domai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89A (ja) * 1995-06-19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KR100379287B1 (ko) * 1999-06-25 2003-04-10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멀티 도메인 액정 표시장치
KR100381868B1 (ko) * 2000-11-29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하는 기판
KR100628263B1 (ko) * 2002-08-21 2006-09-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KR100546258B1 (ko) * 2003-05-15 2006-01-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수평 전계 인가형 액정 표시 패널
JP3999206B2 (ja) * 2004-02-05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視野角制御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TWI281587B (en) * 2004-03-31 2007-05-21 Au Optronics Corp Wide-viewing angle liquid crystal display
JP4831729B2 (ja) * 2005-08-05 2011-12-07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視野角可変液晶表示装置、方法及び端末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543A (ko) * 1999-03-17 2000-10-16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시야각 조절 방법
US20050140897A1 (en) 2003-12-29 2005-06-30 Woo-Hyun Kim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ulti-doma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18278B2 (ja) 2014-06-11
JP2007178861A (ja) 2007-07-12
US20070153200A1 (en) 2007-07-05
US7760312B2 (en) 2010-07-20
US7800728B2 (en) 2010-09-21
KR20070070042A (ko) 2007-07-03
US20070165168A1 (en)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43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4177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54586B1 (ko) 액정표시장치
US783483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electable between wide view angle display and narrow view angle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KR101255308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17687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144298B2 (en) FF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viewing angle control region and display control reg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51743B1 (ko) 시야각 조절이 가능한 패턴된 수직배향 액정표시장치
KR10125458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06034A (ko) 프린즈필드스위칭 액정표시소자의 시야각 조절 방법
KR10127468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0728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67729A (ko) 시야각 조절이 가능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KR10128721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11474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9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