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872B1 - 액정 필름 - Google Patents
액정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3872B1 KR101293872B1 KR1020120085810A KR20120085810A KR101293872B1 KR 101293872 B1 KR101293872 B1 KR 101293872B1 KR 1020120085810 A KR1020120085810 A KR 1020120085810A KR 20120085810 A KR20120085810 A KR 20120085810A KR 101293872 B1 KR101293872 B1 KR 101293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layer
- crystal layer
- region
- cl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a change of the texture state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8—Dopants or charge transfer agents
- C09K19/586—Optically active dopants; chiral dopa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기재층 또는 액정층의 x축, y축 및 z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CLC의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CLC 영역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CLC의 배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는, 예시적인 반사형 편광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8은, 예시적인 LC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의 필름의 투과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층(B) | 액정층(C) | 액정층(D) | 액정층(E) | |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A) | 55 | 45 | 40 | 10 |
단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B) | 45 | 55 | 60 | 90 |
굴절률 차이 | 0.125 | 0.125 | 0.125 | 0.125 |
두께(㎛) | 1 | 1 | 1 | 1 |
굴절률의 차이: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과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의 차이 함량 단위: 중량부 |
|
제1액정층 내구성 |
위상차 변화율(100 시간 방치 후)(제1액정층) | ||
초기 위상차 | 내열 조건 방치 후 위상차 | 위상차 변화율 | ||
실시예1 | ○ | 125.4 | 119.7 | 4.5 |
실시예2 | ○ | 120.7 | 114.1 | 5.5 |
비교예1 | × | 77.2 | 69.4 | 10.1 |
비교예2 | × | - | - | - |
비교예3 | × | - | - | - |
-: 제 1 액정층이 미배향 상태가 되어 위상차 측정 불가능 위상차 단위: nm |
102: 제 1 액정층
101, 200: 기재층
4, 103: 제 2 액정층
n: CLC 도파기
P: 피치
X: 나선축
41, 42: 제 2 액정층의 표면
431, 432, 433: CLC 영역
HA: CLC 영역의 나선축
31: 제 2 액정층의 두께 방향
32: 제 2 액정층의 두께 방향과 수직한 방향
6, 703: 반사형 편광판
601: 선편광자
7, 8: LCD
701, 801: 편광판
702: 액정 패널
704: 광원
Claims (18)
-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제 1 액정층; 및 기재층의 다른 면에 형성되어 있고,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서로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콜레스테릭 배향된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가지는 액정 필름:
[일반식 1]
X < 8%
상기 일반식 1에서 X는 상기 제 1 액정층의 초기 위상차 수치 대비 상기 제 1 액정층을 80℃에서 1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위상차 수치의 변화량의 백분율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광학적 등방성 또는 이방성 기재층인 액정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굴절률이 1.6 이하인 액정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면상 위상차가 10 nm 이하인 액정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은 젖음각이 0도 내지 50도인 액정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액정층은, 면 내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과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의 차이가 0.05 내지 0.2이며, 두께가 0.5 ㎛ 내지 2.0 ㎛인 액정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액정층은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단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필름.
-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액정층은, 단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0 중량부를 초과하고, 10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액정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배향된 액정 영역은,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400 nm 내지 500 nm인 제 1 영역,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500 nm 내지 600 nm인 제 2 영역 및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600 내지 700 nm인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 필름.
- 기재층의 일면에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단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액정층을 형성하고, 다른 면에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400 nm 내지 500 nm인 제 1 영역,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500 nm 내지 600 nm인 제 2 영역 및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600 nm 내지 700 nm인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키랄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의 도포층에 40℃ 내지 80℃에서 자외선 A 영역의 자외선을 10 mJ/cm2 내지 500 mJ/cm2로 조사하고, 다시 자외선 A 내지 C 영역의 자외선을 1 J/cm2 내지 10 J/cm2로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의 도포층이 형성되는 기재층의 면은 젖음각이 0도 내지 50도인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제 1 액정층; 상기 제 1 액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선편광자 및 상기 기재층의 다른 면에 형성되어 있고,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서로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콜레스테릭 배향된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가지는 반사형 편광판:
[일반식 1]
X < 8%
상기 일반식 1에서 X는 상기 제 1 액정층의 초기 위상차 수치 대비 상기 제 1 액정층을 80℃에서 1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위상차 수치의 변화량의 백분율이다. -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액정층의 광축과 선편광자의 광 흡수축은 40도 내지 50도 또는 130도 내지 140도를 이루는 반사형 편광판.
- 제 1 항의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 13 항의 반사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을 추가로 포함하고, 반사형 편광판 또는 액정 필름이 상기 액정 패널과 광원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반사형 편광판 또는 액정 필름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제 1 액정층에 비하여 광원이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8992 | 2011-08-09 | ||
KR20110078992 | 2011-08-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8594A KR20130018594A (ko) | 2013-02-25 |
KR101293872B1 true KR101293872B1 (ko) | 2013-08-07 |
Family
ID=4789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5810A Active KR101293872B1 (ko) | 2011-08-09 | 2012-08-06 | 액정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38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2787B1 (ko) * | 2013-06-19 | 2016-06-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 필름 |
KR101918280B1 (ko) * | 2014-02-07 | 2018-11-13 |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
KR101966818B1 (ko) * | 2015-09-10 | 2019-04-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11169417B2 (en) * | 2016-08-31 | 2021-11-09 | Lg Chem,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of multi-layer liquid crystal film |
KR102126051B1 (ko) * | 2017-10-23 | 2020-06-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
KR102788599B1 (ko) * | 2019-11-04 | 2025-03-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변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WO2021157694A1 (ja) * | 2020-02-06 | 2021-08-12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液晶フィル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864B1 (ko) * | 2006-11-02 | 2007-12-28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콜레스테릭 액정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필름과 근적외선 차단 필터, 및 상기 근적외선 차단 필름또는 필터를 구비하는 표시소자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810A patent/KR1012938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864B1 (ko) * | 2006-11-02 | 2007-12-28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콜레스테릭 액정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필름과 근적외선 차단 필터, 및 상기 근적외선 차단 필름또는 필터를 구비하는 표시소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8594A (ko) | 2013-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8612B1 (ko) | 액정 필름 | |
JP6379443B2 (ja) | 光学フィルム、光学積層体、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 |
KR101293872B1 (ko) | 액정 필름 | |
TWI486637B (zh) | 液晶透鏡 | |
KR20120120082A (ko) | 액정 조성물 | |
KR20130017074A (ko) | 광학 필름 | |
KR101554061B1 (ko) | 액정 조성물 | |
JP3985997B2 (ja) | 光学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光学フィルム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 |
KR101698226B1 (ko) | 광학 필름 | |
KR101693080B1 (ko) | 광학 필름 | |
KR20150038834A (ko) | 광학 필름 | |
KR20150038836A (ko) | 광학 필름 | |
KR101966818B1 (ko) |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CN110678807B (zh) | 液晶显示装置及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 |
KR101717419B1 (ko) | 광학 필름 | |
KR101959489B1 (ko) | 광학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9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