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3639B1 -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 - Google Patents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639B1
KR101283639B1 KR1020100090936A KR20100090936A KR101283639B1 KR 101283639 B1 KR101283639 B1 KR 101283639B1 KR 1020100090936 A KR1020100090936 A KR 1020100090936A KR 20100090936 A KR20100090936 A KR 20100090936A KR 101283639 B1 KR101283639 B1 KR 10128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ocket
pin
protrusion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927A (ko
Inventor
전진국
박성규
이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to KR102010009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6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6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제1접속부 및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모듈접촉부와 돌출부를 갖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핀이 설치된 소켓; 및
상기 소켓위에서 하향 결합되며, 결합과정에서 상기 소켓의 제2접속부의 돌출부를 수용하면서 접촉을 통해 상기 돌출부를 벌려주는 경사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상부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소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MODULR SOCKET CAPABLE OF PROTECTING MODULE AND SOCKET PIN}
본 발명은 모듈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의 핀과 모듈이 접촉과정에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모듈의 로딩시에 사전에 핀을 벌려주고, 모듈의 로딩완료 후에 핀을 접촉시킴으로써 소켓의 핀과 모듈 양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신규한 모듈소켓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소켓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회로기판에 전기적인 접속을 시키는 카드 형태의 회로기판, 예를 들어, 메모리카드, 비디오카드, 통신모듈과 같은 것을 말하며, 이들은 통칭하여 하나의 모듈로서 불려진다. 모듈소켓은 이와 같은 모듈을 마더보드와 같은 회로기판에 전기적 접속을 시키기 위해 탑재하는 장치로서, 회로기판의 버스구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소켓내에 모듈의 접속단자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특정한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일반적인 모듈소켓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모듈소켓(1)은 하단에 기판과 접촉을 이루는 기판접촉부(2b)와 상단에 모듈접촉부(2a)를 갖는 핀(2)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기판접촉부(2b)는 회로기판과 주로 솔더에 의해 접착된 상태이고, 모듈접촉부(2a)는 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모듈단자(3)를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기존의 모듈소켓 구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을 소켓에 탈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모듈단자(3)가 핀의 상부를 강제로 밀어 삽입되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핀의 상단부위와 모듈단자가 상호 접촉하는 부위에서 불량이 자주 발생되어지며, 이의 수리를 위해서는 기판접촉부(2b)의 솔더 부위를 제거하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비용이나 시간적인 면에서 매우 불리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착된 핀과 이와 결합되는 모듈과의 사이에 잦은 접촉에 의해 불량이 많이 발생하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의 핀과 모듈이 접촉과정에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모듈의 로딩시에 사전에 핀을 벌려주고, 모듈의 로딩완료 후에 핀을 접촉시킴으로써 소켓의 핀과 모듈 양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모듈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회로기판에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제1접속부 및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모듈접촉부와 돌출부를 갖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핀이 설치된 소켓; 및
상기 소켓위에서 하향 결합되며, 결합과정에서 상기 소켓의 제2접속부의 돌출부를 수용하면서 접촉을 통해 상기 돌출부를 벌려주는 경사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상부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핀의 양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좌우 한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소켓.
(3)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상기 모듈접촉부로부터 외측으로 분지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소켓.
종래 소켓에 부착된 핀과 이와 결합되는 모듈과의 사이에 잦은 접촉에 의해 불량이 많이 발생하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의 핀과 모듈이 접촉과정에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모듈의 로딩시에 사전에 핀을 벌려주고, 모듈의 로딩완료 후에 핀을 접촉시킴으로써 소켓의 핀과 모듈 양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일반적인 모듈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 모듈소켓과 모듈단자의 결합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소켓과 모듈단자의 결합과정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제1접속부 및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모듈접촉부와 돌출부를 갖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핀이 설치된 소켓; 및 상기 소켓위에서 하향 결합되며, 결합과정에서 상기 소켓의 제2접속부의 돌출부를 수용하면서 접촉을 통해 상기 돌출부를 벌려주는 경사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상부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모듈소켓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소켓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소켓은 수용홈(11)을 갖는 커버부재(10), 소켓(20), 하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제1접속부(21a)와 모듈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부(21b)를 갖는 핀(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의 모듈소켓은 상기 핀(21)이 부착된 소켓(20)의 상부에서 하향결합되어지는 커버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20)에 부착된 핀(21)의 말단은 제1접속부(21a)가 구비되어 하부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상단은 제2접속부(21b)가 구비되어 모듈에 구비된 모듈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핀(21)의 제2접속부(21b)는 모듈단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모듈접촉부(b1)와 돌출부(b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b2)는 모듈접촉부(b1)로부터 외측으로 분지된 형상으로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0)의 하단에는 상기 핀의 돌출부(b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1)은 그 내부에 핀의 돌출부(b2)와 접촉하여 커버부재(10)가 하향이동시 미끄러지면서 모듈접촉부(b1)를 벌려주는 경사면(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 2b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그 결합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모듈과 모듈단자의 결합과정의 설명도로서, 상기 도 2b에 의하면, 먼저 커버부재(10)는 초기 상태에 소켓의 상부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핀의 제2접속부(21b)를 이루는 돌출부(b2)는 커버부재의 수용홈(11)내에 형성된 경사면(11a)과 접촉되기 이전 상태이므로 핀(21)은 벌려지지 않은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A).
다음으로, 커버가 소켓을 향하여 하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수납홈(11)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11a)이 핀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b2)를 위에서부터 가압하면서 내려오므로 핀의 모듈접촉부(b1)는 외측으로 벌려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의 모듈소켓은 핀의 양측에 한쌍의 돌출부(b2)를 설치하고, 상기 각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쌍의 수용부(11)가 커버부재(10)의 대응하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버부재(10)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핀의 돌출부(b2)가 열리면서 동시에 모듈접촉부(b1)는 양방향으로 외측으로 벌려질 수 있다(B).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켓(20)에 탑재하고자 하는 모듈의 단자(30)를 핀의 제2접속부(21b)를 향하여 삽입하게 되면, 핀과의 어떠한 접촉도 없이 자유롭게 상기 모듈단자(30)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C).
모듈단자(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커부부재(10)를 원위치시키고, 이 과정에 의해 커버부재의 수납홈(10) 내에 형성된 경사면(11a)이 돌출부(b2)를 더 이상 가압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핀의 모듈접촉부(b1)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모듈단자(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지게 된다(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모듈소켓은 소켓에 부착된 핀(21)과 이와 결합되는 모듈단자(30)가 그 접촉과정에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모듈의 로딩시에 사전에 핀을 벌려주고, 모듈의 로딩완료 후에 핀을 접촉시킴으로써 소켓의 핀과 모듈 양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커버부재
11: 수용홈
11a: 경사면
20: 소켓
22: 핀
22a: 돌출부
22b: 모듈접촉부
30: 모듈단자

Claims (3)

  1. 회로기판에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제1접속부 및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모듈접촉부와 돌출부를 갖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핀이 설치된 소켓; 및
    상기 소켓위에서 하향 결합되며, 결합과정에서 상기 소켓의 제2접속부의 돌출부를 수용하면서 접촉을 통해 상기 돌출부를 벌려주는 경사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상부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핀의 양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좌우 한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소켓.
  3.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상기 모듈접촉부로부터 외측으로 분지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소켓.
KR1020100090936A 2010-09-16 2010-09-16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 Active KR10128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936A KR101283639B1 (ko) 2010-09-16 2010-09-16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936A KR101283639B1 (ko) 2010-09-16 2010-09-16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27A KR20120056927A (ko) 2012-06-05
KR101283639B1 true KR101283639B1 (ko) 2013-07-08

Family

ID=4660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936A Active KR101283639B1 (ko) 2010-09-16 2010-09-16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16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포콘스 큐브형 소켓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013A (ko) * 1998-10-16 2000-06-26 루이스 에이. 헥트 평면 회로용 에지 커넥터
US20060009063A1 (en) 2004-07-08 2006-01-12 Fujitsu Limited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abra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013A (ko) * 1998-10-16 2000-06-26 루이스 에이. 헥트 평면 회로용 에지 커넥터
US20060009063A1 (en) 2004-07-08 2006-01-12 Fujitsu Limited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abra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16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포콘스 큐브형 소켓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27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264B1 (ko) 모듈용 커넥터
CN201117941Y (zh) 电连接器
CN103166019A (zh) 电连接器组件
KR20170073797A (ko) 테스트 소켓 및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방법
JP2015002174A (ja) カードソケットのための接触端子
CN102064404A (zh) 电连接器组件
US8727798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normal force in electrical connector
TWM568523U (zh) 夾持裝置及其組件
KR101283639B1 (ko) 모듈과 소켓핀의 보호가 가능한 모듈소켓
CN104600489B (zh) Lga 插座装置、集成电路芯片组装件及相应方法
KR101605807B1 (ko) 지아이에프 커넥터
KR101337219B1 (ko) 커넥터
KR101557150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
CN201266770Y (zh) 电连接器
CN201708423U (zh) 电连接器
CN202585893U (zh) 电连接器
KR20090128173A (ko) 압입 지그
CN208385662U (zh) 插头和连接器
CN2852433Y (zh) 板对板连接器改良结构
CN205194880U (zh) 具分岔式焊接脚的信号连接器
KR101513280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 점핑장치
CN103855506A (zh) 电连接器及其组装方法
KR200460900Y1 (ko) 카메라모듈 체결 소켓
JP2006331773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1104363B1 (ko) 모듈접촉부의 착탈이 가능한 모듈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531

Appeal identifier: 2012101006392

Request date: 2012070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6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0702

Decision date: 20130531

Appeal identifier: 2012101006392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3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