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21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7219B1 KR101337219B1 KR1020120103762A KR20120103762A KR101337219B1 KR 101337219 B1 KR101337219 B1 KR 101337219B1 KR 1020120103762 A KR1020120103762 A KR 1020120103762A KR 20120103762 A KR20120103762 A KR 20120103762A KR 101337219 B1 KR101337219 B1 KR 1013372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ffc
- terminal
- housing
-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측면 체결홈을 가진 FFC의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촉단자와, 상기 FFC의 측면 체결홈에 끼워져 FF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와 록킹단자를 수용하며 상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록킹단자는 록킹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록킹부는 상방으로부터 FFC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될 때 FFC에 의해 탄성변형된 후 측면 체결홈과 결합되며, FFC를 발거시킬 경우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측면 체결홈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고정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도록 하우징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록킹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접촉단자는 접촉부와 납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하우징 개구부 내부에 위치하며 삽입된 FFC의 단자부와 탄성 접촉을 이루며,
납땜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기 위해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측면 체결홈을 가진 FFC의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촉단자와, 상기 FFC의 측면 체결홈에 끼워져 FF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와 록킹단자를 수용하며 상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록킹단자는 록킹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록킹부는 상방으로부터 FFC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될 때 FFC에 의해 탄성변형된 후 측면 체결홈과 결합되며, FFC를 발거시킬 경우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측면 체결홈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록킹부의 선단은 별도의 가압도구 없이 수작업에 의해 상기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개구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하우징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며;
상기 록킹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접촉단자는 접촉부와 납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하우징 개구부 내부에 위치하며 삽입된 FFC의 단자부와 탄성 접촉을 이루며,
납땜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기 위해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자배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자와 FFC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FFC를 발거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
도 7,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1은 도 9,10 실시예의 록킹단자와 연결부를 도시한 도.
100 : 커넥터 110 : 가압부재 112 : 록킹부 113 : 접촉부
120: 하우징 125 : 흡착부 150 : 접촉단자 151 : 접촉지지암
153: 통공 154 : 홈부
200 : 록킹단자 210 :록킹부 220 : 록킹지지부
230 : 고정부 250 :연결부
500 : 가압도구
Claims (8)
- 측면 체결홈을 가진 FFC의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촉단자와, 상기 FFC의 측면 체결홈에 끼워져 FF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와 록킹단자를 수용하며 상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록킹단자는 록킹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록킹부는 상방으로부터 FFC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될 때 FFC에 의해 탄성변형된 후 측면 체결홈과 결합되며, FFC를 발거시킬 경우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측면 체결홈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고정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도록 하우징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록킹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접촉단자는 접촉부와 납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하우징 개구부 내부에 위치하며 삽입된 FFC의 단자부와 탄성 접촉을 이루며,
납땜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기 위해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상기 록킹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을 구비하여, 측면 체결홈과 록킹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도구가 상기 통공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측면 체결홈을 가진 FFC의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촉단자와, 상기 FFC의 측면 체결홈에 끼워져 FF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와 록킹단자를 수용하며 상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록킹단자는 록킹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록킹부는 상방으로부터 FFC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될 때 FFC에 의해 탄성변형된 후 측면 체결홈과 결합되며, FFC를 발거시킬 경우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측면 체결홈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록킹부의 선단은 별도의 가압도구 없이 수작업에 의해 상기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개구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하우징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며;
상기 록킹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접촉단자는 접촉부와 납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하우징 개구부 내부에 위치하며 삽입된 FFC의 단자부와 탄성 접촉을 이루며,
납땜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기 위해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개구부 상방으로 돌출된 양측 록킹부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록킹단자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단자의 록킹부와 상기 접촉단자의 접촉부는 FFC삽입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단자의 록킹부와 상기 접촉단자의 접촉부는 FFC삽입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단자의 고정부는 각 록킹단자당 2개소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단자의 고정부는 각 록킹단자당 2개소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762A KR101337219B1 (ko) | 2012-09-19 | 2012-09-19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762A KR101337219B1 (ko) | 2012-09-19 | 2012-09-19 |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7219B1 true KR101337219B1 (ko) | 2013-12-05 |
Family
ID=4998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762A Active KR101337219B1 (ko) | 2012-09-19 | 2012-09-19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721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4714A (ko) * | 2017-08-30 | 2019-03-08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KR20210000690U (ko) * | 2019-09-16 | 2021-03-25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원터치 가압 장치 및 그 커넥터 |
CN114883829A (zh) * | 2022-06-06 | 2022-08-09 |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连接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7429A (ko) * | 2006-04-14 | 2009-01-16 |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 회전 랫치를 가진 fpc 커넥터 |
KR20120088935A (ko) * | 2011-02-01 | 2012-08-09 |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 커넥터 |
-
2012
- 2012-09-19 KR KR1020120103762A patent/KR1013372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7429A (ko) * | 2006-04-14 | 2009-01-16 |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 회전 랫치를 가진 fpc 커넥터 |
KR20120088935A (ko) * | 2011-02-01 | 2012-08-09 |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 커넥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4714A (ko) * | 2017-08-30 | 2019-03-08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KR102084594B1 (ko) * | 2017-08-30 | 2020-03-04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KR20210000690U (ko) * | 2019-09-16 | 2021-03-25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원터치 가압 장치 및 그 커넥터 |
KR200494234Y1 (ko) * | 2019-09-16 | 2021-09-01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원터치 가압 장치 및 그 커넥터 |
CN114883829A (zh) * | 2022-06-06 | 2022-08-09 |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连接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0654B2 (en) |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 |
US9620874B2 (en) |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and releasing tool | |
JP4522144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5729553B2 (ja) | コネクタ装置 | |
JP2014524132A (ja) | ポークイン型電線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 |
TWI530027B (zh) | Slide connector | |
TW200843215A (en) |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 |
KR20130066508A (ko) | 커넥터 | |
KR101337219B1 (ko) | 커넥터 | |
JP4735285B2 (ja) | コネクタ | |
JP2008041338A (ja) | コネクタ | |
US7402055B2 (en) | Circuit board type connector | |
JP2015222638A (ja) | コネクタ装置 | |
JP4859030B2 (ja) |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抜取り方法 | |
JP4521351B2 (ja) | 基板用コネクタ | |
JP6044779B2 (ja) | コネクタ装置 | |
JP2007234533A (ja)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 |
KR100664236B1 (ko) | 지프 콘넥터의 에프피시비 이탈 방지장치 | |
JP2011060544A (ja) | 実装基板と電子部品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装置 | |
KR20110014270A (ko) | 편평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 |
JP5839197B2 (ja) | 配線基板連結装置 | |
JP2014053258A (ja)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 |
KR20100124065A (ko) | 편평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편평케이블 | |
KR20090128173A (ko) | 압입 지그 | |
WO2018221094A1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