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9439B1 -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보강용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보강용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439B1
KR101269439B1 KR1020077028950A KR20077028950A KR101269439B1 KR 101269439 B1 KR101269439 B1 KR 101269439B1 KR 1020077028950 A KR1020077028950 A KR 1020077028950A KR 20077028950 A KR20077028950 A KR 20077028950A KR 101269439 B1 KR101269439 B1 KR 10126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generated
component
vehicle body
hollow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862A (ko
Inventor
크리스티앙 페로토
니콜라스 뒤비오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080031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2019/007Mean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crash absorption capacity of the vehicle, e.g. when detecting an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강화용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부품(1)이 충돌을 탐지하는 경우 상기 부품(1)은 상기 부품의 내부 공간(E)에 폭굉(detonation) 또는 폭연(deflagration)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 또는 압력파를 가하는 수단(2, 5)을 가지며, 상기 파동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는 상기 부품의 닫혀진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부품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보강용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방법{A device for reinforcing a hollow motor vehicle bodywork element, and a corresponding method}
본 발명은 충돌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중공을 갖는 차량 중공 부품 보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제조업자에 의해 표현되는 주된 관심사는 수용능력(capacity)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캐빈(cabin) 내부에서, 제조업자들은 인체적이고 스타일과 관련한 이유로 두 개의 마주보는 도어(door)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려 한다.
자연스럽게 수용능력을 증가시키는 한 방법은 상기 도어 캡핑(capping)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안전에 관한 성능을 감소시키지 않고 이루어져야 한다.
"도어 캡핑"이라는 용어는 상기 차량의 세로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도어의 두께에 일체화된 세로로 연장된 부재들(extending members)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것들은 중공 부품들(hollow elements)이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부분이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그들은 부딪침(collision)에서 오는 충 돌(impact) 동안에 상기 도어로 받게 되는 에너지 일부를 흡수하는 데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기여한다.
상기 측면 충돌에서, 에너지를 흡수할 때 상기 도어 캡핑의 관여는 다양하다.
주어진 다양한 충돌에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그것의 수용능력을 최적하기 위해 단단한 구조로 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약한(gentle) 측면 충돌의 경우에는, 상기 캡핑이 그것의 최초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유용하며, 반면에 보다 강한 충돌의 경우에는, 상기 캡핑의 에너지 수용능력이 증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미국 특허 제5382051호(US-A-5 382 051), 독일 특허 제10022094호(DE-A-10 022 094), 영국 특허 제2362138호(GB-A-2 362 138), 미국 특허 제5845937호(US-A-5 845 937), 및 미국 특허 제5615914호(US-A-5 615 914)는 차량에 일체화되거나 장착된 부품들을 충돌시 탐지되는 흡수 에너지에 대한 그것들의 수용능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것을 하기 위해, 상기 부품들은 그것들의 구역(section)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 관성 모멘트를 갖는다. 적용되는 시스템들은 상기 부품 내부에서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구역을 증가시킨다. 압력의 증가는 파이로테크닉 물질(pyrotechnic material)의 연소 결과로서 가스(gas)를 생산함으로 해서 얻어진다.
실제로, 적용되는 이러한 기술은 에어백(airbag)이 팽창할 때 일어나는 것과 유사하다.
상기 실행에서 오는 첫 번째 결점은 상기 부품의 내부 압력이 충분히 증가하여야 상기 구조를 변형시킨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많은 양의 기체가 만들어져야하며, 이것은 또한 많은 양의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요구한다.
또한, 상기 부품의 벽들이 압력의 증가로 변형될 때, 부피의 증가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기체를 계속해서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조건에서, 충돌을 탐지하고 상기 본체 부품(bodywork element)이 효과적으로 변형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십 내지 수십 밀리 초(milliseconds)이다.
유감스럽게도, 상기 시간은 너무 길어서 상기 변형이 충분한 효과를 가질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완화시키면서, 반면에 간단하면서도 지금까지 사용된 수단들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은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닫혀진 구역(closed right section)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강화용 장치와 관계가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부품이 충돌을 탐지하는 경우 그것의 내부 공간에 충격파(shock wave) 또는 압력파(pressure wave)를 가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파동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는 그것의 닫혀진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부품을 충분히 변형시킨다.
제한되지 않으나 유익한 상기 장치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단은 파이로테크닉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폭굉(detonating) 또는 폭연(deflagrating) 코드(cord)이며;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은 그것의 내부 표면에 적용되는 폭약 코팅부(explosive coating)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와 연결되며, 상기 소재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가스는 상기 부품으로 방출되며, 상기 부품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파는 그것의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그것 자체로 상기 부품을 변형시키는데 충분하며;
그것이 변형된 후 그것은 상기 중공 부품을 경화시키기(stiffening)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변형 방법과 관련이 있으며, 상기 부품은 폐쇄되어 세워진 구역이며, 상기 방법으로 충돌이 있는 동안에 에너지를 흡수하는 그것의 수용능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충돌을 탐지하는 경우, 상기 부품의 내부 공간으로 충격파 또는 압력파를 받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파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에너지는 그것의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부품을 충분히 변형시킬 수 있다.
압력 차이를 명확히 하는 상기 파동은 1 내지 수 밀리 초, 전형적으로는 5 밀리 초의 매우 짧은 시간에 전파된다.
상기 지속 시간(duration) 동안에 상기 부품의 변형은 충돌로부터 온 많은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그것의 수용능력에 있어서 충분히 효과적이게 된다.
제한되지 않으나 유익한 상기 방법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동은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며;
상기 파동은 상기 부품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폭굉 또는 폭연 코드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코드가 배치된 솔리드(solid) 패딩(padding) 소재와 구획되며(lined with);
상기 패딩 소재는 폴리머(polymer), 과립 매질(granular medium), 또는 발포체(foam)이며,
상기 파동은 상기 부품의 상기 내부 표면에 적용되는 폭약 코팅부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며,
상기 코팅부는 변형되는 상기 부품의 내부 표면의 각각의 구역에만 적용되며,
가스 발생기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소재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가스는 상기 부품으로 방출되며, 상기 점화용 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상기 압력파는 그것의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그것 자체로 상기 부품을 변형시키는데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유익한 점들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다. 제한이 없는 실시예에 의해 주어진 상기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1은 폭굉 코드가 일체화된, 차량 도어 캡핑의 실시예가 변형되기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 및 3 각각은 내부 표면이 폭약 코팅부로 덮힌, 변형 전후의 캡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 및 5는 상기 캡핑의 내부 표면의 일부에만 상기 폭약 코팅부가 적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두 도면과 유사하며; 마지막으로
도 6 및 7 각각은 압력파 발화 가스 발생기와 연결되는, 변형 전후의 캡핑을 나타내는 단면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차량 도어 캡핑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량 본체 부품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부품은 폐쇄되어 세워진 구역을 갖는다.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부품"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는데, 상기 부품은 한 개 또는 함께 조립되는 즉, 용접되는 복수 개의 분리된 부분들(parts)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것은 그 경계(perimeter)가 닫혀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면 그것은, 그 구역에서 대향하는 단부들(opposite ends)이 서로 이격된 일반적인 C-형성으로 된 개방된 부분들을 제외한다. 그러나, 상기 부품은 개방된 세로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중공 부품"은 일단 그것이 제조되면, 속이 빈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지만, 내부 공간이 다른 소재로 충분히 채워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파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는 그 구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부품을 변형시키기에 충분하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충돌이 탐지되자마자 상기 부품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충격파 또는 압력파를 받는 단계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파이로테크닉 물질은 상기 파동을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부품의 내부 공간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에, 상기 부품의 구조는 소정의 파이로테크닉 물질의 폭연(deflagration) 또는 폭발(explosion)을 이용함으로써 변형된다.
대기(ambient air)에서 소리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그것이 전파될 때 연소(combusion)는 "폭연(deflagrating)"이라고 한다. 폭약 소재에서 소리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전파될 때 그것은 "폭굉(detonating)"이라고 한다.
폭연(detonation)은 화학적 유형의 폭발(explosion)이며, 반응 영역은 열 전도도에 따라 전파된다.
실행되는 상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불타는 물질의 입자들은 인접한 입자들을 가열시켜서 그것들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입자들은 차례로 점화되고 불타며, 이것에 의해 인접한 입자들을 가열시킨다. 주어진 구성물(composition)에서, 폭연의 전파 속도는 개시 모드(mode of initiation), 제한(confinement), 대기 조건 등과 같은 수많은 요인에 의존한다.
폭굉은 화학적 유형의 폭발이며 상기 폭발에서 반응 영역은 충격파(shock wave)(또는 폭굉 파동)에 의해 전파된다.
입자가 도달함과 동시에, 상기 충격파는 강한 압축과 그 결과로서 그것의 소재에 갑작스런 열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상기 입자를 점화시키며 상기 연소는 상기 충격파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상기 과정은 상기 인접한 입자들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재현된다. 상기 전파 속도는 사용되는 폭약의 특성에 따른다.
상기 물질은 기폭제(priming)(폭굉 충격+열적 점화), 충돌(예를 들면, 사고에 의한 충돌), 또는 마찰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벨로우(bellow) 형태에서 원형의 세워진 구역의 캡핑(1) 금속 부품 또는 일부분을 볼 수 있다.
그것의 벽은 참조번호 10이며, 그것의 내부 표면은 참조번호 11이다.
그것은 두 개의 평행한 면(12, 13) 및 서로를 향하여 연장된 두 개의 지그재그 모양의 면(14, 15)을 나타낸다.
상기 면들(12, 13)은 차량의 세로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면(12)은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품의 내부 공간(E)에서, 정확하게는 그것의 세로 중앙 축(longitudinal middle axis)에서, 상기 부품(1)과 길이에 있어서 동일한 폭굉 코드(2)가 연장된다. 변형예(미도시)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폭굉 코드 대신에, 폭연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압력파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에 압력을 가하는데 적당한 가스를 발생시킨다.
상기 공간(E)은 폴리머, 과립형 매질, 또는 발포체과 같은 솔리드 필러 소 재(solid filler material)로 채워진다.
상기 물질들의 실시예들은 각각 고무 매트릭스(a matrix of rubber), 모래 또는 실리카 비드(silica bead), 및 폴리우레탄 발포체(polyurethane foam)이다.
상기 코드가 폭굉할 때, 상기 코드가 중심에 위치한 상기 벽은 완벽하고 규칙적으로, 즉 모든 방향으로 변형된다.
솔리드 필러 소재의 존재는 변형되는 상기 벽에 폭굉 파동(detonation wave)를 용이하게 전송한다.
실시예에 의해, 상기 코드를 이루는 점화 소재의 무게는 대략 1.5그램(g)이며 상기 변형은 5밀리 초(milliseconds)(ms)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품은 도 1에 관하여 설명된 형태와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표면(11)은 폭약 소재 및 바인더(binder)의 혼합물로 만들어지는 코팅부(4)로 덮여진다. 물론, 증착된 코팅부의 두께는 변형되는 상기 벽(10)의 두께에 적합하여야 한다. 너무 큰 두께 비율은 상기 벽에 구멍을 낼 수 있다.
도 3은 상기 코팅부가 폭발하고 난 후 상기 부품(1)을 나타낸다.
그것의 구역이 상당히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물론, 상기 부품의 최초 "벨로우" 형상으로 주어진 경우, 상기 변형은 그것의 두께 방향, 즉 상기 면들(12, 13)에 대해 가로로 발생한다.
물론, 폭연 또는 폭굉 물질로 얻어지는 상기 부품의 급격한 변형은 가스 발생과 관련이 있으므로 상기 내부 공간(E)은 압력을 받으며, 그것에 의해 충격 에너 지를 흡수하는 상기 부품의 수용능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그것 자신의 가스는 상기 벽(10)이 매우 짧은 시간, 즉 대략 몇 밀리 초 이내에 변형되는 데는 충분하지 않다.
변형 후 상기 구조를 "경화시키기(stiffen)" 위해, 변형 전에 상기 도어 캡핑과 평행하게 놓여있고(특히, 상기 면들(12, 13)에 평행하고) 배치시 90°로 회전하는 블레이드(blade)와 일체화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충돌 동안에, 상기 블레이드는 평평한 캡핑에 대향하게 된다.
상기 폭연 또는 폭굉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는 상기 금속 구조를 가소성으로(plastically) 변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그것의 최초 형태로 자연스럽게 복원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팅부(4)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부는, 자동차 캐빈(cabin)의 내부를 향하는 면(13)을 제외하고, 상기 부품(1)의 모든 면을 덮는다.
결과적으로, 도 5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얻어지는 상기 변형은 비대칭이다. 상기 부품에 의해 상기 캐빈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려고 할 때, 특히 무엇보다도, 충격시에, 이것은 특히 적합하다.
상기 비대칭 변형은 또한 변형되지 않는 상기 측면을 강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환경하에서, 상기 부품의 전체 무게는 증가되며, 이것은 더 가벼운 차량을 만들려는 현재의 추세에 어긋난다.
마지막으로, 도 6 및 7의 실시예에서, 사용(use)은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유형의 가스 발생기(5)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시스템에서, 가스 발생기는 패브릭(fabric) 또는 다른 봉지 소재의 백(bag)을 팽창시키고 압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가스는 장약(propellant)의 연소에 의해 얻어지거나 가스는 압력이 가해진 용기로부터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가스의 축적은 너무 천천히 일어나므로 측면 충돌에 적합한 시간 동안에 상기 금속 구조를 변형시킬 수 없다.
상기 발명은 다른 물리적 현상, 즉 충분히 짧은 시간 간격에서 상기 구조를 변형시키는 압력파(P)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생기(5)의 부가적 잇점은 그것이 차량에 사용하기 적합한 점화 소재로 완벽히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가스 발생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압력파 발생기"는 최대량의 에너지가 상기 압력파(P)에 의해 전달되며 최소량의 에너지가 상기 압력파 후에 형성된 상기 가스에 의해 전달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발생기(5)의 연소 챔버(chamber)의 구조는 가능한 한 가장 높은 압력을 얻게 하므로 상기 챔버가 개방될 때 가장 높은 에너지의 압력파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력파(P)는 대개 상기 연소 챔버와 상기 외부 매질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그것은 상기 장약의 연소로부터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금속 구조 내에서 상기 파동의 전송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와 다른 매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매질은 고체, 예를 들면 폴리머, 다공성 소재(porous material), 또는 과립성 소재, 또는 액체 매질일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대기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는 가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에 측면 충돌이 있을 때, 상기 가스 발생기로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그것을 개시시킨다. 상기 장약은 상기 연소 챔버 내에서 불타며 그것의 내부 압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생기의 커버가 정의된(defined) 압력에서 개방되고 상기 도어 캡핑으로 상기 가스를 방출시킨다. 상기 압력차는 상기 매질(상술한 바와 같이 고체, 액체, 또는 가스)을 통해 움직이는 압력파(P)를 발생시키며 상기 구조를 변형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차량의 세로 측면 부재, 펠비스 제한 큐션(pelvis restrain cushion(PRC))을, 특히 승객이 안전 벨트(seat belt)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위한 금속 케이싱(metal casings)과 같은 그 밖의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와 방법의 주된 장점은 다음과 같다:
차량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위한 표준(standards)에 따르는 장약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차량의 수용능력은 그것의 최초 상태에서 밀집한 도어 캡핑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되며,
상기 도어 캡핑은 빠르게 변형되고, 충돌을 탐지하는 사이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에 적합한 방식으로, 그것에 의해 영역의 두 번째 모멘트(second moment)를 빠르게 증가시키며, 상기 캡핑은 그것에 의해 압력을 받으며;
상기 금속 구조의 변형을 목표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구조의 변형은 기하학적으로 최적화된다.

Claims (14)

  1.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강화용 장치에 있어서,
    충돌을 탐지하는 경우 상기 부품(1)은 상기 부품의 내부 공간(E)에 폭굉(detonation) 또는 폭연(deflagration)에 의해 생성된 충격파 또는 압력파를 가하는 수단(2, 5)을 가지며,
    상기 파동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는 상기 부품의 닫혀진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부품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강화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들은 파이로테크닉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강화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폭굉 또는 폭연 코드(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강화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은 상기 부품의 내부 표면에 적용되는 폭약 코팅부(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강화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 발생기(5)와 연결되며,
    상기 소재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는 상기 부품으로 방출되며,
    상기 부품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압력파는 상기 부품의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부품을 변형시키는데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강화용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기 부품이 변형된 후 상기 부품(1)을 경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강화용 장치.
  7. 충돌이 있는 동안에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돌을 탐지하는 경우, 상기 부품의 내부 공간(E)으로 충격파 또는 압력파를 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에너지는 상기 부품의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충분히 상기 부품을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은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은 상기 부품(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폭굉 또는 폭연 코드(2)의 폭발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E)는 상기 코드(2)와 솔리드 패딩 소재(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 소재(3)는 폴리머, 과립 매질, 또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은 상기 부품(1)의 상기 내부 표면(11)에 적용되는 폭약 코팅부(4)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4)는 변형되는 상기 부품(1)의 상기 내부 표면(11)의 각각의 구역(12, 14, 15)에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기(5)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소재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는 상기 부품(1)으로 방출되며,
    상기 점화용 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상기 압력파는 상기 부품의 구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부품을 변형시키는데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닫혀진 구역에 의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1) 변형 방법.
KR1020077028950A 2005-05-12 2006-05-09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보강용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방법 KR101269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4756A FR2885583A1 (fr) 2005-05-12 2005-05-12 Dispositif de renforcement d'un element creux de carrosserie et procede correspondant
FR05/04756 2005-05-12
PCT/EP2006/062151 WO2006120189A1 (en) 2005-05-12 2006-05-09 A device for reinforcing a hollow motor vehicle bodywork element, and a correspond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862A KR20080031862A (ko) 2008-04-11
KR101269439B1 true KR101269439B1 (ko) 2013-06-03

Family

ID=3543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950A KR101269439B1 (ko) 2005-05-12 2006-05-09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보강용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59216B2 (ko)
EP (1) EP1885581B1 (ko)
JP (1) JP4967179B2 (ko)
KR (1) KR101269439B1 (ko)
CN (1) CN101171156B (ko)
AT (1) ATE446222T1 (ko)
DE (1) DE602006009920D1 (ko)
FR (1) FR2885583A1 (ko)
WO (1) WO2006120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5583A1 (fr) 2005-05-12 2006-11-17 Livbag Soc Par Actions Simplif Dispositif de renforcement d'un element creux de carrosserie et procede correspondant
FR2938814B1 (fr) * 2008-11-27 2010-11-19 Livbag Element creux d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renfermant un melange combustible de gaz, et vehicule qui en est pourvu
DE102009007901B4 (de) * 2009-02-06 2012-11-2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bauteils und Kraftfahrzeugbauteil
CH700617A1 (de) * 2009-03-30 2010-09-30 Ludger Hovestadt C O Inst Fuer Halbfabrikat zur Herstellung einer Leitplanken-Vorrichtung und Leitplanken-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Halbfabrikat .
WO2012158072A1 (en) * 2011-05-19 2012-11-22 Autoliv Development Ab An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providing shock protection for a vehicle
US8733819B1 (en) 2013-01-22 2014-05-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riable stiffness energy-absorbing component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US9731768B2 (en) * 2015-03-27 2017-08-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ructural reinforcing device
US9821852B2 (en) * 2016-02-03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ssurized air insert for side impacts
DE102018215948A1 (de) * 2018-09-19 2020-03-19 Audi Ag Behält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914A (en) 1995-01-17 1997-04-01 Olin Corporation Inflatable metal bladders for automobile passenger protection
JP2004513013A (ja) 2000-10-31 2004-04-30 スペシャル デヴァイ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圧環境用パイロテクニック開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4300A1 (de) * 1973-12-22 1975-06-26 Porsche Ag Vorrichtung zur energieabsorption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US5382051A (en) 1991-08-28 1995-01-17 Concept Analysis Corporation Pneumatic pads for the interior of vehicles
US5219197A (en) * 1992-08-24 1993-06-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inforcing insert for an automotive bumper
DE19615744C1 (de) * 1996-04-20 1997-06-05 Daimler Benz Ag Kraftfahrzeug mit mehreren Karosserieteilen
US5845937A (en) 1997-02-10 1998-12-08 Morton International, Inc. Structural assembly
FR2761982B1 (fr) 1997-04-11 1999-05-07 Livbag Snc Procede pour assurer un deploiement progressif d'un coussin de protection et chargement pyrotechnique pour sa mise en oeuvre
JP4112685B2 (ja) * 1998-06-04 200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
US6273453B1 (en) * 1999-03-19 2001-08-14 Autoliv Development Ab Air bag with at least one foamable chamber
DE60045722D1 (de) 1999-11-12 2011-04-21 Zodiac Automotive Us Inc Gaserzeugende zusammensetzung
DE10022094B4 (de) 2000-05-08 2012-07-05 Volkswagen Ag Energieabsorbierendes Karosserieteil an einem Fahrzeug
GB2362138B (en) 2000-05-09 2003-06-1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reinforcing arrangement
US6609740B2 (en) * 2001-04-16 2003-08-26 Shape Corporation Bumper system with face-mounted energy absorber
GB0114684D0 (en) * 2001-06-15 2001-08-08 Dow Chemical Co Automobile assembly
FR2831122B1 (fr) * 2001-10-19 2004-07-30 Livbag Snc Dispositif generateur de gaz hybride pour gonfler un coussin de protection utilise en securite automobile
US6997490B2 (en) * 2003-07-22 2006-02-14 Netshape International Llc Integrated bumper energy absorber and fascia support component
US7264271B2 (en) * 2004-08-13 2007-09-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versibly deployable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FR2885583A1 (fr) 2005-05-12 2006-11-17 Livbag Soc Par Actions Simplif Dispositif de renforcement d'un element creux de carrosserie et procede correspondant
DE102009006609B4 (de) * 2009-01-29 2017-05-1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914A (en) 1995-01-17 1997-04-01 Olin Corporation Inflatable metal bladders for automobile passenger protection
JP2004513013A (ja) 2000-10-31 2004-04-30 スペシャル デヴァイ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圧環境用パイロテクニック開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40227A (ja) 2008-11-20
US20080174148A1 (en) 2008-07-24
US7959216B2 (en) 2011-06-14
EP1885581B1 (en) 2009-10-21
CN101171156B (zh) 2011-02-09
JP4967179B2 (ja) 2012-07-04
WO2006120189A1 (en) 2006-11-16
CN101171156A (zh) 2008-04-30
FR2885583A1 (fr) 2006-11-17
ATE446222T1 (de) 2009-11-15
KR20080031862A (ko) 2008-04-11
DE602006009920D1 (de) 2009-12-03
EP1885581A1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439B1 (ko) 중공을 갖는 차량 본체 부품 보강용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방법
JP4215163B2 (ja)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
JP3808100B2 (ja) 複数の推進剤室を有する可変性非アジド系気体発生器
US6425601B1 (en) Air bag module
US5839754A (en) Multiple stage airbag gas generator
US5398966A (en) Dual stage inflator
EP1361971B1 (en) Dual chamber inflator
US5791597A (en) Energy attenuation system
CN101693451B (zh) 用于车辆的侧面安全气囊
JPH05505990A (ja) エア・クッション用のインフレータおよびエア・クッション装置
JPH06316247A (ja) ガス膨張機器
WO2003042010A1 (fr) Générateur de gaz
JPH09220989A (ja) 硬化装置
KR20050049510A (ko) 기체 전달이 확장된 차량 에어백 시스템용 듀얼 스테이지인플레이터
CN106061799A (zh) 气囊充气器衬垫
US6976704B2 (en) Adaptive output airbag inflation device
WO2023174313A1 (zh) 整体式点火结构和压缩气体式燃气发生器
CN101062674B (zh) 用于车辆的侧面安全气囊
WO1996040541A1 (en) Airbag inflator system
US7137341B2 (en)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JP2007531660A (ja) 火工品の直線状インフレータ
US5662355A (en) Air ba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7712780B2 (en) Gas generator with hybrid spring
WO2001074633A1 (fr) Generateur de gaz
US20060208467A1 (en) Head impact energy-absorbing inflatable curtain gas deliver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