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8986B1 -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986B1
KR101268986B1 KR1020060051988A KR20060051988A KR101268986B1 KR 101268986 B1 KR101268986 B1 KR 101268986B1 KR 1020060051988 A KR1020060051988 A KR 1020060051988A KR 20060051988 A KR20060051988 A KR 20060051988A KR 101268986 B1 KR101268986 B1 KR 10126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till image
video
input
digi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7842A (en
Inventor
이승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86B1/en
Publication of KR2007011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8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재생하거나, 다른 동영상 피일을 탐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장치의 전체 화면에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하다가 서치키가 입력되면 화면이 분할되면서, 제1 화면에는 동영상을 계속 재생하고, 제2 화면에는 동영상에 대한 임의의 정지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다른 정지영상 프레임을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선택된 정지영상 프레임에서 재생키가 입력되면 제2 화면이 전제화면으로 확대되면서, 정지영상 이후의 프레임들을 동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moving to a desired place and playing a video file or searching for and playing another video file.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is an oper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a search key is input while playing a selected video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evice, the screen is divided and the video is continuously played on the first screen, and the video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Display any still image frame for. Thereafter, another still image frame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by input of a direction key, and when the play key is inputted in the selected still image frame, the second screen is enlarged to the premise screen, and the frames after the still image are reproduced as a video. It is done.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수행 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보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whe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of FIG. 2 is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수행 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보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whe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of FIG. 4 is performed.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재생하거나, 다른 동영상 피일을 탐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moving to a desired place and playing a video file or searching for and playing another video file.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영상 센서가 광학적인 대상 영상을 디지털 스틸이나 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촬영장치로 잘 알려져 있다. 대상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와 같은 외부의 기록 매체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된다. 디지털 카메라로 찍혀진 스틸이나 동영상은 LCD와 같은 표시장치상에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 된다.Digital cameras a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are well known as photographing apparatuses in which a charge coupled device (CCD) image sensor converts an optical target image into digital still or moving image data. The target image data is recorded in an extern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not shown) or in an internal memory (not shown). Stills or movies shot by digital cameras are played or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기록된 동영상 중 원하는 정지영상을 찾기 위해, 통상의 사용자는 처음부터 동영상을 보아야 한다. 이러한 작동이 귀찮고,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동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영상을 추출함으로써 인덱스 영상을 획득하고, 예를 들면 9개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 분할된 모니터상에 인덱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 다음, 상기 영상 재생장치는 선택된 인덱스 영상에 대응하는 정지영상부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시작한다.In order to find the desired still image among the recorded moving images, the ordinary user must watch the moving images from the beginning. Since such an operation is cumbersome and time consuming, an index image is obtained by extracting a plurality of images from a moving image, and the index image is displayed on a monitor divided into nine display frames, for example. Then, the image reproducing apparatus starts displaying the moving image from the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dex image.

이러한 영상 재생장치는 고정된 시간간격으로 인덱스 영상을 추출한다. 추출된 인덱스 영상의 수가 9개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인덱스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체 동영상의 아우트라인(outline)을 인식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인덱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스크롤 조작(scroll operation)하여야 한다. 이러한 스크롤 조작은 사용자에게 귀찮은 일이며, 또한 원하는 정지영상을 찾는데 보다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Such a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extracts an index image at fixed time intervals. If the number of extracted index images is 9 or more, all index images cannot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user must perform a scroll operation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index image in order to recognize the outline of the entire video. This scrolling operation is troublesome for the user, and also requires longer time to find a desired still image, which causes inconvenie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 서치키 입력에 의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화면에는 상기 동영 상을 재생하고 제2 화면에 상기 동영상에 대한 임의의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 한 후, 방향키 입력에 의해 제2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정지영상을 빠르게 찾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screen by the search key input when playing a video fil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play the video on the first screen and to freeze the video on the second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enables a user to quickly find and play a desired still image from a second screen by displaying an imag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 탐색키 입력에 의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고 제2 화면에 다른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한 후, 방향키 입력에 의해 제2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빠르게 찾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screen by input of a navigation key when playing a video fil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play the video file on the first screen and display another video file on the second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enables a user to quickly find and play a desired video file from a second screen by inputting a direction ke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상기 장치의 전체 화면에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b) 상기 동영상 재생 중에 서치키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이 분할되면서, 제1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을 계속 재생하고, 제2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임의의 정지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c)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다른 정지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d) 선택된 정지영상 프레임에서 재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화면이 전제화면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정지영상 이후의 프레임들을 동영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a) playing a selected video on an entire screen of the apparatus; (b) if the search key is input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the screen is divided, continuously playing the video on the first screen, and displaying a still image frame for the video on the second screen; (c) displaying another still image frame on the second screen by input of a direction key; And (d) when the play key is input in the selected still picture frame, the second screen is enlarged to the premise screen, and the frames after the still picture are reproduced as a video.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다른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의 전체 화 면에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b) 상기 동영상 파일 재생 중에 탐색키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이 분할되면서, 제1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계속 재생하고, 제2 화면에는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저장된 임의의 다른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c)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다른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d) 선택된 동영상 파일에서 재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화면이 전제화면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method including: playing a selected video file on an entire screen of the apparatus; (b) If a search key is input during playback of the video file, the screen is divided, and the first screen continues to play the video file,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s any other video file stor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ep; (c) displaying another video file on the second screen by input of a direction key; And (d) reproducing the selected video file while the second screen is enlarged to the premise screen when a play key is input from the selected video fi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ZL, a focus lens FL, and a compensation lens CL.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3 및 도 5의 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도 3 및 도 5의 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 아진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 angle-zoom button (39w in FIGS. 3 and 5) or the telephoto-zoom button (39t in FIGS. 3 and 5)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the corresponding The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ntroller 512. Accordingly, as the microcontroller 512 controls the lens driver 510, the zoom motor M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ZL. That is, when the wide angle-zoom button 39w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ZL is shortened to widen the angle of view, and when the telephoto-zoom button 39t is pressed, the zoom is performed.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ZL becomes long and the angle of view becomes narrow.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광학계(OPS)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줌 렌즈(ZL)의 위치에 대한 화각(θ)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ZL)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θ)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보상 렌즈(CL)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such a characteristic, the microcontroller 512 may obtain an angle of view θ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zoom lens ZL from the design data of the optical system OPS. Here, since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FL is adjusted in a state where the zoom lens ZL is set, the angle of view? Is hardly affected by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FL. The compensation lens CL is not separately driven since it serves to compensate the overall refractive index.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Reference numeral M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Here, the rotation angle of the diaphragm drive motor MA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mode is the specific exposure mode or not. The designated exposure mode is a mode for setting the exposure amount of the digital camera with respect to the average luminance of the designated detection area when a certain area desired by the user in the subject area coincides with the designated detection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of the digital camera It says.

광학계(OPS)의 필터부(미도시)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 통과 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In the filter part (not shown)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OLPF) removes optical noise of high frequency content. Infra-red cut filter (IRF) blocks incoming infrared light.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 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502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and the analog-digital conversion unit 501. The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element 501 a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nd adjusts the amplitude. After that,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DS-ADC element 501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미도시) 및 플래시 대기 램프(미도시)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도 3 및 도 5의 13), 모드 다이얼(도 3 및 도 5의 14) 메뉴 버튼(도 3 및 도 5의 38),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 상향-이동 버튼(도 3 및 도 5의 40up), 우향-이동 버튼(도 3 및 도 5의 40ri), 하향-이동 버튼(도 3 및 도 5의 40do), 및 좌향-이동 버튼(도 3 및 도 5의 40le)을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includes a self-timer lamp 11, an auto-focus lamp (not shown), and a flash standby lamp (not shown). The user input unit INP includes a shutter button (13 of FIGS. 3 and 5), a mode dial (14 of FIGS. 3 and 5), a menu button (38 of FIGS. 3 and 5), a wide-angle zoom button 39w, Tele-zoom button 39t, up-move button (40up in FIGS. 3 and 5), right-move button (40ri in FIGS. 3 and 5), down-move button (40do in FIGS. 3 and 5), And a left-move button (40le in FIGS. 3 and 5).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 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The memory card of the user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emory card interface 506.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 즉 LCD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input to the LCD driver 514, whereb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that is, the LCD.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ion 21a or an RS232C interface 508 and its connection 21b, and a video filter ( 509 and the video output unit 21c can be transmitted as a video signal.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플래시(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와 플래시 제어기(511)를 통하여 구동된다.The audio processor 5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o the speaker SP. On the other hand, the flash 12 is driven through the microcontroller 512 and the flash controller 511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flash-light sensor 19.

사용자로부터 음성 안내 기능 설정 신호가 선택되면,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OSD가 OFF 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35) 즉 표시부가 OFF 되면 자동으로 음성 안내 기능이 설정되어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voice guidance function setting signal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tate of the digital camera may be output as voice. In addition, when the OSD is turned off or the display panel 35, that is, the display is turned off, the voice guidance function is automatically set to output the state of the digital camera as a voice.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마이크로 제어기(5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의해 DRAM(504)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제어한다.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재생하거나, 다른 동영상 피일을 탐색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제어 동작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reproduction of the moving picture file stored in the DRAM 504 or the memory card by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the microcontroller 512. A control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which controls the user to move to a desired place and play or search for another video file when playing a video fil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수행 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보이는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whe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of FIG. 2 is performed.

사용자 선택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DRAM(504)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 한다(200단계). 기능키(38, 40le∼40do)를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 재생 메뉴가 선택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일 실시 예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임의의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다.By user selec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lays a desired video file stored in the DRAM 504 or the memory card of the digital camera a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step 200). When the moving image file reproduction menu is selected using the function keys 38, 40le to 40d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lays the moving image file selected on the display panel 35. FIG.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A, an arbitrary video file is 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파일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서치(Search)키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205단계). 본 발명에서 서치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별도의 기능키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 구비된 기능키에 서치기능을 부가하여 이 기능키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moving image file being reproduc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es a search key input signal input by the user (step 205) in order to move it to a desired pl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key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function key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function key may be used by adding a search function to a function key already provided.

서치키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디스플레이 패널(35, 이하 화면이라고 표기함)을 분할하고, 왼쪽 화면에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계속 재생하고, 오른쪽 화면에는 서치키 입력 시점의 정지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한다(210단계). 일 실시 예로, 도 3b의 오른쪽 화면(35a)에는 선택된 동영상이 계속 재생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왼쪽 화면(35b)에는 서치키 입력 시점의 정지영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ing the search key input signal divides the display panel 3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creen), continues to play the selected video file on the left screen, and the still image at the time of the search key input on the right screen. The frame is displayed (step 210). As an example, the right screen 35a of FIG. 3B shows that the selected video is continuously being played, and the left screen 35b shows that the still image frame at the time of the search key input is displayed.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우방향키(40ri) 신호를 수신한다(215단계).In order to move to the desired plac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es the right direction key 40ri signal input by the user (step 215).

우방향키(40ri)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오른쪽 화면(35b)에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프레임을 후방향으로 한 장면씩 카운트 한다(220단계).Whenever the right direction key 40ri input signal is receiv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unts the still image frames displayed on the right screen 35b by one scene in the backward direction (step 220).

이때 오른쪽 화면(35b)에는 후방향으로 카운트되는 정지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225단계).In this case, the right screen 35b sequentially displays the still image frames counted backward (step 225).

우방향키(40ri) 입력으로 원하는 정지영상 프레임으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230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방향키(40le) 신호를 수신한다(235단계).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moves to the desired still image frame by inputting the right direction key 40ri (step 230), otherwis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puts the left direction key ( 40le) the signal is received (step 235).

좌방향키(40le)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오른쪽 화면(35b)에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프레임을 전방향으로 한 장면씩 카운트 한다(240단계).Whenever an input signal of the left direction key 40le is receiv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unts the still image frames displayed on the right screen 35b by one scene in all directions (step 240).

이때 오른쪽 화면(35b)에는 전방향으로 카운트되는 정지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245단계).In this case, the right screen 35b sequentially displays still image frames counted in all directions (step 245).

좌방향키(40le) 입력으로 원하는 정지영상 프레임으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250단계), 원하는 정지영상 프레임으로 이동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로부터 재생키 입력신호를 수신한다(255단계). 본 발명에서 재생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별도의 기능키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 구비된 기능키에 재생기능을 부가하여 이 기능키를 이용할 수 있다.In operation 25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es a playback key input signal from the user when it is moved to the desired still image frame by inputting the left direction key 40le.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yback key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function key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function key may be used by adding a playback function to the function key already provided.

재생키 입력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오른쪽 화면(35b)을 전체 화면(35)으로 확대하고, 선택된 정지영상 프레임을 시작점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260단계).Upon receiving the playback key input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enlarges the right screen 35b to the full screen 35, and plays back the video file having the selected still picture frame as a starting point (step 260).

이와 같이 서치키 입력으로 화면(35)을 분할(35a, 35b)하고, 정지영상 프레 임이 디스플레이된 화면(35b)에서 방향키 입력에 의해 원하는 정지영상 프레임으로 빠르게 이동하여 해당 정지영상 프레임을 시작점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creen 35 is divided (35a, 35b) by the search key input, and the screen 35b on which the still image frame is displayed is quickly moved to the desired still image frame by the direction key input to set the still image frame as a starting point. The video file can be play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수행 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보이는 도면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whe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of FIG. 4 is performed.

사용자 선택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DRAM(504)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400단계). 기능키(38, 40le∼40do)를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 재생 메뉴가 선택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일 실시 예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임의의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다.By the user's selec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lays the desired moving image file stored in the DRAM 504 or the memory card of the digital camera a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ep 400). When the moving image file reproduction menu is selected using the function keys 38, 40le to 40d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lays the moving image file selected on the display panel 35. FIG.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A, an arbitrary video file is 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파일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동영상 파일을 찾아 재생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탐색키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405단계). 본 발명에서 탐색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별도의 기능키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 구비된 기능키에 탐색기능을 부가하여 이 기능키를 이용할 수 있다.In order to find and play another video file desired by the user,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es a search key input signal input by the user (step 40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key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function key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function key may be used by adding a search function to the function key already provided.

탐색키 입력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화면(35)을 분할하고, 왼쪽 화면에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계속 재생하고, 오른쪽 화면에는 DRAM(504)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임의의 다른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한 다(410단계). 일 실시 예로, 도 5b의 오른쪽 화면(35a)에는 선택된 동영상이 계속 재생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왼쪽 화면(35b)에는 DRAM(504)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임의의 다른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오른쪽 화면(35a)에는 동영상 파일의 최초 정지영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또는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navigation key input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divides the screen 35, continues playing the selected video file on the left screen, and the DRAM 504 or any other video file stored on the memory card on the right screen. Is displayed (step 410). As an example, the right screen 35a of FIG. 5B shows that the selected video is continuously playing, and the left screen 35b shows that the DRAM 504 or any other video file stored in the memory card is displayed.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 screen 35a may display the first still image frame of the video file or the video file to be played back.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동영상 파일을 찾아 재생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우방향키(40ri) 신호를 수신한다(415단계).Thereafter, in order to find and play another video file desired by the user,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es a right key 40ri signal input by the user (step 415).

우방향키(40ri)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오른쪽 화면(35b)에 DRAM(507)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후방향으로 한 파일씩 카운트 한다(420단계).Whenever the right direction key 40ri input signal is receiv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unts a video file stored in the DRAM 507 or the memory card one by one in the backward direction on the right screen 35b (step 420).

이때 오른쪽 화면(35b)에는 후방향으로 카운트되는 다른 동영상 파일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425단계). 역시 오른쪽 화면(35a)에는 동영상 파일의 최초 정지영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또는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ight screen 35b sequentially displays other video files counted backward (step 425). Also, the first still image frame of the video file may be displayed on the right screen 35a, or the video file to be played may be displayed.

우방향키(40ri) 입력으로 원하는 동영상 파일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430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동영상 파일을 찾아 재생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방향키(40le) 신호를 수신한다(435단계).In operation 43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puts the user's input by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moved to the desired video file by inputting the right direction key 40ri. The left direction key 40le is received (step 435).

좌방향키(40le)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오른 쪽 화면(35b)에 DRAM(507)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전방향으로 한 파일씩 카운트 한다(440단계).Whenever an input signal of the left direction key 40le is receiv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unts a video file stored in the DRAM 507 or the memory card one by one in all directions on the right screen 35b (step 440). .

이때 오른쪽 화면(35b)에는 전방향으로 카운트되는 다른 동영상 파일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445단계). 역시 오른쪽 화면(35a)에는 동영상 파일의 최초 정지영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또는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ight screen 35b sequentially displays other video files counted in all directions (step 445). Also, the first still image frame of the video file may be displayed on the right screen 35a, or the video file to be played may be displayed.

좌방향키(40le) 입력으로 원하는 동영상 파일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430단계), 원하는 동영상 파일로 이동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사용자로부터 재생키 입력신호를 수신한다(455단계).In operation 43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es a playback key input signal from the user in operation 455. .

재생키 입력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오른쪽 화면(35b)을 전체 화면(35)으로 확대하고, 탐색 완료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460단계).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ceiving the play key input signal enlarges the right screen 35b to the full screen 35 and plays the searched video file (step 460).

이와 같이 탐색키 입력으로 화면(35)을 분할(35a, 35b)하고, 다른 동영상 파일이 디스플레이된 화면(35b)에서 방향키 입력에 의해 원하는 다른 동영상 파일을 빠르게 탐색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creen 35 is divided 35a and 35b by the search key input, and the other video file desired can be quickly searched and reproduced by the direction key input on the screen 35b on which the other video file is display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 서치키 입력에 의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제2 화면에 상기 동영상에 대한 임의의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 한 후, 방향키 입력에 의해 제2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정지영상을 빠르게 찾아 재생할 수 있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is divided by the search key input at the time of playing the video file, the first screen is played back the video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s any still image for the video, By directional key input, the user can quickly find and play a still image desired by the second screen, thereby creating an effect of maximizing user satisfaction with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또한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 탐색키 입력에 의해 화면을 분할하여, 제1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고 제2 화면에 다른 동영상 파일을 디스플레이 한 후, 방향키 입력에 의해 제2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빠르게 찾아 재생할 수 있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In addition, when the video file is played back, the screen is divided by a search key input, the first screen plays the video file, and another video file is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It can find and play files quickly, creating the effect of maximizing user's satisfaction with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As an oper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상기 장치의 전체 화면에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a) playing a selected video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evice; (b) 상기 동영상 재생 중에 서치키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이 분할되면서, 제1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을 계속 재생하고, 제2 화면에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정지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b) if the search key is input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the screen is divided, and continuously playing the video on the first screen, and displaying a still image frame for the video on the second screen; (c)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재생중인 동영상의 다른 정지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c) displaying another still image frame of the video being played on the second screen by inputting a direction key; And (d) 재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화면이 전제화면으로 확대되면서,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이후의 프레임들을 동영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and (d) reproducing the frames after the still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as a moving image by expanding the second screen to the premise screen when a play key is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b),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프레임은 상기 서치키가 입력된 시점의 상기 동영상에 대한 정지영상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The still image fram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is a still image frame for the video at the time when the search key is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c) 우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정지영상 프레임 다음의 정지영상 프레임을 순 차적으로 카운트하며, 상기 제2 화면에는 카운트되는 정지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And sequentially counting still image frames following the still image frame by input of a right direction key, and sequentially displaying the still image frames to be counted on the second scr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c) 좌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정지영상 프레임 이전의 정지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카운트하며, 상기 제2 화면에는 카운트되는 정지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And sequentially counting still image frames before the still image frame by input of a left direction key, and sequentially displaying the still image frames that are counted on the second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51988A 2006-06-09 2006-06-09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988A KR101268986B1 (en) 2006-06-09 2006-06-09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988A KR101268986B1 (en) 2006-06-09 2006-06-09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842A KR20070117842A (en) 2007-12-13
KR101268986B1 true KR101268986B1 (en) 2013-05-29

Family

ID=3914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9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986B1 (en) 2006-06-09 2006-06-09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98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408A (en) * 2000-01-27 2001-08-03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2004072727A (en) 2002-06-11 2004-03-04 Sanyo Electric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408A (en) * 2000-01-27 2001-08-03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2004072727A (en) 2002-06-11 2004-03-04 Sanyo Electric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842A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48B1 (en) Digital Camera Control Method
US7420601B2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camera to determine image sharpness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058025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dual thumbnail mode
US1034174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478004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mod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77602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2005011703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file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080404B1 (en) Method for converting moving image into still image and triming the still image
KR101268986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1427653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ing face recognition,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1236466B1 (en) Image display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659862B1 (en) Bookmark display method of digital image, playback method of bookmarked digital imag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same
KR100548005B1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KR20080057478A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Continuous Shooting Mode
KR100651811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page-based image deletion and device therefor
KR101105849B1 (en) Digital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device
KR101378330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109585B1 (en) Image playback method of image processing device
KR20080100630A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for Efficient Still Image Search from Video
KR20090011828A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face region is searched efficiently,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is method
KR20090077486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060102887A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displays name of shooting position
KR20050112567A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convenient replay
KR20080041463A (en) Image trimming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