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005B1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8005B1 KR100548005B1 KR1020040033372A KR20040033372A KR100548005B1 KR 100548005 B1 KR100548005 B1 KR 100548005B1 KR 1020040033372 A KR1020040033372 A KR 1020040033372A KR 20040033372 A KR20040033372 A KR 20040033372A KR 100548005 B1 KR100548005 B1 KR 1005480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data
- frames
- focusing
- digital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촬영에 의하여 단일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 다음에 단일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영역들인 포커싱 영역들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포커싱 영역들에 대한 최적 포커스 값들을 구한다. 다음에 각각의 최적 포커스 값에 따라 포커싱을 수행하면서 복수의 프레임들의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 다음에 복수의 프레임들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의 축소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를 한다. 다음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복수의 프레임들의 축소된 영상들 각각에 상응하는 포커싱 영역의 중심부를 표시한다. Image data of a single frame is obtained by shooting. Next, optimal focus values for different focusing areas are obtained by using image data of focusing areas that are different areas in a single frame. Next,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frames is obtained by performing focusing according to each optimum focus value. Next, the reduced images of the plurality of fram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using the image data of the plurality of frames. Next, the video data of any one frame select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in the display step, the center of the focusing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duced images of the plurality of frames is display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top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as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FIG. 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shap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cident side structur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5는 도 4의 디지털 신호처리기의 제어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algorithm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FIG. 4.
도 6은 도 5의 단계 504의 내부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algorithm of
도 7은 도 5의 단계 50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도 8 및 9는 단계 505의 수행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and 9 illustrate screens of the display panel by perform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 ... digital camera, 11 ... self-timer lamp,
12...플래시, 13...셔터 버튼,12 ... flash, 13 ... shutter button,
14...모드 다이얼, 15...기능 버튼들,14 ... mode dial, 15 ... function buttons,
17a, 17b...뷰 파인더, 19...플래시-광량 센서,17a, 17b ... view finder, 19 ... flash-light sensor,
20...렌즈부, 21...외부 인터페이스부,20 lens part, 21 external interface part,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MIC ... microphone, SP ... speaker,
31...전원 버튼, 32...모니터 버튼,31 ... power button, 32 ... monitor button,
33...자동-초점 램프, 34...플래시 대기 램프,33 ... auto-focus lamp, 34 ... flash standby lamp,
35...칼라 LCD 패널, 36...수동-포커싱/삭제 버튼,35 ... color LCD panel, 36 ... manual-focusing / delete button,
37...수동-조정/재생 버튼, 39W...광각-줌 버튼,37 ... Manual-adjust / play button, 39 W ... Wide-Zoom button,
39T...망원-줌 버튼, OPS...광학계,39 T ... telephoto-zoom button, OPS ... optical system,
OEC...광전 변환부, 41...필터부,OEC ... photoelectric conversion part, 41 ... filter part,
42...재생 모드 버튼 ZL...줌 렌즈, 42.Playback mode button ZL ... zoom lens,
FL...포커스 렌즈, CL...보상 렌즈, FL ... focus lens, CL ... compensation lens,
OLPF...광학적 저역통과필터, IRF...적외선 차단 필터, OLPF ... optical low pass filter, IRF ... infrared cut filter,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 Z ... zoom motor, M F ... focus motor,
MA...조리개(aperture) 모터, 4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M A ... aperture motor, 401 ... analog-to-digital converter,
402...타이밍 회로, 403...실시간 클럭, 402 timing circuit, 403 real time clock,
404...DRAM, 405...EEPROM, 404 ... DRAM, 405 ... EEPROM,
4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407...디지털 신호 처리기, 406 memory card interface, 407 digital signal processor,
408...RS232C 인터페이스, 409...비데오 필터, 408 ... RS232C interface, 409 ... video filter,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a ... USB connection, 21b ... RS232C connection,
21c...비데오 출력부, 410...렌즈 구동부, 21c ... video output, 410 ... lens drive,
411...플래시 제어기, 412...마이크로제어기, 411 ... flash controller, 412 ... microcontroller,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INP ... user input, LAMP ... light emitter,
413...오디오 처리기, 414...LCD 구동부, 413 audio processor, 414 LCD driver,
35S...LCD 화면, AFM...자동 초점 마크, 35S ... LCD screen, AFM ... Auto Focus Mark,
801,802,803...축소 영상들, 901,902,903...축소 영상들, 801,802,803 ... reduced images, 901,902,903 ... reduced images,
FV...포커스 값 , HF...고주파 함량, FV ... focus value, HF ... high frequency content,
FVMAX...최적 포커스 값 , HFMAX..최적 고주파 함량.FV MAX ... optimal focus value, HF MAX ..optimum high frequency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파일을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hotographing a subject and storing an image file in a recording medium,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stored image files and displaying them on a display panel, and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피사체의 거리가 가깝지 않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포커싱 영역이 프레임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정확한 포커싱이 수행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수동 초점 모드를 사용하여야 만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수동 초점 모드를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autofocus mode of the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ccurate focusing cannot be performed when the distance of the subject is not close or the focusing area desired by the user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Because of this, the user must use manual focus mode. However, most users have difficulty in using the manual focus mode.
한편, 2000년도의 일본 공개 공보 제 28,899호 및 2003년도의 일본 공개 공보 제 224,759호의 디지털 카메라들에는 상기 포커싱과 관련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cameras of Japanese Laid-Open Publication No. 28,899 in 2000 and Japanese Laid-Open Publication No. 224,759 in 2003 disclose techniques related to the focusing.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포커싱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in which a user can select a desired focusing area with a simple operation and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영시작에 의하여 단일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 다음에 상기 단일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영역들인 포커싱 영역들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서로 다른 포커싱 영역들에 대한 최적 포커스 값들을 구한다. 다음에 상기 구해진 각각의 최적 포커스 값에 따라 포커싱을 수행하면서 복수의 프레임들의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 다음에 상기 구해진 복수의 프레임들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의 축소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를 한다. 다음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의 축소된 영상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포커싱 영역의 중심부를 표시한다. The control method and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o obtain the image data of a single frame by the start of shooting. Next, image data of focusing regions, which are different regions in the single frame, is used to obtain optimal focus values for the different focusing regions. Next,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frames is obtained by performing focusing according to the obtained optimum focus values. Next, the reduced images of the plurality of fram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using the obtained image data of the plurality of frames. Next, the video data of any one frame select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in the displaying step, the center of the focusing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duced images of the plurality of frames is displayed.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의 축소된 영상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상기 서로 다른 포커싱 영역들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즉,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포커싱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since the reduced images of the plurality of fram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images of the different focusing regions.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ocusing area with a simple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뷰 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전원 스위치(31), 렌즈부(20), 및 원격 수신부(41)가 있다.1, in front of the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4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407)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4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에 입력시킨다. In the self-timer mode, the self-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재생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칼라 LCD 패널(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ear of the
모드 다이얼(14)은,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14M), 및 음성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자 설정 모드(14M)는, 촬영 모드에 필요한 촬영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또한, 음성 녹음 모드는 사용자의 음성만을 단순히 녹음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The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동작 모드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편, 칼라 LCD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 등으로서 사용된다. The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수동-조정/재생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 및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촬영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The manual focusing /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칼라 LCD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 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피사체의 화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 서, 어느 한 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 번째로 누르면 재생되고 있는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가 칼라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순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된다. The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모드 지시 램프(14L)는 모드 다이얼(1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The auto-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shows an incident side structure of the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and the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4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412)가 렌즈 구동부(4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 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 angle-zoom button 39w or the telephoto-zoom button 39t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input to the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4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4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화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값(도7의 FV)이 설정된다. 포커스 값(FV)이란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를 의미한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 mode, the focus motor M F is driven by the main controller embedded in the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The compensation lens compensates for the overall refractive index and is not driven separately. Reference numera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광학계(OPS)의 필터부(41)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In the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타이밍 회로(4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 Digital Converter) 소자(4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실시간 클럭(4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CDS-ADC 소자(4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4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33), 모드 지시 램프(14L) 및 플래시 대기 램프(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모니터 버튼(32),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 등을 포함한다.The self-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4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4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4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4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4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오디오 처리기(4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The
한편, 마이크로제어기(4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4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셔터 버튼은(13)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 (39w) 및 망원-줌 버튼(39W)을 조작 후, 셔터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 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버튼(13)으로부터의 S2 신호가 온(On)된다.The algorithm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s follows. Here, the shutter button included in the user
사용자가 셔터 버튼(13)을 1단만 누름으로써 S1 신호가 온(On)이 되면 (단계 501),When the S1 signal is turned on by the user pressing the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CDS-ADC 소자(401)를 통해 발생된 영상 데이터를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단일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단계 502).The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상기 단일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영역들인 3개의 포커싱 영역들에 대한 최적 포커스 값(도7의 FVMAX)들을 구한다. 여기서, 포커스 값(FV)이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 즉,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를 의미한다(단계 503). The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포커싱 영역들마다 상기 구해진 최적 포커스 값(FVMAX)들에 따라 포커스 모터 (MF)를 구동하고, 그에 따른 영상들을 포착한다(단계 504). 즉 상기 구해진 최적 포커스 값(FVMAX)들에 따라 포커스 모터(MF)를 구동시켜 CDS-ADC 소자(401)를 통해 발생된 디지털 신호들인 복수 프레임들의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The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제1 내지 제3 영상들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한다(단계 505, 도 8및 9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DRAM(404)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축소하고, 디스플레이 화면(도 8및 9의 35S)위에 각 축소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축소된 영상들 각각에 상응하는 포커싱 영역의 중심부에 자동 초점 마크(AFM) 표시를 한다. Next, the
다음에 사용자가 기능 버튼들(15)을 조작하여 제1 내지 제3 영상중 하나를 선택한 후(단계 506), Next, after the user operates the
사용자가 셔터 버튼(13)을 2단으로 누름으로써 S2 신호가 온(On)이 되면(단계 507),When the S2 signal is turned on by the user pressing the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선택된 영상의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한다( 단계 508). 상기 단계 508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DRAM(404)으로부터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고, 선택이 되지 않은 나머지 영상 데이터는 DRAM(404)에서 지운다. The
도 6을 참조하여, 도 5의 단계 504의 내부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6, the internal algorithm of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제1 최적 포커스 값(FVMAX)에 따라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한다 (단계 601).First, the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제1 최적 포커스 값(FVMAX)에 따른 제1 영상을 CDS-ADC 소자(401)를 통해 포착하여 DRAM(404)에 저장한다(단계 602).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제2 최적 포커스 값(FVMAX)에 따라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한다(단계 603).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제2 최적 포커스 값(FVMAX)에 따른 제2 영상을 CDS-ADC 소자(401)를 통해 포착하여 DRAM(404)에 저장한다(단계 604).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제2 최적 포커스 값(FVMAX)에 따라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한다(단계 605).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제3 최적 포커스 값(FVMAX)에 따른 제3 영상을 CDS-ADC 소자(401)를 통해 포착하여 DRAM(404)에 저장한다(단계 606).Next, the
도 7을 참조하여, 도 5의 단계 503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step 503 of FIG.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CDS-ADC 소자(401)를 통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의 고주파 함량(HF)에 상응하는 포커스 값(FV)을 산출하여 최적 고주파 함량(HFMAX)에 따른 최적 포커스 값(FVMAX)을 구한다. 여기서, 포커스 값(FV)이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 즉,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를 의미한다.The
도 8은 도 5의 단계 505의 수행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35S)에 축소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35S)에 축소된 영상 3개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축소된 영상마다 포커싱 영역의 중심부에 자동 초점 마크(AFM) 표시를 한다. 3개의 축소된 영상의 배치는 801,802,803의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선택하는 축소된 영상에 식별을 위한 테두리 표시를 한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displaying downscaled images on the
도9는 도5의 단계 505의 또 다른 예로 도8과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35S)에 901, 902, 903의 순서대로 일렬로 배치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프레임들의 축소된 영상들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서로 다른 포커싱 영역들의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즉,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포커싱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since the reduced images of the plurality of fram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any one of the images of different focusing regions is selected. There is a convenience for the user to select.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ocusing area with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ro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3372A KR100548005B1 (en) | 2004-05-12 | 2004-05-12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3372A KR100548005B1 (en) | 2004-05-12 | 2004-05-12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8557A KR20050108557A (en) | 2005-11-17 |
KR100548005B1 true KR100548005B1 (en) | 2006-02-01 |
Family
ID=3728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33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005B1 (en) | 2004-05-12 | 2004-05-12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8005B1 (en) |
-
2004
- 2004-05-12 KR KR1020040033372A patent/KR1005480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8557A (en) | 2005-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7048B1 (en) | Digital Camera Control Method | |
KR100503039B1 (en) |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digital camera for user to easily take an identification photograph | |
US7456883B2 (en) |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US10341749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037932B1 (en) | Apparatus and method to secure storage space using resolution change | |
KR101022476B1 (en) | Automatic focusing method i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employing this method | |
US7760240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KR100548004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KR100548006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KR100515961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camera performing re-compression | |
KR100929390B1 (en) | Adaptive menu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and device therefor | |
US7450169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lay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KR101080404B1 (en) | Method for converting moving image into still image and triming the still image | |
KR100515959B1 (en) | Method of controlling camera for user having defective sight | |
KR100548005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KR20080057048A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in night shooting mode | |
KR101058028B1 (en) | Digital camera with two display panels | |
KR100651811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page-based image deletion and device therefor | |
KR100604312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KR101378330B1 (en) | Apparatus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0585597B1 (en) | How to efficiently control the transparent barrier on the imaging device | |
KR20040033967A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camera wherein location of indicating detection area varies | |
KR20060082187A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lective index reproduction,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is method | |
KR20090077486A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20060099233A (en) | Digital output device adopting AVE output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ing device and this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