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5583B1 -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583B1
KR101265583B1 KR1020060090144A KR20060090144A KR101265583B1 KR 101265583 B1 KR101265583 B1 KR 101265583B1 KR 1020060090144 A KR1020060090144 A KR 1020060090144A KR 20060090144 A KR20060090144 A KR 20060090144A KR 101265583 B1 KR101265583 B1 KR 10126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ttery pack
bent
suppor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5538A (ko
Inventor
김명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5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2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5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상의 지지부와,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일정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지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지지부 방향으로 절곡 되는 제2절곡부를 갖는 컨넥터단자와; 지지부의 측단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와, 제1절곡부를 내포하며 제2절곡부가 상하로 돌출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같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형성되되 내측면이 요홈부와 연통되는 노출공을 갖는 컨넥터몸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러한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단자, 컨넥터, 절곡부

Description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BATTERY PACK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1은 종래 배터리팩 컨넥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배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배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측단면 구성도.
도6은 도5의 AA'선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터리팩 컨넥터 110: 컨넥터단자
112: 지지부 114: 제1절곡부
116: 연결부 118: 제2절곡부
120: 컨넥터몸체 122: 노출공
124: 요홈부 200: 인쇄회로기판
310: 인쇄회로기판 지지대 320: 컨넥터 지지대
400: 배터리팩
본 발명은 배터리팩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배터리팩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팩 단자와 연결되는 컨넥터단자와 컨넥터단자를 지지하는 컨넥터몸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터리팩 컨넥터에는 도1에 도시된 것이 있었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팩 컨넥터(10)는 사각박스형태의 컨넥터몸체(16)를 갖고, 컨넥터몸체(16) 의 측면에는 배터리단자와 접촉하는 배터리접촉단자(14)가 형성되고, 컨넥터몸체(16)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접촉단자(12)가 형성되었다.
본 발명은 그 크기고 작아 이를 실장하는 이동단말기 등의 슬림화에 유용하고, 배터리단자와의 접촉성이 좋은 배터리팩 컨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배터리팩 컨넥터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판형상의 지지부와,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일정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지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지지부 방향으로 절곡 되는 제2절곡부를 갖는 컨넥터단자와; 지지부의 측단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와, 제1절곡부를 내포하며 제2절곡부가 상하로 돌출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같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형성되되 내측면이 요홈부와 연통되는 노출공을 갖는 컨넥터몸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컨넥터단자가 커넥터몸체에 장착된 경우 제2절곡부의 하단부는 요홈부를 통하여 컨넥터몸체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의 상단부는 요홈부 내부에 위치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노출공은 일자형이고; 요홈부는 노출공의 양측단에 각각 일자형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컨넥터몸체의 높이는 제2절곡부의 양측단부가 동시에 상하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절곡부는 시계방향으로 절곡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컨넥터몸체의 양측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폭이 줄어들며 턱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팩 컨넥터와; 배터리팩 삽착시 제2절곡부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패터리팩 컨넥터 상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와; 배터리팩 컨넥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컨넥터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동단 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실시예1의 배면 사시도를, 도3은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의 사시도를, 도4는 실시예1의 배면도를, 도5는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측단면 구성도를, 도6은 도5의 AA'선의 단면도를, 도7은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컨넥터의 일실시예이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컨넥터단자(110)와 컨넥터몸체(120)를 갖는다.
이하, 컨넥터단자(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컨넥터단자(110)는 지지부(112)를 갖는다. 지지부(112)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지지부(112)에는 제1절곡부(114)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114)는 지지부(112)에서 연장되어 시계방향으로 절곡되어 원형상의 일부를 이룬다.
도3을 참조하면 제1절곡부(114)의 단부에는 연결부(116)가 연장·형성된다. 연결부(116)는 제1절곡부(114)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지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연결부(116)의 단부에는 제2절곡부(118)가 형성된다. 제2절곡부(118)는 연결부(116)로부터 지지부(112) 방향으로 절곡되어 타원형상의 일부를 이룬다.
한편, 컨넥터단자(110)는 탄성 도체이다.
이하, 컨넥터몸체(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에는 요홈부(124)가 형성된다. 요홈부(124)는 지지부(112)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즉, 요홈부(124)는 하나의 지지부(112)에 대하여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2개 형성된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에는 상하단을 관통하는 노출공(122)이 형성된다. 노출공(122)은 좌우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 내면이 각각 요홈부(124)와 연통된다. 노출공(122)은 제1절곡부(114)를 내포하며 제2절곡부(118)가 상하로 돌출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같도록 형성된다.
도5를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의 높이는 제2절곡부(118)의 양측단부가 동시에 상하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2 및 도6을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의 양측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폭이 줄어들며 턱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2를 참조하면 컨넥터단자(110)가 커넥터몸체(120)에 장착된 경우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는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몸체(120)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는 요홈부(124)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400)이 이동단말기에 삽착되면 제2절곡 부(118)의 하단부에 외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제2절곡부(118)가 상단부로 이동하여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가 요홈부(124)를 통하여 상부에 노출되게 된다.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면 인쇄회로기판(200)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와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에도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7을 참조하면 배터리팩(400)이 삽착된 상태에서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에는 힘 P1이 작용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에는 힘 P2가 작용하게 된다. 즉, 배터리팩(400)과 인쇄회로기판(200)이 제2절곡부(118)를 역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컨넥터단자(110)와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 및 배터리 단자(도면 미도시)와의 접촉성이 보장된다.
한편, 컨넥터단자(110)는 탄성 도체이므로 배터리팩(400)을 이동단말기에서 삽탈하는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는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몸체(120)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는 요홈부(12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배터리팩(400)이 삽탈된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단자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310)의 일부를 대체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별도로 배터리팩 컨넥터(100)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1에 따른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컨넥터단 자(110)와 컨넥터몸체(120)를 별도로 제조한 다음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단자(110)의 지지부를 삽입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면 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지지부(112)는 사각판 형상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원판형 또는 타원판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1절곡부(114)는 시계방향으로 절곡되어 원형상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고, 타원형상이거나 사각형상 등 기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2절곡부(118)는 타원형상의 일부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원형상의 일부이거나 사각형상 등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요홈부(124)는 하나의 지지부(112)에 대해 2개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1개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요홈부(124)는 일자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S자형이거나 기타의 곡선형일 수 있다. 이경우 노출공(122)의 형상은 요홈부(12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1에서 컨넥터단자(110)가 커넥터몸체(120)에 장착된 경우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는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몸체(120)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는 요홈부(124)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역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실시예1의 패터리팩 컨넥터(100)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일실시예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인쇄회로기판(200)을 갖는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도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200) 하부에는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100)가 설치된다.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컨넥터단자(110)가 상부로 돌출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 컨넥터(100)의 좌우측에는 인쇄회로기판(120)을 지지하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310)가 설치된다.
도6을 참조하면 배터리팩 컨넥터(100)의 양측에는 배터리팩 컨넥터(10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컨넥터 지지대(320)가 설치된다. 컨넥터 지지대(320)는 컨넥터몸체(120)에 형성된 턱부와 정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폭이 줄어들며 턱부가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의 경우 컨넥터 지지대(320)에 형성된 턱부에 컨넥터몸체(120)에 형성된 턱부가 정합되도록 안치시키면 되므로 이동단말기에 패터리팩 컨넥터(100)를 장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의 경우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310)의 일부를 대체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별도로 배터리팩 컨넥터(100)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
실시예2의 기타의 작용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상기한 실시예2의 경우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100)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실시예1의 말미에서 기술한 실시예1의 변형실시예를 갖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팩 삽착시 배터리팩과 인쇄회로기판이 제2절곡부를 역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컨넥터단자와 인쇄회로기판 단자 및 배터리 단자와의 접촉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이 삽탈된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단자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 컨넥터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되므로 이동단말기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공정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판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일정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절곡 되는 제2절곡부를 갖는 컨넥터단자와;
    상기 지지부의 측단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기 제1절곡부를 내포하며 상기 제2절곡부가 상하로 돌출 가능한 길이와 폭이 같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형성되되 내측면이 상기 요홈부의 측면과 연속되어 하나의 측면을 구성하는 노출공을 갖는 컨넥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단자가 상기 컨넥터몸체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2절곡부의 하단부는 상기 요홈부를 통하여 상기 컨넥터몸체의 하단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절곡부의 상단부는 상기 요홈부의 외부 및 상기 노출공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컨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은 일자형이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노출공의 양측단에 각각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컨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몸체의 높이는 상기 제2절곡부의 양측단부가 동시에 상하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컨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는 시계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컨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몸체의 양측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폭이 줄어들며 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컨넥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팩 컨넥터와;
    배터리팩 삽착시 상기 제2절곡부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팩 컨넥터 상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와;
    상기 배터리팩 컨넥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컨넥터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컨넥터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20060090144A 2006-09-18 2006-09-18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265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44A KR101265583B1 (ko) 2006-09-18 2006-09-18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44A KR101265583B1 (ko) 2006-09-18 2006-09-18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538A KR20080025538A (ko) 2008-03-21
KR101265583B1 true KR101265583B1 (ko) 2013-05-22

Family

ID=3941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1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5583B1 (ko) 2006-09-18 2006-09-18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340A (zh) * 2016-12-25 2017-03-15 郑州单点科技软件有限公司 一种芯片卡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23Y1 (ko) 2001-03-05 2001-09-28 김지환 핸드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용 배터리 접속단자구조
KR200366365Y1 (ko) 2004-07-29 2004-11-08 주식회사 엠아이티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KR200444511Y1 (ko) 2008-07-21 2009-05-18 금비전자(주)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23Y1 (ko) 2001-03-05 2001-09-28 김지환 핸드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용 배터리 접속단자구조
KR200366365Y1 (ko) 2004-07-29 2004-11-08 주식회사 엠아이티 가입자인증카드 장착용 커넥터
KR200444511Y1 (ko) 2008-07-21 2009-05-18 금비전자(주) 휴대폰 배터리 충전거치대의 충전단자 접속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538A (ko)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66693Y (zh) 电连接器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02097691B (zh) 电连接器
CN201252205Y (zh) 电连接器
TWI403032B (zh) 彈簧外露型母端子
CN100593883C (zh) 电连接器
JP3120893U (ja) 電気コネクタ
CN201097406Y (zh) 电连接器
JP2007324029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9071184A (ja) コネクタ
JP4030120B2 (ja) コネクタ
JP2006164943A (ja) 電気コネクタ
JP4061117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202076639U (zh) 电子卡连接器
KR101265583B1 (ko) 배터리팩 컨넥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JP3136645U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CN106329202B (zh) 连接器
CN100438216C (zh) 连接器
CN201285982Y (zh) 电池连接器
CN201204360Y (zh) 电连接器
JP3156557U (ja) 導電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CN102760984A (zh) 电子卡连接器
JP3125359U (ja)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JP2002050420A (ja) 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5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5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