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3749B1 -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 Google Patents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749B1
KR101253749B1 KR1020110019088A KR20110019088A KR101253749B1 KR 101253749 B1 KR101253749 B1 KR 101253749B1 KR 1020110019088 A KR1020110019088 A KR 1020110019088A KR 20110019088 A KR20110019088 A KR 20110019088A KR 101253749 B1 KR101253749 B1 KR 10125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kalguksu
noodles
prepar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291A (ko
Inventor
남광식
Original Assignee
남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광식 filed Critical 남광식
Priority to KR102011001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7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가 개시된다. 개시된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은 닭고기와 꾸지뽕나무를 포함하는 주재료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를 각각 포함한다.

Description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Method of preparing chicken knife-cut noodles and chicken knife-cut noodles prepared by the method}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꾸지뽕나무를 이용한 닭칼국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가 개시된다.
닭고기는 단백질이 많아 두뇌 활동을 촉진시켜 주고, 콜라겐 성분이 들어 있어 피부 미용에 좋으며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간을 보호해 주며, 다른 육류에 비해 단백질이 많고 소화가 잘되는 영양소가 많아 임산부에게 좋고, 섬유질이 가늘고 연하며 소화흡수가 잘되어 어린이, 노인 및 회복기 환자에게 좋으며,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을 함유하고 있어 암발생을 억제해 주고, 동맥경화 및 심장병 등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칼국수는 여름철 시식(時食)의 하나로서 닭국물과 애호박이 잘 어울린다. 끈기가 많고 좋은 밀가루를 소정 량의 달걀을 잘 풀어서 섞은 물로 되직하게 반죽하여 오래 치댄 다음 촉촉한 보에 싸서 20분쯤 재운다. 이때 날콩가루를 섞어서 반죽하면 더욱 차지고 맛이 좋다. 재워 두었던 반죽을 국수 도마에서 얇고 고르게 밀어서 밀가루를 조금씩 뿌리면서 말아 가늘게 썬다. 닭을 고아서 살을 대강 떼어 놓고 나머지를 보에 싼 다음 꼭 짜서 닭국물을 장만한다. 준비한 국물에 소정 쪽의 마늘을 저며 넣고 소금간을 하여 불에 올려 팔팔 끓을 때 날칼국수 면을 넣고 애호박과 파를 채로 썰어 넣어 뚜껑을 닫고 끓인다. 삶은 닭고기를 곱게 찢어서 국수와 함께 넣고 끓여도 좋고 나중에 고명으로 얹어도 좋다. 국수가 위로 뜨고 애호박이 파랗게 익었으면 그릇에 떠서 먹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꾸지뽕나무를 이용한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닭고기와 꾸지뽕나무를 포함하는 주재료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꾸지뽕나무의 함량은 상기 닭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은 상기 용기 내용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거나 수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은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용기 내용물의 염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를 제공한다.
상기 닭칼국수는 상기 닭육수 및 이에 침지된 칼국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칼국수 면은 밀가루 100중량부 및 꾸지뽕나무 분말 5~20중량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꾸지뽕나무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맛, 냄새 및 색상이 좋고, 항암 작용 등 다양한 약효를 가지는 닭칼국수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은 닭고기와 꾸지뽕나무를 포함하는 주재료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닭고기는 날것일 수도 있고, 어느 정도 익힌 것이거나 완전히 익힌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닭고기로는 머리, 발 및 내장이 제거된 닭고기가 사용될 수 있다.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소교목으로서, 굿가시나무라고도 불리운다. 꾸지뽕나무는 가지에 가시가 있고,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달걀 모양인 것이 있으며, 열매는 붉은색이고 단맛이 나며, 뿌리와 껍질은 쓴맛이 난다. 이러한 꾸지뽕나무는 각종 암, 월경과다, 풍습에 의한 관절통, 폐결핵, 고열, 황달, 임병(淋病), 고창(蠱脹), 폐경, 타박상, 정창(睛脹), 부스럼, 청력 장애, 이명, 간염, 요통, 습진, 유행성 이하선염 및 종기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꾸지뽕나무는 잎, 열매, 뿌리, 껍질, 줄기, 가지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꾸지뽕나무에서 짠 기름(즉, 즙)은 수령이 50년 이하인 경우에는 황색을 띠고, 이후부터는 수령이 증가할수록 점차 붉은색을 많이 띠게 된다. 따라서, 꾸지뽕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닭요리(예를 들어, 닭백숙)는 황색, 붉은색 또는 그 중간색을 띠어 종래의 닭요리와 차별화된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닭육수 및 칼국수 면도 꾸지뽕나무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의 닭육수 및 칼국수 면과 차별화된 색상을 띠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닭요리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꾸지뽕나무는 특정 부분(예를 들어, 잎, 열매, 잔가지)이 통째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특정 부분(예를 들어, 줄기, 뿌리, 큰가지)이 소정 크기로 절단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 부분이 분쇄되어 분말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주재료는 황기, 통마늘, 대추, 대파, 감자, 고추, 양파, 생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소정 비율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의 함량은 상기 닭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약효가 우수하면서도 맛, 냄새 및 색상이 좋은 닭요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주재료와 물의 혼합물(즉, 용기 내용물)을 끓이는 단계는 100~250℃(예를 들어, 100~150℃)에서 5분~4시간(예를 들어, 1~1.5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쳐 얻어진 닭요리는 닭백숙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닭백숙은 건져내어 잘게 찢어 그대로 먹을 수도 있고, 양념장(이는, 예를 들어, 다진 마늘, 다진 파, 고추가루, 생강, 소금 및/또는 참기름을 포함함)으로 버무려 먹을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닭백숙을 상기 용기에서 건져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각종 양념(예를 들어, 다진 마늘, 다진 파, 고추가루, 생강, 소금 및/또는 참기름)을 첨가한 후 100~150℃(예를 들어, 100~120℃)에서 1분~50분(예를 들어, 5분~20분) 동안 더 끓여 닭요리를 제조할 수도 있다. 결과로서 얻어진 닭요리는 닭매운탕으로 지칭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닭요리는 닭고기 성분 외에 꾸지뽕나무 성분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약효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소화가 잘되며, 맛, 냄새 및 색상이 좋다. 또한, 상기 닭요리는 이에 함유된 꾸지뽕나무 성분이 닭고기 특유의 비린내를 차폐시킬뿐만 아니라 약간의 단맛 및 쓴맛을 내어 식욕을 돋우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은 상기 용기 내용물로부터 고형물(즉, 닭고기를 포함한 건더기)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내용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망(예를 들어, 채망)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결과로서 얻어진 닭요리는 닭육수로 지칭된다.
상기 고형물 중 닭고기는 별도로 수거된 후, 다진 마늘, 다진파, 소금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양념장으로 버무려져 후술하는 닭칼국수 위에 엊는 고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닭칼국수의 제조방법은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용기 내용물(즉, 닭육수)의 염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내용물의 염도 조절 단계는 소금, 간장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염도 조절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염도 조절제의 함량은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용기 내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예를 들어, 0.3~1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염도 조절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맛과 건강에 좋은 닭육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닭육수에 날칼국수 면을 투입하고 끓이거나, 상기 닭육수에 별도로 익힌 칼국수 면을 투입하고 끓임에 의해 닭칼국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칼국수 면(이는 날칼국수면 및/또는 익힌 칼국수 면을 포함함)을 끓이는 단계는 100~250℃(예를 들어, 100~150℃)에서 1~30분(예를 들어, 5~7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칼국수 면은 밀가루 100중량부 및 꾸지뽕나무 분말 5~20중량부(예를 들어, 10~15중량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분말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약효가 우수하고, 맛, 냄새 및 색상이 좋으면서도, 날칼국수 면의 제조시 찰기가 높은 밀가루 반죽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밀가루 반죽에는 날콩가루, 날계란, 식용유, 소금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닭육수에 칼국수 면을 넣을 때, 그 직전에, 또는 그 이후에(예를 들어, 칼국수 면이 반 이상 익었을 때) 떡, 호박, 감자, 미나리, 버섯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야채를 상기 닭육수에 더 투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닭칼국수는 전술한 닭육수가 가지는 여러가지 효능을 모두 가질뿐만 아니라, 보유하는 각각의 효능이 상기 닭육수에 비해 더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제조예 1: 날칼국수 면의 제조>
밀가루, 꾸지뽕나무 분말, 소금 및 물을 100:10:2: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잘 반죽하였다. 이어서, 상기 밀가루 반죽을 4℃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후, 상기 숙성된 반죽을 봉으로 밀어서 약 1.5mm의 두께로 얇게 편 다음, 밀가루를 뿌리면서 2~3회 접은 후, 약 2mm의 폭으로 썰어 날칼국수 면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닭육수 및 닭백숙의 제조>
냄비에 생닭고기, 꾸지뽕나무, 대파, 감자 및 물을 이 순서로서 100:20:1:5:300의 중량비로 넣고 약 12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끓였다. 이후, 상기 냄비로부터 건더기를 건져내어 닭백숙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냄비에 간장 및 소금을 상기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씩 투입하여 닭육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닭칼국수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닭육수가 담긴 냄비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날칼국수 면 및 양념장을 넣은 후, 상기 냄비 내용물을 약 120℃의 온도로 5분 동안 끓여 닭칼국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냄비에 투입된 날칼국수 면의 양은 상기 닭육수 1000ml에 대하여 300g이었다. 상기 양념장의 조성은 상기 닭육수 1000ml에 대하여 다진 마늘 10g, 다진 파 30g, 고추가루 30g 및 소금 5g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닭백숙과 닭육수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날칼국수 면 대신에 시판되는 날칼국수 면(우리농산, 생칼국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닭칼국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닭백숙 및 닭육수의 제조시 꾸지뽕나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닭칼국수의 제조시 상기 실시예 1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날칼국수 면 대신에 시판되는 날칼국수 면(우리농산, 생칼국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닭백숙, 닭육수 및 닭칼국수를 각각 제조하였다.
평가예
평가예 1: 닭백숙 및 닭칼국수의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닭백숙 및 닭칼국수에 대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훈련된 30명의 평가요원을 대상으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맛, 색상, 냄새 및 전체적인 선호도를 5점법으로 평가한 후, 각 점수를 항목별로 평균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각 항목별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항목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닭백숙 닭칼국수 닭백숙 닭칼국수 닭백숙 닭칼국수
4.7
4.8 4.8
4.3
3.8 3.5
색상 4.8 4.9 4.7 4.3
2.5 2.6
냄새 4.6
4.7 4.6
4.5 2.0 2.0
전체적인
선호도
4.7 4.8 4.7 4.4 2.7 2.8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닭백숙 및 닭칼국수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닭백숙 및 닭칼국수에 비해, 맛, 색상, 냄새 및 전체적인 선호도 등의 모든 검사 항목이 각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닭고기와 꾸지뽕나무를 포함하는 주재료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
    상기 용기 내용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거나 수거하는 단계;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용기 내용물의 염도를 조절하여 닭육수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닭육수에 날칼국수 면 또는 별도로 익힌 칼국수 면을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꾸지뽕나무의 함량은 상기 닭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이고, 상기 날칼국수 면 또는 상기 익힌 칼국수 면은 밀가루 100중량부 및 꾸지뽕나무 분말 5~20중량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인 닭칼국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19088A 2011-03-03 2011-03-03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KR10125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88A KR101253749B1 (ko) 2011-03-03 2011-03-03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88A KR101253749B1 (ko) 2011-03-03 2011-03-03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291A KR20120100291A (ko) 2012-09-12
KR101253749B1 true KR101253749B1 (ko) 2013-04-12

Family

ID=4711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088A KR101253749B1 (ko) 2011-03-03 2011-03-03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7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107A (ko) * 1998-11-03 2000-06-05 윤춘자 뽕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2521A (ko) * 2007-04-12 2008-10-16 이윤숙 백숙용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KR20100033277A (ko) * 2008-09-19 2010-03-29 문병권 발아현미상황버섯 칼국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107A (ko) * 1998-11-03 2000-06-05 윤춘자 뽕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2521A (ko) * 2007-04-12 2008-10-16 이윤숙 백숙용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KR20100033277A (ko) * 2008-09-19 2010-03-29 문병권 발아현미상황버섯 칼국수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새전북신문(꾸지뽕닭을 아시나요) *
새전북신문(꾸지뽕닭을 아시나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291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99B1 (ko) 탕수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탕수육
KR101426668B1 (ko) 강정 소스, 닭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13375A (zh) 一种卤菜卤汁的制备方法
KR102433639B1 (ko) 곤드레 파스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9522B1 (ko) 참마와 소맥분을 포함하는 찜닭 소스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578795B1 (ko) 즉석 건조 전복 해산물 죽의 제조방법
KR20220002855A (ko) 육전 물냉면 제조방법
KR101649028B1 (ko) 꽃게 강정 제조방법
KR101521503B1 (ko) 오징어먹물 찜닭의 제조방법
KR101401031B1 (ko) 닭발을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KR20180019956A (ko) 추어짬뽕의 제조방법
KR101848880B1 (ko) 흑우버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우버거 스테이크
KR20160109627A (ko) 볶음 탕수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탕수육
KR101418803B1 (ko) 메기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메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1253749B1 (ko) 닭칼국수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닭칼국수
KR102037760B1 (ko)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KR20150113518A (ko) 닭 뽕잎 칼국수
KR102588734B1 (ko) 짬뽕 감자 제조방법
KR102633922B1 (ko) 톳에서 추출한 헴(Heme) 분자를 활용한 대체육류 떡갈비 제조방법
KR102171815B1 (ko) 아귀강정의 제조방법
KR101061538B1 (ko) 벌나무를 이용한 복어육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복어 요리
KR100525277B1 (ko) 가금류의 숯불 훈제 전골의 조리방법
KR101801201B1 (ko) 마름 죽과 이의 제조방법
KR102109507B1 (ko) 막장 닭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806076B1 (ko) 더덕 닭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더덕 닭강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