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0182B1 -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 Google Patents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182B1
KR101210182B1 KR1020107026758A KR20107026758A KR101210182B1 KR 101210182 B1 KR101210182 B1 KR 101210182B1 KR 1020107026758 A KR1020107026758 A KR 1020107026758A KR 20107026758 A KR20107026758 A KR 20107026758A KR 101210182 B1 KR101210182 B1 KR 10121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er
door
doorway
door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4797A (en
Inventor
마사히로 시카이
도시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18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 있어서, 제1 검출 장치는 출입구의 측부에 배치된 발광기와,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발광기에 대향하여 발광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출입구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한다. 제2 검출 장치는 출입구의 측부를 따라서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기와, 투광기로부터의 광 빔을 받는 수광기를 구비하여, 출입구의 측부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한다. 제어장치는 제1 및 제2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In the slide door apparatus, the first detection apparatus includes a light emitt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oorway, and an imaging means for imaging the light emitter opposite the light emitter with the doorway therebetween to detect an object present at the doorwa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er that emits a light beam along the side of the doorway, and a light receiver that receives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projector, and detects an object present near the side of the doorway.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본 발명은 도어를 자동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door device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door horizontally, and an elevator using the same.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서는 출입구의 좌우 세로 프레임에, 길고 연속한 발광면을 갖는 한 쌍의 발광기와, 대향하는 발광기의 발광면을 촬상하는 한 쌍의 카메라가 마련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출입구의 전체가 감시 영역으로서 커버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In the conventional slide door apparatus, a pair of light emitters having a long continuous light emitting surface and a pair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light emitting surfaces of the opposing light emitter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of the doorway, whereby It is covered as a monitoring area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제2004-33884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338846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서는 출입구의 전폭(全幅)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있지만, 그 물체가 세로 프레임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판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어 열림 동작(door opening action) 중에 이용자가 열려 있는 출입구를 통과하려고 하면, 세로 기둥과 도어의 사이에 이용자가 끌려 들어갈 염려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를 검출함으로써 도어 열림 동작이 일단 정지되어 이용자의 통행이 불필요하게 저해된다.In the conventional slide door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can be detected at the full width of the entrance and exit, but it cannot be determined how far the object is from the vertical frame. For this reason, if the user attempts to pass through an open doorway during a door opening action,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stopped once by detecting the user even though there is no fear of the user being drawn between the column and the door. This unnecessarily hinders the traffic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출입구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함과 더불어 검출된 물체의 위치를 판별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slide door device and an elevator us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convenience by detecting an object present at an entrance and a location of the detected object. do.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 장치는,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출입구의 측부에 배치된 발광기와,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발광기에 대향하여 발광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출입구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장치; 출입구의 측부를 따라서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기와, 투광기로부터의 광 빔을 받는 수광기를 구비하여, 출입구의 측부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장치;및 제1 및 제2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 slide do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moving horizontally; A first detection device having a light emitter disposed at a side of the doorway and an image pickup means for imaging the light emitter opposite the light emitter with the doorway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detecting device detecting an object present at the doorway; A second detector for detecting an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side of the door, including a light emitter that emits a light beam along the side of the doorway, and a light receiver that receives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projector; and first and second detections;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장의 사이에 설치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출입구의 측부에 배치된 발광기와,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발광기에 대향하여 발광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출입구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장치; 출입구의 측부를 따라서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기와, 투광기로부터의 광 빔을 받는 수광기를 구비하여, 출입구의 측부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장치; 및 제1 및 제2 검출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n elevator car which elevates in a hoistway; Elevato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way installed between the car and the platform by moving horizontally; A first detection device having a light emitter disposed at a side of the doorway and an image pickup means for imaging the light emitter opposite the light emitter with the doorway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detecting device detecting an object present at the doorway; A second detection device having a light emitter for emitting a light beam along the side of the doorway and a light receiver receiving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emitter, for detecting an object present near the side of the doorway;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출입구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함과 더불어 검출된 물체의 위치를 판별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lide door and the elevato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existing at the entrance and exit an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to improve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칸 도어 장치를 칸 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 3은 감시 영역 내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도 2의 화상 처리 판정부로 얻을 수 있는 차분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감시 영역 내에 물체가 존재할 때에 도 2의 화상 처리 판정부로 얻을 수 있는 차분 화상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감시 영역 내에 물체가 존재할 때에 도 2의 화상 처리 판정부로 얻을 수 있는 차분 화상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의 주제어부의 도어 열림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주제어부의 도어 열림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front view which looked at the cage door apparatus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rom the cage inside.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car door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fferenc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ing unit of FIG. 2 when no object exists in the monitoring area.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differenc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in FIG. 2 when an object exists in the surveillance area.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differenc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in FIG. 2 when an object exists in the surveillance area.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the door of the main control unit of FIG. 2 is opened.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door of the main control unit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cage do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housing of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housing of FIG. 8.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1st housing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hous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슬라이드 도어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 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1)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는 수평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로서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의 주위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프레임(3)이 마련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front view which looked at the cage door apparatus (slide do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rom the cage | basket | car interior. In the figure, the car 1 and the door 1a which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a hoistway are provided. The car door 1a is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and second car doors 2a and 2b as horizontally moving elevator doors. The car doorway frame 3 is provided around the car doorway 1a.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프레임(3)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의 좌우에 마련된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3a, 3b)과,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3a, 3b)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된 상부 수평 프레임(3c)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의 바닥부에 마련된 하부 수평 프레임(3d)을 갖고 있다.The car doorway frame 3 has an uppe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3a and 3b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 doorway 1a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3a and 3b. It has the horizontal frame 3c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3d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1a.

제2 세로 프레임(3b)의 전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4)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4)에는 표시 장치(5), 경보 장치(6), 복수의 층 지정 버튼(7), 도어 열림 버튼(8) 및 도어 닫힘 버튼(9)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수평 프레임(3c)의 전면에는 이동중인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10)이 마련되어 있다.The car operating panel 4 is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2nd vertical frame 3b. The car operating panel 4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5, an alarm device 6, a plurality of floor designation buttons 7, a door open button 8, and a door close button 9.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3c is provided with the indicator 10 which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moving car 1 in motion.

제1 세로 프레임(3a)의 제2 세로 프레임(3b)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1 발광기(1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발광기(11)는 상하 방향으로 길고 연속한 제1 발광면(11a)을 갖고 있다. 제2 세로 프레임(3b)의 제1 세로 프레임(3a)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2 발광기(1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발광기(12)는 상하 방향으로 길고 연속한 제2 발광면(12a)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발광면(11a, 12a)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의 거의 전체 높이에 도달하도록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The first light emitter 11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a that faces the second vertical frame 3b. The first light emitter 11 has a long and continuous first light emitting surface 11a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light emitter 12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3b that faces the first vertical frame 3a. The second light emitter 12 has a long and continuous second light emitting surface 12a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surfaces 11a and 12a are provided to reach almost the entire height of the car doorway 1a, and face each other with the car doorway 1a interposed therebetween.

제1 세로 프레임(3a)의 제2 세로 프레임(3b)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단부에는, 제2 발광면(12a)을 촬상하는 제1 촬상 수단으로서의 제1 카메라(1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카메라(13)는 제1 발광면(11a)의 상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2 세로 프레임(3b)의 제1 세로 프레임(3a)에 대향하는 측면의 하단부에는, 제1 발광면(11a)을 촬상하는 제2 촬상 수단으로서의 제2 카메라(14)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카메라(14)는 제2 발광면(12a)의 하단부에 인접해서 마련되어 있다.In the upper end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1st vertical frame 3a which opposes the 2nd vertical frame 3b, the 1st camera 13 as 1st imaging means which image | photographs the 2nd light emitting surface 12a is provided. The 1st camera 13 is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he upper end part of the 1st light emitting surface 11a.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2nd vertical frame 3b which opposes the 1st vertical frame 3a, the 2nd camera 14 as 2nd imaging means which image | photographs the 1st light emitting surface 11a is provided. The second camera 14 is provid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surface 12a.

제1 세로 프레임(3a)의 제2 세로 프레임(3b)에 대향하는 측면의 하단부에는, 거의 제1 세로 프레임(3a)에 따라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광 빔을 출사하는 제1 투광기(1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투광기(15)는 제1 발광면(11a)의 하단부에 인접해서 마련되어 있다. 상부 수평 프레임(3c)의 아랫면의 일단부(제1 세로 프레임(3a)측의 단부)에는 제1 투광기(15)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받는 제1 수광기(16)가 마련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a that faces the second vertical frame 3b, a first light projector 15 that emits light beams obliquely upward along the first vertical frame 3a is provided. . The first light projector 15 is provid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ght emitting surface 11a. At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3c (the end on the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a), a first light receiver 16 that receives the light beam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projector 15 is provided.

제2 세로 프레임(3b)의 제1 세로 프레임(3a)에 대향하는 측면의 하단부에는, 거의 제2 세로 프레임(3b)에 따라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광 빔을 출사하는 제2 투광기(17)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투광기(17)는 제2 발광면(12a)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제2 카메라(14)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수평 프레임(3c)의 아랫면의 타단부(제2 세로 프레임(3b)측의 단부)에는 제2 투광기(17)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받는 제2 수광기(18)가 마련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3b that faces the first vertical frame 3a, a second light projector 17 that emits light beams obliquely upward along the second vertical frame 3b is provided. . The second light projector 17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camera 14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surface 12a.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3c (the end on th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3b), a second light receiver 18 that receives the light beam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projector 17 is provided.

또한, 제1 및 제2 투광기(15, 17)는 세로 프레임(3a, 3b)의 하단으로부터 약 10 ~ 30cm의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및 제2 수광기(16, 18)는 상부 수평 프레임(3c) 아랫면의 세로 프레임(3a, 3b)으로부터 약 5~20cm의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으로, 거의 세로 프레임(3a, 3b)을 따른 직선 모양의 검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15 and 17 at a position of about 10 to 30 cm from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1st and 2nd light receivers 16 and 18 in the position of about 5-20 cm from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3c. By arranging in this way, the linear detection area along the nearly vertical frames 3a and 3b can be secured.

또, 제1 및 제2 발광기(11, 12), 제1 및 제2 카메라(13, 14), 및 제1 및 제2 투광기(15, 17)는 세로 프레임(3a, 3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세로 프레임(3a, 3b)의 표면에 대해서 요철없이 마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를 통과하는 승객이나 대차(cart)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먼지 등의 퇴적을 막아서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11 and 12,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3 and 14,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15 and 17 protrude from the surfaces of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It is desirable to be provided so as not to.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without irregulariti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ct with passengers and carts passing through the car entrance and exit 1a, and to prevent deposition of dust and the like,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detection accuracy.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의 개폐 동작은 개폐 제어부(19)에 의해 제어된다. 개폐 제어부(19)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 위에 탑재되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를 구동하는 도어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한다.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car door apparatus of FIG. 1. In the figu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car doors 2a and 2b are controll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19.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19 is mounted on the car 1, for example, and controls a door motor (not shown) that drives the car doors 2a and 2b.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로부터의 신호는 화상 처리 판정부(20)에 보내진다. 화상 처리 판정부(20)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의 개폐시에,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로부터의 광이 물체(장해물)에 의해 차단되는지를 판정한다.The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3 and 14 are sent to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performs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based on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3 and 14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car doors 2a and 2b.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ight from 11, 12 is blocked by an object (obstacle).

제1 및 제2 발광기(11, 12), 제1 및 제2 카메라(13, 14), 화상 처리 판정부 (20), 제1 및 제2 투광기(15, 17), 경보 장치(6) 및 개폐 제어부(19)는 주제어부 (21)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 처리 판정부(20), 제1 및 제2 수광기(16, 18) 및 개폐 제어부(19)로부터의 신호는 주제어부(21)에 입력된다.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11 and 12, first and second cameras 13 and 14,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15 and 17, alarm device 6 and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9 is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21. Signals from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the first and second light receivers 16 and 18,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19 are input to the main control unit 21.

주제어부(2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의 개폐시에 제1 및 제2 발광기 (11, 12)로부터 광을 조사시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 부근의 물체 유무를 감시한다. 또, 주제어부(21)는 적어도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의 개방시에 제1 및 제2 투광기(15, 17)로부터 광 빔을 출사시켜,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3a, 3b)근방의 물체 유무를 감시한다. 이에 더하여, 주제어부(21)는 물체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의 개폐 지령을 개폐 제어부(19)에 보낸다.The main control part 21 irradiates light from the 1st and 2nd light emitters 11 and 12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ge doors 2a and 2b, and monito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vicinity of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1a.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21 emits light beams from the first and second light projectors 15 and 17 at least when the car doors 2a and 2b are opened,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3a and 3b. Monitor the presence of nearby objects.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part 21 sends the opening / closing command of the cage | basket | car doors 2a and 2b to the opening-and-closing control part 19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an object.

개폐 제어부(19), 화상 처리 판정부(20) 및 주제어부(21)는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개폐 제어부(19), 화상 처리 판정부(20) 및 주제어부(21) 중 적어도 2개를 공통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개폐 제어부(19) 및 주제어부(21)를 갖고 있다.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9,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and the main control unit 21 are each constituted by a microcomputer. However, at least two of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9,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ing unit 20, and the main control unit 21 can be configured by a common microcomputer. In addition, in Embodiment 1, the control apparatus has the opening-closing control part 19 and the main control part 21. As shown in FIG.

또, 세로 프레임(3a, 3b) 사이, 즉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장치(22)는,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와 제1 및 제2 카메라(13, 14)와 화상 처리 판정부(20)을 갖고 있다. 이에 더하여, 세로 프레임(3a, 3b)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장치(23)는 제1 및 제2 투광기 (15, 17)와 제1 및 제2 수광기(16, 18)를 갖고 있다.Moreover, the 1st detection apparatus 22 which detects the object which exists between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ie, the car doorway 1a, has the 1st and 2nd light emitters 11 and 12 and the 1st and 1st It has two cameras 13 and 14 and an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In addition,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for detecting an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15 and 17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receivers 16 and 18. )

여기서, 제1 검출 장치(22)와 제2 검출 장치(23)에 있어서, 서로의 광이 간섭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1 검출 장치(22)에서 이용하는 광의 파장과 제2 검출 장치(23)에서 이용하는 광의 파장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검출 장치(22)에서는 발광기(11, 12)가 적색으로 빛나고, 카메라(13, 14)는 적색만을 촬영하도록 하고, 제2 검출 장치(23)에서는 투광기(15, 17)가 근적외광을 출사하고, 수광기(16, 18)는 근적외광만을 수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first detection device 22 and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the wavelength of the light used by the first detection device 22 and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are used so that the light of each other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velength of the light used differs. For example, in the first detection device 22,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glow red, and the cameras 13 and 14 photograph only the red color. In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the light emitters 15 and 17 are used. Preferably emits near-infrared light, and the receivers 16 and 18 receive only near-infrared light.

다음으로, 제1 검출 장치(22)에 의한 물체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발광기(11, 12)가 점등하고 있지 않을 때의 카메라(13, 14)로부터의 화상 데이터(α)와, 발광기(11, 12)가 점등하고 있을 때의 화상 데이터(β)를 화상 처리 판정부(20)에 반입(import)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β)에서 화상 데이터(α)를 뺀 차분 화상(γ)을 연산한다. 물체 감시를 실행할 때에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Next, the object detection method by the 1st detection apparatus 22 is demonstrated. First, the image data? From the cameras 13 and 14 when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are not turned on, and the image data? When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are turned on are image processing plates. Import into the government (20). The difference image γ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image data α from the image data β. When performing object monitoring,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이와 같은 차분 처리를 실행하면, 차분 화상(γ)에는 주위의 외광이 제거된 발광면(11a, 12a)의 이미지만 남는다. 따라서, 카메라(13, 14)를 정점으로 하고 발광면(11a, 12a)을 저변으로 하는 2개의 삼각형의 감시 영역 내에 광을 차단하는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분 화상(γ)에는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연속한 1개의 직선 모양의 발광면 이미지가 남는다.When such a difference process is executed, only the images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s 11a and 12a from which ambient light is removed are left in the difference image γ. Therefore, when there is no object blocking the light in the two triangular monitoring areas with the cameras 13 and 14 as the vertex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s 11a and 12a as the base, the difference image γ is shown in FIG. One continuous straight light emitting image as shown remains.

이것에 대하여, 감시 영역 내에 광을 차단하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광의 일부가 차단되기 때문에, 차분 화상(γ)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발광면 이미지가 남는다. 즉, 도 4의 차분 화상(γ)에서는 발광면 이미지가 복수로 분단되어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의 차분 화상(γ)에서는 발광면 이미지의 길이가 통상시(도 3)보다도 짧아져 있다. 화상 처리 판정부(20)는 발광면 이미지가 불연속으로 된 것, 짧아진 것, 또는 발광면 이미지가 없어진 것을 검출하면, 세로 프레임(3a, 3b) 사이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정하여, 그 취지의 신호를 주제어부(21)에 보낸다.On the other hand, when an object which blocks light exists in the monitoring area, part of the light is block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surface image as shown in Fig. 4 or 5 remains in the difference image γ. That is, in the difference image γ of FIG. 4, the light emitting surfac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is discontinuous. In the difference image γ in FIG. 5, the length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image is shorter than that in normal time (FIG. 3). The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determines that an object exists between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when detecting that the light emitting surface image is discontinuous, shortened, or that the light emitting surface image is missing. The signal is sent to the main control unit 21.

다음으로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한 물체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투광기(15)와 제1 수광기(16)의 사이에 물체가 존재하면, 제1 수광기(16)에서 수신되는 제1 투광기(15)로부터의 광의 수광량이 저하된다. 마찬가지로, 제2 투광기(17)와 제2 수광기(18)의 사이에 물체가 존재하면, 제2 수광기(18)에 수신되는 제2 투광기(17)로부터의 광의 수광량이 저하된다. 그리고, 제1 수광기(16) 또는 제2 수광기(18)의 수광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되면, 주제어부(21)에서는 세로 프레임(3a, 3b)의 근방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Next, the object detection method by the 2nd detection apparatus 23 is demonstrated. When an object exists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er 15 and the first light receiver 16,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first light emitter 15 received by the first light receiver 16 is lowered. Similarly, when an object exists between the second light emitter 17 and the second light receiver 18,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er 17 received by the second light receiver 18 is lowered. And when the light reception amount of the 1st light receiver 16 or the 2nd light receiver 18 falls below a preset threshold, the main-control part 21 determines that an object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다음으로 도 6은 도 2의 주제어부(21)의 도어 열림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주제어부(21)는 엘리베이터 칸(1)이 승강장 층에 정지한 후,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가 실제로 도어 열림 동작을 개시하기 소정 시간전(예를 들면 몇 초 전)에,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에 의한 물체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여 물체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 이때, 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타이밍으로 통상 도어 열림을 개시한다(스텝 S2).Next,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opening the door of the main control unit 21 of FIG. 2. After the car 1 stops on the landing floor, the main control part 21 is provided with a first time before the car doors 2a and 2b actually start the door opening operation (for example, a few seconds before). And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object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s 22, 23 is start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step S1). At this time, if an object is not detected, normal door opening is started at a normal timing (step S2).

이에 반하여, 물체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칸(1) 안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로부터 떨어지도록, 표시장치(5) 및 경보 장치(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경고를 발생시킨다(스텝 S3). 구체적으로는, 미리 기억된 음성(또는 경고음), 예를 들면 「도어가 열립니다. 도어로부터 떨어져 주세요.」등의 안내를 경보 장치(6)로부터 방송하거나, 미리 기억된 문자 정보를 표시장치(5)에 표시하거나 한다. 그리고, 물체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통상 도어 열림을 개시한다.On the contrary, when an object is detected, at least one of the display device 5 and the alarm device 6 generates a warning so that the passenger in the car 1 is separated from the car doors 2a and 2b ( Step S3). Specifically, the voice (or warning sound) memorized in advance, for example, "Door opens. "Please stay away from the door" and the like to broadcast the information from the alarm device 6, or display the tex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on the display device 5. When the object is no longer detected, the door is normally opened.

통상 도어 열림을 개시하면, 제1 검출 장치(22)에 의한 물체 검출 동작을 정지하고,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한 물체의 검출 동작만을 계속한다(스텝 S4).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도어 열림 동작을 계속한다(스텝 S5). 그리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가 완전 열림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한 물체 검출 동작을 계속한다(스텝 S4 ~ S6). 그리고,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가 완전 열림 위치까지 이동하면, 처리를 종료한다.Normally, when the door is opened, the object detection operation by the first detection device 22 is stopped, and only the object detection operation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is continued (step S4). If the object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continued (step S5). Then, the object detection operation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is continued until the first and second car doors 2a and 2b move to the fully open position (steps S4 to S6). And if the 1st and 2nd car doors 2a and 2b move to the fully open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object was not detected by the 2nd detection apparatus 23, a process will be complete | finished.

한편, 도어 열림 동작 중에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도어 열림 동작을 일단 정지시켜(스텝 S7), 상기와 같은 경고 동작을 실시한다(스텝 S8). 그리고,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도어 열림 동작을 정지한 상태로 경고 동작을 계속한다.On the other hand, if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during the door opening operation,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once stopped (step S7), and the above warning operation is performed (step S8). Then, the warning operation is continu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stopped until the object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칸 도어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장치(22)와, 세로 프레임(3a, 3b)의 근방, 즉 세로 프레임(3a, 3b)이라든지 도어(2a, 2b) 사이의 틈새의 근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장치(23)의 양쪽 모두에 의해 물체의 유무가 감시된다. 이 때문에, 도어 열림 개시 전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의 전체에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의 근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고, 또 도어 열림 개시 후에는 도어 열림 동작의 방해가 되는 위치, 즉 세로 프레임(3a, 3b)의 근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열림 동작 중에 이용자가 열려있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를 통과하려고 하더라도, 도어 열림 동작을 일단 정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통행이 불필요하게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a, 2b)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함과 더불어 검출된 물체의 위치를 판별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ar door device of such an elevator, the first detection device 22 for detecting an object present in the car door 1a and the vicinity of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that is,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or the do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is monitored by both the 2nd detection apparatus 23 which detects the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learance gap between (2a, 2b). For this reason,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the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ar doors 2a and 2b can be detected in the whole car doorway 1a, and after the door opening start, the position which obstructs the door opening operation | movement is started. That is, the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can be detected. Therefore, even if the user tries to pass through the car doorway 1a that is open during the door opening operation, the door open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opped once,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passage from being unnecessarily imped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present in the car doors 2a and 2b an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또, 주제어부(21)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감시하고, 도어 열림 개시로부터 도어 완전 열림까지의 동안에 제2 검출 장치(23)에서만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감시하므로, 도어 열림 동작의 단계에 따라 효율적으로 물체의 유무를 감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21 monitor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22 and 23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until the door opening start, and starts the door opening. Since the object is detected only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during the period from the door to the complete opening of the do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can be efficiently monitor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door opening operation.

이에 더하여, 주제어부(21)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경보 장치(6)에 의해 경고를 발생시키고, 도어 열림 개시부터 도어 완전 열림까지의 동안에 제2 검출 장치(23)만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경보 장치(6)에 의해 경고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도어 열림 동작의 단계에 따라 적당하게 경고를 발생시켜, 도어 열림 동작을 부드럽게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22 and 23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s until the main control part 21 starts the door opening, the alarm device 6 A warning is generated by the alarm device 6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onl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23 during the door opening start to the complete door opening. By appropriately generating a warning, the door ope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실시 형태 2.Embodiment 2 Fig.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주제어부(21)의 도어 열림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유사하다.Next, FIG. 7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the door opening of the main control part 21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and the structure of a cage | basket | car door apparatus is similar to Embodiment 1. FIG.

이 예에서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어 경보 장치(6)에 의해 경고를 발생시킨 후,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다시 확인한다(스텝 S9). 그리고, 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통상 도어 열림을 개시한다(스텝 S2).In this example,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22 and 23 from the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until the door opening start, and the alarm device 6 generates a warning. Then, it is checked again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22, 23 (step S9). And if an object is not detected, normal door opening will start (step S2).

한편, 경고를 발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물체가 다시 검출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어가 열립니다.」등의 경고를 경보 장치(6)에 의해 발생시키고(스텝 S10), 통상보다도 저속으로 도어 열림 동작을 개시한다(스텝 S11). 저속 도어 열림을 개시하면,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에 의한 물체의 검출 동작을 정지하고, 도어 완전 열림까지 저속 도어 열림 동작을 계속한다.On the other hand, if an object is detected again despite the occurrence of a warning, for example, a warning such as "door opens" is generated by the alarm device 6 (step S10), and the door is opened at a lower speed than usual. The operation starts (step S11). When the low speed door opening is started,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object by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22, 23 is stopped, and the low speed door opening operation is continued until the door is fully open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칸 도어 장치에서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통상보다도 저속으로 도어 열림 동작을 실행하기 때문에, 도어 열림을 개시하지 않는 상태가 언제까지나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such a cage door apparatus of an elevator,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22 and 23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until the door opening start, the door is opened at a lower speed than usual. Since the operation is executed, the state of not starting the door opening can be prevented from continuing forever and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1번 경고 후에 물체가 다시 검출되면 저속 도어 열림을 개시했지만, 미리 설정된 회수의 경고 후에 물체가 계속해서 검출된 경우에 저속 도어 열림을 개시하여, 미리 설정된 회수까지는 도어 열림을 개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object is detected again after the first warning, the low speed door is opened, but when the object is continuously detected after the warning of the preset number of times, the low speed door is opened and the door is opened until the preset number of times. It may be prevented from starting.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도어 열림 개시 후에 제2 검출 장치(23)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도어 열림 동작을 정지하도록 했지만, 이 경우도, 1번 또는 복수 번의 경고 후에 저속으로 도어 열림 동작을 재개할 수도 있다.Moreover, in Embodiment 2, when an object was detected by the 2nd detection apparatus 23 after the door opening start, the door opening operation was stopped, but also in this case,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resumed at low speed after one or several warnings. You may.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칸 도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제1 세로 프레임(3a)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에 향하여 제1 하우징(24)이 고정되어 있다. 제2 세로 프레임(3b)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에 향하여 제2 하우징(25)이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24, 25)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의 거의 전체 높이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제1 및 제2 하우징(24, 25)은 세로 프레임(3a, 3b)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a, 2b)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8 is sectional drawing of the cage door apparatus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first housing 24 is fixed to the car doorway 1a in the first vertical frame 3a. The second housing 25 is fixed to the car doorway 1a on the second vertical frame 3b.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4 and 25 are provided to reach almost the entire height of the car doorway 1a and face each other with the car doorway 1a therebetween. Moreover, the 1st and 2nd housings 24 and 25 are being fixed to the edge part by the side of the car door 2a, 2b of the vertical frames 3a, 3b.

도 9는 도 8의 제1 하우징(24)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제2 하우징(2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하우징(24)에는 제1 발광기(11), 제1 카메라 (13) 및 제1 투광기(15)가 실장되어 있다. 제2 하우징(25)에는 제2 발광기(12), 제2 카메라(14), 및 제2 투광기(17)가 실장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유사하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ousing 24 of FIG. 8,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ousing 25 of FIG. 8. A first light emitter 11, a first camera 13, and a first light emitter 15 are mounted in the first housing 24. The second light emitter 12, the second camera 14,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17 are mounted in the second housing 25. The other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칸 도어 장치에서는 제1 발광기(11), 제1 카메라(13) 및 제1 투광기(15)를 미리 제1 하우징(24)에 실장하고, 제2 발광기(12), 제2 카메라(14) 및 제2 투광기(17)를 미리 제2 하우징(25)에 실장 해 둠으로써, 설치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age door apparatus of such an elevator, the first light emitter 11, the first camera 13, and the first light emitter 15 are mounted in the first housing 24 in advance,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12 and the second camera are installed. By mounting the 14 and the second light projector 17 in the second housing 25 in advance, the installation work at the installation site can be greatly reduced,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제1 투광기(15)의 설치 위치와 제1 수광기(16)의 설치 위치를 바꿀 수도 있고, 그 경우, 제1 하우징(24)에 제1 수광기(16)을 실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투광기(17)의 설치 위치와 제2 수광기(18)의 설치 위치를 바꿀 수도 있고, 제2 하우징(25)에 제2 수광기(18)를 실장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1st light receiver 15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1st light receiver 16 may be changed, and in that case, the 1st light receiver 16 may be mounted in the 1st housing 24. Similarl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er 17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light receiver 18 may be changed, and the second light receiver 18 may be mounted in the second housing 25.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제1 하우징(26)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제2 하우징(2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 발광기(11)의 옆에 제1 카메라(13) 및 제1 투광기(15)가 배치되고, 제2 발광기(12)의 옆에 제2 카메라(14) 및 제2 투광기(17)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실시 형태 4에서는 제1 발광기(11), 제1 카메라(13) 및 제1 투광기 (15)가 상하 방향으로 1열로 정렬되고, 제2 발광기(12), 제2 카메라(14) 및 제2 투광기(17)가 상하 방향으로 1열에 정렬되어 있다. 즉, 제1 발광기(11)의 위에 제1 카메라(13)가 배치되고, 제1 발광기(11)의 아래에 제1 투광기(15)가 배치되며, 제2 발광기(12)의 아래에 제2 카메라(14)가 배치되고, 제2 카메라(14)의 아래에 제2 투광기(17)가 배치되어 있다.Next,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housing 2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housing 27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Embodiment 3, the 1st camera 13 and the 1st light emitter 15 are arrange | positioned beside the 1st light emitter 11, and the 2nd camera 14 and the 2nd light emitter ( 17) are arranged. In contrast,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light emitter 11, the first camera 13, and the first light emitter 15 are aligned in one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12, the second camera 14, and the like. The second light projector 17 is arranged in one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camera 13 is disposed above the first light emitter 11, the first light emitter 15 is disposed below the first light emitter 11,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12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light emitter 12. The camera 14 is arranged, and the second light projector 17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camera 14.

이와 같이 배치를 함으로써, 제1 및 제2 하우징(26, 27)의 폭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제1 및 제2 하우징(26, 27)의 세로 프레임(3a, 3b)으로의 실장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By arranging in this way, the width dimension of the 1st and 2nd housings 26 and 27 can be made small, and the mounting space of the 1st and 2nd housings 26 and 27 to the vertical frames 3a and 3b is made. Can be shrunk.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발광기(11, 12)가 적색으로 빛나고, 투광기(15, 17)가 근적외광을 출사하도록 했지만, 발광기(11, 12) 및 투광기(15, 17)가 발산하는 광의 파장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발광기(11, 12)가 발산하는 광은, 녹색, 청색 또는 오렌지색 등일 수 있다. 또, 발광기(11, 12)가 근적외광을 발산하고, 투광기(15, 17)가 가시광선을 발산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발광기(11, 12)와 투광기(15, 17)가 서로 다른 파장의 근적외광을 발산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glow red and the light emitters 15 and 17 emit near infrared light, the wavelengths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and the light emitters 15 and 17 emit light. Is not limited to these. For example,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may be green, blue or orange.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may emit near infrared light, and the light emitters 15 and 17 may emit visible light. In addition, the light emitters 11 and 12 and the light emitters 15 and 17 may emit near infrared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로부터의 신호를 공통의 화상 처리 판정부(20)에서 처리했지만, 독립한 2개의 화상 처리 판정부에 의해 처리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3 and 14 are processed by the common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 20, but they can also be processed by two independent image processing determination units.

이에 더하여, 상기의 예에서는, 물체에 의해 차광되어 발광면 이미지가 중단되거나 짧아지거나 하는 것으로 물체를 검출했지만, 물체의 검출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최신의 차분 화상과 소정 시간 전의 차분 화상의 차분인 시간 차분 화상을 구하여, 시간 차분 화상에 소정치 이상의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이 방법에서는, 물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시간 차분 화상은 전면에서 거의 0 값이 된다. 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면, 시간 차분 화상에 소정치 이상의 부분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소정치 이상의 부분이 있으면,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발광면(11a, 12a)에 부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먼지를 배제하고, 승객 등의 움직이는 물체만을 효율 좋게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object is detected as being blocked by the object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image is interrupted or shortened. However, the detection method of the objec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time difference image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atest difference image and the difference imag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may be obtained,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exists in the time difference image. In this method, if there is no object, the time difference image becomes almost zero value in the foreground. In addition, if a moving object exists, a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ppears in the time difference image. For this reason, if there exists a part more than predetermined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tect only moving objects such as passengers, without removing dust which is attach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s 11a and 12a and not moving.

이에 더하여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제1 및 제2 검출 장치(22, 23)의 양쪽 모두에 의해 물체의 유무를 감시했지만, 이 시간대에는 제1 검출 장치(22)에서만 물체의 유무를 감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was monitored by both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22 and 23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until the door opening start, but at this time, Only the detection device 22 can monit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또, 상기의 예에서는 양쪽으로 열리는 방식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한쪽으로 열리는 방식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개수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Moreover, although the slide door apparatus of the system of opening to both sides was demonstrated in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also to the system of opening to one side, and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o the number of cage doors and landing doors.

이에 더하여, 상기의 예에서는 본 발명을 엘리베이터의 칸 도어 장치에 적용했지만, 승강장 도어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건물에 설치된 출입구, 열차 등의 탈것의 승강구, 또는 열차의 플랫폼의 승강구에도,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vator door apparatus,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a landing door apparatus. Moreover, the slide do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also to the entrance door of vehicles, the doorway of vehicles, etc. which are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he doorway of the platform of a train, for example.

1: 엘리베이터 칸 1a: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2a, 2b: 엘리베이터 칸 도어 3: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프레임
3a: 제1 세로 프레임 3b: 제2 세로 프레임
3c: 상부 수평 프레임 3d: 하부 수형 프레임
4: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 5: 표시 장치
6: 경보 장치 7: 층 지정 버튼
8: 도어 열림 버튼 9: 도어 닫힘 버튼
10: 표시등 11: 제1 발광기
12: 제2 발광기 13: 제1 카메라
14: 제2 카메라 15: 제1 투광기
16: 제1 수광기 17: 제2 투광기
18: 제2 수광기
1: car 1a: car door
2a, 2b: car door 3: car door frame
3a: first vertical frame 3b: second vertical frame
3c: upper horizontal frame 3d: lower male frame
4: cage operation panel 5: display device
6: alarm device 7: floor designation button
8: Door open button 9: Door closed button
10: indicator light 11: 1st light emitter
12: second light emitter 13: first camera
14: second camera 15: the first floodlight
16: first receiver 17: second emitter
18: second receiver

Claims (7)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출입구의 측부에 배치된 발광기와, 상기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기에 대향하여 상기 발광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출입구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장치;
상기 출입구의 측부를 따라서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기와, 상기 투광기로부터의 광 빔을 받는 수광기를 구비하여, 상기 출입구의 측부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발광기와 상기 투광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A door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to open and close the doorway;
A first detection device having a light emitter disposed at a side of the doorway and an image pickup means for imaging the light emitter opposite the light emitter with the doorway interposed therebetween to detect an object present in the doorway;
A second detector for detecting an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side of the door, including a light emitter that emits a light beam along the side of the doorway, and a light receiver that receives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projector; An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And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emitter emit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도어 열림 개시부터 도어 완전 열림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2 검출 장치만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감시하는 슬라이딩 도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monitor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until the door opening start, the door from the door opening start A sliding door device that monitor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only until fully ope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근방의 이용자에 대해서 경고를 발생하는 경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경보 장치에 의해 경고를 발생시키고, 상기 도어 열림 개시부터 도어 완전 열림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2 검출 장치만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경보 장치에 의해 경고를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The alarm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device for generating a warning to a user near the doorway,
The control device generates a warning by the alarm devic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until the door opening start, and starts the door opening. And an alarm is generated by the alarm devic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device only from the time of the door to the full opening of the do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도어 열림 개시의 소정 시간 전부터 도어 열림 개시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체가 검출되면, 통상보다도 저속으로 도어 열림 동작을 실행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3.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device executes the door opening operation at a lower speed than usual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door opening start until the door opening start. Slide doo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는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된 제1 발광기와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된 제2 발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된 제1 촬상 수단과,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된 제2 촬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기는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된 제1 투광기와,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된 제2 투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기는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된 제1 수광기와,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된 제2 수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기, 상기 제1 촬상 수단, 상기 제1 투광기 및 상기 제1 수광기 중 어느 하나가 제1 하우징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제2 발광기, 상기 제2 촬상 수단, 상기 제2 투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 중 어느 하나가 제2 하우징에 실장되어 있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er includes a first light emitt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way and a second light emitter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doorway,
The imaging means includes a first imaging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way, and a second imag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way,
The light emitter includes a first light emitt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a second light emitter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entrance,
The light receiver includes a first light receiv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a second light receiver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entrance,
Any one of the first light emitter, the first imaging means, the first light emitter and the first light receiver is mounted in a first housing,
And any one of the second light emitter, the second imaging means, the second light emitter, and the second light receiver is mounted in a second housing.
삭제delete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장의 사이에 설치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출입구의 측부에 배치된 발광기와, 상기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기에 대향하여 상기 발광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출입구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장치;
상기 출입구의 측부를 따라서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기와, 상기 투광기로부터의 광 빔을 받는 수광기를 구비하여, 상기 출입구의 측부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기와 상기 투광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엘리베이터.
Elevator cars which are elevated in the hoistway;
An elevator door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to open and close an entrance and exit installed between the car and the platform;
A first detection device having a light emitter disposed at a side of the doorway and an image pickup means for imaging the light emitter opposite the light emitter with the doorway interposed therebetween to detect an object present in the doorway;
A second detector for detecting an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side of the door, including a light emitter that emits a light beam along the side of the doorway, and a light receiver that receives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projector;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devices,
And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emitter emit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KR1020107026758A 2008-07-16 2008-07-16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Active KR1012101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2805 WO2010007670A1 (en) 2008-07-16 2008-07-16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797A KR20100134797A (en) 2010-12-23
KR101210182B1 true KR101210182B1 (en) 2012-12-07

Family

ID=4155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758A Active KR101210182B1 (en) 2008-07-16 2008-07-16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98686B1 (en)
JP (1) JP5554236B2 (en)
KR (1) KR101210182B1 (en)
CN (1) CN102083733B (en)
WO (1) WO2010007670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6884B1 (en) 2024-01-02 2024-07-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Elevator fall prevention door system
KR102686895B1 (en) 2024-01-23 2024-07-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Elevator fall prevention door system
KR102725922B1 (en) 2024-04-02 2024-11-05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Elevator safety do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9463B2 (en) * 2008-12-26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Sliding door device and elevator
JP2011195313A (en) * 2010-03-23 2011-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Door system
GB2519929B (en) * 2013-07-15 2016-09-07 Stannah Lif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rtical lifting platforms
CN111542482A (en) * 2017-12-28 2020-08-14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door device
CN110526058B (en) 2018-05-23 2022-06-03 奥的斯电梯公司 Elevator door monitoring system,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door monitoring method
JP6828108B1 (en) * 2019-09-09 2021-02-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user detection system
CN110723614B (en) * 2019-10-28 2021-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door, elevator and protec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562A (en) * 2001-07-25 2003-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oor safety control device
JP2004338846A (en) * 2003-05-14 2004-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JP3958940B2 (en) * 2001-03-12 2007-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Do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77A (en) * 1994-07-27 1996-02-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Safety device of elevator door
JP3297394B2 (en) * 1999-03-29 2002-07-02 株式会社ツーデン Mobile door safety device and safety and activation device
JP3995522B2 (en) * 2002-05-0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WO2004002869A1 (en) * 2002-06-28 2004-01-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oor control device of elevator
DE10260109B4 (en) * 2002-12-19 2014-05-22 Geze Gmbh sliding door system
JP4481091B2 (en) * 2004-06-15 2010-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Sliding door device
JP4792307B2 (en) * 2006-03-22 2011-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door safety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8940B2 (en) * 2001-03-12 2007-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Do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JP2003040562A (en) * 2001-07-25 2003-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oor safety control device
JP2004338846A (en) * 2003-05-14 2004-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6884B1 (en) 2024-01-02 2024-07-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Elevator fall prevention door system
KR102686895B1 (en) 2024-01-23 2024-07-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Elevator fall prevention door system
KR102725922B1 (en) 2024-04-02 2024-11-05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Elevator safety d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3733B (en) 2013-08-28
KR20100134797A (en) 2010-12-23
WO2010007670A1 (en) 2010-01-21
JP5554236B2 (en) 2014-07-23
EP2298686A4 (en) 2014-01-29
CN102083733A (en) 2011-06-01
EP2298686A1 (en) 2011-03-23
JPWO2010007670A1 (en) 2012-01-05
EP2298686B1 (en)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182B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JP5542661B2 (en) Sliding door device and elevator
JP5690504B2 (en) Safety elevator
JP5317426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567366B1 (en)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JP6791399B2 (en) Elevator security system
KR101751028B1 (en) evacuation guiding device for tunnel
JP2008100782A (en) Elevator and its safety device
JP6257379B2 (en) Elevator system
KR101210016B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JP4964300B2 (en) Sliding door device and elevator
JP5474067B2 (en) Sliding door device and elevator
JP6574139B2 (en) Parking equipment
KR101724600B1 (en) Screen do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0195537A (en) Monitoring device in car of elevator
CN112340560B (en) User detection system for elevator
JP5211935B2 (en) Sliding door device
JP2008222314A (en) Crime preven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elevator
JP2011098787A (en) Elevator system
JP2024080810A (en) Elevator System
HK40032802A (en) Elevator system
KR20070021196A (en) Video surveillance device of elevator
JP2007131368A (en) Elevator do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