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6491B1 - 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 Google Patents

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491B1
KR101206491B1 KR1020100010587A KR20100010587A KR101206491B1 KR 101206491 B1 KR101206491 B1 KR 101206491B1 KR 1020100010587 A KR1020100010587 A KR 1020100010587A KR 20100010587 A KR20100010587 A KR 20100010587A KR 101206491 B1 KR101206491 B1 KR 10120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air lift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0665A (en
Inventor
명노환
유병화
Original Assignee
유병화
명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화, 명노환 filed Critical 유병화
Priority to KR102010001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491B1/en
Publication of KR2011009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 새우 등과 같은 어류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장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물의 유입과 함께 미세한 공기방울을 배출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종래에 일반 순환여과식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양수기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기기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도 양식장 사육조 안의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하는 차세대 고밀도 양식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rm system and a method for farming fish, such as fish, shrimp, and the like, in particular, by using an air lift apparatus that discharges fine air bubbles with the inflow of water by supplying air inside a pipe, and is conventionally comm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xt-generation high density aquaculture facility that purifies and reuses water in aquaculture farm without using any kind of equipment including a water pump used in a circulating fish farm.

Description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본 발명은 물고기, 새우 등을 양식하기 위한 사육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물의 유입과 함께 미세한 공기방울을 배출하여 개체교환을 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종래에 일반 순환여과식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양수기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기기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도 양식장 사육조 안의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하는 차세대 고밀도 양식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eding system and aquaculture method for farming fish, shrimp,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by supplying air into a pipe, using an air lift apparatus for exchanging individual water by injecting fine air bubbles together with water infl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xt-generation high density aquaculture facility that purifies and reuses water in a farm breeding tank without using any kind of equipment including a water pump used in a general circulation filtration farm.

어류와 새우 등 양식 방법이 과거 저밀도 못양식에서 고밀도 탱크양식으로 발전해 가는 전환시점에 이르러 시설과 운영비의 부담이 가중되는 경향이 있어 양식생산 비용이 증대되는 추세이다.
As farming methods such as fish and shrimp reach the transition point from low density pond farming to high density tank farming, the burden on facility and operating costs tends to increase, leading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s.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밀도 순환여과식 양식장에서는 물속의 모자라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차, 에어O2, 공기분산기 등을 이용하거나 심지어는 액체산소, 고압산소, 산소발생기 등을 사용하여 극히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양식장을 운영하고 있는 상태이다.
In recent years, high density circulation filtration farms that use a lot of water, such as aberration, air O2, air disperser, or even liquid oxygen, high pressure oxygen, oxygen generator, etc. are extremely expensive in order to supply oxygen that is insufficient in water. The farm is operating in an inefficient way.

또한, 액체산소 등 순수산소를 사용하는 경우 물속의 어류에 의해 발생되는 유독한 탄산가스를 줄이기 위하여, 탄산가스 제거장치(de-gassing apparatus)를 사용하거나, 용해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포말분리기(skimmer)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러한 장치를 관리 및 운영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pure oxygen such as liquid oxygen is used, a de-gassing apparatus is used to reduce toxic carbon dioxide generated by fish in the water, or a foam separator is used to remove dissolved organic matter. ) May be used. However, these devices are expensive because they are expensiv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expensive to manage and operate such device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양수기, 산소 공급장치, 포말분리기, 탄산가스 제거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양식장 안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양수하는 간단한 장치만을 이용하여, 무환수, 무배수 및 저동력으로 초고밀도 양식이 가능한 양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water pump, oxygen supply device, foam separator, carbon dioxide gas removal device, etc., using only a simple device for pumping the air in the far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rm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ultra-high density farming with return, drainage and low pow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은, 사육조와, 상기 사육조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분리벽과, 상단부 일부가 개구된 공기배출구 및 하단부 일부가 개구된 유체유입구를 가지는 파이프(pipe); 상기 파이프 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파이프 내 하단부에 공기를 분산시키는 공기분산기;로 구성되는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구와 유체유입구는 파이프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한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가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다른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가 나란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quaculture system using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reeding tank, a separation wall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reeding tank, an air outlet open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and a fluid inlet opening a portion of the lower end Pipe having (pipe);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from an upper end portion to a lower end portion in the pipe; And an air dispers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to disperse air in the lower end of the pipe, wherein the air discharging port and the fluid inlet port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pipe.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are arranged side by side such that the air outlets of the air lift apparatus face the first direction in one region, and the air outlets of the air lift apparatus are arranged in the other region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 plurality of air lift devices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여기서, 상기 분리벽에는 상기 분리벽의 양쪽 영역으로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공기공급관에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이송관이 상기 분리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대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가 나란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paration wal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and air transfer pipes for transferring air to the air supply pipe to both areas of the separation wall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paration wall,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lifts It is preferred that the devices are coupled side by s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단부 일부가 개구된 공기배출구 및 하단부 일부가 개구된 유체유입구를 가지는 파이프(pipe); 상기 파이프 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파이프 내 하단부에 공기를 분산시키는 공기분산기;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와 유체유입구는 파이프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새우 양식 방법으로서, 사육조 내부에 분리벽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한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나란하게 배열하고,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다른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나란하게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벽을 중심으로 사육조 내부의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상기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공급관에 공기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새우 양식 방법일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a pipe having an air inlet open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and a fluid inlet opening a portion of the lower end;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from an upper end portion to a lower end portion in the pipe; And an air dispers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to disperse air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wherein the air outlet port and the fluid inlet port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pipe. Installing a dividing wall inside the breeding tank;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are arranged side by side such that the air outlets of the air lift apparatus face the firs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air of the air lift apparatus is arranged on the other region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rranging the plurality of air lift devices side by side such that the outlets face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first direction; And transferring air to the air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so that the water in the breeding tank circul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dividing wall. Can b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장 안에서 공기를 양수하는 간단한 장치만을 이용하여, 무환수, 무배수 및 저동력으로 초고밀도 양식이 가능한 양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using only a simple device for pumping air in a far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rming system and a method capable of ultra-high density farming with no return, no drainage, and low power.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양수기, 산소공급을 위한 수차, 액체산소 등과 같은 일체의 다른 산소 공급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용해유기물 제거를 위한 스키머(skimmer)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새우와 같은 각종 어류 등을 효과적으로 양식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quire any other oxygen supply device, such as a water pump, an aberration for oxygen supply, liquid oxygen, etc.,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prior art, and also a skimmer for removing dissolved organic matter. There is no need to use i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arm various fish such as shri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파이프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파이프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공급관과 공기분산기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 일례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의 에어 리프트 장치에서 공기배출과 유체유입의 상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에서 지지대 및 공기이송관이 형성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ipe of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ipe of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supply pipe and an air distributor of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used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tate of the air discharge and fluid inlet in the air lift apparatus of the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air transfer pipe is formed in the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an example of the aquaculture method using the air lif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양식장 안에서 공기를 양수하는 간단한 장치만을 이용하여, 무환수, 무배수 및 저동력으로 초고밀도 양식이 가능한 양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특히 파이프 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물의 유입과 함께 미세한 공기방울을 배출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ultra-high density aquaculture with no return, no drainage, and low power using only a simple device for pumping air in aquaculture farms, and in particular, by introducing air into a pip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n air lift device for discharging fine air bubbles.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에어 리프트 장치에 대하여, 2009.11.30 일자로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9-0116607)을 이미 완료하였고, 본 발명은 이러한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아래에서는 먼저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already completed a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No. 10-2009-0116607) dated November 30, 2009 for this air lif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quaculture system and aquaculture method using such an air lift device. To this end, first, the air lif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aquaculture system and aquacultu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파이프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파이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관과 공기분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ipe of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ip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supply pipe and an air disper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은 양식장이나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1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물의 유입과 함께 미세한 공기방울을 배출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1)이다. 이러한 에어 리프트 장치(1)는 양식장이나 수조의 물 속에 담구어 놓고 사용하는 것이며, 물 속에 미세한 공기방울을 공급함과 동시에 양식장의 물을 순환시키는 것이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air to aquaculture farms or tank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lift apparatus 1 for discharging fine air bubbles with the inflow of water by supplying air into the pipe 10. The air lift apparatus 1 is to be used by dipping in the water of a farm or a tank, and to circulate the water of the farm while supplying fine air bubbles in the water.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는, 파이프(10); 공기공급관(20); 및 공기분산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10)는 그 상단에 공기배출구(11)를 가지고 그 하단에는 유체유입구(12)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lif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 10; An air supply pipe 20; And an air disperser 30; the pipe 10 has an air outlet 11 at its upper end and a fluid inlet 12 at its lower end.

그래서, 본 발명은 파이프(10) 내부에 구비된 공기공급관(20)과 공기분산기(30)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10) 하단에 미세한 공기방울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10) 하단부에 형성된 유체유입구(12)를 통하여 양식장 바닥의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미세한 공기방울과 함께 파이프(10) 내부에서 상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 상단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supplies fine air bubbles to the bottom of the pipe 10 through the air supply pipe 20 and the air disperser 30 provided in the pipe 10, accordingly the pipe 10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farm is introduced through the fluid inlet 12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introduc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ipe 10 by moving to the upper end from the inside of the pipe 10 with fine air bubbles. Will b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10)는 상단부 일부가 개구된 공기배출구(11)와, 하단부 일부가 개구된 유체유입구(1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1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고, 그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원형 PVC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o this end, the pip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n air outlet 11 with a portion of the upper end opened, and a fluid inlet 12 with a portion of the lower end opened. The shape of the pipe 1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th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preferably it is possible to use a circular PVC pipe that is readily available on the market.

그리고, 상기 파이프(10)의 상단부 일부에는 후술하는 공기공급관(20)과 공기분산기(3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배출구(11)를 가진다. 상기 공기배출구(11)는 파이프(10)의 상단부 측면 일부가 절개 또는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파이프(10)가 원형인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0) 상단부 원기둥의 절반이 잘려나간 부위를 뜻한다. 이와 같이 공기배출구(11)가 파이프(10)의 상단부 측면 일부에 형성되면, 절단되지 않은 다른 부분에서는 공기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상기 공기배출구(11)쪽으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ipe 10 has an air outlet 11 for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pipe 20 and the air dispers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air outlet 11 may be formed by cutting or cutt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pipe 10. In the case where the pipe 10 is circular, as shown in FIG. 1, it means a portion in which half of the upper end cylinder of the pipe 10 is cut off. As such, when the air outlet 11 is formed at a part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pipe 10, since the air flow is blocked at another portion that is not cut,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the air flow toward the air outlet 11.

또한, 상기 파이프(10)의 하단부 일부에는 후술하는 공기공급관(20)과 공기분산기(3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파이프(10)의 상단부로 올라가면서 파이프(10) 외부의 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체유입구(12)를 가진다. 상기 유체유입구(12)는 파이프(10)의 하단부 측면 일부가 절개 또는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파이프(10)가 원형인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0) 하단부 원기둥의 절반이 잘려나간 부위를 뜻한다. 이와 같이 유체유입구(12)가 파이프(10)의 하단부 측면 일부에 형성되면, 절단되지 않은 다른 부분에서는 유체(예를 들어, 물)의 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상기 유체유입구(12)쪽으로 유체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pipe 20 and the air disperse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raised to the upper end of the pipe 10 to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pipe 10 to the water outside the pipe 10 to the inside. It has a fluid inlet 12 for inflow. The fluid inlet 12 may be formed by cutting or cutting a portion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pipe 10. In the case where the pipe 10 is circular, it means a portion where half of the lower end cylinder of the pipe 10 is cut off as shown in FIG. 1. As such, when the fluid inlet 12 is formed at a part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pipe 10, the flow of fluid toward the fluid inlet 12 is blocked because the flow of the fluid (for example, water) is blocked at other portions not cu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lead to.

이러한 공기배출구(11)와 유체유입구(12)는 파이프(10) 상에서 서로 같거나 비슷한 방향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ir outlet 11 and the fluid inlet 12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to each other on the pipe 10, or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관(2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0) 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공급수단과 연결된 튜브일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관(20)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공기분산기(30)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기공급관(20)은 관이나 튜브의 크기, 또는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하나일 수도 있고,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ir supply pip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o supply air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n the pipe 10, may be a tube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supply means. The air supply pipe 20, as shown in Figure 4,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pipe 10 and serves to deliver air to the air dispers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air supply pipe 20 may be one,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ube or tube, or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산기(30)는 상기 공기공급관(20)과 연결되어 파이프(10) 내 하단부에 공기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기분산기(30)는 파이프(10) 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공기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받은 공기를 미세한 공기방울로 분산시켜서 파이프(10) 내 하단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배출된 미세한 공기방울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블을 형성하면서 파이프(10) 안에서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상승압력에 따라 파이프(10) 하단부에 위치한 유체유입구(12)를 통하여 파이프(10) 밖의 유체가 파이프(10) 내부로 빨려 들어오면서 상기 버블과 함께 상승하는 것이다.
Furthermore, the air dispers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20 to disperse air in the lower end of the pipe 10. To this end, the air disperser 3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lower end in the pipe (10). Thus, the air received from the air supply pipe 20 is dispersed into fine air bubbles and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10. As shown in FIG. 5, the discharged fine air bubbles rise upward in the pipe 10 while forming bubbles, and through the fluid inlet 12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10 according to the rising pressure. (10) Out of the fluid is sucked into the pipe (10) to rise with the bubb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산기(30)에서 배출된 미세한 공기방울은 유체유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와 함께 버블을 형성해서 파이프(10) 상단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공기배출구(11)를 통하여 파이프(10) 밖으로 퍼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이브(10) 밖으로 퍼져나가는 버블을 통하여 양식장에는 충분한 양의 산소가 공급되고, 상기 자연스럽게 퍼져나가는 버블과 상기 유체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양식장 전체에서 자연스러운 물 흐름이 가능하며, 이러한 버블 및 물의 흐름과 파이프 내부에서의 공기방울 충돌에 의해 인이나 단백질이 분해되는 스키머 기능까지 가질 수 있는 것이다.
5 is a state diagram used to explain the function of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the fine air bubbles discharged from the air disperser 30 are fluids introduced through the fluid inlet 12. And bubbles are formed to rise to the upper end of the pipe 10 and then spread out of the pipe 10 through the air outlet 11. In this process, a sufficient amount of oxygen is supplied to the aquaculture farm through a bubble spreading out of the pipe 10, and a natural water flow is possible throughout the aquaculture farm by the naturally flowing bubble and the water flowing from the fluid inlet 12. In addition, it may have a skimmer function in which phosphorus or protein is decomposed by the bubble and water flow and the air bubbles collide inside the pipe.

이러한 에어 리프트 장치(1)를 생물 사육조나 양식장에 설치할 경우, 바닥의 오물을 수중으로 띄우고, 바닥의 유해한 가스를 물 표면으로 올려서 공기중으로 날려버릴 수 있다. 그리고, 수중의 단백질 분해산물을 수표면으로 올리고 작은입자의 공기방울을 많이 만들기 때문에 산소가 수중으로 많이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방울들이 물과 합쳐져 물의 비중이 낮아지게되고, 이를 에어 리프트 장치(1) 상부로 끌어올려 물을 뿜어대기 때문에 수류를 형성시켜 수중의 오물 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air lift apparatus 1 is installed in a biological breeding tank or aquaculture farm, the bottom of the floor may be floated in water, and the harmful gas of the floor may be rai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blown into the air. In addition, since the proteolytic products in the water are rai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a lot of air bubbles of small particl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oxygen. In addition, the air bubbles are combined with water to lowe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ter, and by raising it to the top of the air lift device (1) to spout the water can form a water flow to activate the dirt in the water.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는 산소를 포함하는 작은 버블들이 파이프(1) 내부의 관에 부딪혀 더 많은 산소를 만들어내고, 파이프(1) 안에 형성된 작은 수많은 공기방울들은 물의 비중을 낮게하여 수류를 일으키게 하기 때문에, 벤추리나,수차, 또는 산소발생기 역할을 하며, 바닥의 찌꺼기와 수중의 단백질 분해산물을 물표면으로 올리는 포말분리장치 기능도 가지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 이외에 별도의 벤추리, 수차, 산소발생기, 포말분리기 등이 필요 없고, 이것들을 가동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나 동력원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VC 와 같은 파이프와 공기공급관 및 공기분산기만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것으로, 가볍고 누구나 쉽게 만들수 있으며, 크기도 작아 원하는 위치에 자유자재로 설치하기가 좋다.
That is, in the 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all bubbles containing oxygen collide with the pipe inside the pipe 1 to produce more oxygen, and many small air bubbles formed in the pipe 1 lower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to flow It acts as a venturi, aberration, or oxygen generator, and also has the function of a foam separator that raises the bottom residue and proteolytic products in water to the water surface. Thus,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venturi, aberration, oxygen generator, foam separator, etc. in addition to the air lif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no separate equipment or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m is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consisting of only a pipe, such as PVC and the air supply pipe and the air disperser, light and easy to anyone, small size is good to install freely at the desired position.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에어 리프트 장치(1)를 실험하는 과정 중에, 공기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공급관(20)을 2개 이상 사용하였고, 이 때 상기 2개의 공기공급관(20)이 꼬이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공기공급관(20)이 꼬이면, 공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꼬임 부위에 새우나 어린 치어들이 끼어서 죽는 문제점 등도 발생하였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ors used two or more air supply pipes 20 to adjust the air pressure during the experiment of the air lift apparatus 1 described above, in which the two air supply pipes 20 are twisted. Found. When the air supply pipe 20 is twisted, not only the supply of air is not desired, but also a problem such as shrimp or young fry caught in the twisted portion occur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2개 이상의 공기공급관(20)을 감싸는 내관(4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관(40)은 상기 2개 이상의 공기공급관을 그 내부에 포함하여 둘러싸는 고정수단이다. 예를 들면, 직경이 작은 PVC 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다수의 작은 버블들이 몰아치더라도, 상기 2개 이상의 공기공급관(20)은 파이프(10) 내부에서 꼬이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tube 40 surrounding the two or more air supply pipes 20, as shown in FIG. The inner tube 40 is a fixing means surrounding the two or more air supply pipes included therei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small diameter PVC pipes. By this fixing means, even if a plurality of small bubbles are driven, the two or more air supply pipe 20 can maintain its shape without twisting inside the pipe (10).

나아가, 상기 2개 이상의 공기공급관(20)을 감싸는 내관(40)을 더 포함하더라도, 상기 내관(40)의 아래쪽 개구부로 새우나 어린 치어들이 계속해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상기 2개 이상의 공기공급관(20)이 관통하는 내관(40)의 밑면을 채우는 메움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3 참조). 이러한 메움수단(50)은 솜이나 고무 등일 수 있고, 이것을 밀어넣음으로써 내관(40)의 아래쪽 개구부를 봉합하여 새우나 어린 치어들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있다.
Furthermore, even if the inner tube 40 further includes the two or more air supply pipe 20,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rimp or young fry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lower opening of the inner tube 40,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filling means 50 for fill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ube 40 through which the two or more air supply pipes 20 pass (see FIG. 3). The filling means 50 may be cotton or rubber, and by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inner tube 40 to prevent the shrimp or young fry from entering.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 일례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aquacul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aquacul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사육조(110)와 분리벽(120)을 포함한다. 상기 사육조(110)는 새우와 같은 양식 대상 어종을 담기 위한 수조로서, 그 크기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As shown here, the aquacul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breeding tank 110 and a dividing wall 120. The breeding tank 110 is a tank for containing fish species, such as shrimp, the size or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그리고, 상기 분리벽(120)은 사육조(110) 안에서의 물 흐름이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육조(110) 내부를 일정한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분리벽(120)이 설치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사육조(110) 내부 중앙 부근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상기 분리벽(12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벽(120)의 위쪽을 제1영역으로 하고, 상기 분리벽(120)의 아래쪽을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viding wall 120 is to induce water flow in the breeding tank 110 to circul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has a function of dividing the inside of the breeding tank 110 into a predetermined area. Although the position at which the separation wall 120 is install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wall 1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near the inner center of the breeding tank 1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ng wall 120 into a first area and to divide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ng wall 120 into a second area, as shown in FIG. 7. .

그래서, 상기 구분된 영역에 따라 에어 리프트 장치(1)이 공기 배출 방향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육조(110) 전체에서의 물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리벽(120)은 사육조(110)의 수면 아래 일정한 깊이까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사육조(110)의 바닥면까지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리벽(120)의 수면 위쪽 부분은 사육조(110)까지 연결되어, 사용자가 양식장 전체에서 사육조(110)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이동 통로로서의 기능까지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리벽(120)의 중심 부분은 사육조(110) 바닥 깊이까지 설치되고, 상기 분리벽(120)의 양쪽 끝 부분은 수면의 위 또는 아래 일정한 깊이까지만 설치되어, 사육조(110) 전체에서의 물 흐름을 일정하게 순환시키면서 동시에 사육조(110)의 이동통로로서 사용 가능하다.
Therefore, the air lift apparatus 1 may se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vided area, thereby inducing the water flow in the entire breeding tank 110 to circulate in a constant direction. To this end, the dividing wall 120 may be formed to a certain depth below the surface of the breeding tank 110, or may be form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eeding tank 110.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wall 120 is connected to the breeding tank 110, may have a function as a moving passage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the breeding tank 110 in the entire farm. To this e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eparating wall 120 is installed to the bottom depth of the breeding tank 110, both ends of the separating wall 120 is installed only to a certain depth above or below the water surface, breeding tank 110 It can be used as a moving passage of the breeding tank 110 at the same time while constantly circulating the water flow throughou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100)은 상기한 에어 리프트 장치(1)를 다수개 포함하고,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배출구(11)와 유체유입구(12)는 파이프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100)의 에어 리프트 장치(1)에서 공기배출과 유체유입의 상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Subsequently, the aquacul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e above described air lift apparatuses 1, wherein the air outlet 11 and the fluid inlet 12 of the air lift apparatus 1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pipe.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direc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ate of air discharge and fluid inflow in the air lift device 1 of the aquacul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배출구(11)와 유체유입구(12)는 파이프(10) 상에서 서로 같거나 비슷한 방향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의 앞뒤방향으로 공기와 물의 순환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1)를 기준으로 뒤쪽에서는 물을 유입하고 앞쪽으로는 유입된 물과 함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outlet 11 and the fluid inlet 12 of the air lif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to each other on the pipe 10, or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be. When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ince the circulation of air and water is eas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 lif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rear side based on the air lift apparatus 1 and then moved forward. The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along with the introduced water.

그래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 다수개를 설치하여 양식장 전체의 물 흐름을 일관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상기 분리벽(120)을 기준으로 한쪽 제1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배출구(11)가 상기 분리벽과 수평한 제1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1)를 나란하게 배열시키고, 동시에 상기 분리벽(120)을 기준으로 다른쪽 제2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배출구(11)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즉, 제2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1)를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사육조(110) 전체에서 일관된 물 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육조(110) 전체에서의 물 흐름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분리벽과 수평한 제1방향이라 함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벽의 장폭에 수평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뿐만 아니라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분리벽의 장폭 방향으로부터 다소 기울어진 방향도 포함한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Thus, as shown in Figure 7,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air lif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sistently control the water flow of the entire farm. That is, the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1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region 120 such that the air outlet 11 of the air lift apparatus 1 faces the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separation walls. )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outlet 11 of the air lift apparatus 1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e,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other second area based on the separation wall 120. It is to arrange a plurality of air lift device (1) side by side to face (). Then, it is possible to enable a consistent water flow throughout the breeding tank 1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ells. This is to facilitate the flow of water in the entire breeding tank 110, so that the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dividing wall is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long width of the dividing wall as shown in FIG. It is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direction slightly inclined from the long width direction of the dividing wall as well as shown in FIG. 9.

만약, 상기 공기배출구(11)와 유체유입구(12)가 파이프(10) 상에서 서로 같거나 비슷한 방향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작은 수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의 상하방향으로 공기와 물을 순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If the air outlet 11 and the fluid inlet 12 ar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on the pipe 10, th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ir lif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mall tank It is easy to circulate wat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고밀도 순환여과식 양식시설에서 이용되는 복잡하고 정밀한 장치와 기기 없이도, 종래의 양식시설과 대등한 효과를 가진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간단한 에어 리프트 장치(1) 다수개가 동시에 공기를 양수하여 사육조 전체에 공급함으로써, 강한 회류 수류를 형성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속의 모든 물질을 골고루 분산 현탁하게 하여 고도의 수질정화를 가능케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same effect as the conventional aquaculture facilities without the complicated and precise devices and devices used in the conventional high density circulation filtration aquaculture facilities. That is, a plurality of simple air lift apparatus 1 as described above simultaneously pumps air and supplies it to the entire breeding tank,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orm a strong flow of water, thereby allowing all materials in the water to be evenly dispersed and suspended. Water purification is possible.

즉, 물리, 화학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에 의한 미세 기포의 상승과정에서 기포의 표면에 의한 물리적 흡착현상으로 물속의 미세 현탁물(SS)과 용존 유기물을 포말(거품) 형태로 만들어 물 표면으로 떠오르게 함으로써 물을 정화시키고, 또한 미세한 기포에 들어 있는 공기 중의 산소를 효율적으로 물속에 녹아들게 하며, 동시에 해양동물이 내어 놓은 유독한 탄산가스를 기포 안으로 옮기는 삼투현상에 의하여 수질을 정화시키는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In other words, physically and chemically, the fine suspension (SS) and the dissolved organic matter in water are foamed (bubble) by physical adsorption by the surface of the bubble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fine bubbles by the air lif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purified by making it float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o purify the water, and efficiently dissolve oxygen in the air in the fine bubbles into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osmotic phenomena that transfers poisonous carbon dioxide from marine animals into the bubbles. To purify the body.

또한, 생물학적으로는 해양동물이 내어놓은 배설물을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1)에 의한 수류형성 효과에 따라 바닥에 가라앉지 못하게 하여 부패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물속의 각종 부유 미생물의 영양으로 되어 수중 미생물군(활성오니)의 성장을 촉진하며, 이들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유독한 암모니아를 소비하여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iologically, the excrement put out by marine animals is prevented from sinking to the bottom according to the water flow forming effect by the air lift device (1) to prevent decay, and at the same time nourish various floating microorganisms in the water It promotes the growth of the group (active sludge) and can purify the water quality by consuming the toxic ammonia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se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상기한 작용에 의해 고도의 수질정화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체 다른 기계 기구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는 바다 새우 또는 어류의 고밀도 양식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rt a high water purification function by the above-described action. Thus, it enables a high density farming of sea shrimp or fish that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ny other mechanical equipmen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시스템(100)에서 지지대(130) 및 공기이송관(140)이 형성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130 and the air transfer pipe 140 is formed in the aquacul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벽(120)에는 상기 분리벽(120)의 양쪽 영역(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다수의 지지대(130)와 공기이송관(1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130) 각각에는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1)가 나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이송관(130)은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공급관(20)에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here, a plurality of supports 130 and air transfer pipes 130 may be installed in both of the partition walls 120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120. . The support 130 is for supporting an air lift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1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support units 130 side by side. In addition, the air transfer pipe 130 is for transferring air to the air supply pipe 20 of the air lift device (1).

상기 지지대(130)와 공기이송관(140)은 중앙 분리벽(120)에서부터 사육조(110)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130)와 공기이송관(140)은 서로 결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130)와 공기이송관(140)은 중앙 분리벽(120)과 연결됨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벽(120)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분리벽(1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육조(110) 전체에서의 물 흐름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한 방향이라 함은 상기 지지대(130)와 공기이송관(140)이 분리벽(120)과 90°각도로 결합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뿐만 아니라 90°를 중심으로 이와 유사한 대략 60°~ 120°, 그 중에서도 80°~100°의 각도로 결합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upport 130 and the air transfer pipe 140 may extend from the central dividing wall 120 to the breeding tank 110, and the support 130 and the air transfer pipe 1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upport 130 and the air transfer pipe 14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paration wall 120, as shown in Figure 9, may be form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paration wall 120,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viding wall 120. In order to further facilitate the flow of water in the entire breeding tank 110, and thus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support 130 and the air transfer pipe 140 is coupled to the separation wall 120 and 90 ° angle It is most preferred, as well as may include a similar combination of about 60 ° to 120 °, particularly 80 ° to 100 ° around 90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트 장치(1)를 이용한 양식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 방법을 이용하면 양식장 사육조(110)에서 자연스럽게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양식 방법은 특히 새우 양식에 적합하다.
10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quaculture method using the air lif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here, using aquacultu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ly in the farm breeding tank 110 Can circulate water This farming metho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shrimp farmin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 방법은 먼저 사육조(110) 내부 중앙에 분리벽(120)을 설치한다(도 6 참조). 상기 분리벽(120)이 설치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사육조(110) 내부 중앙 부근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리벽(120)의 중심 부분은 사육조(110) 바닥 깊이까지 설치하고, 상기 분리벽(120)의 양쪽 끝 부분은 수면의 위 또는 아래 일정한 깊이까지만 설치하여, 사육조(110) 전체에서의 물 흐름을 일정하게 순환시키면서 동시에 사육조(110)의 이동통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o this end, the aquacultu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stalls a separating wall 120 in the center of the breeding tank 110 (see Fig. 6). Although the position at which the separation wall 120 is install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wall 1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near the inner center of the breeding tank 110. Further, the center portion of the separating wall 120 is installed to the bottom of the breeding tank 110, both ends of the separating wall 120 is installed only to a certain depth above or below the water surface, breeding tank 110 It is possible to use as a moving passage of the breeding tank 110 at the same time while constantly circulating the water flow in the whole.

그리고는, 상기 분리벽(120)을 기준으로 한쪽 제1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배출구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1)를 나란하게 배열하고, 상기 분리벽(120)을 기준으로 다른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배출구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제2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1)를 나란하게 배열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Then, the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1 are arranged side by side such that the air outlet of the air lift apparatus 1 faces the first direction in one first region based on the separation wall 120.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1 are arranged side by side such that the air outlet of the air lift apparatus 1 fac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second direction) in the other region with respect to the wall 120. (See FIGS. 7 and 8).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벽(120)을 중심으로 사육조(110) 내부의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상기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1)의 공기공급관에 공기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관에 공기를 이송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술한 공기이송관(130)을 통하여 공기를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Next, as shown in FIG. 10, the air is transferred to the air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1 such that the water in the breeding tank 110 circul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bout the separation wall 120. It comprises; a. The method of transporting air to the air supply pi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transport air through the air transport pipe 130 described abov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사육조(110) 전체에서 일관된 물 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able a consistent water flow throughout the breeding tank 1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ell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상기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해산 새우 등을 내륙에서 산업적으로 생산함에 있어서, 그 비용을 다른 어떠한 방법보다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사육장소의 선정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즉,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서도 대규모 저비용으로 양식이 가능하다.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industrial production of marine shrimp and the like inland, the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any other method, and the selection of breeding sites is not limited. In other words, farming can be carried out at a low cost even inland far from the sea.

1 : 에어 리프트 장치 10 : 파이프
11 : 공기배출구 12 : 유체유입구
20 : 공기공급관 30 : 공기분산기
40 : 내관 50 : 메움수단
100 : 양식 시스템 110 : 사육조
120 : 분리벽 130 : 지지대
140 : 공기이송관
1: air lift device 10: pipe
11 air outlet 12 fluid inlet
20: air supply pipe 30: air disperser
40: inner tube 50: filling means
100: aquaculture system 110: breeding tank
120: dividing wall 130: support
140: air transfer pipe

Claims (3)

사육조와,
상기 사육조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분리벽과,
상단부 일부가 개구된 공기배출구 및 하단부 일부가 개구된 유체유입구를 가지는 파이프(pipe); 상기 파이프 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파이프 내 하단부에 공기를 분산시키는 공기분산기;로 구성되는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구와 유체유입구는 파이프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한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상기 분리벽과 수평한 제1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가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다른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가 나란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Breeding Bird,
A separating wall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breeding tank,
A pipe having an air outlet hav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opened and a fluid inlet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pened;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from an upper end portion to a lower end portion in the pipe; And a plurality of air lifter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and dispersing air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The air outlet and the fluid inlet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pipe,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are arranged side by side such that the air outlet of the air lift apparatus faces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separation wall in one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a plurality of air lift devices arranged side by side such that the air outlets of the air lift devices face the first direction in the other area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에는 상기 분리벽의 양쪽 영역으로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공기공급관에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이송관이 상기 분리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대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가 나란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wal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and air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air to the air supply pipe to both areas of the separation wal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paration wall,
And a plurality of air lift devices coupled side by sid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상단부 일부가 개구된 공기배출구 및 하단부 일부가 개구된 유체유입구를 가지는 파이프(pipe); 상기 파이프 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파이프 내 하단부에 공기를 분산시키는 공기분산기;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와 유체유입구는 파이프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새우 양식 방법으로서,
사육조 내부에 분리벽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한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상기 분리벽과 수평한 제1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나란하게 배열하고,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다른쪽 영역에는 상기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배출구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를 나란하게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벽을 중심으로 사육조 내부의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상기 다수의 에어 리프트 장치의 공기공급관에 공기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새우 양식 방법.
A pipe having an air outlet hav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opened and a fluid inlet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pened;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from an upper end portion to a lower end portion in the pipe; And an air dispers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to disperse air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wherein the air outlet port and the fluid inlet port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pipe.
Installing a dividing wall inside the breeding tank;
A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an air outlet of the air lift apparatus faces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separation wall in one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in the other region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rranging a plurality of air lift devices side by side such that the air outlets of the air lift devices face opposite direction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nd transporting air to air supply pipes of the plurality of air lift apparatuses such that the water in the breeding tank circul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dividing wall.
KR1020100010587A 2010-02-04 2010-02-04 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KR101206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587A KR101206491B1 (en) 2010-02-04 2010-02-04 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587A KR101206491B1 (en) 2010-02-04 2010-02-04 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65A KR20110090665A (en) 2011-08-10
KR101206491B1 true KR101206491B1 (en) 2012-11-29

Family

ID=4492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587A KR101206491B1 (en) 2010-02-04 2010-02-04 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49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2012A1 (en) * 2013-05-06 2014-11-13 Myoung No Whan Dual water tank for cultivation and air lift apparatus provided therein
CN104160994A (en) * 2014-08-13 2014-11-26 广西壮族自治区水产科学研究院 Litopenaeus vannamei larvae rearing and breeding method
WO2021240061A1 (en) * 2020-05-26 2021-12-02 Luonnonvarakeskus Water circulation and aeration system for aquaculture facility, related facility, methods and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705B1 (en) * 2011-10-24 2013-11-19 유병화 Apartment type and plant type farming-building using air lift apparatus
KR101330704B1 (en) * 2011-10-24 2013-11-19 유병화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air lift apparatus
CN103120134B (en) * 2011-11-21 2015-06-03 德清县吴越水产养殖有限公司 Pollution-free freshwater shrimp cultivation method
KR101318263B1 (en) * 2013-01-10 2013-10-15 유병화 A precipitator for a nursery to cycle filtration
CN103262818B (en) * 2013-05-22 2014-07-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Raising method for developing high-quality wild freshwater shrimp
CN103988799B (en) * 2014-05-29 2016-03-02 太仓市泗洲农场专业合作社 The high-yield cultivation method of the white shrimp in Taihu Lake
KR101597972B1 (en) 2014-12-31 2016-02-26 명노환 Dual airlift apparatus
KR101588141B1 (en) 2014-12-31 2016-01-25 명노환 Aqua farm having shell bay and shell clean system
KR101614934B1 (en) 2014-12-31 2016-04-27 명노환 Air supply apparatus having coil spring shape disposed in airlift apparatus
KR20250020095A (en) 2023-08-03 2025-02-11 주식회사 비케이팜 Circulating filtration 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water tan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399Y1 (en) 1997-08-06 2000-01-15 김상진 The device for filtering water in the aquarium
JP2005095137A (en) 2003-09-03 2005-04-14 Rikujo Yoshoku Kogaku Kenkyusho:Kk Rearing apparatus for fish and shellfish
JP2006197816A (en) 2005-01-18 2006-08-03 Rikujo Yoshoku Kogaku Kenkyusho:Kk Closed circulating-type fish farming system
KR100963194B1 (en) 2009-11-30 2010-06-14 명노환 Air lift apparatus for fa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399Y1 (en) 1997-08-06 2000-01-15 김상진 The device for filtering water in the aquarium
JP2005095137A (en) 2003-09-03 2005-04-14 Rikujo Yoshoku Kogaku Kenkyusho:Kk Rearing apparatus for fish and shellfish
JP2006197816A (en) 2005-01-18 2006-08-03 Rikujo Yoshoku Kogaku Kenkyusho:Kk Closed circulating-type fish farming system
KR100963194B1 (en) 2009-11-30 2010-06-14 명노환 Air lift apparatus for far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2012A1 (en) * 2013-05-06 2014-11-13 Myoung No Whan Dual water tank for cultivation and air lift apparatus provided therein
CN105357959A (en) * 2013-05-06 2016-02-24 明鲁焕 Dual water tank for cultivation and air lift apparatus provided therein
CN104160994A (en) * 2014-08-13 2014-11-26 广西壮族自治区水产科学研究院 Litopenaeus vannamei larvae rearing and breeding method
WO2021240061A1 (en) * 2020-05-26 2021-12-02 Luonnonvarakeskus Water circulation and aeration system for aquaculture facility, related facility, methods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65A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491B1 (en) Aquaculture System For Shrimp Production
CN103112996B (en) Aquaculture water circulation purification method and device
US9392775B2 (en) Fish culturing system
US9374986B2 (en) Shrimp culturing system
US9167803B2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KR101507052B1 (en) Water injection nozzle for generation of swirling flow
KR101247990B1 (en) Biofiltering tank using microbial media with solid removal function
CN203152265U (en) Culture water circulating and purifying device
CN112118733B (en) Aquaculture tank comprising a main chamber and a peripheral annular chamber
CN107027691B (en) Aquaculture environment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996238B1 (en) Module type sea water recirculating filt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CN105339312B (en) Water treatment facilities
KR100963194B1 (en) Air lift apparatus for farm
KR101058492B1 (en) Sterilization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Live Fish Aquarium and Live Fish Aquarium with the Same
CN206136923U (en) Container farming systems
CN210610702U (en) Former carp hatching seedling growing system of rock
JP6480071B1 (en) Aquaculture equipment
JP2017099331A (en) Freshness maintaining device and freshness maintaining method
KR101164329B1 (en) Air Lift Apparatus For Farm
KR101762181B1 (en) Filtering apparatus using micro bubbles for fish farm
JP2007159507A (en) Shellfish culture tank and shellfish culture method
JP6208918B2 (en) Aquaculture equipment
TWM526275U (en) Aquarium tank
KR101964802B1 (en) Shrimp culture structure
CN211129457U (en) High-efficient micropore oxygenation device of aqua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80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