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3372B1 - 절삭 공구 및 절삭 삽입체 - Google Patents

절삭 공구 및 절삭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372B1
KR101203372B1 KR1020097014392A KR20097014392A KR101203372B1 KR 101203372 B1 KR101203372 B1 KR 101203372B1 KR 1020097014392 A KR1020097014392 A KR 1020097014392A KR 20097014392 A KR20097014392 A KR 20097014392A KR 101203372 B1 KR101203372 B1 KR 10120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utting
axis
insert
cor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023A (ko
Inventor
아사프 발라스
카롤 스밀로비치
Original Assignee
이스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카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스카 엘티디.
Priority claimed from PCT/IL2007/00162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084469A1/en
Publication of KR2009010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3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9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with remov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3Rake or top surfaces cur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5Rake or top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C2200/125Side or flank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3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 B23C2240/24Connection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3)과, 바닥면(5)과, 모퉁이면을 거쳐 한 쌍의 제2 측면(13)들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측면(11)들을 구비한 4면형 절삭 삽입체(1)에 관한 것이다. 절삭 삽입체의 대향 모퉁이는 제1 연부(15)와 관련 제2 연부(17) 사이에 형성된 제1 쌍의 모퉁이 연부(19)를 구비한다. 제1 연부는 제1 연부의 선단부 부근에, 삽입체의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각도로 제1 축(알파)을 향해 내향으로 연장하는 주요부를 갖는다. 옆에서 보았을 때 제1 연부는 모퉁이 연부로부터 기부면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진다. 삽입체의 위에서 보았을 때 관련 제2 연부는 모퉁이 연부로부터 제2 축(β)에 대하여 외향 방향으로 연장한다.
절삭 공구, 절삭 삽입체, 삽입체 홀더, 절삭날, 90°견부

Description

절삭 공구 및 절삭 삽입체{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본 발명은 절삭 삽입체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절삭 삽입체를 위한 홀더뿐 아니라 홀더와 하나 이상의 이러한 절삭 삽입체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삭 삽입체 형성 방법, 및/또는 이러한 절삭 삽입체 및/또는 홀더의 사용, 및/또는 홀더를 위한 절삭 삽입체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금속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 삽입체 및 이러한 절삭 삽입체를 위한 홀더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절삭 공구로서 알려져 있기도 한 이러한 절삭 삽입체와 홀더는 통상적으로 드릴링(drilling), 밀링(milling) 등과 같은 회전 절삭 작업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작업편에 90°견부(shoulder)를 밀링하는 회전 절삭 공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구는 일반적으로 측방향 절삭날을 갖는 절삭 부재를 고정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러한 측방향 절삭날은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절삭 공구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 영역선도를 발생시켜 작업편에 90°견부를 밀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삭 삽입체 또는 절삭 공구를 가혹한 기계가공 조건에서 사용할 시 절삭 공정의 가혹한 조건에 의해 잠재적으로 생길 수 있는 큰 크기의 절삭력 때문에 안정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회전 절삭 공구의 절삭력은 작업편을 밀링하는 동안 발생되는 각각의 절삭 삽입체의 토크의 전체 합을 포함하며, 토크는 각각의 절삭날부에 작용하는 절삭력과 각각의 절삭날부의 원통형 회전 영역선도의 반경의 곱이다. 따라서, 절삭 공구의 측방향 절삭날을 채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정면 절삭날(face cutting edge)을 채용하는 것에 비해 더 큰 크기의 절삭력으로 귀결된다. 또한, 절삭 부재 및/또는 절삭 공구에 과도한 부하 및/또는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작업편의 기계가공된 표면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종래의 절삭 부재 및/또는 절삭 공구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가혹한 조건이 존재할 때에도 절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삭 부재는 작업편 상의 많은 양의 재료를 빠르게 제거하도록 설계되어 왔다. 이러한 기계가공 작동에서 절삭 깊이가, 예를 들어, 절삭기 톱니 하나 당 2mm까지 잠재적으로 얕을 수 있는 반면, 측방향 이송 속도(feed rate)는 예를 들어 절삭기 톱니 하나 당 3mm 내지 4mm까지 매우 높다. 이러한 삽입체는, 예를 들어, "텁(tub)"이라고 불리는 것, 즉, 예컨데, 다이(die) 및 주형 제조 산업에서 통상적일 수 있는 고체 금속 작업편 내에 형성된 깊은 포켓(deep pocket)을 러프 기계가공(rough machining)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절삭 부재의 주요 절삭날은 절삭 공구의 정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절삭 공구의 회전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잠재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혹한 조건이 있더라도 절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삭 삽입체의 종방향 연부가 기계가공된 작업편의 측벽으로부터 잠재적으로 해방(relieve)되어 절삭 공구에 과도한 부하 및/또는 진동을 해제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경사진 삽입체 포켓을 가진 특별 공구를 설계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특별히 제조된 경사진 포켓 내에 위치된 절삭 삽입체는 작업편의 측벽으로부터 해방된 측방향 연부를 가진다.
미국특허 제5,052,863호에서, 원통형 홀더 및 교체 가능하고 주연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 삽입체를 갖는 주연 회전 밀링 절삭기의 사용에 있어서, 절삭 삽입체에는 측방향 절삭날이 형성되며, 상기 측방향 절삭날은 만곡되어 경사진 평면의 만곡된 측부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진 평면은 밀링 절삭기에 장착된 절삭 부재 내의 측방향 절삭날의 축방향 레이크(rake)에 대응하는 각도로 상기 측방향 절삭날의 회전면을 구성하는 원통에 교차한다고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071,292호에서, 원통형 홀더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 가능한 주연으로 배치된 절삭 삽입체를 갖는 주연 회전 밀링 절삭기의 사용에 있어서, 절삭 삽입체는 연속적으로 만곡된 릴리프 플랭크면(relief flank surface)과 절삭 레이크로 형성되어 원통형 홀더에 대하여 형성된 삽입체 레이크와 릴리프 각도가 절삭날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불변하게 유지된다고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078,550호에서, 원통형 홀더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 가능한 주연으로 배치된 절삭 삽입체를 갖는 주연 회전 밀링 절삭기의 사용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구성요소 측부 릴리프면을 포함하는 측부 릴리프 플랭크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제1 및 제2 구성요소 측부 릴프면은 삽입체의 선단부에 인접하고 삽입 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절삭날에 교차하고 삽입체의 후단부에 인접한 제2 위치로 측부 릴리프 플랭크를 따라 연장하는 교차선에서 교차하고, 상기 구성요소 플랭크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서로에 대하여 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선단부의 영역 내의 원통형 홀더에 대하여 형성된 삽입체 측부 릴리프 각도가 후단부영역 내의 삽입체 측부 릴리프 각도와 동일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5,145,295호에서, 원통형 홀더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 가능한 주연으로 배치된 절삭 삽입체를 갖는 주연 회전 절삭기의 사용에 있어서, 절삭 삽입체는 릴리프 플랭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릴리프 플랭크면은 상기 절삭날과 상기 릴리프 플랭크면의 중간부 사이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중간부와 삽입체의 기부 사이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릴리프 플랭크 각도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릴리프 플랭크 각도를 제공하고, 상기 릴리프 플랭크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중간부가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유도될 시 상기 제2 릴리프 플랭크 각도보다 현저히 크다고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207,538호에서, 원통형 홀더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 가능한 주연으로 배치된 절삭 삽입체를 갖는 주연 회전 밀링 절삭기의 사용에 있어서, 절삭 삽입체는 릴리프 플랭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릴리프 플랭크면은 상기 절삭날과 상기 릴리프 플랭크면의 중간부 사이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중간부와 삽입체의 기부 사이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릴리프 플랭크 각도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릴리프 플랭크 각도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릴리프 플랭크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중간부가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유도될 시 상기 제2 릴리프 플랭크 각도보다 현저히 더 크다고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145,295호 및 미국특허 제5,207,538호의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절삭 삽입체는 측방향 절삭날이 작업편 내에 90°견부를 기계가공하기 위한 회전 밀링 절삭기의 회전축에 평행하도록 홀더에 장착된다.
미국특허 제4,708,537호는 교체 가능한 절삭 삽입체를 갖는 금속 절삭 공구를 기재하며, 상기 교체 가능한 절삭 삽입체는 절삭 공구의 홀더 내에 방출 가능하게 끼워진 치환 가능 카트리지 착좌부 상에 장착되고, 각각의 절삭 공구 내에 클램핑된 삽입체는 작업편 내에 90°견부의 밀링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회전 절삭 공구의 회전축에 평행한 측방향 절삭날을 제공하도록 위치한다.
유럽특허출원 제1 075 889호는 적어도 하나의 지수화할 수 있는 삽입체를 갖는 회전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며, 삽입체는 주요 절삭날과 외부 주연 절삭날을 갖는다. 상기 주요 절삭날은 절삭날 각도에서 경사지고, 원호 또는 실질인 원호와 같은 형상이고 상기 외부 주연 절삭날은 직선, 원호, 또는 실질적인 원호와 같은 형상이어서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백테이퍼된다(back-tapered)고 기재된다. 각각의 배열은 채터링 진동(chattering-vibration)을 억제하고 안정하고 고효율인 작업을 실현하는 것으로서 논의된다.
미국특허 제5,460,464호는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측방향 절삭날 리지(ridge) 및 직각의 기부 형상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전방 절삭날 리지를 포함하는 절삭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절삭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는 대항하는 상면과 바닥면,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 연장하는 주연 측면을 포함한다. 주연 측면은 대향하는 제2 측면에 연결되는 대향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한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 각각은 절삭 삽입체를 착좌시키는 데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부를 포함한다. 상부 주연 연부는 주연 측면과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 주연 연부는 제1 측면과 상면과의 교차부에 있는 대향하는 제1 연부와, 제2 측면과 상면과의 교차부에 있는 대향하는 제2 연부를 포함하되, 2개의 대향하는 제1 연부들은 2개의 대향하는 제2 연부들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부 주연 연부는 대각선으로 대향된 제1 쌍의 제1 모퉁이 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모퉁이 연부는 제1 연부의 선단부와 관련 제2 연부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 주연 연부는 대각선으로 대향된 제2 쌍의 제2 모퉁이 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 모퉁이 연부는 제1 연부의 후단부와 인접 제2 연부 사이에 형성된다. 절삭 삽입체는 대향하는 상면과 바닥면을 통해 연장되는 대칭축(S)를 갖는데, 이 축에 대하여 삽입체가 180°회전 대칭성을 갖고, 제1 축(A)은 대칭축(S)에 직각이고 절삭 삽입체의 위와 아래에서 보았을 때 제1 연부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축(B)은 대칭축(S)과 제1 축(A) 모두에 직각이고 제2 측면을 따라 연장하고 제1 측면에 횡방향이다.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의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축(A)에 평행하고 관련 제1 모퉁이 연부 부근에 제1 연부의 제1 연부 접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제1 연부 접선(A'-A')에 대하여, 각각의 제1 연부는 제1 축을 향해 그리고 관련 제2 모퉁이 연부의 방향으로 제1 각도(α)로 내향 수렴한다. 또한, 삽입체의 위에서 보았을 때 제2 축(B)에 평행하고 관련 제2 모퉁이 연부 부근에 제2 연부 접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제2 연부 접선(B'-B')에 대하여, 각각의 제2 연부는 제2 축(B)을 향해 그리고 인접 제1 모퉁이 연부의 방향으로 제2 각도(β)로 내향 수렴한다. 또한,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부는 접촉면부의 상기 관련 제1 또는 제2 연부로부터 이격되고 접촉면부의 관련 제1 또는 제2 연부의 배향에 독립된 배향을 갖는다.
절삭 삽입체의 옆에서 보았을 때 제1 모퉁이 연부는 제1 연부의 모든 부분보다 바닥면으로부터 더 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부는 바닥면에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연부, 제2 연부, 및 제1 모퉁이 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삭날이다.
제2 각도(β)는 0°내지 40°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8°내지 22°이다.
제1 각도(α)는 1°내지 6°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2.5°내지 3.5°이다.
절삭 삽입체의 옆에서 보았을 때 제1 측면 각각은 제1 연부 부근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1 릴리프면부 및 바닥면 부근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하부면부 부를 포함하며, 제1 접촉면부는 제1 릴리프면부와 제1 하부면부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절삭 삽입체의 끝에서 보았을 때 제2 측면 각각은 제2 연부 부근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릴리프면부 및 바닥면 부근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2 하부면부 부를 포함하며, 제2 접촉면부는 제2 릴리프면부와 제2 하부면부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접촉면부, 릴리프면부 및 하부면부는 대칭축(S)에 대하여 다르게 배향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측면은 제1 축(A)에 대체로 평행할 수 있고, 각각의 제2 측면은 제2 축(B)에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대향하는 제1 측면과 바닥면과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바닥 연부는 제1 접촉면부에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대향하는 제2 측면과 바닥면과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2 바닥부는 제2 접촉면부에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절삭 삽입체는 클램핑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클램핑 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접촉면부와 제2 접촉면부는 서로 대략 직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바닥면은 제1 및 제2 접촉면부에 대체로 직각인 기부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연부 접점은 제1 축(A)에 대하여 절삭 삽입체의 가장 먼 지점을 형성하고, 제2 모퉁이 연부보다 제1 모퉁이 연부에 더 가깝다. 한편, 제2 연부 접점은 제2 축(B)에 대하여 절삭 삽입체의 가장 먼 지점을 형성하고, 제1 모퉁이 연부보다 제2 모퉁이 연부에 더 가깝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류의 절삭 삽입체를 내부에 유지하여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공구는 축방향 전방(F) 방향 및 축방향 후방(R) 방향을 형성하는 종방향 회전축(C)을 갖는다. 홀더는 전방 대면부 및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가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갖는다. 절삭 삽입체의 유효 제1 연부는 측방향 절삭날로서 기능하고, 절삭 삽입체의 유효 제2 연부는 홀더의 전방 대면부 너머로 돌출하는 전방 절삭날로서 기능하고, 유효 제1 연부와 유효 제2 연부 사이의 유효 제1 모퉁이 연부는 홀더의 반경 범위 너머로 돌출하고, 유효 제1 연부는 공구의 회전축(C)에 대하여 경사지고 유효 제1 모퉁이 연부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고, 유효 제2 연부는 공구의 회전축(C)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가상 평면(P3)에 대하여 경사지고 유효 제1 모퉁이 연부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한다.
유효 제1 연부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축방향 후방으로 테이퍼(taper)하고 공구의 회전축(C)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상 평면과 0°내지 10°의 종방향 릴리프 각도(α')를 형성하는 전방 측방향부와, 대체로 원통형인 후방 측방향부를 포함하는 측방향 회전 영역선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방향 릴리프 각도(α')는 대략 3°일 수 있다.
제1 모퉁이 연부는 대략 0.1mm 내지 0.75mm 만큼 반경 범위 너머로 돌출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25mm 만큼 반경 범위 너머로 돌출할 수 있다.
유효 제2 연부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축방향 후방으로 테이퍼하고 공구의 회전축(C)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가상 평면(P3)에 대하여 0°내지 45°의 전방 각도(β')를 형성하는 제2 회전 영역선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방 각도(β')는 10°내지 35°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8°내지 22°이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고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 도시하기 위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내부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종래 기술의 공지의 절삭 삽입체를 갖는 공지의 홀더를 구비한 공지의 절삭 공구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공지의 홀더 및 내부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절삭 삽입체를 갖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삭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VII-VII 선을 따라 취한 도 6의 절삭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의 단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공지의 홀더의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홀더의 개략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분 야에서 공지된 삽입체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삽입체의 윤곽 모두의 중첩되는 윤곽을 도시한다.
도 12는 절삭 공구의 회전축을 통해 연장하는 평면에서 취한 도 2에 도시된 절삭 공구에 의해 발생된 영역선도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은 작업편(51)의 견부 밀링 공정에서 공지의 홀더(70)에 형성된 공지의 삽입체 수용 포켓(72) 내에 클램핑된 공지의 절삭 삽입체(61)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삽입체 수용 포켓(72), 공지의 홀더(70) 및 공지의 절삭 삽입체(61)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작업편(51)에 90°견부(53)를 밀링하기 위한 공지의 회전 절삭 공구(63)를 형성한다. 공지의 홀더(7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공지의 삽입체(61)는 공지의 홀더(70)에 장착되어 공지의 절삭 공구(63)의 종방향 회전축(C)에 평행한 90°견부(53)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부 측방향 절삭날(67)을 따라 홀더(70)의 정면부(78)을 향해 개방된 릴리프(65)를 제공한다. 공지의 절삭 공구(63)의 회전축(C)과 90°견부(53) 사이의 거리는 절삭 공구(63)의 절삭 반경(R1)이다.
도 2 및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공지의 삽입체 수용 포켓(72)을 구비한(본 특정 실시예에서는 3개의 공지의 삽입체 수용 포켓(72)들을 구비함) 공지의 홀더(70)를 포함하는 새로운 절삭 공구(64)를 도시한다. 그러나, 삽입체 수용 포켓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새로운 절삭 공구(64)에서 각각의 공지의 포켓(72)은 본 기재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절삭 삽입체(1)를 수용한다. 각각의 새로운 절삭 삽입체는 예시적인 방법으로는 클램핑 볼트(74)에 의해 포켓(72)에 방출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다른 클램핑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70)와 새로운 절삭 삽입체(1)는 축방향 전방 방향(F)과 축방향 후방 방향(R)을 형성하는 종방향 회전축(C)을 가진 새로운 절삭 공구(64)를 형성한다.
이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새로운 절삭 삽입체(1)는 상면(3)과 바닥면(5)뿐만 아니라 상면(3)과 바닥면(5) 사이에서 연장하는 주연 측면(7)을 포함한다. 주연 측면(7)은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제1 (주요) 측면(11)들과 2개의 대향하는 제2 (부) 측면(13)들을 갖는다. 상부 주연 연부(9)는 주연 측면(7)과 상면(3)의 교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 주연 연부(9)의 부분은 제1 (주요) 연부(15)와 제2 (부) 연부(17)로 언급된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예의 새로운 절삭 삽입체(1)는, 적어도 2개의 제1 측면(11)들과 상면(3)과의 교차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제1 연부(15)들과, 적어도 2개의 제2 측면(13)들과 상면(3)과의 교차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제2 연부(17)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2 측면(13)은 뒤따르는 제1 측면(11)으로부터 앞서가는 제1 측면(11)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각각의 제2 측면(13)은 제1 모퉁이면(41)을 통해 뒤따르는 제1 측면(11)과 합체되고 제2 모퉁이면(43)을 통해 앞서가는 제1 측면(11)과 합체된다. 제1 모퉁이면(41)은 제1 모퉁이 연부(19)에서 상면과 교차하고, 제2 모퉁이면(43)은 제2 모퉁이 연부(25)에서 상면(3)과 교차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2 연부(17)는 제1 모퉁이 연부(19)에서 뒤따르는 제1 연부(15)와 만나고 이로부터 제2 연부(17)로부터 선행하는 제1 연부(15)로의 전이부에 형성된 제2 모퉁이 연부(25)로 연장되어 나간다. 도 6의 측면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제1 연부(15)는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데, 주어진 제1 연부(15)는 처음에는 바닥면(5)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나서 바닥면(5)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고 종국에는 바닥면(5)으로부터 관련 제2 모퉁이 연부(25)를 향해 경사져 나간다. 그러므로, 절삭 삽입체(1)의 옆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제1 연부(15)는 물결(wavy)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제1 연부는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에 인접한 바닥면(5)으로부터 최대 거리에 있고 관련 제2 모퉁이 연부(25)에 인접한 바닥면(5)으로부터 최소 거리에 있다. 제1 모퉁이(19)는 제1 연부(15)의 모든 부분보다 바닥면(5)으로부터 더 먼 부분을 포함한다. 도 9의 단부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2 연부(17)는 바닥면(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제2 연부(17)는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로부터 연장되어 나감에 따라 바닥면(5)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또는 바닥면(5)을 향한 방향 중에 어느 한 방향으로 대신 경사질 수 있다.
새로운 절삭 삽입체(1)는 바닥면(5)에 대체로 직각인 대향하는 상면(3)과 바닥면(5)을 통해 연장하는 대칭축(S)을 갖는다. 주어진 실시예의 새로운 절삭 삽입체(1)는 대칭축(S)에 대하여 180°회전 대칭성을 가질 수 있고, 삽입체 수용 포켓(72) 내에 방출 가능하게 고정될 시 대칭축(S)에 대하여 2-방향-인덱스(two-way-indexable)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주어진 삽입체(1)는 위에서 보았을 때 선택적으로 대체로 직각이거나 대체로 평행사변형 형상을 갖고, 대칭축(S)에 직각인 제1 (주요) 축(A) 및 제1 축(A)과 대칭축(S) 모두에 직각인 제2 (부) 축(B)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축(B)은 제1 연부(15)에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제1 축(A)은 제1 연부(15)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축(A)과 제2 축(B)은 대칭축(S)에 직각이고 상면(3)과 바닥면(5)에 대체로 평행한 제1 가상 평면을 형성한다. 제1 축(A)과 대칭축(S)은 제2 축(B)에 직각이어서 상면(3)과 바닥면(5)에 대체로 직각인 제2 가상 평면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제2 축(B)과 대칭축(S)은 제1 축(A)에 직각이어서 상면(3)과 바닥면(5)에 대체로 직각인 제3 가상 평면을 형성한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70)의 삽입체 수용 포켓(72) 내의 주어진 삽입체(1)의 각각의 인덱스 가능한 위치에서 적어도 2개의 제1 연부(15)들 중 하나는 반경방향 외부 (유효) 제1 연부(15o)이고, 적어도 2개의 제1 연부들 중 다른 것은 반경방향 내부 (비유효) 제1 연부(15i)이다. 또한, 2개의 대향하는 제2 연부들 중 하나는 축방향 전방 (유효) 제2 연부(17f)이고, 2개의 대항하는 제2 연부(17)들 중 다른 하나는 축방향 후방 (비유효) 제2 연부(17r)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삽입체(1)가 홀더(70) 내의 주어진 인덱스 가능한 위치 내에 장착될 시 축방향 전방 유효 제2 연부(17f)는 전방 내부 제2 모퉁이(25fi)로부터 전방 외부 제1 모퉁이(19fo)로 연장된다. 자연히 주어진 삽입체(1)가 삽입체 수용 포켓(72) 내에서 180°만큼 회전될 시, 이전에는 반경방향 외부 유효 제1 연부였던 제1 연부(15)가 이제는 반경방향 내부 비유효 제1 연부가 되고, 이전에는 축방향 전방 유효 제2 연부였던 제2 연부(17)가 이제는 축방향 후방 비유효 제2 연부가 된다. 유사하게, 인덱스될 때, 이전에는 전방 외부 제1 모퉁이(19fo)였던 제1 모퉁이 연부(19)가 후방 내부 제1 모퉁이(19ri)가 되고, 이전에는 전방 내부 제2 모퉁이(25fi)였던 제2 모퉁이 연부(25)가 이제는 후방 외부 제2 모퉁이(25ro)가 된다. 각각의 인덱스 가능한 위치에서, 반경방향 외부 유효 제1 연부(15o)는 후방 외부 제2 모퉁이(25ro)로부터 전방 외부 제1 모퉁이(19fo)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축방향 전방 유효 제2 연부(17f)는 전방 외부 유효 제1 모퉁이(19fo)로부터 전방 내부 제2 모퉁이(25fi)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내부 제1 연부(15i)는 전방 내부 제2 모퉁이(25fi)로부터 연장되어 나간다.
도 5의 평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연부(15)는 제1 연부(15)의 선단부(15l) 부근에 제1 연부 주요부(15m)를 갖는다. 제1 연부 주요부(15m)는 제1 주요부 각도(α)로 제1 축(A)에 대하여 제1 배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제1 연부 주요부(15m)는 제1 연부(15)에 대한 가상의 제1 연부 접선(A'-A')에 대하여 주요부 각도(α)로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상의 제1 연부 접선(A'-A')은 제1 축(A)에 평행하고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 부근의 제1 연부 접점(519)에서 제1 연부(15)와 만난다. 주요부 각도(α)는 삽입체(1)의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1°내지 10°의 범위에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삽입체(1)의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3°이다.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부 접점(519)은 제1 축(A)에 대하여 절삭 삽입체의 가장 먼 지점을 형성하고 제2 모퉁이 연부(25)보다 제1 모퉁이 연부(19)에 더 가깝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연부(15)는 또한 제1 연부의 후단부(15t) 부근에 제1 연부 보조부(15s)를 갖는다. 제1 연부 보조부(15s)는 제1 연부 주요부(15m)로부터 연장되고 제1 연부 주요부(15m)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다. 제1 연부 보조부(15s)는 제1 축(A)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 제2 모퉁이 연부(25)로 연장되어 각각의 제1 연부(15)가 약간 절곡된 섹션을 가져 주어진 삽입체(1)의 위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게 한다. 제1 연부 주요부(15m)는 위에서 보았을 때 직선 섹션이고 대략 제1 연부 접점(519)로부터 대략 약간 절곡되기 시작하는 곳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제1 모퉁이 연부(19)는 제1 연부의 선단부(15l)에 있는 제1 연부(15)의 주요부(15m)와 관련 제2 연부(17) 사이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각각의 제2 모퉁이 연부(25)는 제1 연부의 후단부(15t)에 있는 제1 연부(15)의 보조부(15s)와 인접 제2 연부(17)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2 연부(17)는 주어진 삽입체(1)의 위에서 보았을 때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를 향해 개방된 제2 각도(β)로 제2 축(B)에 대한 제2 배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각각의 제2 연부(17)는 제2 연부(17)에 대한 가상의 제2 연부 접선(B'-B')에 대하여 제2 각도(β)로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를 향해 연장되고, 가상의 제2 연부 접선(B'-B')은 제2 축(B)에 평행하고 제2 모퉁이 연부(25) 부근의 제2 연부 접점(525)에서 제2 연부(17)와 만난다. 제2 각도(β)는 대략 0°내지 45°의 범위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0°내지 35°이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제2 연 부(17)는 주어진 삽입체(1)의 위에서 보았을 때 볼록할 수 있다.
도 5의 정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부 접점(525)은 제2 축(B)에 대하여 절삭 삽입체의 가장 먼 지점을 형성하고, 제1 모퉁이 연부(19)보다 제2 모퉁이 연부(25)에 더 가깝다.
각각의 제1 모퉁이 연부(19)는 주어진 삽입체(1)의 위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볼록하고(도 5 참조), 인접 제2 연부(17)로부터 인접 제1 연부(15)로 주어진 삽입체(1)의 바닥면(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도 9 참조). 각각의 제2 모퉁이 연부(25)는 주어진 삽입체(1)의 위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볼록하고, 인접 제1 연부(15)로부터 인접 제2 연부(17)로 주어진 삽입체(1)의 바닥면(5)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8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 측면(7)은 주연 측면(7)의 바닥면(5)과의 전이부에 바닥 주연 연부(45)를 형성한다. 또한, 바닥 주연 연부(45)의 부분은 제1 바닥 연부(46)과 제2 바닥 연부(47)로서도 언급된다. 특히, 주어진 삽입체(1)는 적어도 2개의 제1 측면(11)들과 바닥면(5)과의 교차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바닥 제1 연부(46)와, 적어도 2개의 제2 측면(13)들과 바닥면(5)과의 교차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바닥 제2 연부(47)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1 바닥 연부(46)의 적어도 일부분(46')은 제1 축(A)에 대체로 평행하고, 각각의 제2 바닥 연부(47)의 적어도 일부분(47')은 제2 축(B)에 대체로 평행하다.
주어진 삽입체(1)의 제1 측면(11)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면부(21)를 포함하고, 주어진 삽입체(1)의 제2 측면(13)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면 부(23)를 포함한다. 접촉면부(21, 23)들은 포켓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측면(11)과 제2 측면(13)은 각각 제1 및 제2 릴리프면부(27, 29)들을 포함하는데, 제1 및 제2 릴리프면부(27, 29)들은 각각 제1 및 제2 연부(15, 17)들 부근으로부터 바닥면(5)의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주어진 삽입체(1)의 바닥면(5)은 포켓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제공하는 기부 접촉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측면(11)과 제2 측면(13)은 각각 선택적인 제1 하부면부(31)와 제2 하부면부(3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하부면부(31)와 제2 하부면부(33)는 바닥면(5) 부근으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부(21, 23) 각각은 접촉면부(21, 23)의 관련 절삭날(15, 17)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릴리프면(27, 29) 만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접촉면부(21, 23)들은 접촉면부(21, 23)들의 관련 릴리프면(27, 29)들의 배향과 다른 배향을 갖는다. 그러므로, 각각의 접촉면부(21, 23)들은 관련 제1 연부(15) 또는 제2 연부(17)의 배향에 독립된 배향을 갖는다. 대신, 각각의 접촉면부(21, 23)들은 각각의 관련 제1 바닥 연부(46) 또는 제2 바닥 연부(47)와 대체로 정렬한다. 접촉면부(21, 23)들은 릴리프면부(27, 29)들로부터 선택적인 하부면부(31, 33)들(존재할 시) 또는 바닥면(5)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6, 도 8, 도 9에 도시된 주어진 실시예에서 접촉면들(21 및 23) 각각은 빗금 음영으로 예시적인 방법으로만 도시된다. 그러나, 각각의 면부는 예시적인 모습일 뿐이고 도시된 바와 다른 위치 및 기하학적 확장을 가질 수 있다.
주어진 삽입체(1)는, 클램핑 나사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본 기 술 분야에 공지된 볼트(74)에 의하여 홀더(70)에 삽입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면(3)으로부터 바닥면(5)으로 연장되는 보어(35)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웨지(wedge) 및/또는 레버(lever) 또는 다른 클램핑 수단과 같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삽입체(1)는, 다시 예시적인 방법으로, 클램핑 보어가 삽입체의 2개의 대향하는 측부 대면부들 사이에 연장될 수 있는 접선식(tangential) 또는 "레이-다운(lay-down)" 형식일 수 있다.
주어진 삽입체(1)는 공지의 삽입체(61)가 수용되는 공지의 홀더(70)의 동일한 포켓(72)에 방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주어진 삽입체(1)는 공지의 삽입체(61)와 같은 일반적인 형식의 삽입체와 동일하다. 예시적인 방법으로만, 본 기재는 본 발명의 삽입체(1)를 Iscar®에 의해 제조되고 판매되는 "Helimill®"이라 불리는 삽입체, 그리고 소위 "파지티브(positive)" 삽입체라 불리는 삽입체와 유사하게, 그러나 특허 받을 수 있도록 다르게 도시한다. 그러므로, 다시 예시적인 방법으로만, 주어진 삽입체(1)도 "파지티브" 형식일 수 있고, 주연 측면(7)은 선택적으로 상면(3)으로부터 바닥면(5)을 향해 하향 내향으로 경사진다. 그러나, 공지의 삽입체(61)를 수용할 수 있는 동일한 공지의 홀더(70)에 주어진 삽입체(1)를 클램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측면(13)의 부분들, 즉 릴리프면부(29), 접촉부(23) 및 선택적인 하부면부(33)가 특히 바닥면(5)에 대하여 다른 배향 또는 기울기를 갖는 것을 분명히 볼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부들, 즉 릴리프면부(27), 반경방향 접촉면부(21) 및 선택적인 하부면부(31)가 다른 기울기 또는 배향을 갖는 것을 분명히 볼 수 있다.
도 10은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 포켓(72),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 포켓(72)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칩 그루브부(chip groove portion; 76), 및 전방 대면부(78)를 갖는 공지의 홀더(7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홀더(70)는 2개의 삽입체 수용 포켓(72)을 갖는다. 홀더(70)의 상기 포켓(72)은 주어진 삽입체(1)의 접촉면(21, 5, 23)들 각각을 접촉 지지하는 3개의 지지면(80, 82, 84)들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지지면(80, 82 및 84)들은 지지된 주어진 삽입체(1)의 접촉면(21, 5, 23)들 중 하나를 접촉 지지한다. 홀더(70)의 축방향 지지면(84)은 주어진 삽입체(1)의 제2 측면(13)의 축방향 접촉면부(23)를 접촉 지지하고 포켓(72) 내에 주어진 삽입체(1)에 대한 축방향 지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반경방향 지지면(80)은 주어진 삽입체(1)의 제1 측면(11) 상에 제공되는 반경방향 접촉면부(21)를 접촉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기부 지지면(82)은 주어진 삽입체(1)의 바닥면(5)을 접촉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잠재적으로 홀더(70)의 포켓(72)은 클램핑 볼트(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또는 보어(7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클램핑 수단과 기구가 포켓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접하는 삽입체의 경우에 포켓(72)의 반경방향 지지면(80) 및/또는 축방향 지지면(84)은, 예를 들어, 클램핑 볼트를 수용하는 구멍 또는 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전술한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며,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삽입체(1)의 윤곽이 겹쳐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70)는 공지의 절삭 삽입체(61)의 90°견부 밀링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포켓(72)은 주어진 삽입체(1)도 수용할 수 있다.
삽입체(1)가 종래 기술의 홀더(70) 내에 착좌될 시 삽입체(1)의 최전방 지점(525')은 축방향 전방 제2 연부(17f)의 반경방향 내향 측부 상에서 발견된다. 이 위치에서 축방향 전방 유효 제2 연부(17f)는 홀더(70)의 대면부(78) 너머로 축방향 전방으로 돌출하여 전방 절삭날로서 기능할 수 있다. 유효 전방 외부 제1 모퉁이 연부(19fo)는 홀더(70)의 반경 범위(71) 너머로 돌출한다. 제1 연부 주요부(15m)는 홀더(70)의 회전축(C)에 대하여 경사지고, 전방 외부 제1 절삭 모퉁이 연부(19fo)로부터 벗어나는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하면서 홀더(70)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수렴한다. 제1 연부 보조부(15s)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반경 범위(71)에 대체로 평행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제2 연부(17f)는 홀더(70)의 회전축(C)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가상 평면(P3)에 대하여 경사진다. 또한, 유효 제2 연부(17f)는 유효 제1 모퉁이 연부(19fo)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된다.
절삭 삽입체의 유효 반경방향 외부 제1 연부(15o)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회전 영역선도(91)를 발생시킨다. 유효 제1 연부 주요부(15m)는 측방향 회전 영역선도(91)의 제1 측방향부(93)를 발생시켜 작업편(51) 내의 90°견부(53)와 종방향 릴리프 각도(α')를 형성하는데, 종방향 릴리프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제1 각도(α)에 대응하는 대략 0°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2.5°내지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3°이다. 측방향 회전 영역선도는 90°견부(53)에 대체로 평행하고 대체로 원통형인 유효 제1 연부 보조부(15s)에 의해 발생된 제2 측방향부(95)를 갖는다.
주어진 삽입체(1)의 유효 전방 외부 제1 모퉁이 연부(19fo)는 홀더(70)의 회전축(C)에 직각인 공구(64)의 반경 방향으로 홀더(70)의 반경 범위(71) 너머로 연장되어 공구(64)의 절삭 반경(R2)을 발생시킨다. 공구(64)의 절삭 반경(R2)은 공지의 삽입체(61)을 구비한 공구(63)의 절삭 반경(R1)보다 대략 0.1mm 내지 0.75mm 만큼, 바람직하게는 대략 0.25mm 만큼 더 크므로 통상의 삽입체(61)를 구비한 홀더(70)에 비하여 0.5mm 만큼 절삭 직경의 전체 증가를 가져온다. 제1 연부 보조부(15s)와 작업편(51)의 90°견부(53) 사이의 공차는 대략 약 0.2mm 내지 0.6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0.4mm이다.
주어진 삽입체(1)의 유효 축방향 전방 제2 연부(17f)는, 작업편(51) 내에서 기계가공되는 견부 대면부(55)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하면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테이퍼되는 제2 회전 영역선도(97)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 테이퍼는 견부 대면부(55)와 대략 0°내지 45°,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8°내지 22°,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20°인 제2 각도(β')이다. 이상적으로는 견부 대면부(55)는 홀더의 종방향 회전축(C)에 직각인 가상 평면(P3) 내에 놓이며 유지된 삽입체(1)의 최전방 지점(525')을 포함한다.
본 기재에 따른 삽입체의 제2 모퉁이는 선택적으로 램프다운(ramp-down) 작 동의 실행을 가능케 하도록 설계되며, 또한, 제2 측면은 홀더의 포켓 내에 축방향 지지를 제공하는 접촉면을 제공한다. 램프다운 수용량은 제2 모퉁이 연부와 인접 종방향 연부의 하부 지점 사이의 가장 높은 차이 만큼 증가된다.
본 기재에 따른 절삭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소결 형식(sintered type)이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공지의 세라믹 또는 소결 가능한 금속계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본 기재에 따른 삽입체 및/또는 공구는 기계에 대한 과도한 전력 요구와, 절삭 공구 상의 과도한 부하와 절삭 공구의 진동과 채터링과, 작업편의 기계가공된 표면에의 손상을 피함으로써 높은 공급률의 기계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기재에 따른 삽입체는 작업편 내에 90°견부를 생성하는 다양한 제품에 실시될 수 있으며, 릴리프가 원래의 절삭날에 필요할 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삽입체도 그러하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정도까지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과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6)

  1. 절삭 삽입체(1)이며,
    대향하는 상면(3) 및 바닥면(5)과,
    상면(3)과 바닥면(5) 사이에서 연장되는 주연 측면(7)으로서, 대향하는 제2 측면(13)들에 연결되는 대향하는 제1 측면(11)들을 포함하고, 제1 측면(11)과 제2 측면(13)은 절삭 삽입체를 착좌시키는데 적당한 하나 이상의 접촉면부(21, 23)를 각각 포함하는, 주연 측면(7)과,
    주연 측면(7)과 상면(3) 사이에 형성된 상부 주연 연부(9)로서
    제1 측면(11)과 상면(3)의 교차부에 있는 대향하는 제1 연부(15)와,
    제2 측면(13)과 상면(3)의 교차부에 있는 대향하는 제2 연부(17)로서, 2개의 대향하는 제1 연부(15)는 2개의 대향하는 제2 연부(17)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제2 연부(17)와,
    제1 연부(15)의 선단부(15l)와 관련 제2 연부(17)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제1 쌍의 제1 모퉁이 연부(19)와,
    제1 연부(15)의 후단부(15t)와 인접 제2 연부(17)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제2 쌍의 제2 모퉁이 연부(25)를 포함하는, 상부 주연 연부(9)와,
    대향하는 상면(3)과 바닥면(5)을 통해 연장하는 대칭축(S)으로서, 삽입체가 이 대칭축(S) 주위로 180°회전 대칭을 갖는, 대칭축(S)과,
    대칭축(S)에 직각이고, 절삭 삽입체(1)의 위 또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제1 연부(15)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축(A)과,
    대칭축(S)과 제1 축(A) 모두에 직각이고, 제2 측면을 따라 연장하고 제1 측면에 횡방향인 제2 축(B)을 포함하고,
    절삭 삽입체의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축(A)에 평행하고 관련 제1 모퉁이 연부(19) 부근에 제1 연부(15)의 제1 연부 접점(519)을 포함하는 가상의 제1 연부 접선(A'-A')에 대하여, 각각의 제1 연부(15)는 제1 축(A)을 향해 그리고 관련 제2 모퉁이 연부(25)의 방향으로 제1 각도(α)로 내향 수렴하고,
    하나 이상의 접촉면부(21, 23)는 접촉면부(21, 23)와 관련된 제1 또는 제2 연부(15, 17)로부터 각각 이격되고, 절삭 삽입체의 위에서 보았을 때 접촉면부(21, 23)의 상기 관련 제1 또는 제2 연부(15, 17)의 배향과 상이한 배향을 각각 갖는
    절삭 삽입체.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체의 옆에서 보았을 때, 제1 모퉁이 연부(19)는 제1 연부(15)의 모든 부분보다 바닥면(5)으로부터 더 먼 부분을 포함하는
    절삭 삽입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연부(17)는 바닥면(5)에 평행한
    절삭 삽입체.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연부(15), 제2 연부(17), 및 제1 모퉁이 연부(19)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삭날인
    절삭 삽입체.
  5. 제1항에 있어서,
    삽입체의 위에서 보았을 때, 제2 축(B)에 평행하고 관련 제2 모퉁이 연부(25) 부근의 제2 연부 접점(525)을 포함하는 가상의 제2 연부 접선(B'-B')에 대하여, 각각의 제2 연부(17)는 제2 축(B)을 향해 그리고 인접 제1 모퉁이 연부(19)의 방향으로 0°내지 40°의 제2 각도(β)로 내향 수렴하는
    절삭 삽입체.
  6. 제5항에 있어서,
    제2 각도(β)는 18°내지 22°인
    절삭 삽입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1 각도(α)는 1°내지 6°인
    절삭 삽입체.
  8. 제7항에 있어서,
    제1 각도(α)는 2.5°내지 3.5°인
    절삭 삽입체.
  9. 제1항에 있어서,
    옆에서 보았을 때, 제1 측면(11) 각각은 제1 릴리프면부(27)와 제1 하부면부(31)를 포함하되, 제1 릴리프면부(27)는 제1 연부(15) 부근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1 하부면부(31)는 바닥면(5) 부근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제1 접촉면부(21)는 제1 릴리프면부(27)와 제1 하부면부(31) 사이에 위치하고,
    끝에서 보았을 때, 제2 측면(13) 각각은 제2 릴리프면부(29)와 제2 하부면부(33)를 포함하되, 제2 릴리프면부(29)는 제2 연부(17) 부근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제2 하부면부(33)는 바닥면(5) 부근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제2 접촉면부(23)는 제2 릴리프면부(29)와 제2 하부면부(33) 사이에 위치하는
    절삭 삽입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접촉면부(21, 23), 릴리프면부(27, 29) 및 하부면부(31, 33) 각각은 바닥면(5)에 대하여 다르게 배향되는
    절삭 삽입체.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측면(11)은 제1 축(A)에 평행하고, 각각의 제2 측면(13)은 제2 축(B)에 평행한
    절삭 삽입체.
  1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바닥 연부(46)는 대향하는 제1 측면(11)과 바닥면(5)과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제1 접촉면부(21)에 평행하고,
    제2 바닥 연부(47)는 대향하는 제2 측면(13)과 바닥면(5)과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제2 접촉면부(23)에 평행한
    절삭 삽입체.
  13. 제1항에 있어서,
    절삭 삽입체는 클램핑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면(3)과 바닥면(5) 사이에 형성된 클램핑 보어(35)를 갖는
    절삭 삽입체.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접촉면부(21)와 제2 접촉면부(23)는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절삭 삽입체.
  15. 제14항에 있어서,
    바닥면(5)은 제1 접촉면부(21)과 제2 접촉면부(23)에 직각인 기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절삭 삽입체.
  16. 제5항에 있어서,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연부 접점(519)은 제1 축(A)에 대하여 절삭 삽입체의 가장 먼 지점을 형성하고 제2 모퉁이 연부(25)보다 제1 모퉁이 연부(19)에 더 가깝고,
    제2 연부 접점(525)은 제2 축(B)에 대하여 절삭 삽입체의 가장 먼 지점을 형성하고 제1 모퉁이 연부(19)보다 제2 모퉁이 연부(25)에 더 가까운
    절삭 삽입체.
  17. 절삭 공구(64)이며,
    홀더(70)와,
    상기 홀더 내에 유지되는 제1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절삭 삽입체(1)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64).
  18. 제17항에 있어서,
    공구(64)는 축방향 전방(F) 및 축방향 후방(R) 방향을 형성하는 종방향 회전축(C)을 갖고,
    홀더(70)는 전방 대면부(78) 및 상기 절삭 삽입체(1)가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포켓(72)을 구비하고,
    절삭 삽입체(1)의 유효 제1 연부(15)는 측방향 절삭날로서 기능하고,
    절삭 삽입체(1)의 유효 제2 연부(17)는 홀더(70)의 전방면(78) 너머로 돌출하는 전방 절삭날로서 기능하고,
    유효 제1 연부(15)와 유효 제2 연부(17) 사이의 유효 제1 모퉁이 연부(19)는 홀더(70)의 반경 범위(71) 너머로 돌출하고,
    유효 제1 연부(15)는 공구의 회전축(C)에 대하여 경사지고, 유효 제1 모퉁이 연부(19)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고,
    유효 제2 연부(17)는 공구의 회전축(C)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가상 평면(P3)에 대하여 경사지고, 유효 제1 모퉁이 연부(19)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절삭 공구(64).
  19. 제18항에 있어서,
    유효 제1 연부(15)는 측방향 회전 영역선도(91)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측방향 회전 영역선도(91)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축방향 후방으로 테이퍼되고, 공구의 회전축(C)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가상 평면과 0°내지 10°의 종방향 릴리프 각도(α')를 형성하는 전방 측방향부(93)와,
    원통형인 후방 측방향부(95)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64).
  20. 제19항에 있어서,
    종방향 릴리프 각도(α')는 3°인
    절삭 공구(64).
  21. 제19항에 있어서,
    제1 모퉁이 연부(19)는 0.1mm 내지 0.75mm 만큼 반경 범위(71) 너머로 돌출하는
    절삭 공구(64).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 모퉁이는 0.25mm 만큼 반경 범위(71) 너머로 돌출하는
    절삭 공구(64).
  23. 제19항에 있어서,
    유효 제2 연부(17)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축방향 후방으로 테이퍼되고, 공구의 회전축(C)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기 가상 평면(P3)에 대하여 0°내지 45°의 전방 각도(β')를 형성하는 제2 회전 영역선도(97)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절삭 공구(64).
  24. 제18항에 있어서,
    유효 제2 연부(17)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축방향 후방으로 테이퍼되고, 공구의 회전축(C)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기 가상 평면(P3)에 대하여 0°내지 45°의 전방 각도(β')를 형성하는 회전 영역선도(97)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절삭 공구(64).
  25. 제24항에 있어서,
    전방 각도(β')는 10°내지 35°인
    절삭 공구(64).
  26. 제25항에 있어서,
    전방 각도(β')는 18°내지 22°인
    절삭 공구(64).
KR1020097014392A 2007-01-11 2007-12-27 절삭 공구 및 절삭 삽입체 Active KR101203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80660 2007-01-11
PCT/IL2007/001620 WO2008084469A1 (en) 2007-01-11 2007-12-27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023A KR20090108023A (ko) 2009-10-14
KR101203372B1 true KR101203372B1 (ko) 2012-11-20

Family

ID=4155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392A Active KR101203372B1 (ko) 2007-01-11 2007-12-27 절삭 공구 및 절삭 삽입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3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023A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5485B2 (ja) 切削工具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
JP4888798B2 (ja)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正面フライス
KR101292441B1 (ko) 접선식 절삭 삽입체
KR102316900B1 (ko) 금속 절삭을 위한 페이스 그루빙 공구 본체
JP6205726B2 (ja) 正面フライス用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正面フライス
JP5735502B2 (ja) 切削加工、特に高速送りフライス加工するための切削工具用切削インサート
JP2008062382A (ja) 締付ネジ用のセンタ孔を有する焼結切削植刃
CN101663121A (zh) 切削刀片
JP5938868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WO2016140333A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JP6361948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2014083667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4639881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KR102553589B1 (ko) 재료 체적 비율에 대한 높은 공극 체적을 갖는 단면 3-웨이 인덱서블 밀링 인서트 및 이의 인서트 밀
JP4952068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KR101203372B1 (ko) 절삭 공구 및 절삭 삽입체
JP6201735B2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720011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肩削りフライス工具
JP4940864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チップ
JP2000326134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ボールエンドミル
JP4952171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JP7433036B2 (ja) 切削インサート、刃先交換式転削工具および転削加工方法
KR100595409B1 (ko) 원형 인서트를 가지는 절삭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