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9249B1 -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249B1
KR101189249B1 KR1020110042460A KR20110042460A KR101189249B1 KR 101189249 B1 KR101189249 B1 KR 101189249B1 KR 1020110042460 A KR1020110042460 A KR 1020110042460A KR 20110042460 A KR20110042460 A KR 20110042460A KR 101189249 B1 KR101189249 B1 KR 10118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vehicle
battery
electric vehic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2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6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10Temporary overload
    • B60L2260/16Temporary overload of electrical drive trains
    • B60L2260/167Temporary overload of electrical drive trains of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은,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기 모터의 발전동작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가 역회전하는 것을 감지하여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에 의한 발전동작이 중지되고, 상기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으로 판단하면, 전력부하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력부하가 상승함에 따라서, 구동휠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모터가 발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부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에어컨과 히터를 동시에 작동시켜, 실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충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공조기를 가동하여, 모터가 충전을 실시함으로써, 모터의 회생재동으로 인하여 모터의 역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EXHAUST GAS POST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하되, 주행 중 모터의 회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 차량에 엔진브레이크가 있듯이 전기자동차에는 회생 제동으로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엔진브레이크는 엔진의 마찰로 차량의 속도를 줄이지만 전기자동차에서는 모터를 발전기로 사용하여 배터리에 에너지를 충전시키면서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제동시 모터를 발전기로 사용하게 되면 이 모터는 역토크를 발생시키므로 차량의 구동력을 감쇠시켜서 차량의 속도가 줄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회생에너지는 인버터를 통해 직류 전류로 변환(배터리 충전 전류)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는 전기자동차의 장점 중 하나로써 제동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마찰로 없애는 대신 배터리로 충전시켜서 주행거리를 증대시킨다. 그런데, 배터리 충전 전류 제한으로 발생되는 회생 제동량 제한은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감을 달리 하게 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회생 제동으로 인해 운전자가 느끼는 감을 가솔린 엔진과 동일한 성능/느낌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회생제동의 양을 감지하여 유압브레이크의 압력을 증대 혹은 감쇠시키는 장치는 이미 개발 중이나, 유압브레이크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와 회생 제동과 관련된 제어를 위한 브레이크 제어 유니트(BCU; Brake Control Unit)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그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기자동차의 D단 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관성으로 주행하는 경우, 엔진브레이크 효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가 완전하게 충전되어 충전이 제한되는 경우, 모터의 충전에 의한 엔진브레이크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이 제한된 경우에도 엔진브레이크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운전편의성이 향상된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동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을 수행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은 상기 모터의 발전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의 속도가 설정된 밀림제한치 미만으로 회전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에 의한 발전이 중지되고, 상기 모터의 속도가 밀림제한치 미만이면, 전력부하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력부하가 상승함에 따라서, 구동휠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모터가 발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부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에어컨과 히터를 포함하는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조기가 작동될 때, 상기 에어컨과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실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림제한치는 0으로써, 상기 모터가 역회전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휠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모터가 발전을 실시하도록 하여, 상기 모터의 역회전을 줄이기 위한 정회전토크를 발생시킨다.
앞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에서, 배터리충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공조기를 가동하여, 모터가 충전을 실시함으로써,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는 배터리(110), 모터(120), 공조기(13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20)는 상기 배터리(11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휠(미도시)을 회전시켜, 차량이 움직이는 것이다.
상기 공조기(130)는 에어컨(A/C, air-conditioner)과 히터(heater)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10)는 구동휠에서 상기 모터(120)로 전해지는 회전력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변속레버의 D, R, N, P 위치신호를 감지하고, 그 변속상태에 따라서, 가속페달(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120)의 출력토크를 제어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110)는 상기 모터(120)로 전력을 공급하기도 하고, 상기 모터(120)에 의해서 충전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110)가 완전하게 충전되어 충전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모터(120)가 충전기능을 상실하여, 상기 배터리(110)가 충전되지 않는다.
특히, 차량이 언덕길에 멈춘 상태에서, 다시 출발할 때,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HAC(hill assist control)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HAC시스템은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브레이크유압을 인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이 제한되는 경우에, 상기 모터(120)의 충전기능을 유지하여, 상기 모터(120)에 정회전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충전이 불가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력부하를 상승시켜, 상기 모터가 충전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120)의 토크는 플러스이고, 회전속도가 마이너스인 경우,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조기(130)의 히터와 에어컨을 모두 가동시켜, 전력부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모터(120)의 충전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어, 상기 모터(120)에 정회전토크가 발생하여,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200에서 제어가 시작되고, S210에서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 제한수치가 0인지 판단된다. 즉, 상기 배터리(110)가 충전이 제한되는 상태인지가 판단된다.
상기 배터리(110)가 충전제한이 0이 아니고,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S260에서 기존의 제어모드가 수행된다.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이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S220에서 상기 모터(120)의 속도가 밀림감지 기준속도보다 작은 지 판단된다. 여기서, 상기 밀림감지 기준속도(C1)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120)의 속도가 마이너스 인지가 판단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120)의 속도가 밀림감지 기준속도(C1)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S230에서 공조기(130)가 오프된 것인지 판단한다. 상기 공조기(130)가 오프되지 않고,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S260이 실행된다.
상기 공조기(130)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S240에서 에어컨과 히터를 포함하는 상기 공조기(1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S250에서, 상기 에어컨과 상기 히터 모두 작동되어, 실내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S220에서, 상기 모터(120)의 출력토크가 플러스 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부가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120)의 출력토크가 플러스이고, 상기 모터(120)의 출력속도가 마이너스이면,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120)에 정회전토크를 더 부가하기 위해서, 전력소모를 증가시켜, 상기 모터(120)의 충전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제한이 실시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상태(SOC)가 설정수치를 넘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110)의 충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모터(120)의 회전속도와, 출력토크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속도센서와 토크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조기(130)는 에어컨(cooler)와 히터(heater)를 포함하고, 별도로 온도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S230에서 상기 공조기(130)의 에어컨 또는 히터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조기(130)는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제어부
110: 배터리
120: 모터
130: 공조기

Claims (4)

  1. 구동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을 수행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기 모터의 발전동작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가 역회전하는 것을 감지하여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에 의한 발전동작이 중지되고, 상기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으로 판단하면, 전력부하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력부하가 상승함에 따라서, 구동휠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모터가 발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부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에어컨과 히터를 동시에 작동시켜, 실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모터가 역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가 밀림제한치 미만으로 회전하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밀림제한치는 0으로써,
    상기 모터가 발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모터의 역회전을 줄이기 위한 정회전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20110042460A 2011-05-04 2011-05-04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Active KR10118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460A KR101189249B1 (ko) 2011-05-04 2011-05-04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460A KR101189249B1 (ko) 2011-05-04 2011-05-04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249B1 true KR101189249B1 (ko) 2012-10-09

Family

ID=4728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460A Active KR101189249B1 (ko) 2011-05-04 2011-05-04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312B1 (ko) * 2013-02-07 2015-07-03 국방과학연구소 무인원격차량의 재출발 밀림방지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433A (ja) * 2003-02-14 2004-09-02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433A (ja) * 2003-02-14 2004-09-02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312B1 (ko) * 2013-02-07 2015-07-03 국방과학연구소 무인원격차량의 재출발 밀림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891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7114944B2 (ja) 車両に搭載される燃料電池システム
US8437898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676767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20065379A (ja)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55837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328292B (zh) 车辆及车辆用控制方法
JP2005333690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US20210188254A1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 vehicle
JP5765419B2 (ja) 車両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JP5644868B2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KR20190073173A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크루즈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5304953B1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
JP7385454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806961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크루즈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89249B1 (ko)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US953565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JP5927792B2 (ja)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JP7264036B2 (ja) 車両
KR20150049819A (ko) 전기자동차의 크립토크 제어방법
KR101189248B1 (ko)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JP5339091B2 (ja) ハイブリッド車
JP5700053B2 (ja) 車両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JP2012046106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JP2018065399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