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1182B1 -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182B1
KR101181182B1 KR1020040092097A KR20040092097A KR101181182B1 KR 101181182 B1 KR101181182 B1 KR 101181182B1 KR 1020040092097 A KR1020040092097 A KR 1020040092097A KR 20040092097 A KR20040092097 A KR 20040092097A KR 101181182 B1 KR101181182 B1 KR 10118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w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241A (ko
Inventor
양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182B1/ko
Priority to US10/592,573 priority patent/US7728338B2/en
Priority to EP05820555.0A priority patent/EP1810352B1/en
Priority to PCT/KR2005/003702 priority patent/WO2006052068A1/en
Priority to CNB2005800086124A priority patent/CN100452456C/zh
Publication of KR2006004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241A/ko
Priority to US12/770,534 priority patent/US80443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1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H10H20/825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433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with a well layer based on Ga(In)N or Ga(In)P, e.g. blue las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nitrid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1/00Functional characteristics
    • H01S2301/04Gain spectral shaping, flat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06Substrates, e.g. growth, shape, material, removal or bonding
    • H01S5/0213Sapphire, quartz or diamond bas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4346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arrie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4346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arrier layers
    • H01S5/34386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arrier layers explicitly Al-fre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1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 H10H20/812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within the light-emitting regions, e.g. havin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위에 제1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성장시킨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위에 제2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서는 활성층 하부에 존재하는 격자결함의 전파가 차단됨으로써 질화물 반도체의 InxGa1-xN(0≤x≤1)/InyGa1-yN(0≤y≤1) 사이의 큰 격자부정합으로 인한 결정결함이 감소되고 활성층의 결정성이 높아지므로 높은 In 조성의 InxGa1-xN(0≤x≤1)를 갖는 박막 성장층에 의한 발광효율의 증가와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소자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발광소자, 질화물 반도체, 활성층, 장벽층, 시드층

Description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Light Emitting Device using nitrogen compound semiconductor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310 : 기판 220,320 : 버퍼층
230,330 : n형 질화물 반도체층 240,340 : 활성층
241,341 : 제1 활성층 241a,341a: 제1 장벽층
241b : 제1 시드층 241c,341c: 제1 우물층
242,342 : 제2 활성층 250,350 : p형 질화물 반도체층
440 : 추가 장벽층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화물 반도체는 청색발광 다이오드,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재료로써 크게 주목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파이어로 구성된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상에 형성된 버퍼층(120)과, 상기 버퍼층상에 형성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30)과,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30)상에 형성된 활성층(140)과,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된 p형 질화물 반도체층(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n형 및 p형 반도체층(130, 150)은 각각 질화갈륨(GaN)에 여러 도펀트(dopant)가 도핑되어 형성되며, n형 도펀트로는 규소(Si)가, p형 도펀트로는 주로 마그네슘(Mg)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몇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활성층의 대표적인 성장 방법으로는 질화물내의 In(인듐) 과 Ga(갈륨)의 비율이 일정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InxGa1-xN(0≤x≤1)과 질화갈륨이 접촉되어 형성 된 InxGa1-xN(0≤x≤1) 다중우물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900℃ 이하의 온도에서 성장시키는 것이 있다.
상기 900℃ 이하의 온도에서의 일반적인 성장방법은 In 과 Ga의 조성비의 적절한 배합을 위하여 낮은 온도와 질소(N₂) 분위기의 성장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InxGa1-xN(0≤x≤1)박막 성장에 있어 GaN에서 In의 인입이 많아질수록 또는 InN에서 Ga의 인입이 많을 수록 상분리 현상이 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장온도를 높이게 되면 In 상분리 현상이 커지게 되어 양질의 막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낮은 온도에서의 성장에서는 InGaN 박막에서의 In 편석(segregation)에 의한 막질의 저하와 GaN 사이의 격자 차이로 인해 InxGa1-xN(0≤x≤1)/GaN 계면에서 많은 결정결함이 발생된다. 또한, In의 상분리(dissociation) 현상이 커지게 되어 양질의 막을 얻기가 어려우며, 하부구조의 결정결함과 결합하여 발광효율의 저하, 소자의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종래의 성장 방법을 통한 InGaN/GaN 계열의 재료는 큰 격자부정합으로 인한 응력 때문에 활성층 내부에 강한 피에조 전기장이 발생되고, 전자-홀 파동함수가 분리되어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의 InxGa1-xN(0≤x≤1)/InyGa1-yN(0≤y≤1) 사이의 큰 격자부정합으로 인한 결정결함을 감소시켜 InxGa1-xN(0≤x≤1) 활성층의 결정성이 높아 지도록 하여 In 조성의 InxGa1-xN(0≤x≤1)를 갖는 박막 활성층에 의한 발광효율의 증가에 따라 저구동 전압과 고발광 효율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위에 형성된 제1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성장된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위에 형성된 제2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위에 형성된 우물층과, 상기 우물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형성된 장벽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층을 구성하는 우물층과, 상기 우물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형성된 장벽층은 교대로 다수층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위에 형성된 우물층과, 상기 우물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형성된 장벽층과, 상기 장벽층위에 이후에 형성될 우물층으로의 In 공급을 위한 시드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층을 구성하는 상기 우물층과 상기 장벽층과 상기 시드층이 교대로 다수층 형성된다.
또한, 맨처음 형성되는 상기 우물층의 격자결함 해소를 위해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우물층 사이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형성된 장벽층이 추가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기판위에 제1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성장시킨 장벽층을 포함시킨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위에 제2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위에 우물층을 형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우물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장벽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위에 우물층을 형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우물층위에 수소 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장벽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장벽층위에 In 공급을 위한 시드층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 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210)위에 형성된 버퍼층(220)과, 상기 버퍼층(220)위에 형성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230)과,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30)위에 장벽층(241b, 249b)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활성층(240)과, 상기 활성층(240)위에 형성된 p형 질화물 반도체층(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활성층(240)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230)과 p형 질화물 반도체층(250)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활성층(240)은 종래의 장벽층보다 결정결함을 낮추기 위하여 고온과 수소 분위기 속에서 성장된 장벽층(241b, 249b)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층(240)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230)위에 형성된 제1 우물층(241a)과, 상기 제1 우물층(241a)위에 고온과 수소 분위기 속에서 성장된 제1 장벽층(24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활성층(240)은 제1 우물층(241a)과 제1 장벽층(241b)으로 구성된 단일 양자우물구조나 다수의 우물층(241a, 249a)과 다수의 장벽층(241b, 249b)이 교대로 형성되는 다중 양자우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우물층(241a, 249a)과 장벽층(241b, 249b)은 4 ~ 10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우물층(241a, 249a)은 10 ~ 20%의 In 조성비를 갖는 InxGa1-xN(0≤x≤1)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벽층(241b, 249b)은 10% 이하의 In 조성비를 갖는 InyGa1-yN(0≤y≤1)으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210)상에 버퍼층(220)을 형성시킨다. 상기 기판(210)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사파이어나 실리콘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20) 위에 제1질화물 반도체층으로서 n형의 GaN 반도체층(230)을 형성시킨다. 지금까지의 공정은 종래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의 일반적인 공정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n형의 GaN 반도체층(230)을 형성한 후 활성층(24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n형의 GaN 반도체층(230) 위에 InxGa1-xN(0≤x≤1)으로 구성되는 우물층(241a)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물층(241a)은 10 ~ 20%의 In 조성비를 갖도록 한다.
상기 우물층(241a)을 형성시킨 후, 상기 우물층(241a) 위에 InyGa1-yN(0≤y≤1)으로 구성되는 장벽층(241b)을 형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벽층(241b)은 10% 이하의 In 조성비를 갖는 InyGa1-yN(0≤y≤1)으로 구성된다.
이때 장벽층(241b)은 수소분위기하에서 고온 조건으로 그 두께를 30 ~ 200Å 으로 형성시킨다. 상기 장벽층(241b)의 두께를 너무 얇게 하는 경우, 각각 우물층과 장벽층을 구성하는 InxGa1-xN(0≤x≤1)/InyGa1-yN(0≤y≤1) 계면에서 발생되는 흠 또는 포섭 등과 같은 결정결함의 제거 효과가 감소되어 소자의 성능향상 효과가 떨어지므로 그 두께를 30Å 이상으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벽층(241b)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소자 제작시 발생되는 저항의 증가로 인한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의 저하를 일으키게 되므로 200Å 이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벽층(241b) 형성을 수소분위기하에서 900℃ 이상에서 실시한 결과 900℃ 이하의 온도 조건으로 실시한 종래의 다중 우물구조에서의 InyGa1-yN(0≤y≤1) 장벽층 성장시보다 결정결함을 현저히 낮출 수 있었다. 한편 10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또 다시 결정결함이 증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벽층 형성과정의 온도 조건을 900 ~ 104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활성층(240)은 우물층(241a), 장벽층(241b)으로 구성된 단일 양자우물구조나 다수의 우물층, 장벽층 등으로 된 다중 우물양자구조를 형성시킨다.
상기 활성층(240)을 형성하고 난 이후, 상기 활성층(240)위에 제2 질화물 반도체층으로써 p형 질화물 반도체층(250)을 형성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310)위에 형성된 버퍼층(320)과, 상기 버퍼층(320)위에 형성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330)과,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30)위에 장벽층(341b, 349b)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활성층(340)과, 상기 활성층위에 형성된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활성층(340)은 역시 n형 질화물 반도체층(330)과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0)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활성층(340)은 종래의 장벽층보다 결정결함을 낮추기 위하여 고온과 수소 분위기 속에서 성장된 장벽층(341b, 349b)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층(340)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330)위에 형성된 제1 우물층(341a)과, 상기 제1 우물층(341a)위에 고온과 수소 분위기 속에서 성장된 제1 장벽층(341b)과 상기 제1 장벽층(341b)위에 형성된 시드층(34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활성층(340)에는 다수의 우물층(341a, 349a)과 다수의 장벽층(341b, 349b)과, 다수의 시드층(341c, 349c)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물층(341a, 349a)과 장벽층(341b, 349b)과 시드층(341c, 349c)은 각각 4 ~ 10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드층(341c, 348c)은 InzGa1-zN(0〈 z〈 1) 또는 InN 단일층으로 성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이후에 형성될 우물층 형성시에 상기 우물층내로 인듐의 유입이 충분하도록 하기 위한 시드역할을 하기 위한 층으로써 역할을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우물층 특성개선을 위해 우물층 형성에 앞서 상기 우물층에 충분한 In을 공급해 주기 위해 시드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추가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310)상에 버퍼층(310)을 형성시키고 난 후, 상기 버퍼층(310) 위에 제1질화물 반도체층으로서 n형의 GaN 반도체층(230)을 형성시킨다.
상기 n형의 GaN 반도체층(330)을 형성한 후 활성층(34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n형의 GaN 반도체층(330) 위에 InxGa1-xN(0≤x≤1)으로 구성되는 우물층(341a)을 형성한다. 상기 우물층(341a)을 형성시킨 후, 상기 우물층(341a) 위에 장벽층(341b)을 형성시킨다.
상기 장벽층(341b) 형성단계까지는 앞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락한다.
상기 장벽층(341b)을 형성시킨 후에 시드층(341c)으로서 InzGa1-zN(0〈 z〈 1)또는 InN 단일층을 성장시킨다. 이는 이후에 형성시킬 InxGa1-xN(0≤x≤1)로 구성되는 우물층(342a) 형성 과정에서 InzGa1-zN(0〈 z〈 1) 또는 InN 단일층이 시드역할을 함으로써 InxGa1-xN(0≤x≤1)로 구성되는 상기 우물층(342a)에 In을 충분히 공급해 주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서 InGaN 구조 자체의 상분리 및 In 조성 불균일성으로 인해 생기는 캐리어 국소화(Localization)를 조절가능토록 한다.
상기 시드층(341c)의 InzGa1-zN내의 In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중 10% 이상이 되도록 형성시킨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InxGa1-xN(0≤x≤1)로 구성되는 우물층의 일반적인 조성의 경우 In의 조성비가 15% 정도를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서는 우물층(342a)의 In의 조성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시드층(341c)을 구성하는 InzGa1-zN층 내의 In의 비율을 10% 이상으로 하여 실시한다. 이 경우 In의 우물층내로의 인입효과가 커짐으로써 상기 우물층(342a)내의 In의 조성비가 15% 이상으로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시드층(341c)으로서 InzGa1-zN(0〈 z〈 1) 또는 InN 단일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Å 이하로 성장시킨다. 시드층(341c)의 두께를 20Å 이하로 성장시키는 이유는 상기 시드층(341c)이 우물층(342a)의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 계면과 두 층사이에서 In이 격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박막의 막질저하 또는 발광특성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시드층(341c)을 성장시키고 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성장된 시드층(341c)을 열처리 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방법으로는 상기 시드층(341c) 성장시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열적 어닐링(annealing)을 시키거나 또는 우물층(342a) 성장시에 성장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열처리에 의해 상기 시드층(341c)내에 인입되어진 In이 N(질소)와 격자결합을 이루는 것을 촉진시키도록 하고 이후의 우물층(342a) 형성시에 Ga 와 In이 상호 결합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시드층(341c)을 형성시키고 난 이후에 InxGa1-xN(0≤x≤1)으로 구성되는 우물층(342a)을 형성시킨다. 상기 InxGa1-xN(0≤x≤1)으로 구성되는 우물층(342a) 형성을 위한 성장과정 중에는 이전 단계에서 형성한 시드층(341c)으로부터 상기 우물층(342a)으로 In이 충분이 인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활성층의 고온성장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고품위의 InxGa1-xN(0≤x≤1)으로 구성되는 박막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높은 In 조성의 고품위 InGaN 박막에 의한 캐리어 국소화 효과로 인하여 높은 발광효율을 지닌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우물층(341a), 장벽층(341b) 및 시드층(341c)으로 된 단일 양자우물구조나 상기 시드층(341c)위에 다수의 우물층(342a), 장벽층 및 시드층 등을 성장시켜 다중 양자우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349)의 마지막 양자우물구조 형성과정에서는 우물층(349a), 장벽층(349b) 을 형성시키지만 시드층의 형성과정은 생략한다. 이는 추가의 우물층을 형성시키지 않기 때문에 추가의 시드층이 불필요하고, 상기 장벽층(349b)과 이후에 형성될 p형 질화물 반도체층(350)과의 직접적인 접촉층 형성에 의한 발광소자의 정상적 동작환경을 위해서이다.
상기 활성층(340)위에 제2 질화물 반도체층(350)으로써 p형 GaN 반도체층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특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활성층(340)내의 상기 장벽층(341b, 349b)은 고온과 수소 분위기 속에서 성장되어 결정결함이 감소됨으로써, 기판(310)과 버퍼층(320) 및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30)과 같은 하부구조의 결정결함과 InxGa1-xN(0≤x≤1)/InyGa 1-yN(0≤y≤1) 계면에서 발생되는 흠(defect) 또는 포섭(inclusion) 등과 같은 결정결함(dislocation)의 전파를 저지시켜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시드층(341c, 348c)은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단계 중 InxGa1-xN(0≤x≤1)으로 형성되는 우물층(342a, 349a)을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인듐의 유입이 충분하도록 작용한다. 이는 높은 인듐 조성에 의한 성장온도 상승을 자연 유도하여 고온 성장의 InGaN 박막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캐리어 국소화(localization) 효과에 의해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최근 연구 결과 InN의 에너지 밴드 갭이 0.7 일렉트론 볼트(eV: 파장 1771나노 미터에 해당)의 매우 작은 값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InxGa1-xN(0≤x≤ 1)의 에너지 갭이 적외선 영역에서 자외선 영역을 모두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여 모든 파장에서 발광하는 LED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 우물층(241a, 341a)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230, 330)상에 직접 성장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상기 제1 우물층(241a, 341a)의 격자구조 결함이 충분히 감소되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의 보완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활성층(240)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430)과 제1 우물층(441a) 사이에 추가 장벽층(440)을 구비시킬 수 있다.
이는 제1 우물층(441a)의 격자결함 제거와 발광소자의 동작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온과 수소 분위기 속에서 성장된 추가 장벽층(440)을 추가로 형성시킨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추가 장벽층(440)의 형성과정은 앞에서 상술한 n형 질화물 반도체층(430)형성 과정과 상기 제1 우물층(441a) 형성과정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기판(410)과 버퍼층(420) 및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430)과 같은 하부구조의 결정결함과 InxGa1-xN(0≤x≤1)/InyGa1-yN(0≤y≤1)으로 되는 우물층과 장벽층 계면에서 발생되는 흠(defect) 또는 포섭(inclusion) 등과 같은 결정결함 (dislocation)의 전파가 저지되어 활성층의 결정결함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면 수소분위기와 고온 조건하에서 성장시킨 장벽층에 의하여 질화물 반도체의 InxGa1-xN(0≤x≤1)/InyGa 1-yN(0≤y≤1)으로 되는 우물층과 장벽층 사이의 큰 격자부정합으로 인한 결정결함이 감소되고 InxGa1-xN(0≤x≤1) 활성층의 결정성이 높아지므로 높은 In 조성의 InzGa 1-zN(0≤z≤1)를 갖는 박막 성장층에 의한 발광효율의 증가와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소자 제작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제1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수소분위기에서 성장시킨 장벽층을 포함하여 형성된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2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장벽층과, 상기 장벽층 상에 시드층과, 상기 시드층 상에 우물층을 포함하며,
    상기 우물층은 InxGa1-xN(0≤x≤1)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벽층은 InyGa1-yN(0≤y≤1)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드층은 상기 우물층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시드층은 20Å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우물층에서 In의 조성비는 15% 이상이고, 상기 시드층에서 In의 조성비는 10% 이상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우물층과 장벽층으로된 단일 양자우물구조나 다수의 우물층과 장벽층이 교대로 다수층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층은 InN으로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상기 우물층과 상기 장벽층과 상기 시드층이 교대로 다수층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5. 삭제
  6. 제1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수소 분위기에서 성장시킨 장벽층을 포함시킨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 상에 제2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장벽층과, 상기 장벽층 상에 시드층과, 상기 시드층 상에 우물층을 포함하며,
    상기 우물층은 InxGa1-xN(0≤x≤1)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벽층은 InyGa1-yN(0≤y≤1)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드층은 InN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드층은 상기 우물층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시드층의 두께는 20Å이하로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의 성장온도는 900~1040℃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의 두께는 30 ~ 200 Å으로 성장시키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층을 형성시킨후 상기 시드층을 열처리하는 과정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열처리를 완료한 후 상기 우물층을 형성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기판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층 상에 제1 질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20040092097A 2004-11-11 2004-11-1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97A KR101181182B1 (ko) 2004-11-11 2004-11-1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0/592,573 US7728338B2 (en) 2004-11-11 2005-11-04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EP05820555.0A EP1810352B1 (en) 2004-11-11 2005-11-04 Method of fabricating a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CT/KR2005/003702 WO2006052068A1 (en) 2004-11-11 2005-11-04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B2005800086124A CN100452456C (zh) 2004-11-11 2005-11-04 氮化物半导体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US12/770,534 US8044386B2 (en) 2004-11-11 2010-04-29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97A KR101181182B1 (ko) 2004-11-11 2004-11-1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241A KR20060044241A (ko) 2006-05-16
KR101181182B1 true KR101181182B1 (ko) 2012-09-18

Family

ID=3633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0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182B1 (ko) 2004-11-11 2004-11-11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728338B2 (ko)
EP (1) EP1810352B1 (ko)
KR (1) KR101181182B1 (ko)
CN (1) CN100452456C (ko)
WO (1) WO2006052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4721B2 (en) * 2005-11-29 2009-04-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uminescent ceramic element for a light emitting device
US7977665B2 (en) 2006-07-26 2011-07-12 Lg Electronics Inc. & Lg Innotek Co., Ltd.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KR100809215B1 (ko) * 2006-11-21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0907510B1 (ko) * 2007-06-22 2009-07-14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81053B1 (ko) * 2007-09-20 2009-02-27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질화물계 발광소자
US9800017B1 (en) 2009-05-29 2017-10-24 Soraa Laser Diode, Inc. Laser device and method for a vehicle
US9250044B1 (en) * 2009-05-29 2016-02-02 Soraa Laser Diode, Inc. Gallium and nitrogen containing laser diode dazzl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9243329B2 (en) * 2009-08-12 2016-01-26 Georgi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High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ositions produced therewith
WO2011084478A1 (en) * 2009-12-15 2011-07-14 Lehigh University Nitride based devices including a symmetrical quantum well active layer having a central low bandgap delta-layer
US11437774B2 (en) 2015-08-19 2022-09-06 Kyocera Sld Laser, Inc. High-luminous flux laser-based white light source
WO2020033706A1 (en) * 2018-08-09 2020-02-13 Array Photonics, Inc. Hydrogen diffusion barrier for hybrid semiconductor growth
US11239637B2 (en) 2018-12-21 2022-02-01 Kyocera Sld Laser, Inc. Fiber delivered laser induced white light system
US11421843B2 (en) 2018-12-21 2022-08-23 Kyocera Sld Laser, Inc. Fiber-delivered laser-induced dynamic light system
US11884202B2 (en) 2019-01-18 2024-01-30 Kyocera Sld Laser, Inc. Laser-based fiber-coupled white light system
US12152742B2 (en) 2019-01-18 2024-11-26 Kyocera Sld Laser, Inc. Laser-based light guide-coupled wide-spectrum light system
US12000552B2 (en) 2019-01-18 2024-06-04 Kyocera Sld Laser, Inc. Laser-based fiber-coupled white light system for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132A (ja) 1996-09-08 1998-03-31 Toyoda Gosei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WO2000030178A1 (en) * 1998-11-16 2000-05-25 Emcore Corporation Iii-nitride quantum well structures with indium-rich clust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787B2 (ja) * 1996-09-08 2002-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80887B2 (ja) * 1996-09-08 2006-05-31 豊田合成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48266Y1 (ko) 1997-05-30 1999-06-15 양재신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헤드램프
JPH1126812A (ja) * 1997-07-01 1999-01-29 Toyoda Gosei Co Ltd 3族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11275B2 (ja) * 1997-08-29 2002-08-05 株式会社東芝 窒化物系半導体発光素子
JP2000174366A (ja) 1998-12-02 2000-06-23 Meidensha Corp パルス放電装置
JP3440873B2 (ja) 1999-03-31 2003-08-25 豊田合成株式会社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6713789B1 (en) 1999-03-31 2004-03-30 Toyoda Gosei Co., Ltd. Group III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280782B1 (ko) 1999-07-28 2001-01-15 이세원 음식물의 신규한 포장방법 및 그 포장용기
JP2001119102A (ja) * 1999-10-15 2001-04-27 Toyoda Gosei Co Ltd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レーザダイオード
EP1104031B1 (en) 1999-11-15 2012-04-11 Panasonic Corporation Nitride semiconductor las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342013B1 (ko) 1999-11-26 2002-06-27 김효근 고품질 질화인듐갈륨/질화갈륨 다중양자우물구조층의제작방법
JP4032636B2 (ja) * 1999-12-13 2008-01-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素子
US6586762B2 (en) * 2000-07-07 2003-07-01 Nichia Corporatio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with improved lifetime and high output power
JP4867064B2 (ja) * 2000-11-17 2012-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用3−5族化合物半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53558B2 (ja) * 2000-12-25 2003-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素子
US6645885B2 (en) * 2001-09-27 2003-11-11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Forming indium nitride (InN) and indium gallium nitride (InGaN) quantum dots grown by metal-organic-vapor-phase-epitaxy (MOCVD)
KR20030083820A (ko) 2002-04-22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84490B1 (ko) * 2002-11-11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파장 수직 공진 표면방출 레이저 및 그 제작방법
KR20040047132A (ko) 2002-11-29 2004-06-05 (주)옵트로닉스 다중 양자우물 구조를 갖는 질화물 반도체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132A (ja) 1996-09-08 1998-03-31 Toyoda Gosei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WO2000030178A1 (en) * 1998-11-16 2000-05-25 Emcore Corporation Iii-nitride quantum well structures with indium-rich clust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2779A1 (en) 2008-06-19
CN100452456C (zh) 2009-01-14
KR20060044241A (ko) 2006-05-16
US20100207099A1 (en) 2010-08-19
CN1934719A (zh) 2007-03-21
EP1810352A1 (en) 2007-07-25
US8044386B2 (en) 2011-10-25
WO2006052068A1 (en) 2006-05-18
EP1810352A4 (en) 2010-12-08
US7728338B2 (en) 2010-06-01
EP1810352B1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708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459B1 (ko) 질화갈륨계 반도체 헤테로 구조체 성장 방법
KR100448662B1 (ko) 질화물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1182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755B1 (ko) 광전자 질화물-화합물 반도체 컴포넌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8664638B2 (en) Light-emitting diode having an interlayer with high voltage dens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01527B1 (ko) 화합물 반도체 발광 소자용 에피택셜 기판, 이의 제조방법및 발광 소자
KR100449074B1 (ko) 반도체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발광 소자
US8866161B2 (en)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ub-structures for reducing defects of dislocation therein
JP2008205514A (ja) Iii−v族窒化物半導体素子
JP2010098336A (ja) GaN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19702A (ja) 窒化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窒化物半導体素子
US20090050928A1 (en) Zinc-blende nitride semiconductor free-standing substrate, method for fabricating same, and light-emitting device employing same
KR20140123410A (ko) 자외선 발광 소자
KR101644156B1 (ko) 양자우물 구조의 활성 영역을 갖는 발광 소자
JP2000150959A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CN118693197B (zh) 发光二极管外延片及其制备方法、led
JP2010040692A (ja) 窒化物系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843378A (zh) 一种多量子阱基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CN117747725A (zh) 一种长波长InGaN基发光二极管的外延结构及其制备方法
KR100576850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1172059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93443B1 (ko)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용 기판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0332293A (ja) Iii−v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49108A (zh) 量子阱发光层和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