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859B1 -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 Google Patents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8859B1 KR101168859B1 KR1020120030119A KR20120030119A KR101168859B1 KR 101168859 B1 KR101168859 B1 KR 101168859B1 KR 1020120030119 A KR1020120030119 A KR 1020120030119A KR 20120030119 A KR20120030119 A KR 20120030119A KR 101168859 B1 KR101168859 B1 KR 101168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stone
- sculpture
- fixing groove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2-2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마감 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6의 마감 블록과 도 1 및 도 4의 조형석들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적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방법으로 적층되는 조형석들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방법으로 지오그리드가 조형석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전면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15-15 부분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16-16 부분의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21는 도 20의 21-21 부분의 단면도.
도 22은 도 20의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정면도.
도 25는 수평키의 사시도.
도 26는 도 6의 마감 블록과 도 20 및 도 24의 조형석들이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 적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방법으로 적층되는 조형석들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방법으로 지오그리드가 조형석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9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0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평면도.
도 35는 도 33의 측면도.
도 36은 도 33의 정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1은 도 40의 평면도.
도 42는 마감 블럭의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측면도.
도 44는 보조 블럭의 사시도.
도 45는 조형석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6은 조형석들을 수평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47은 도 33의 조형석과 마감 블럭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8는 도 39의 조형석과 마감 블럭 및 보조 블럭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9는 보강 조형석을 이용한 성토부의 옹벽의 측면도.
도 50은 보강 조형석을 이용한 절토부의 옹벽의 측면도.
도 51은 보강 조형석의 사시도.
도 52는 보강 조형석의 측면도.
도 53은 보강 조형석의 평면도.
도 54는 보강 조형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11, 11d, 11e, 316, 316a, 316b : 고정홈
12, 12b, 12c, 314 : 고정키 13, 320 : 연결키
14, 322 : 연결홈 17, 326 : 드레인홈
18 : 키홈 20, 500 : 마감 블록
24 : 키 30 : 지오그리드
40 : 수평키 100 : 지반
102 : 기초콘크리트 104 : 앞채움
106 : 뒷채움 108 : 배수층
109 : 유공관 120 : 성토부
200 : 절토부 202 : 절토면
204 : 셋앙카 206 : 와이어
208 : 소일네일 318 : 접착홈
324 : 포크부 328 : 식생홈
329 : 고리 330 : 돌기바
Claims (9)
-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이 형성된 다수의 포크부;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어서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는 돌기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석.
-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기 측면을 이루는 블럭체;
상기 블럭체와 이격되어 다른 측면을 이루는 포크부;
상기 블럭체와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블럭에의 일정 위치에서 중지된 형상을 갖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및
상기 포크부의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를 포함하며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다른 조형석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 및 적층되어서 상기 옹벽의 길이 방향 단부의 마감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이 더 형성되는 조형석.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는 돌기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석.
-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이 형성된 한 쌍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에 테이핑면이 형성됨으로써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어서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는 돌기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석.
-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일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상기 포크부의 상면에 상기 제1 고정홈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키의 하부에 하층을 이루는 제1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의 상부에 상층을 이루는 제2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며,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수평 방향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고리가 더 설치되는 조형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1739 | 2011-07-20 | ||
KR20110071739 | 2011-07-20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0316 Division | 2011-09-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8859B1 true KR101168859B1 (ko) | 2012-07-27 |
Family
ID=4671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0119A Active KR101168859B1 (ko) | 2011-07-20 | 2012-03-23 |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885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6113B1 (ko) * | 2013-05-02 | 2013-11-20 | 매일이엔씨(주) |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KR102237699B1 (ko) * | 2020-12-21 | 2021-04-08 |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3460B1 (ko) | 1999-05-28 | 2003-05-1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
KR200345937Y1 (ko) | 2003-12-17 | 2004-03-24 | 이용희 |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
KR100821946B1 (ko) | 2007-05-08 | 2008-04-15 | 주식회사 오륙개발 | 보강토 블록 |
-
2012
- 2012-03-23 KR KR1020120030119A patent/KR10116885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3460B1 (ko) | 1999-05-28 | 2003-05-1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
KR200345937Y1 (ko) | 2003-12-17 | 2004-03-24 | 이용희 |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
KR100821946B1 (ko) | 2007-05-08 | 2008-04-15 | 주식회사 오륙개발 | 보강토 블록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6113B1 (ko) * | 2013-05-02 | 2013-11-20 | 매일이엔씨(주) |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KR102237699B1 (ko) * | 2020-12-21 | 2021-04-08 |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89980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 multi-stage block wall | |
KR101278326B1 (ko) |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 |
KR101397432B1 (ko) | 보강토 옹벽 패널 | |
KR101609249B1 (ko) |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 |
KR20160050226A (ko) | 절토 사면 보강공법 | |
KR102263958B1 (ko) |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 |
KR101168859B1 (ko) |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 |
KR200461591Y1 (ko) |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 |
KR200461055Y1 (ko) |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 |
CN111188357A (zh) | 生态重力挡土墙及其施工方法 | |
CN201891130U (zh) |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 |
KR100797766B1 (ko) |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 |
KR101088477B1 (ko) |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 |
KR20120078565A (ko) | 절토부의 옹벽 | |
JP4812135B2 (ja) |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 |
KR200440047Y1 (ko) | 옹벽용 블록 | |
KR101146757B1 (ko) | 적층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65726B1 (ko) | 조립식 옹벽 | |
KR101238016B1 (ko) | 옹벽블록을 쌓아 구축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0654625B1 (ko) | 옹벽 축조용 블록 | |
KR20060129146A (ko) | 옹벽용 피씨구조체 | |
KR20060026098A (ko) | 옹벽 블럭 구조 | |
KR200402396Y1 (ko) | 식재용 옹벽 블록 | |
JP2007314960A (ja) | 補強土擁壁構造、及び、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施工具。 | |
KR200448481Y1 (ko) |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1090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1009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7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