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7672B1 - 경피 흡수 제제 - Google Patents

경피 흡수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672B1
KR101147672B1 KR1020047019590A KR20047019590A KR101147672B1 KR 101147672 B1 KR101147672 B1 KR 101147672B1 KR 1020047019590 A KR1020047019590 A KR 1020047019590A KR 20047019590 A KR20047019590 A KR 20047019590A KR 101147672 B1 KR101147672 B1 KR 10114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glycol
component
transdermal absorption
weight
dr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307A (ko
Inventor
나루이다카시
오미치가츠히로
오카다미노루
구라즈미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다음 성분(a), (b) 및 (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및 다음 성분(a), (b), (c) 및 (d)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 제제가 개시되고 있다.
(a) 프로필렌글리콜
(b)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c) 라우로마크로골
(d) 약제
이에 의해 뛰어난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비교적 친유성이 높은 약제로 경피 흡수성이 양호하지 않았던 것에도 뛰어난 피부 투과성을 나타내어 사용감이 뛰어나고 안전하여 안정적인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및 이와 약제를 함유하는 경피 흡수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피 흡수 제제{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본 발명은 신규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및 경피 흡수 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교적 친유성이 높은 생리 활성을 가지는 물질(약제)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및 이것과 약제를 함유하는 경피 흡수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는 경구적인 투여, 경피적인 투여, 주사에 의한 투여 등을 들 수 있다. 경구적으로 약제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약제에 따라서는 간장에 있어서의 초회통과효과에 의해 생체내 이용능이 낮아지거나 소화관에 대한 부작용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환자의 병의 용태에 따라서는 경구적으로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한편, 주사에 의한 투여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일이 있고, 또한, 투여를 받기 위해 기본적으로는 의료 기관에 나갈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이용하는 주사기의 취급도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들 투여법들을 대신하여 투약의 간편함 등의 이점으로부터 약제를 경피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약제를 경피적으로 투여하는 경우는 피부 표면의 각질층이 약제 흡수에 대한 배리어(barrier)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투과성이 낮은 기본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약제의 분자량이 큰 것이나, 약제의 수용성이 높은 것은 피부에의 투과성이 저하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의 이유에서, 약제를 효과적으로 경피 흡수시키기 위하여는 어떠한 방법으로 약제의 경피 흡수성을 촉진시키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이존(Azone: 1-도데실아자시클로헵탄-2-온), 멘톨, 피롤리돈, 또는 테르펜류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경피 흡수 촉진제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피 흡수 촉진제는 그 효과는 아직도 충분하지 않고, 반드시 모든 약제에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도, 제제화했을 때에 불쾌감을 주는 냄새가 나거나 사용감이 뒤떨어지거나 피부에 자극이 강하거나 하는 것이 많았다. 더욱이, 경피 흡수 촉진제 자체의 안정성이 나쁘기도 하고, 약제의 안정성을 해치거나 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비교적 친유성이 높은 약제로 경피 흡수성이 양호하지 않았던 것에도 뛰어난 피부 투과성을 나타내어 사용감이 뛰어나고 안전하여 안정적인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및 이것과 약제를 함유하는 경피 흡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및 라우로마크로골(lauromacrogol)을 함유하는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이 약제의 피부 투과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킴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에 약제를 배합한 경피 흡수 제제는 약제의 경피 흡수성이 지극히 뛰어나 안정성?사용감이 뛰어난 한편, 피부에의 자극이 적은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b) 및 (c)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 프로필렌글리콜
 (b)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c) 라우로마크로골
 또,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b), (c) 및 (d)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a) 프로필렌글리콜
 (b)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c) 라우로마크로골
 (d) 약제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각 액으로부터 채취한 랫트 피부를 투과 한 염산 로페라미드의 누적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4~6의 각 연고로부터 채취한 랫트 피부를 투과 한 약제의 누적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발명의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이하, 「본 발명 조성물」이라고 한다)에 있어서, 성분(a)로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글리콜은 통상, 본 발명 조성물의 1~99중량%, 바람직하기로는 4~95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90중량%(이하, 「%」라고 한다)의 범위에서 배합한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의 성분(b)인,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이고, 모노 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이어도 좋다. 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탄, 테트라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지방산으로서는 카프릴산, 카프린산, 옥탄산, 이소옥탄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등의 포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이 폴리올 지방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모노카프릴산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옥탄산에틸렌글리콜,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산글리세린, 모노카프릴산소르비탄, 모노카프릴산테트라글리세린 등을 들 수가 있고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이 성분(b)는 상기한 성분(a)의 프로필렌글리콜과 상용성(相溶性)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모노카프릴산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옥탄산에틸렌글리콜 등이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고, 특히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 조성물의 성분(c)인 라우로마크로골도 성분(a)의 프로필렌글리콜과 상용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산화 에틸렌 부가 몰수 2~25, 바람직하기로는 2~9의 라우릴에테르이다.
본 발명 조성물의 성분(a), (b) 및 (c)의 함유 비율은 중량비로 성분(a) 1에 대하여, 성분(b) 및 성분(c)의 합계가 0.01~99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05~2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1~9이고, 성분(b) 및 성분(c)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성분(b) 1에 대해서, 성분(c)가 0.1~10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25~4,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2이다.
본 발명 조성물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서 상기 성분(a), (b) 및 (c)을 충분히 혼합, 균일화하여 제조하고, 이에 약제를 배합함으로써 뛰어난 경피 흡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피 흡수 제제(이하, 단지 「본 발명 제제」라고 한다)는 상기 성분(a), (b) 및 (c)와 함께 성분(d)로 약제를 배합함으로 조제된다.
본 발명 제제로 성분(d)로 이용되는 약제는 본 발명 조성물과 병용하는 것으로써 경피 흡수 촉진 작용을 볼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교적 친유성의 높은 약제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비교적 친유성이 높은 약제라는 것은 제 제 중에 배합한 약제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성분(a)의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하는 것과 같은 약제이고, 종래 공지의 약제 또는 새롭게 합성?반합성?추출한 약제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등의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 디펜히드라민 등의 항히스타민제, 염산 이소프레나린 등의 중추 신경 작용약, 에스트라디올 등의 호르몬제, 후로세미드 등의 강압제, 디지톡신 등의 강심제, 인산디소피라미드 등의 항부정맥용제, 염산 톨라졸린 등의 관상혈관 확장제, 리도카인 등의 국소 마취제, 아세트아미노펜 등의 진통제, 염화 석사메토니움 등의 근이완제, 크로트리마졸 등의 항진균류제, 플루오로우라실 등의 항악성 종양제, 염산 탐스로신 등의 배뇨 장해제, 디아제팜 등의 항간질제, 메실산브로모크립틴 등의 항파킨슨병제, 니코틴 등의 금연 보조제, 또한 비타민류, 프로스타글란딘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제제의 성분(d)의 배합량은 약제의 종류, 제형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본 발명 제제에 대하여 통상 0.01~10%의 범위에 있어, 바람직하기로는 0.05~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1~3%의 범위이다.
본 발명 제제를 조제함에 있어서, 약제에 대한 본 발명 조성물의 배합량은 약제의 종류, 제제에의 약제의 배합량이나 제제의 제형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본 발명 제제에 대하여, 1~99.99%, 바람직하기로는 2~99.9%,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99%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 제제의 제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약제를 피부로부터 흡수시키는 여러 가지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연고제, 겔제, 크림제, 겔상 크림제, 액제, 로션제, 에어로졸제, 리니먼트제, 플라스터제, 파프제, 리저버형 패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제제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성분(a)~(d)에, 제조하는 제형에 필요한 제제 성분, 즉 부형제, 보조제,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고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a)~(d) 외, 바셀린, 매크로골 등의 연고 부형제, 파라핀, 경질 무수규산, 계면활성제 등의 보조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안정제 및 필요에 따라서 pH 조정제 등을 함유하면 좋다.
또한, 겔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a)~(d) 외,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 정제수,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겔화제,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중화제 등을 함유하면 좋고, 크림제의 경우에는 상기 성분(a)~(d)에 미리스틴산 에스테르, 팔미틴산 에스테르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유동(流動)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등의 유화제 등을 함유하면 좋다.
더욱이, 겔상 크림제의 경우에는 상기 성분(a)~(d)에, 미리스틴산 에스테르, 팔미틴산 에스테르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유동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등의 유화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등의 겔화 제와 디이소프로파놀아민 등의 중화제 등을 함유하면 좋고, 액제의 경우에는 상기 성분(a)~(d)에, 액상 고급 지방산, 식물유 등을 함유하면 좋다.
더욱이 또한, 로션제의 경우에는 상기 성분(a)~(d)를,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 및/또는 정제수에 용해, 유화 또는 현탁시키는 것이 좋고, 또한, 리니먼트제의 경우, 상기 성분(a)~(d)와 저급 알코올, 지방유 등을 조합하면 좋다.
한편, 에어로졸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액제, 로션제 또는 리니먼트제와 액화석유가스 등의 분사제를 에어졸 용기에 충전하는 것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터제의 경우, 에틸렌 초산비닐계 점착제,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부형제중에 상기 성분(a)~(d)를 함유하게 하는 것으로, 파프제의 경우는 폴리 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등으로 형성하는 고체내에 상기 성분(a)~(d)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리저버형 패치의 경우는 저급 알코올, 정제수, 수용성 고분자, 지방족알코올, 파라핀류, 실리콘류 등으로 구성되는 약제 저장층에, 상기 성분(a)~(d)를 배합하는 것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제제의 바람직한 모양의 일례로서는 기본적으로 성분(a)~(d)로 구성되는 균일한 용액상의 제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제의 바람직한 모양의 다른 예로서는 성분(a)~(d)와 유성 부형제로부터 되는 유성 연고제 내지 크림제를 들 수 있다.
이들 본 발명 제제는 피부에 적용하는 것으로써, 제제 중의 약제의 경피 흡 수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특히 본 발명 제제는, 종래의 흡수 제제에서는 경피 흡수시키는 것이 어려웠던 비교적 친유성이 높은 약제의 경피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이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작용 기전의 자세한 것은 해명되지 않았지만,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라우로마크로골이 피부 각질층의 배리어 기능을 저하시켜서, 피부 각질층에 분배되어 각질층 지방질과 상호작용 할 때,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된 약제도 함께 작용하여, 상승적으로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중량비 1:1:8이 되도록 혼합하여,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99중량부에 대하여, 염산 로페라미드 1중량부를 용해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했다.
비교예 1
프로필렌글리콜 99중량부에 염산 로페라미드 1중량부를 용해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2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을 중량비 1:9로 혼합하여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99중량부에 대하여 염산 로페라미드 1중량부를 용해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3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와 프로필렌글리콜을 중량비 1:9로 혼합하여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이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99중량부에 대하여 염산 로페라미드 1중량부를 용해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하였다.
시험예 1
피부 투과 시험(1):
HWY/Slc계 웅성 랫트(9주령)의 뒤쪽에서 채취한 피부를 37℃의 물을 순환시킨 푸란즈형(Franz-type) 확산 셀(적용 면적:2.83cm2)에 장착하여, 리시버(진피) 측에 생리 식염수 17 ml를 넣어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여 두었다. 도너(각질층)측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액을 각각 28μl 적용했다. 리시버중의 용액을 경 시적으로 채취하여, 그 중의 염산 로페라미드 농도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랫트 피부를 투과한 염산 로페라미드의 양을 구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각 액으로부터 랫트 피부를 투과한 염산 로페라미드의 누적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서 분명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를 함유하는 실시예 1은 프로필렌글리콜만의 비교예 1, 프로필렌글리콜과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비교예 2, 프로필렌글리콜과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를 함유하는 비교예 3의 어느 것보다도 높은 피부 투과성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2
리도카인 1중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4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 4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5중량부, 파라핀 4중량부를 더하여 용해하고, 또한 경질무수 규산 1.5중량부, 백색 바셀린 70.5중량부를 더하여 연고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4
리도카인 1중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4중량부, 파라핀 3중량부를 더하여 용해하고, 또한 백색 바셀린 82중량부를 더하여 연고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5
리도카인 1중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3.5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4중량부, 파라핀 3중량부를 더하여 용해하고, 또한 백색 바셀린 78.5중량부를 더하여 연고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6
리도카인 1중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 4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4중량부, 파라핀 3중량부를 더하여 용해하고, 또한 백색 바셀린 78중량부를 더하여 연고를 조제하였다.
시험예 2
피부 투과 시험(2):
HWY/Slc계 웅성 랫트(9주령)의 뒤쪽에서 채취한 피부를, 37℃의 물을 순환시킨 프란즈형 확산 셀(적용 면적:2.83 cm2)에 장착하고, 리시버(진피)측에 생리 식염수 17ml를 넣어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여 두었다. 도너(각질층)측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4~6의 연고를 각각 28mg 적용하였다. 리시버 중의 용액을 경시적으로 채취하고, 그 중의 리도카인 농도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랫트 피부를 투과한 리도카인의 양을 구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4~6의 각 연고로부터 랫트 피부를 투과한 약제의 누적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서 분명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를 함유하는 실시예 2는 프로필렌글리콜만의 비교예 4, 프로필렌글리콜과 모노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비교예 5, 프로필렌글리콜과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 에테르를 함유하는 비교예 6의 어느 것보다도 높은 피부 투과성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의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및 이와 약제를 함유하는 경피 흡수 제제는 단지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나타날 뿐 만 아니라, 비교적 친유성이 높은 약제로 경피 흡수성이 양호하지 않았던 것에도 뛰어난 피부 투과성을 나타내어 사용감이 뛰어나고 안전하여 안정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피 흡수 촉진 조성물 및 이와 약제를 함유하는 경피 흡수 제제는 여러가지 약제를 경피적으로 투여하는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음 성분(a), (b), (c) 및 (d)와, 유성기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연고제 또는 유성 크림제.
    (a) 프로필렌글리콜
    (b)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c) 산화에틸렌 부가몰수 2~25의 라우릴 에테르인 라우로마크로골
    (d) 염산 로페라미드 또는 리도카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성분(b) 및 (c)가, 성분(a)와 상용성이 있는 것인 유성 연고제 또는 유성 크림제.
  11. 제4항에 있어서, 성분(a), (b) 및 (c)의 함유 비율이, 중량비로 성분(a) 1에 대해, 성분(b) 및 (c)의 합계가 0.01~99이고, 성분(b) 및 (c)의 배합 비율이 중량비로 성분(b) 1에 대해서, 성분(c)가 0.1~10인 유성 연고제 또는 유성 크림제.
KR1020047019590A 2002-07-16 2003-07-02 경피 흡수 제제 Expired - Fee Related KR101147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06565 2002-07-16
JP2002206565A JP4387639B2 (ja) 2002-07-16 2002-07-16 経皮吸収製剤
PCT/JP2003/008400 WO2004006960A1 (ja) 2002-07-16 2003-07-02 経皮吸収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307A KR20050024307A (ko) 2005-03-10
KR101147672B1 true KR101147672B1 (ko) 2012-05-21

Family

ID=3011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5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7672B1 (ko) 2002-07-16 2003-07-02 경피 흡수 제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255149A1 (ko)
EP (1) EP1522316B1 (ko)
JP (1) JP4387639B2 (ko)
KR (1) KR101147672B1 (ko)
CN (1) CN100341577C (ko)
AU (1) AU2003244201A1 (ko)
CA (1) CA2489188C (ko)
TW (1) TW200403077A (ko)
WO (1) WO2004006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826A (ko) * 2004-03-31 2006-12-29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외용제
JP2005320282A (ja) * 2004-05-10 2005-11-17 Shiseido Co Ltd 局所麻酔用皮膚外用製剤
MX2008011433A (es) 2006-03-08 2008-09-18 Nihon Nohyaku Co Ltd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uso externo.
AU2006339842B2 (en) 2006-03-08 2012-06-07 Nihon Nohyaku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US8058303B2 (en) 2006-03-08 2011-11-15 Nihon Nohyaku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HUE030028T2 (en) 2007-09-05 2017-04-28 Pola Pharma Inc Antifungal drug
KR20100075475A (ko) 2007-09-05 2010-07-02 가부시키가이샤 폴라 파마 의약 조성물
CN101808638B (zh) * 2007-09-05 2012-07-25 宝丽制药股份有限公司 抗真菌组合物
WO2010117089A2 (en) 2009-04-09 2010-10-14 Pola Pharma Inc. Antimyco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101409792B1 (ko) 2009-04-09 2014-06-19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항진균성 약제학적 조성물
JP5635075B2 (ja) 2009-08-25 2014-12-03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抗真菌医薬組成物
JP5820206B2 (ja) * 2011-09-13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経皮吸収促進用組成物および貼付製剤
JP5820207B2 (ja) * 2011-09-13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経皮吸収促進用組成物および貼付製剤
JP5662495B2 (ja) * 2013-02-08 2015-01-28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可溶化剤形の医薬組成物
NO2753788T3 (ko) * 2013-05-10 2018-06-16
US9687455B2 (en) 2014-08-14 2017-06-27 John Daniel Dobak Sodium tetradecyl sulfate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adipose tissue
US9351945B1 (en) 2015-02-27 2016-05-31 John Daniel Dobak, III Reduction of adipose tissue
CN108853312B (zh) * 2018-09-25 2021-04-16 陕西天宇制药有限公司 聚桂醇外用凝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861A (ja) * 1994-04-20 1995-10-31 Dot:Kk 外用剤
JPH10182450A (ja) * 1996-12-27 1998-07-07 Ss Pharmaceut Co Ltd 外用組成物
US5932227A (en) * 1992-07-23 1999-08-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ercutaneously administrable base composition and drug composition prepar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964B2 (ja) * 1978-03-07 1983-11-14 東興薬品工業株式会社 ステロイド含有クリ−ム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225009A (ja) * 1982-06-23 1983-12-27 Shionogi & Co Ltd コルチコステロイド外用製剤
JPS62238216A (ja) * 1986-04-03 1987-10-19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ステロイドクリ−ム製剤
JP2860306B2 (ja) * 1989-12-26 1999-02-24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製剤
JPH05178763A (ja) * 1991-02-19 1993-07-20 Nippon Saafuakutanto Kogyo Kk 難溶解性薬物溶解剤組成物
JP2986966B2 (ja) * 1991-06-26 1999-12-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H06239740A (ja) * 1993-02-18 1994-08-30 Hiroshi Hibino ミコフェノール酸含有外用治療薬
US5858398A (en) * 1994-11-03 1999-01-12 Isomed Inc. Microparticula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U5578096A (en) * 1995-04-28 1996-11-18 Pharmetri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ing dermal analgesia
JP4138910B2 (ja) * 1997-07-02 2008-08-27 帝國製薬株式会社 経皮吸収性が良好で且つ皮膚刺激性の少ない塩酸アゼラスチン含有経皮製剤
AU1689999A (en) * 1997-12-25 1999-07-19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Medicinal composition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JP4275768B2 (ja) * 1998-06-18 2009-06-10 久光製薬株式会社 水性粘着膏体
US5994330A (en) * 1998-11-09 1999-11-30 El Khoury; Georges F. Topical application of muscarinic agents such as neostigmine for treatment of acne and other inflammatory conditions
JP2001026553A (ja) * 1999-07-09 2001-01-30 Lion Corp 外用剤組成物
GB0008785D0 (en) * 2000-04-10 2000-05-31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JP2003093152A (ja) * 2001-09-26 2003-04-02 Lion Corp 化粧料含浸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2227A (en) * 1992-07-23 1999-08-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ercutaneously administrable base composition and drug composition prepared therefrom
JPH07285861A (ja) * 1994-04-20 1995-10-31 Dot:Kk 外用剤
JPH10182450A (ja) * 1996-12-27 1998-07-07 Ss Pharmaceut Co Ltd 外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1577C (zh) 2007-10-10
EP1522316A4 (en) 2011-02-23
CA2489188A1 (en) 2004-01-22
TWI314458B (ko) 2009-09-11
US20050255149A1 (en) 2005-11-17
CA2489188C (en) 2011-11-15
JP4387639B2 (ja) 2009-12-16
TW200403077A (en) 2004-03-01
EP1522316A1 (en) 2005-04-13
CN1668334A (zh) 2005-09-14
EP1522316B1 (en) 2018-02-21
WO2004006960A1 (ja) 2004-01-22
KR20050024307A (ko) 2005-03-10
AU2003244201A1 (en) 2004-02-02
JP2004051487A (ja)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672B1 (ko) 경피 흡수 제제
KR101083696B1 (ko) 경피 흡수 제제
EP0971705B1 (e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drug formula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to the skin
JPH02191214A (ja) 医薬活性剤の経皮デリバリー用組成物
KR890000183B1 (ko) 경피 침투가 증진된 생리학적 활성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3487633B2 (ja) 皮膚疾患治療乳剤
CA2101496A1 (en) Base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AU2017247963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tacrolimus
MXPA02006454A (es) Formulacion anestesica local de base alcohol, y metodo para su uso.
JP4195178B2 (ja) 消炎鎮痛外用剤
US9662340B2 (en) Testosterone gel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JP2001064205A (ja) 製剤組成物
JPH0648962A (ja) 経皮吸収製剤用組成物
JPH04217926A (ja) 麻薬性鎮痛剤を含有する経皮吸収組成物
JPH06321771A (ja) 経皮投与用基剤
KR100347883B1 (ko) 국소마취제를 함유한 약용겔제 조성물
JPH11147826A (ja) 経皮吸収性の向上方法及び皮膚外用剤
KR20020006555A (ko) 국소마취제를 함유하는 외용 겔제제
JPS62187415A (ja) 経皮吸収促進用組成物
JPH06184000A (ja) (−)−イソプレゴールからなる経皮吸収促進剤
JPH07109229A (ja) 経皮吸収促進物質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HK1161683A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penetration enhancing agents
JP2000351729A (ja) トロンボキサンa2受容体拮抗剤の経皮吸収製剤
JP2005213192A (ja) 消炎鎮痛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Patent event code: PN23012R02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2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007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216

Appeal identifier: 2012101000373

Request date: 20120112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1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4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9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2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