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699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994B1
KR101146994B1 KR1020100055104A KR20100055104A KR101146994B1 KR 101146994 B1 KR101146994 B1 KR 101146994B1 KR 1020100055104 A KR1020100055104 A KR 1020100055104A KR 20100055104 A KR20100055104 A KR 20100055104A KR 101146994 B1 KR101146994 B1 KR 10114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protective member
edge
transparent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290A (ko
Inventor
황정호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994B1/ko
Priority to US13/006,593 priority patent/US8537325B2/en
Publication of KR2011013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9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표시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표시면 상에 배치된 투명 보호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투명 보호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투명 보호부재, 및 상기 댐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충진된 투명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등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야외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적절한 휘도, 우수한 야외 시인성 등의 특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 개선을 위해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등의 보호부재 사이에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충진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보호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투명 충진재를 균일하게 충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표시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표시면 상에 배치된 투명 보호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투명 보호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투명 보호부재, 및 상기 댐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충진된 투명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를 갖고,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의 각 모서리의 중심으로부터 꼭짓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벽의 테두리와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댐부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잉크 인쇄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테이핑(taping)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경화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부재는 유리 기판이고, 상기 투명 충진재는 액상의 투명 충진재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충진재는 아크릴계 물질 또는 레진(resi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댐부의 내벽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을 따라 댐부를 형성하며,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댐부 및 상기 투명 충진재가, 상기 투명 보호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투명 보호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 보호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투명 충진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를 갖고,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의 각 모서리의 중심으로부터 꼭짓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벽의 테두리와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잉크 인쇄하여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테이핑(taping)하여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경화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수지를 경화시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부재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충진재는 아크릴계 물질 또는 레진(resin)일 수 있다.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댐부의 내벽을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 충진재 충진 시, 충진 범위를 결정하는 댐부의 형상에 투명 충진재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투명 충진재를 보다 균일하게 충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보호부재(130) 및 댐부(1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투명 보호부재(130), 댐부(120a), 및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보호부재(130) 및 댐부(120)에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퍼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부(120b)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TPS(crystalline silicon)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들, 구동 회로들, 봉지 기판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및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표시면 상에 배치된 투명 보호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투명 보호부재(130) 사이에는 휘도 특성 및 야외 시인성을 좋게 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투명 보호부재(130)가 완전하게 합착되도록 하는 투명 충진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투명 보호부재(130)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C(poly carbonate)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 제품, 유리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고분자 플라스틱 제품은 플렉서블한 특성이 있어 다양한 종류의 투명 충진재(14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유리 기판은 플렉서블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 기판을 이용해 투명 보호부재(130)가 구현되는 경우,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투명 충진재(140) 층을 형성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로는 UV 경화형 아크릴계 물질 또는 수지, 열 경화형 아크릴계 물질 또는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의 특성상, 제조과정에서 액 넘침이나 액 부족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제조과정 중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적절한 제어가 요구된다.
댐부(120)는 투명 보호부재(130) 상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외측을 따라 격벽 형태로 형성되고, 투명 보호부재(130)와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이에 개재되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충진 범위를 결정한다. 투명 충진재(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댐부(120) 및 투명 보호부재(130)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충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휘도 손실을 줄이고, 외부 광에 의한 광 노이즈를 제거하여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투명 충진재(140)의 균일한 도포가 요구된다. 그런데 표면 장력을 갖는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특성 상, 댐부(120) 부근에서 투명 충진재(140)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보호부재(130) 및 댐부(1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부(120)의 내벽의 테두리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부(120)의 외벽의 테두리는 댐부(120)의 내벽의 테두리와 거의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댐부(120)의 높이는 투명 충진재(140) 층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투명 충진재(140) 층의 높이는, 투명 충진재의 점도, 접찹력 및 충진층 경화를 위한 구조적 요건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보호부재(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220)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대응되는 비표시 영역(2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댐부(120)는 투명 보호부재(130)의 비표시 영역(210) 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투명 충진재(140)의 충진 영역을 결정하는 댐부(120)의 내벽의 테두리가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투명 충진재(140)가 충진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는 표면 장력을 갖기 때문에, 액이 투명 보호부재(130)와 디스플레이 모듈(110)사이에서 퍼져나갈 때, 그 가장자리가 둥근 모양을 유지하면서 퍼지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댐부(120)의 내벽을 둥글게 형성하여, 충진 영역의 모양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흐름 모양 및 퍼짐 특성을 반영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투명 보호부재(130)의 합착에 의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퍼져나갈 때,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도포되지 않은 미도포 영역 및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가 과도하게 밀집되어 넘침 등이 발생한 과도포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전 충진 영역에 걸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부(120)의 내벽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기 다각형의 각 모서리의 중심으로부터 꼭짓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벽의 테두리와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보호부재(130)에 댐부(120)가 형성된다. 댐부(120)는 투명 보호부재(130)의 양면 중,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대향하는 대향 면에 형성된다. 댐부(120)는 잉크 인쇄, 테이핑, 경화수지 패터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댐부(120)를 형성하는 부재는 투명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수지는 실리콘(Si), 아크릴계 물질(Acrylic), 본드류 등일 수 있다. 댐부(120)의 내벽은 투명 보호부재(130)의 상기 대향 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310). 다른 예로서, 댐부(120)의 내벽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320). 댐부(120)의 내벽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우,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퍼짐 특성을 더욱 잘 반영하여, 투명 충진재(140)가 댐부(120)와 더욱 밀착되어 충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보호부재(130)에 형성된 댐부(120) 내측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를 도포한다. 투명 충진재(140a)를 도포하는 모양은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퍼짐 특성을 고려하여, 투명 보호부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합착하였을 때,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는 도 6에 도시된 모양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를 도포할 때,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48214호에 개시된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48214호의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투명 보호부재(130) 상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도포가 완료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도포된 투명 보호부재(130)를 반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에 배치시킨다.
다른 예로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투명 보호부재(130) 상의 댐부(120)의 내측에 분포하도록,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를 도포한다. 또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양면 중, 투명 보호부재(130)와 대향하는 면에 도포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도포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충진재(140a)가 도포된 면상에 투명 보호부재(130)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투명 보호부재(130)가 합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투명 보호부재(130)가 합착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10), 댐부(120), 및 투명 보호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퍼진다.
합착으로 인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충진 영역에 퍼진 후에,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에 UV(ultra violet)광을 조사하거나, 열을 조사하여,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를 경화시킨다. 투명 충진재(140a)는 UV 경화형, 또는 열 경화형일 수 있는데,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경화를 위해, 투명 충진재(140a)의 타입에 따라 UV광 또는 열을 조사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투명 보호부재(130), 댐부(120a), 및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교 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비교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비교 예에서는, 댐부(120a)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를 따라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비교 예에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댐부(120a) 내에 도포된다.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도포가 완료된 후에,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투명 보호부재(130)를 합착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디스플레이 패널(110), 댐부(120a), 및 투명 보호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 영역 내에서 퍼진다.
본 발명의 비교 예는 댐부(120a)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댐부(120a)의 내벽 부근에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고르게 퍼지지 못한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도포되지 않고 비어있는 미도포 영역, 또는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과도하게 분포하여 충진 영역 밖으로 넘치는 과도포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미도포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 투명 충진재(140) 층에 기포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봤을 때 기포가 시인되고, 기포로 인해 표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된다. 과도포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투명 보호부재(130)가 제대로 합착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투명 보호부재(130) 사이의 들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도포 시, 미도포 영역 또는 과도포 영역의 발생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공정에서 불량을 초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보호부재(130) 및 댐부(120)에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퍼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댐부(120) 내벽 테두리를 갖기 때문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퍼질 때, 미도포 영역 또는 과도포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중심으로부터 댐부(120)쪽으로 퍼질 때(A),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응력으로 인해 둥근 모양을 유지하며 퍼지게 되는데, 댐부(120)의 내측 테두리가 볼록한 형상이기 때문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와 댐부(120)의 내벽이 보다 밀착되어 맞닿을 수 있고, 미도포 영역 또는 과도포 영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댐부(120)의 내벽을 따라 흐를 때(B),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가 둥근 모양으로 퍼지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둥근 모양의 댐부(120) 내벽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댐부(120)의 내벽이 액상의 투명 충진재(140a)의 흐름 특성을 반영한 흐름 경로를 만들어주며, 이로 인해 미도포 영역 또는 과도포 영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부(120b)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댐부(120)의 외벽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댐부(120b)의 외벽의 테두리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댐부(120b)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투명 보호부재(130)를 접착시키거나 봉합시키는 접착재 또는 봉합재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모듈
120, 120a, 120b 댐부
130 투명 보호부재
140, 140a 투명 충진재
210 비표시 영역
220 표시 영역

Claims (20)

  1. 표시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표시면 상에 배치된 투명 보호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투명 보호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투명 보호부재, 및 상기 댐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충진된 투명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를 갖고,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의 각 모서리의 중심으로부터 꼭짓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벽의 테두리와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잉크 인쇄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테이핑(taping)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경화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부재는 유리 기판이고, 상기 투명 충진재는 액상의 투명 충진재를 경화시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충진재는 아크릴계 물질 또는 레진(resin)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내벽이 오목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을 따라 댐부를 형성하며,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댐부 및 상기 투명 충진재가, 상기 투명 보호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투명 보호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액상의 투명 충진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 보호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투명 충진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를 갖고, 상기 댐부의 내벽의 테두리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의 각 모서리의 중심으로부터 꼭짓점으로 갈수록 상기 내벽의 테두리와 상기 다각형 형상의 테두리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외벽은 상기 댐부의 내벽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의 외벽의 테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잉크 인쇄하여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테이핑(taping)하여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보호부재에 상기 댐부의 패턴을 따라 경화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수지를 경화시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부재는 유리 기판인,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충진재는 아크릴계 물질 또는 레진(resin)인,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댐부의 내벽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KR1020100055104A 2010-06-10 2010-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146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04A KR101146994B1 (ko) 2010-06-10 2010-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3/006,593 US8537325B2 (en) 2010-06-10 2011-01-14 Display apparatus having an outwardly curved dam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04A KR101146994B1 (ko) 2010-06-10 2010-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290A KR20110135290A (ko) 2011-12-16
KR101146994B1 true KR101146994B1 (ko) 2012-05-22

Family

ID=4509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104A Active KR101146994B1 (ko) 2010-06-10 2010-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37325B2 (ko)
KR (1) KR101146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6901A (ja) * 2011-09-30 2013-04-25 Shibaura Mechatronics Corp 貼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10702B1 (ko) * 2012-02-16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플레이트의 접합방법
KR101373221B1 (ko) 2012-06-13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024916B2 (ja) * 2012-10-22 2016-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パネル貼付方法およびパネル貼付装置
KR101966167B1 (ko) * 2013-01-29 2019-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3220B1 (ko) * 2014-01-07 2020-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00294B1 (ko) * 2014-01-22 2021-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E102014212146A1 (de) * 2014-06-25 2015-12-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ooptisches Display mit einer transparenten Deckscheibe
MY178518A (en) * 2014-11-14 2020-10-15 Bosch Gmbh Ro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bonding, and a display
JP7280008B2 (ja) * 2016-04-18 2023-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038740B1 (ko) 2016-07-19 2019-10-31 (주)화이트스톤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JP6817145B2 (ja) * 2017-05-29 2021-01-20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有機電界発光装置および有機電界発光装置の製造方法
CN108428802B (zh) * 2018-03-27 2020-11-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oled装置
CN108538763B (zh) * 2018-04-24 2020-05-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热组件、封装装置和封装方法
CN110007478A (zh) * 2019-05-24 2019-07-12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光学组件及其组装方法、光学装置与电子设备
WO2020255197A1 (ja) * 2019-06-17 2020-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3133330B (zh) * 2019-10-30 2025-0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DE202021103790U1 (de) 2021-07-15 2021-08-05 Marquardt Gmbh Displayverbindung
DE102021118304A1 (de) 2021-07-15 2023-01-19 Marquardt Gmbh Displayverbindung
DE202021103793U1 (de) 2021-07-15 2021-08-23 Marquardt Gmbh Displayverbindung
DE102021118303A1 (de) 2021-07-15 2023-01-19 Marquardt Gmbh Displayverbind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5641A (ja) * 2003-08-04 2005-03-03 Yokogawa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9008703A (ja) * 2007-06-26 2009-01-15 Seiko Instruments Inc 電子機器
KR20090032961A (ko) * 2007-09-28 2009-04-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KR100932982B1 (ko) * 2008-01-09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5621A (ja) 1999-03-24 2000-10-0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CN1108599C (zh) * 1999-08-03 2003-05-14 东南大学 一种交流等离子体显示板
US7279063B2 (en) * 2004-01-16 2007-10-0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making an OLED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JP5011676B2 (ja) * 2005-08-12 2012-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を備える機器
KR101188602B1 (ko) * 2005-09-02 2012-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EP1973089B1 (en) 2005-11-29 2010-12-29 Seiko Instruments Inc. Process for producing display and method of laminating
TW200729269A (en) * 2006-01-27 2007-08-01 Marketech Int Corp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119228A (ko) 2006-06-14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5057136B2 (ja) 2006-10-31 2012-10-2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用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用装置
CN101339814A (zh) * 2007-07-06 2009-01-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平面显示器
KR20130095854A (ko) * 2007-07-17 2013-08-28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83819A1 (en) * 2007-12-27 2009-07-23 Tsutomu Matsuhira Manufacturing method for a display device
TW200934662A (en) * 2007-12-28 2009-08-16 Du Pont Method for reworking adhesively bonded liquid crystal displays
DE102009013710A1 (de) * 2009-03-20 2010-09-23 Merck Patent Gmbh Polymere aus Mischungen mit Vinylether-Monomeren
JP5553648B2 (ja) * 2009-06-26 2014-07-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397741B (zh) * 2009-07-10 2013-06-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KR101084264B1 (ko) * 2009-08-07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봉지기판,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7317B1 (ko) * 2009-11-18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5641A (ja) * 2003-08-04 2005-03-03 Yokogawa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9008703A (ja) * 2007-06-26 2009-01-15 Seiko Instruments Inc 電子機器
KR20090032961A (ko) * 2007-09-28 2009-04-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KR100932982B1 (ko) * 2008-01-09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290A (ko) 2011-12-16
US20110304812A1 (en) 2011-12-15
US8537325B2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9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155826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6036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424964B2 (ja) 表示装置
US20090183819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display device
US11793018B2 (en) OLED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10396304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937760B2 (en) Electronic ink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1521195A (zh) 一種amoled模組結構及其組裝方法
JP200820951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525685A (ja) 充填された間隙を有するタイル状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TWI421611B (zh) 電泳顯示結構
KR101023303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4005918B (zh) 显示装置
US20210408447A1 (en) Display panel, packaging device, packag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JP5358847B2 (ja) 板状部材の貼り合せ方法及び貼り合せ装置
CN111999941A (zh) 框胶结构
KR1014464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TW201936023A (zh) 軟性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2015165264A (ja) 表示装置
KR101276542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70983B (zh) 發光裝置及其製作方法
CN114883472B (zh) 显示面板的侧边封装方法及显示面板
TWI441055B (zh) 觸控螢幕結構
CN115731808A (zh) 拼接显示器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