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3833B1 -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833B1
KR101143833B1 KR1020070052179A KR20070052179A KR101143833B1 KR 101143833 B1 KR101143833 B1 KR 101143833B1 KR 1020070052179 A KR1020070052179 A KR 1020070052179A KR 20070052179 A KR20070052179 A KR 20070052179A KR 101143833 B1 KR101143833 B1 KR 10114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ss filter
high frequency
low pass
input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826A (ko
Inventor
타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833B1/ko
Priority to US12/152,323 priority patent/US8351727B2/en
Priority to JP2008129418A priority patent/JP5116032B2/ja
Publication of KR2008010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8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화소 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색차 신호들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로서, 저역 통과 필터, 감산기, 가산기, 및 휘도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저역 통과 필터는 입력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감산기는 입력 영상 신호에서 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여 고주파 성분 신호를 발생시킨다. 가산기는 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휘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휘도 신호 제어부는,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증가시키고,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generating brightness signal of high reproducibility}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CCD에 부착되는 칼라 필터의 배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어느 한 DB 라인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어느 한 DR 라인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어느 한 DR 라인 또는 어느 한 DB 라인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 입력 영상 신호들의 색차 신호들과 휘도 신호에 적용되는 저역 통과 필터들의 특성들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입력 영상 신호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어느 한 프레임의 피사체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 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평 폭 판단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9의 수평 폭 판단부의 각 구성 요소들의 특성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의 계조 유사도 측정부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8의 수직 폭 판단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수직 폭 판단부의 각 구성 요소들의 특성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1...수평 폭 판단부, 82...계조 유사도 측정부,
83...수직 폭 판단부, 370...저역 통과 필터,
380...감산기, 500,510,520...곱셈기,
530...가산기.
본 발명은,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화소 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색차 신호들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전하 결합 소자들(CCD)에 부착되는 칼라 필터의 배열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의 어느 한 DB 라인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2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의 어느 한 DR 라인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SB1, SB2, ..., SBm은 전하 결합 소자들(CCD)로부터의 DB 라인들을 통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SR1, ..., SRm은 전하 결합 소자들(CCD)로부터의 DR 라인들을 통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DB1, DB2, ..., DBm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의 DB 라인들을 통하여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DR1, ..., DRm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의 DR 라인들을 통하여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가리킨다. 그리고 참조 부호 (R-Y)1, (B-Y)1, ..., (R-Y)2m, (B-Y)2m은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색차 신호들을 가리킨다. 그리고 참조 부호 YL1, ..., YL2m은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색차 신호들을 가리킨다.
도 1에서 상부의 마젠타(Mg), 시안(Cy), 녹색(G), 및 황색(Y)은 DB 라인들을 위하여 구비된다. 또한, 하부의 녹색(G), 시안(Cy), 마젠타(Mg), 및 황색(Y)은 DR 라인들을 위하여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 DBm은 홀수번째 수평 주기에서 Mg + Cy 이고, 짝수번째 수평 주기에서 G + Ye 이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 DBm(n)이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해진다.
DBm(n) = Mg + Cy - (G + Ye)
상기 수학식 1에서 n이 홀수인 경우, Mg + Cy는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키고, G + Ye는 제n+1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 n이 짝수인 경우, G + Ye는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키고, Mg + Cy는 제n+1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킨다.
참고로, 색상의 측면에서 보면 마젠터(Mg)는 R(적색) + B(청색)이고, 시안(Cy)은 B(청색) + G(녹색)이므로, 상기 수학식 1의 결과는 2B - G로 귀결된다.
한편,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 DRm은 홀수번째 수평 주기에서 G + Cy 이고, 짝수번째 수평 주기에서 Mg + Ye 이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R 라인에 상응하는 신호 DRm(n)이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해진다.
DRm(n) = Mg + Ye - (G + Cy) = 2R - G
상기 수학식 2에서 n이 홀수인 경우, G + Cy는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키고, Mg + Ye는 제n+1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에서 n이 짝수인 경우, Mg + Ye는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키고, G + Cy는 제n+1 수평 주기에서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신호를 가리킨다.
참고로, 색상의 측면에서 보면 마젠터(Mg)는 R(적색) + B(청색)이고, 시안(Cy)은 B(청색) + G(녹색)이므로, 상기 수학식 1의 결과는 2R - G로 귀결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DB1, DB2, ..., DBm)가 처리되는 이유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의 화소 별 영상 신호(DB1, DB2, ..., DBm)가 두 수평 주기들(샘플링 주기들)을 통하여 중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평 주파수(샘플링 주파수)를 fs라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 DB(n) 또는 DR(n)에는 휘도 신호 YL(n)의 정상적인 성분과 색차 신호들 (R-Y)(n) 또는 (B-Y)(n)의 반송 주파수로서의 고주파 성분이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색차 신호들 (R-Y)(n) 및 (B-Y)(n)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 YL(n)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6의 제1 곡선(C1)의 특성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가 사용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색차 신호들 (R-Y)(n) 또는 (B-Y)(n)을 구하는 과정에서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6의 제2 곡선(C2)의 특성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가 사용된다.
도 7은 도 2의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입력 영상 신호들(DB1, DR1, ..., DRm)에 의하여 이루어진 어느 한 프레임(FR)의 피사체 영상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일 피사체만이 존재한다고 가정한 경우에 피사체의 범위는 WH의 수평 폭과 WV의 수직 폭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이 영상의 배경 영역이 아닌 피사체 영역에서는 채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휘도 신호에는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 신호 들(DB1, DR1, ..., DRm)이 모두 저역 통과 필터(도 6의 C1)를 통과한다. 즉,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모든 영역에 대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피사체 영역에 존재하는 휘도의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므로, 영상의 재현성(reproducibility)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재현성을 증진할 수 있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화소 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색차 신호들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로서, 저역 통과 필터, 감산기, 가산기, 및 휘도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감산기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여 고주파 성분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산기는 상기 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상기 감산기로부터 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휘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휘도 신호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증가시키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감소시킨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상기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입력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상기 저역 통과 필터에서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과 함께 제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손실된 상기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상기 휘도 신호 제어부에 의하여 보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저역 통과 필터에서 상기 색차 신호들의 비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제거됨에도 불구하고, 피사체의 범위에서 발생되는 상기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재현성이 증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보여준다. 도 8에서 참조 부호 DBm(n)은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가리킨다. 또한, 참조 부호 DRm(n)은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가리킨다. 도 2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로부터 화소 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을 처리하여 색차 신호들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 YLm(n)을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로서, 저역 통과 필터(370), 감산기(380), 가산기(530), 및 휘도 신호 제어부(81, 82, 500, 83, 510, 및 520)를 포함한다.
저역 통과 필터(LPF1, 370)는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에 포함되어 있는 색차 신호들의 비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감산기(380)는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에서 저역 통과 필터(LPF1, 37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여 고주파 성분 신호를 발생시킨다. 가산기(530)는 저역 통과 필터(LPF1, 37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가산하여 휘도 신호 YLm(n)을 발생시킨다.
휘도 신호 제어부(81, 82, 500, 83, 510, 및 520)는,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도 7 참조)에 속하면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증가시키고,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감소시킨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 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휘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저역 통과 필터(LPF1, 370)에서 색차 신호들의 비정상적인 고주파 성분과 함께 제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손실된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휘도 신호 제어부(81, 82, 500, 83, 510, 및 520)에 의하여 보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저역 통과 필터(LPF1, 370)에서 색차 신호들의 비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제거됨에도 불구하고, 피사체의 범위에서 발생되는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재현성이 증진될 수 있다.
감마 변환부(84)는 음극선관의 역 감마 휘도 특성이 미리 보정되도록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에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휘도 신호 제어부(81, 82, 500, 83, 510, 및 520)는 수평 폭 판단부(81), 계조 유사도 측정부(82), 제1 곱셈기(500), 수직 폭 판단부(83), 제2 곱셈기(510), 및 제3 곱셈기(520)를 포함한다.
수평 폭 판단부(81)는, 수평-폭 판단 신호 P0 m(n)을 출력함에 있어서,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도 7의 WH)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한다.
계조 유사도 측정부(82)는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계조가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에 근접되는 비율인 계조 유사도의 신호 P1 m(n)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계조가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에 근접할수록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도 7의 WH)에 속할 확률이 높다.
제1 곱셈기(500)는 수평 폭 판단부(81)로부터의 출력 신호 P0 m(n)와 상기 계조 유사도 측정부로부터의 계조-유사도 신호 P1 m(n)를 서로 곱한다.
수직 폭 판단부(83)는, 수직-폭 판단 신호 P2 m(n)을 출력함에 있어서,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도 7의 WV)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한다.
제2 곱셈기(510)는 제1 곱셈기(500)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수직 폭 판단부(83)로부터의 출력 신호 P2 m(n)를 서로 곱한다.
제3 곱셈기(520)는,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와 제2 곱셈기(510)로부터의 출력 신호 P3 m(n)을 서로 곱하여 그 결과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가산기(530)에 입력시킨다.
도 9는 도 8의 수평 폭 판단부(8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9의 대역 통과 필터(BPF1, 390)의 특성을 예를 들어 보여준다. 도 10에서 참조 부호 fs는 수평 주파수(샘플링 주파수)를 가리킨다. 도 11은 도 9의 수평 폭 판단부(81)의 각 구성 요소들의 특성들을 보여준다. 도 9 및 11에서 참조 부호 DBm(n) 또는 DRm(n)은 입력 영상 신호를 가리킨다. A390은 대역 통과 필터(BPF1, 390)의 동작 특성을 가리킨다. A400은 절대값 생성부(400)의 동작 특성을 가리킨다. A410은 미디언 필터(410)의 동작 특성을 가리킨다. P0 m(n)은 제n 수평 주기에서의 제m 라인에 상응하는 수평-폭 판단 신호를 가리킨다. 그리고, P0(n)은 제n 수평 주기에서의 화소들 전체에 대한 수평-폭 판단 신호를 가리킨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수평 폭 판단부(81)는 대역 통과 필터(BPF1, 390), 절대값 생성부(400), 미디언 필터(410), 및 최소값 필터(420)를 포함한다.
수평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은 도 10과 같은 동작 특성의 대역 통과 필터(BPF1, 390)에 의하여 검출된다(A390 참조). 절대값 생성부(400)는 대역 통과 필터(BPF1, 390)로부터의 출력의 절대값을 생성한다(A400 특성 파형 참조).
미디언 필터(410)는 절대값 생성부(400)로부터의 입력 영상 신호의 절대값이 수평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포함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한다(A410 특성 파형 참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미디언 필터(410)의 동작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의 계조 값은 그 주위 화소들의 계조값들의 중앙값으로 변경된다.
최소값 필터(420)는 미디언 필터(410)의 두 가장자리들 각각이 차지하는 수평 영역을 줄이기 위한 특성을 가진다(P0(n) 특성 파형 참조).
도 12는 도 8의 계조 유사도 측정부(82)의 특성을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계조가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AV)에 근접되는 비율인 계조 유사도의 신호 P1 m(n)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계조 유사도의 신호 P1 m(n)은 0 내지 1의 값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계조가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에 근접할수록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도 7의 WH)에 속할 확률이 높다.
도 13은 도 8의 수직 폭 판단부(83)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14는 도 13의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130)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15는 도 13의 수직 폭 판단부(83)의 각 구성 요소들의 특성들을 보여준다.
도 15에서 참조 부호 DBm은 제m DB 라인에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들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DRm은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들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Am(n-1)은 제n-1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 또는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Am(n)은 제n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 또는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Am(n+1)은 제n+1 수평 주기에서 제m DB 라인 또는 제m DR 라인에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를 가리킨다. 도 15에서 입력 영상 신호들 Am(n-1), Am(n), 및 Am(n+1)은 모두 GS1의 계조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즉, 도 15의 입력 영상 신호 DBm 또는 DRm에 있어서, 제m DB 라인 또는 제m DR 라인의 입장에서 보면 피사체의 수직 폭이 WV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수직 폭 판단부(83)는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130), 제2 저역 통과 필터(LPF2, 440), 절대값 생성부(450), 및 제3 저역 통과 필터(LPF3, 460)를 포함한다.
수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구비된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130)는 제1 지연기(1HDL, 320), 제2 지연기(1HDL, 330), 가산기(340a), 반감부(340b), 및 감산기(430)를 포함한다.
제1 지연기(1HDL, 320)와 제2 지연기(1HDL, 330)는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의 양쪽에 위치한 제1 인접 화소 및 제2 인접 화소의 입력 영상 신호들 DBm(n-1), DRm(n-1), DBm(n+1), 및 DRm(n+1)을 발생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가산기(340a)는 수직 방향으로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의 양쪽에 위치한 제1 인접 화소 및 제2 인접 화소의 입력 영상 신호들을 더한다(A340a 특성 파형 참조). 반감부(340b)는 가산기(340a)로부터의 출력을 반감한다(A340b 특성 파형 참조). 감산기(430)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에서 반감부(340b)로부터의 출력을 감산하여, 최종적으로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130)의 출력 DEm을 발생시킨다(DEm 특성 파형 참조).
상기와 같은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130)의 출력 DEm은 제2 저역 통과 필터(LPF2, 440)에 입력된다.
제2 저역 통과 필터(LPF2, 440)는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130)로부터의 입력 영상 신호 DEm에 포함되어 있는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절대값 생성부(450)는 제2 저역 통과 필터(LPF2, 440)로부터의 출력의 절대값을 생성한다(A450 특성 파형 참조).
끝으로, 제3 저역 통과 필터(LPF3, 460)가 A450 특성 파형에 따라 동작하여 수직-폭 판단 신호 P2 m을 출력함에 따라, 절대값 생성부(450)의 출력 신호의 절대값이 수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포함되면 이진 신호 "1"이 출력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이 출력된다(P2 m 특성 파형 참조).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보여준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도 2의 ADC)로부터 화소 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DBm(n),DRm(n))를 처리하여 색차 신호들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YLm(n))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제1 저역 통과 필터(370), 제2 저역 통과 필터(320, 330, 340a, 340b, 및 350), 제5 저역 통과 필터(360), 제1 감산기(380), 제1 가산기(530), 및 휘도 신호 제어부(81, 470, 480, 490, 500, 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510, 및 520)를 포함한다.
제1 저역 통과 필터(370)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에 포함되어 있는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제2 저역 통과 필터(320, 330, 340a, 340b, 및 350)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수직 방향에서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제5 저역 통과 필터(360)는 제2 저역 통과 필터(320, 330, 340a, 340b, 및 350)로부터의 출력 신호(D0 m(n))에 포함되어 있는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제1 감산기(380)는 제2 저역 통과 필터(320, 330, 340a, 340b, 및 350)의 출력 신호(D0 m(n))에서 제5 저역 통과 필터(360)로부터의 출력 신호(D1 m(n))를 감산하여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발생시킨다.
제1 가산기(530)는 제1 저역 통과 필터(370)로부터의 출력 신호(D3 m(n))에 제1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가산하여 휘도 신호(YLm(n))를 발생시킨다.
휘도 신호 제어부(81, 470, 480, 490, 500, 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510, 및 520)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제1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증가시키고,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제1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감소시킨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입력 영상 신호 DBm(n) 또는 DRm(n)의 휘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저역 통과 필터(LPF1, 370)에서 색차 신호들의 비정상적인 고주파 성분과 함께 제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손실된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휘도 신호 제어부(81, 470, 480, 490, 500, 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510, 및 520)에 의하여 보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저역 통과 필터(LPF1, 370)에서 색차 신호들의 비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제거됨에도 불구하고, 피사체의 범위에서 발생되는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재현성이 증진될 수 있다.
감마 변환부(84)는 음극선관의 역 감마 휘도 특성이 미리 보정되도록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에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휘도 신호 제어부(81, 470, 480, 490, 500, 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510, 및 520)는 수평 폭 판단부(81), 계조 유사도 측정부(470, 480, 및 490), 제1 곱셈기(500), 수직 폭 판단부(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및 510), 제2 곱셈기(510), 및 제3 곱셈기(520)를 포함한다.
수평 폭 판단부(81)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한다.
계조 유사도 측정부(470, 480, 및 490)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계조가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에 근접되는 비율인 계조 유사도의 신호(P1 m(n))를 발생시킨다.
제1 곱셈기(500)는 수평 폭 판단부(81)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계조 유사도 측정부(470, 480, 및 490)로부터의 계조-유사도 신호(P1 m(n))를 서로 곱한다.
수직 폭 판단부(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및 510)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한다.
제2 곱셈기(510)는 제1 곱셈기(500)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수직 폭 판단부(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및 510)로부터의 출력 신호(P2 m(n))를 서로 곱한다.
그리고, 제3 곱셈기(520)는 제1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와 상기 제2 곱셈기(510)로부터의 출력 신호(P3 m(n))를 서로 곱하여 그 결과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제1 가산기(530)에 입력시킨다.
상기와 같은 휘도 신호 제어부(81, 470, 480, 490, 500, 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510, 및 520)에 있어서, 수평 폭 판단부(81)는 대역 통과 필터(도 9의 390), 절대값 생성부(도 9의 400), 미디언 필터(도 9의 400), 및 최소값 필터(도 9의 420)를 포함한다. 즉, 수평 폭 판단부(81)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수평 폭 판단부(81)의 것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계조 유사도 측정부(470, 480, 및 490)는 제6 저역 통과 필터(470), 평균 레벨 계산부(490), 및 레벨 변환부(480)를 포함한다. 제6 저역 통과 필터(470)는 제1 저역 통과 필터(370)의 출력 신호(D3 m(n))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평균 레벨 계산부(490)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의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를 계산한다. 그리고, 레벨 변환부(480)는 제6 저역 통과 필터(P3 m(n))의 출력 계조가 평균 레벨 계산부(490)로부터의 평균 계조에 근접되는 비율인 계조 유사도의 신호(P1 m(n))를 발생시킨다(도 12 참조).
수직 폭 판단부(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및 510)는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320, 330, 340a, 340b, 및 430), 제3 저역 통과 필터(440), 절대값 생성부(450), 및 제4 저역 통과 필터(460)를 포함한다.
수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구비된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320, 330, 340a, 340b, 및 43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도 13의 130)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제3 저역 통과 필터(440)는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320, 330, 340a, 340b, 및 430)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이 제3 저역 통과 필터(44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2 저역 통과 필터(도 13의 LPF2, 440)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제3 저역 통과 필터(440)로부터의 출력의 절대값을 생성하는 절대값 생성부(45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절대값 생성부(450)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제4 저역 통과 필터(460)는, 절대값 생성부(450)의 출력 신호의 절대값이 수 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포함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한다. 이 제4 저역 통과 필터(46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3 저역 통과 필터(도 13의 LPF3, 460)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320, 330, 340a, 340b, 및 430)는 제1 지연기(1HDL, 320), 제2 지연기(1HDL, 330), 제2 가산기(340a), 반감부(340b), 및 제2 감산기(430)를 포함한다
제1 지연기(1HDL, 320) 및 제2 지연기(1HDL, 330)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의 양쪽에 위치한 제1 인접 화소 및 제2 인접 화소의 입력 영상 신호들을 얻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 제1 지연기(1HDL, 320) 및 제2 지연기(1HDL, 33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 지연기(도 14의 1HDL, 320) 및 제2 지연기(도 14의 1HDL, 330)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제2 가산기(340a)는 상기 제1 인접 화소 및 제2 인접 화소의 입력 영상 신호들을 더한다. 이 제2 가산기(340a)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가산기(도 14의 340a)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2 가산기(340a)로부터의 출력을 반감하는 반감부(340b)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반감부(도 14의 340b)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에서 반감부(340b)의 출력을 감산하는 제2 감산기(43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반감부(도 14의 430)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370)는 상기 제1 지연기(320), 상기 제2 지연기(330), 상기 제2 가산기(340a), 상기 반감부(340b), 및 제3 가산기(350)를 포함한다. 제3 가산기(350)는 상기 반감부(340b)의 출력 신호에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를 더한다.
추가적으로,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는 수평 윤곽 보정부(540, 550)를 통하여 감마 변환부(84)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수평 윤곽 보정부(540, 550)는 제2 대역 통과 필터(540) 및 제4 가산기(550)를 포함한다.
제2 대역 통과 필터(540)에는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가 입력된다. 제4 가산기(550)는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에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540)의 출력 신호를 더한다. 이에 따라 수평 윤곽의 보정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4 가산기(550)로부터의 휘도 신호는 수직 윤곽 보정부(560, 570, 및 580)를 통하여 감마 변환부(84)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수직 윤곽 보정부(560, 570, 및 580)는 제3 감산기(560), 제7 저역 통과 필터(570), 및 제5 가산기(580)를 포함한다.
제3 감산기(560)는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에서 반감부(340b)의 출력을 감산한다. 제7 저역 통과 필터(570)는 제3 감산기(560)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 어 있는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5 가산기(580)는 제4 가산기(550)로부터의 휘도 신호에 제7 저역 통과 필터(570)의 출력 신호를 더한다. 이에 따라 수직 윤곽의 보정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휘도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이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저역 통과 필터에서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과 함께 제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손실된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은 휘도 신호 제어부에 의하여 보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저역 통과 필터에서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이 제거됨에도 불구하고, 피사체의 범위에서 발생되는 휘도 신호의 정상적인 고주파 성분이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재현성이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18)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화소 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색차 신호들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여 고주파 성분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산기;
    상기 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산기; 및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증가시키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감소시키는 휘도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역 감마 휘도 특성이 미리 보정되도록 상기 가산기로부터의 휘도 신호에 감마 변환을 수행하는 감마 변환부를 더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 제어부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수평 폭 판단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계조가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에 근접되는 비율인 계조 유사도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계조 유사도 측정부;
    상기 수평 폭 판단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계조 유사도 측정부로부터의 계조-유사도 신호를 서로 곱하는 제1 곱셈기;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화소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수직 폭 판단부;
    상기 제1 곱셈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수직 폭 판단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서로 곱하는 제2 곱셈기; 및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와 상기 제2 곱셈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서로 곱하여 그 결과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상기 가산기에 입력시키는 제3 곱셈기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폭 판단부가,
    수평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을 검출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
    상기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의 절대값을 생성하는 절대값 생성부;
    상기 절대값 생성부로부터의 입력 영상 신호의 절대값이 수평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포함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미디언 필터; 및
    상기 미디언 필터의 두 가장자리들 각각이 차지하는 수평 영역을 줄이기 위한 최소값 필터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폭 판단부가,
    수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의 절대값을 생성하는 절대값 생성부; 및
    상기 절대값 생성부의 출력 신호의 절대값이 수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포함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제3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6. 삭제
  7.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화소 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DBm(n),DRm(n))를 처리하여 색차 신호들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YLm(n))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370);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수직 방향에서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320, 330, 340a, 340b, 및 350);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320, 330, 340a, 340b, 및 350)로부터의 출력 신호(D0 m(n))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5 저역 통과 필터(360);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320, 330, 340a, 340b, 및 350)의 출력 신호(D0 m(n))에서 상기 제5 저역 통과 필터(360)로부터의 출력 신호(D1 m(n))를 감산하여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발생시키는 제1 감산기(380),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370)로부터의 출력 신호(D3 m(n))에 상기 제1 감산 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가산하여 상기 휘도 신호(YLm(n))를 발생시키는 제1 가산기(530); 및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면 상기 제1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증가시키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피사체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를 감소시키는 휘도 신호 제어부(81, 470, 480, 490, 500, 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510, 및 52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역 감마 휘도 특성이 미리 보정되도록 상기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에 감마 변환을 수행하는 감마 변환부(84)를 더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 제어부(81, 470, 480, 490, 500, 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510, 및 520)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수평 폭 판단부(81);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계조가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조에 근접되는 비율인 계조 유사도의 신호(P1 m(n))를 발생시키는 계조 유사도 측정부(470, 480, 및 490);
    상기 수평 폭 판단부(81)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계조 유사도 측정부(470, 480, 및 490)로부터의 계조-유사도 신호(P1 m(n))를 서로 곱하는 제1 곱셈기(500);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의 피사체의 폭에 속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수직 폭 판단부(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및 510);
    상기 제1 곱셈기(500)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수직 폭 판단부(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및 510)로부터의 출력 신호(P2 m(n))를 서로 곱하는 제2 곱셈기(510); 및
    상기 제1 감산기(380)로부터의 고주파 성분 신호(D2 m(n))와 상기 제2 곱셈 기(510)로부터의 출력 신호(P3 m(n))를 서로 곱하여 그 결과의 고주파 성분 신호를 상기 제1 가산기(530)에 입력시키는 제3 곱셈기(52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폭 판단부(81)가,
    수평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을 검출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390);
    상기 대역 통과 필터(390)로부터의 출력의 절대값을 생성하는 절대값 생성부(400);
    상기 절대값 생성부(400)로부터의 입력 영상 신호의 절대값이 수평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포함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미디언 필터(400); 및
    상기 미디언 필터(400)의 두 가장자리들 각각이 차지하는 수평 영역을 줄이기 위한 최소값 필터(42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유사도 측정부(470, 480, 및 490)가,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370)의 출력 신호(D3 m(n))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6 저역 통과 필터(470);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 위치의 수평 방향에서의 평균 계 조를 계산하는 평균 레벨 계산부(490); 및
    상기 제6 저역 통과 필터(P3 m(n))의 출력 계조가 상기 평균 레벨 계산부(490)로부터의 평균 계조에 근접되는 비율인 계조 유사도의 신호(P1 m(n))를 발생시키는 레벨 변환부(48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폭 판단부(320, 330, 340a, 340b, 430, 440, 450, 460, 및 510)가,
    수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320, 330, 340a, 340b, 및 430);
    상기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320, 330, 340a, 340b, 및 430)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3 저역 통과 필터(440);
    상기 제3 저역 통과 필터(440)로부터의 출력의 절대값을 생성하는 절대값 생성부(450); 및
    상기 절대값 생성부(450)의 출력 신호의 절대값이 수직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포함되면 이진 신호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진 신호 "0"을 출력하는 제4 저역 통과 필터(46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장자리 검출부(320, 330, 340a, 340b, 및 430)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의 화소의 양쪽에 위치한 제1 인접 화소 및 제2 인접 화소의 입력 영상 신호들을 얻기 위한 제1 지연기(320) 및 제2 지연기(330);
    상기 제1 인접 화소 및 제2 인접 화소의 입력 영상 신호들을 더하는 제2 가산기(340a);
    상기 제2 가산기(340a)로부터의 출력을 반감하는 반감부(340b); 및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에서 상기 반감부(340b)의 출력을 감산하는 제2 감산기(43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370)가,
    상기 제1 지연기(320);
    상기 제2 지연기(330);
    상기 제2 가산기(340a);
    상기 반감부(340b); 및
    상기 반감부(340b)의 출력 신호에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를 더하는 제3 가산기(340a)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가 수평 윤곽 보정부(540, 550)를 통하여 상기 감마 변환부(84)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윤곽 보정부(540, 550)에서,
    상기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가 입력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540); 및
    상기 제1 가산기(530)로부터의 휘도 신호(D4 m(n))에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540)의 출력 신호를 더하는 제4 가산기(55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산기(550)로부터의 휘도 신호가 수직 윤곽 보정부(560, 570, 및 580)를 통하여 상기 감마 변환부(84)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윤곽 보정부(560, 570, 및 580)에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DBm(n),DRm(n))에서 상기 반감부(340b)의 출력을 감산하는 제3 감산기(560);
    상기 제3 감산기(560)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색차 신호들의 고 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7 저역 통과 필터(570); 및
    상기 제4 가산기(550)로부터의 휘도 신호에 상기 제7 저역 통과 필터(570)의 출력 신호를 더하는 제5 가산기(580)를 포함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1020070052179A 2007-05-29 2007-05-29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Active KR10114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179A KR101143833B1 (ko) 2007-05-29 2007-05-29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US12/152,323 US8351727B2 (en) 2007-05-29 2008-05-14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bright signal of high reproducibility
JP2008129418A JP5116032B2 (ja) 2007-05-29 2008-05-16 再現性の高い輝度信号を生成する画像信号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179A KR101143833B1 (ko) 2007-05-29 2007-05-29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826A KR20080104826A (ko) 2008-12-03
KR101143833B1 true KR101143833B1 (ko) 2012-07-12

Family

ID=4008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179A Active KR101143833B1 (ko) 2007-05-29 2007-05-29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51727B2 (ko)
JP (1) JP5116032B2 (ko)
KR (1) KR101143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8365B2 (ja) * 2009-06-0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5249166B2 (ja) * 2009-10-06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KR101143715B1 (ko) * 2010-07-15 2012-05-11 (주) 넥스트칩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EP2887664A1 (en) * 2013-12-19 2015-06-2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a high-dynamic range image
US11037280B2 (en) * 2019-03-12 2021-06-15 GE Precision Healthcare LLC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bilateral injection of contrast agent into a pati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414A (ja) 1999-03-01 2000-09-14 Canon Inc 撮像装置及び前記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2000253411A (ja) 1999-03-01 2000-09-14 Canon Inc 撮像装置及び前記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2003224859A (ja) 2002-01-29 2003-08-08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0915B (en) * 1989-04-21 1993-09-15 Sony Corp Digital colour correction
JP3999091B2 (ja) 2002-09-25 2007-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補正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38358B2 (ja) 2005-03-30 2010-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414A (ja) 1999-03-01 2000-09-14 Canon Inc 撮像装置及び前記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2000253411A (ja) 1999-03-01 2000-09-14 Canon Inc 撮像装置及び前記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2003224859A (ja) 2002-01-29 2003-08-08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51727B2 (en) 2013-01-08
US20080298710A1 (en) 2008-12-04
JP5116032B2 (ja) 2013-01-09
KR20080104826A (ko) 2008-12-03
JP2008301483A (ja)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31B1 (ko) 화상 신호 처리 장치 및 화상 신호 처리 방법
JP4284628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9781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668185B2 (ja) 画像処理方法
EP2360929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43833B1 (ko)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US8130286B2 (en) Luminance signal generation apparatus, luminance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US20120013769A1 (en) Luminance signal generation apparatus, luminance signal generation method,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7453504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sensing apparatus
JP4789140B2 (ja) 画像処理装置
US5715015A (en) Method of enhancing details contained in a color signal and a circuit for implementing the same in a color video apparatus
US940100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13519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カメラ
JP510358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417857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カメラ
KR102051367B1 (ko) Wrgb cfa 영상을 위한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2004032662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JP5409864B2 (ja) 輝度信号生成装置及び輝度信号生成方法、並びに撮像装置
KR100688757B1 (ko) 이미지 데이터의 에지 강조 장치 및 방법
JP4269369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4269368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KR100816299B1 (ko) 허위 색 억제 장치 및 방법
JP2015216521A (ja) 色情報補完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784158B1 (ko) 에지 향상을 위한 컬러 보간 장치
JP2004228733A (ja) 画像信号処理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画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