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3359B1 -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359B1
KR101133359B1 KR1020070070638A KR20070070638A KR101133359B1 KR 101133359 B1 KR101133359 B1 KR 101133359B1 KR 1020070070638 A KR1020070070638 A KR 1020070070638A KR 20070070638 A KR20070070638 A KR 20070070638A KR 101133359 B1 KR101133359 B1 KR 10113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044A (ko
Inventor
채성석
한승렬
이태근
김성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359B1/ko
Priority to JP2008182659A priority patent/JP5495154B2/ja
Priority to CN2008101316256A priority patent/CN101343393B/zh
Publication of KR2009000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3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호모폴리프로필렌(A)과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B) 및 핵제(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지 조성물로서, 유동성 및 후가공성이 우수하여 대형 성형품 및 박막제품의 성형이 용이하고, 높은 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Description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bas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flowability, stiffness and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고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 및 강성핵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비해 유동성 및 후가공성이 우수하여 대형 성형품 또는 박막제품의 성형이 용이한 고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이 단독 중합된 호모폴리프로필렌은 충격강도가 낮기 때문에 중합시 알파올레핀, 예를 들어 에틸렌과 함께 공중합함으로써 충격강도를 보완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는 뛰어난 강성 및 충격 특 성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 가전기구, 공업부품, 일상생활용품 및 포장용기 같은 사출 성형품, 포장용 필름 및 쉬이트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증가하면 충격강도는 증가하나, 강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정수준의 충격강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강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5-81125호에는 중합시에 아이소택티시티(Isotacticity)를 올려서 고강성의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109721에는 핵자기공명법으로 입체규칙도 지수가 펜타드법 기준 96%이상이며, 분자량분포가 넓고, 절대점도가 3.0~6.5 dl/g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용융지수 3~35 g/10min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었으나,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생산성, 가공성 및 후가공성을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한의 용융지수인 80 g/10min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고속 또는 대형의 사출품 성형에는 고 유동성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제품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사용되는 수지의 점도가 매우 낮아야 한다. 수지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 사출시의 온도를 아주 높게 설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한 열분해로 색상 변화, 물성 저하, 내열안정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사출성형 시 충분한 흐름성을 갖지 못할 경우에는 과도한 사출압 및 잔류응력으로 인하여 성형 후에 휘거나, 가스자국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저 유동성의 고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한 후,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하여 인위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사슬(chain)을 절단함으로써, 분자량을 낮추어 수지의 흐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유럽공개특허 제1312617호 및 미국특허 제6610792호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특정 유기과산화물을 특정 조건 하에서 첨가함으로써, 유기과산물의 첨가에 따른 강성 및 충격강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723829호도 특정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고 흐름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하여 흐름성, 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지수를 향상시키는 경우에는, 좁은 분자량분포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되고, 후가공 시 냄새 및 도장성 불량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109865호에는 용융지수 80-120 g/10min의 고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고 용융지수로 인한 강성 및 충격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의 최적화에 대한 조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고강성 및 고 충격강도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에틸렌-프로필렌 공 중합체의 분산 및 공중합체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계면장력(Interfacial tension)의 조절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분자량조절을 통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미세 분포가 필요하나, 이에 대하여 개시된 바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기술적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제조 후 인위적으로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하지 않고, 유동성 및 후가공성이 우수하여 대형 및 박막 사출 제품을 성형하는데 적합하면서 동시에 강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아이소텍틱 펜타드 분율이 96%이상인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A) 80-95 중량% 및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몰비가 0.15~0.40인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B) 5~2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의 절대점도의 비율(성분A/성분B)이 0.09~0.33인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및 핵제(C) 0.05~0.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융지수가 80-120 g/10min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호모폴리프로필렌(A)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 및 핵제(C)를 포함하여 구 성되는 수지 조성물로서, 기존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비하여 유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므로, 자동차용 부품, 가전제품 등의 대형제품 또는 박막제품의 성형재료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매트릭스(Matrix)로서 호모폴리프로필렌(A)을, 도메인(Domain)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는 비결정성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Rubber)와 반결정성인 에틸렌 공중합체(semicrystalline ethylene copolymer)(B)로 구분된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고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호모폴리프로필렌(A)은 고입체규칙성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즉, 핵자기공명법(Nuclear magnetic Resonance)상의 입체규칙도 지수인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6% 이상인 호모폴리프로필렌이 요구되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지수가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수지에 고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에텔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보다 매우 큰 용융지수를 갖는 호모폴리프로필렌(A)을 사용하여야 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의 함량, 분자량, 조성, 입자크기 및 분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가 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의 함량이 많아지면 충격강도는 증가하나 반대로 인장강도 및 스티프니스(Stiffness) 등의 강성은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의 함량이 5 중량% 보다 작으면 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보다 많이 포함되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중합하는 기상반응기에 주입되는 조성 중 수소 농도(Hydrogen Ratio, 수소/에틸렌)에 따라 결정되며, 절대점도로 측정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의 분자량이 작으면 도메인(domain)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크기가 작아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분자량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를 생성하기 위한 수소농도는 수소/에틸렌 몰비율로 0.005~0.030가 바람직하다. 수소/에틸렌 몰비율이 0.030보다 큰 경우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크기가 작아 충격을 흡수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수소/에틸렌 몰비율이 0.005보다 작은 경우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크기가 커지고 고르게 분산이 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충격강도가 약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분자량만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크기 및 분포를 조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와 호모폴리프로필렌(A)의 절대점도의 비율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조성을 함께 조절하여야 우수한 강성 및 충격강도를 얻을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와 호모폴리프로필렌(A)의 절대점도의 비율은 모체인 호모폴리프로필렌(A)와 충격흡수제 역할을 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간의 상용성과 연관되는 변수로서, 각 성분의 절대점도 비율(=성분A의 절대점도/성분 B의 절대점도)은 0.09~0.33가 바람직하다. 절대점도 비율이 0.09보다 작거나 0.33보다 클 경우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가 호모폴리프로필렌(A)내에서 뭉쳐져 있거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게 분산되어 우수한 충격강도 및 강성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B)의 조성은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몰비로 조절이 된다. 이 비율이 크면 에틸렌 공중합체가 생성되며, 작으면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생성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함량이 증가하면 호모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간의 계면장력(Interfacial tension)이 약해져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분산이 양호해지므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우수한 강성 및 충격강도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몰 비율이 0.15보다 작을 경우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크기가 아주 작아서 분산은 좋으나, 완전혼합(Perfect Mixing)되어 단일상을 형성하므로 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몰 비가 0.40보다 크면, 반결정성인 에틸렌 공중합체(semicrystalline ethylene copolymer)의 생성 및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 사이의 계면장력(interfacial tension)으로 인하여 충격강도가 약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크기는 0.5~2.0 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크기가 0.5 마이크론보다 작거나, 2.0 마이크론보다 크면 충격을 흡수할 수가 없어 충격강도가 불량해 지게 된다.
완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첨가되는 핵제(C)는 디벤질리덴 소르비톨, 디(p-메틸 벤질리덴)소르비톨, 디메틸 벤질리덴 소르비톨, 알킬벤조산 알루미늄염, 유기인금속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핵제의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0.3 중량부로서, 핵제가 0.05 중량부보다 적으면 충분한 강성 및 내열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0.3 중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더 이상의 물성향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중화제, 안정제 등과 같은 공지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자동차용 부품의 제조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5.0 kg?cm/cm 이상의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와 300 kg/cm²이상의 인장강도가 요구되는데, 기존에 사용된 탈크와 같은 무기첨가물의 첨가만으로는 이러한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의 수준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으며, 본 발명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입체규칙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분자량 및 조성, 계면장력(Interfacial tension), 크기 및 분포 등의 종합적인 조절을 통하여, 에틸렌-프 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하여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의 물성을 평가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용융지수 : ASTM D1238에 따라 23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2) 입체규칙도 : 13C-NMR을 이용하여 호모폴리프로필렌 분자쇄 중 펜타드 단위로 아이소택틱 분율을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율 : ASTM D790에 따라 사출시편으로 측정하였다.
4)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 ASTD D256에 따라 23℃에서 사출시편을 측정하였다.
5) 크실렌 용융분 : 중합실험에서 얻어진 일정량의 시료를 일정량의 크실렌과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넣고 끓는점까지 온도를 가하여 약 1시간 동안 녹인 후 상온까지 서냉하여 재결정하고, 크실렌에 용융된 부분을 추출하고 크실렌을 증발시켜 남은 시료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6) 절대점도 :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135℃에서 데카라인에 녹인 후 점도계로 절대점도를 측정하였다.
8) 스파이럴 플로우 : 150 톤 사출기에서 온도 210℃에서 스파이럴 금형에 사출하여 사출된 시편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9) 전자현미경 촬영 ; 시편을 액체질소에 담가 냉각한 후, 마이크로토밍기로 단면을 절단하고 사이클로헥산 용액 내에 넣어 초음파 세척기 내에서 1시간 방치시켜 시료 내의 에틸렌-프로필렌 탄성체를 녹여낸 후, 금으로 증착시켜 ZEOL사의 전자현미경으로 시료 내의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의 크기 및 분산을 관찰하였다.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들을 제조하였다.
1.성분(A)의 제조
중합반응장치에 수소 및 프로필렌을 차례로 주입한 후 60~80℃, 35~40 기압 하에서 슬러리 벌크 중합을 실시하였으며, 용융지수는 수소의 양으로 조절하였다.
2. 성분(B)의 제조
상기와 같이 성분(A)인 호모프로필렌의 중합이 완료된 후 미반응 프로필렌을 제거하고 압력을 상압으로 떨어뜨린 다음, 70~80℃, 10~15 기압 하에서 모노머로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주입하고 용융지수조절제로서 수소를 주입하여 가스상에서 중합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성분(B)를 얻었다.
이 단계에서 탄성 공중합체 내의 에틸렌-프로필렌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몰비로 조절하였으며, 절대점도는 수소/에틸렌의 몰비로 조절하였다.
3. 펠렛 및 시험 시편의 제조
상기 단계를 통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에,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차 산화방지제로 페놀계(Hindered Phenol) 산화방지지제인 펜타에리트리틸-데라키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yl-ter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0.05 중량부, 2차 산화방지제로 인계 산화방지제인 트리스(2,4-디-터트부틸페닐)포스페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ate) 0.10 중량부, 중화제로서 칼슘스테아레이트(Ca-Stearate) 0.05 중량부, 핵제로서 알킬벤조산 알루미늄염 0.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트윈 스크루 압출기로 펠렛을 제조한 후, 동신유압의 150톤 사출기에서 ASTM규격의 사출시편을 제조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1, 및 도 1 내지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측정항목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성분(A) 조성 성분(A) 함량 wt.% 88 85 85 85 89 90 79
펜타드 분율 wt.% 96 96 91 92 93 96 96

성분(B) 조성
Gas Ratio mol/mol 0.18 0.30 0.50 0.45 0.38 0.46 0.30
H2/C2 mol/mol 0.010 0.010 0.040 0.040 0.018 0.018 0.018
성분(B) 함량 wt.% 12 15 16 16 12 11 21
용융지수 g/10min 110 85 95 82 90 100 98
절대점도 비율(A/B) - 0.20 0.28 0.45 0.47 0.27 0.27 0.20
전체 에틸렌 함량 wt.% 4.0 7.0 8.0 8.0 5.5 4.2 12
유기과산화물 wt.ppm - - - 첨가 첨가 - -
핵제 함량 wt.ppm 1,000 1,000 - 1,000 1,000 1,000 1,000
물 성 인장강도 kg/cm² 310 305 230 255 275 275 265
굴곡탄성율 kg/cm² 20,000 19,000 13,000 14,500 17,000 17,500 16,000
Izod충격강도 kg?cm/cm 5.5 5.9 8.6 8.2 6.1 4.8 7.5
Spiral Flow mm 98 95 90 89 91 97 97
냄새 및 후가공성 (도장성) - 우수 양호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주1) Gas Ratio: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몰비.
주2) 절대점도 비율: 성분A의 절대점도/성분B의 절대점도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절대점도 비율이 0.09~0.33의 범위로 제조된 것인데 반하여,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절대점도 비율이 0.09~0.33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며, 비교예 3과 비교예 4는 절대점도 비율이 0.09~0.33의 범위로 제조되었으나, 비교예 3의 경우에는 펜타드 분율이 96% 보다 작고, 비교예 4는 기상반응기에서의 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의 중합 조건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와 상이하다. 비교예 5의 경우 모든 조건이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나 성분 B의 함량이 21wt%로 매우 높다. 또한 비교예 2 및 3은 중합된 폴리프로필렌에 유기과산화물을 인위적으로 첨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지수를 높인 것이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실험결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5.0 kg?cm/cm 이상의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와 300 kg/cm2 이상의 인장강도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 흐름성, 냄새 및 도장성 등의 후가공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3000배로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교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500배로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교예 4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2000배로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5)

  1. 아이소텍틱 펜타드 분율이 96%이상인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A) 80~95 중량% 및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몰비가 0.15~0.40인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B) 5~20 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및
    핵제(C) 0.05~0.3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용융지수가 80~120 g/10min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A)과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B)의 절대점도 비율(A/B)이 0.09~0.33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B)는 수소/에틸렌 몰 비가 0.005~0.030인 조건에서 형성되는 것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는 0.5~2.0 마이크론의 크기로 상기 수지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가 5.0 kg?cm/cm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300 kg/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 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디벤질리덴 소르비톨, 디(p-메틸 벤질리덴)소르비톨, 디메틸 벤질리덴 소르비톨, 알킬벤조산 알루미늄염, 유기인금속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70070638A 2007-07-13 2007-07-13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ctive KR10113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638A KR101133359B1 (ko) 2007-07-13 2007-07-13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8182659A JP5495154B2 (ja) 2007-07-13 2008-07-14 流動性、剛性および衝撃強さに優れたエチレン−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系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2008101316256A CN101343393B (zh) 2007-07-13 2008-07-14 流动性、刚性和冲击强度良好的乙烯-丙烯嵌段共聚物类聚丙烯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638A KR101133359B1 (ko) 2007-07-13 2007-07-13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044A KR20090007044A (ko) 2009-01-16
KR101133359B1 true KR101133359B1 (ko) 2012-04-06

Family

ID=4024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638A Active KR101133359B1 (ko) 2007-07-13 2007-07-13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95154B2 (ko)
KR (1) KR101133359B1 (ko)
CN (1) CN1013433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31B1 (ko) * 2012-04-18 2014-06-27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65B1 (ko) * 2009-12-18 2010-08-24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충격강도, 표면특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1812200B (zh) * 2009-12-28 2013-07-31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热水器内胆用α晶型均聚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423150A (zh) * 2017-08-25 2019-03-05 韩华道达尔有限公司 涂装性优异的聚丙烯树脂组合物
KR102690532B1 (ko) * 2018-11-27 2024-07-3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EP3722364B1 (en) 2019-04-12 2024-01-24 Thai Polyethylene Co., Ltd. High flow and high stiffness impact copolymer polypropylene
CN114106454B (zh) * 2020-08-27 2023-06-0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106453B (zh) * 2020-08-27 2023-07-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和聚丙烯粒料及其制备方法
AU2021332812A1 (en) * 2020-08-27 2023-03-09 Beijing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Industry, 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Polypropylene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rticle made therefro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651A (ja) * 1996-01-22 1997-07-29 Tonen Chem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20010109865A (ko) * 2000-06-03 2001-12-12 유현식 용융 흐름성, 강성 및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 고결정성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040065079A (ko) * 2003-01-15 2004-07-21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내압특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고투명성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2732B2 (ja) * 1995-03-31 2004-01-06 チッソ株式会社 高剛性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ATE215571T1 (de) * 1995-11-24 2002-04-15 Chisso Corp Propylen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polypropylenzusammensetzung und geformte gegenstände
KR100537923B1 (ko) * 1998-12-31 2006-02-28 삼성토탈 주식회사 용융 흐름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1233923A (ja) * 1999-12-17 2001-08-28 Idemitsu Petrochem Co Ltd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樹脂組成物及びブロー成形体
KR20020049854A (ko) * 2000-12-20 2002-06-26 유현식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JP4887785B2 (ja) * 2005-01-07 2012-02-29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4715238B2 (ja) * 2005-03-04 2011-07-06 住友化学株式会社 自動車用アンダーカバー
KR101183747B1 (ko) * 2005-05-10 2012-09-17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우수한 내충격성, 굴곡탄성율 및 투명성을 갖는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이의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651A (ja) * 1996-01-22 1997-07-29 Tonen Chem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20010109865A (ko) * 2000-06-03 2001-12-12 유현식 용융 흐름성, 강성 및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 고결정성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040065079A (ko) * 2003-01-15 2004-07-21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내압특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고투명성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31B1 (ko) * 2012-04-18 2014-06-27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19208A (ja) 2009-01-29
JP5495154B2 (ja) 2014-05-21
KR20090007044A (ko) 2009-01-16
CN101343393B (zh) 2013-05-08
CN101343393A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359B1 (ko)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2174980B1 (en) High flowable heterophasic polypropylene
CN101939374B (zh) 聚丙烯类树脂组合物及其成形体
KR101183747B1 (ko) 우수한 내충격성, 굴곡탄성율 및 투명성을 갖는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100977665B1 (ko) 충격강도, 표면특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7075010B (zh) 一种具有改善的耐刮擦性、平衡的冲击强度和刚度的聚丙烯组合物
US8450422B2 (en) Polyolefin masterbatch and composition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JP6916713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6352320B2 (ja) 低光沢およびフローマークの外観不良が抑制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1895142B1 (ko) 고무 설계에 의한 저온에서의 우수한 충격 강도
KR100537923B1 (ko) 용융 흐름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457624B1 (ko) 기계적 물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
EP2247424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EP3461859A1 (en) Reinforced polymer composition
KR10133089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56829B1 (ko) 용융 흐름성, 강성 및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 고결정성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WO2022120648A1 (en) Glass fiber-filled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low shrinkage and warpage
KR102815225B1 (ko) 강성, 내충격성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80020B1 (ko) 자동차 범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52733B1 (ko) 파이프 및 피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8318005A (zh) 具有改进的冲击强度和低clte的填充的聚烯烃组合物
KR20060123884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A041977B1 (ru) Армированн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