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607B1 -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 Google Patents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1607B1 KR101131607B1 KR1020090047216A KR20090047216A KR101131607B1 KR 101131607 B1 KR101131607 B1 KR 101131607B1 KR 1020090047216 A KR1020090047216 A KR 1020090047216A KR 20090047216 A KR20090047216 A KR 20090047216A KR 101131607 B1 KR101131607 B1 KR 101131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lorine dioxide
- sterilizer
- sterilization
- dioxide gas
- main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또한, 종래에는 의료기기의 멸균 및 소독기가 자동제어가 아니며, 조작이 불편하고 멸균기의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저온 멸균기 분야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온 증기(오토클레이브) 멸균기는 열 손상이 없는 물품(내열 수술 도구류)만을 처리할 수 있는 한계로 인하여 열에 민감한 물품을 처리하기 위한 저온 자동멸균기가 필요로 한다.
둘째, 산화에틸렌(EtO) 가스 멸균기는 멸균 후의 잔류 독성 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환경 공해 문제로 시장에서의 퇴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셋째, VHP/과초산 멸균기는 액상 화학제를 기화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침투성이 떨어지고 멸균 능력에 한계가 있다.
넷째, 과산화수소를 플라즈마 활성화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증기상에 비해 개선이 되었지만 클래스 B 기준을 충족(3mm 이하 직경 및 1.5m 도관 끝 부분의 멸균 능력)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예비챔버의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상기 메인챔버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해화 시스템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측정기를 포함하여, 상기 농도측정기를 통해 검출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를 이용한 멸균방법으로서, 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예비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예비챔버로 유입된 고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한 후, 상기 메인챔버에 멸균할 내용물을 충진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예비챔버의 고농도 이산화염소가스를 상기 메인챔버로 이동시키고 일정시간 연속 순환시켜 멸균하는 공정; 상기 멸균 공정 이후 상기 무해화 시스템으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유도하여 소멸시키는 공정; 및 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예비챔버의 통로를 단절하고, 상기 예비챔버 내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재급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의료용구의 저온 멸균소독기를 이용한 멸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저온에서 산화에틸렌 가스만큼의 성능을 갖되 단시간에 처리를 할 수 있고 환경문제의 걱정이 없는 자동멸균기를 만드는 오랜 숙원 과제를 해결하였다.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의 처리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의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3은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의 이산화염소가스의 인체 무해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6), 전기분해부(4), 액체 펌프(5), 메인챔버(1), 예비챔버(2), 진공펌프(3), 이산화염소 무해화 시스템(7), DC전원부(8), 순환펌프(16), 및 7개의 밸브(도 1의 각 밸브 참조)로 구성된다.
상기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의 콘트롤러(미도시)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측정센서(11,12; 도 2 참조)의 측정값을 피드백하여 7개의 밸브(도 1에서 밸브 1 내지 밸브 7)를 제어하며, 순환펌프(16)를 제어하고, 메인챔버(1)의 진공유지와, 이산화염소의 충진, 멸균, 배기, 및 재급기를 제어하고 외부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제어판으로 구성한다.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의 이산화염소 가스발생장치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의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60)는 원 용액과 생성가스의 효율적 분리기술로 전기분해부(40)를 통해 전기분해를 함으로써 이산화염소와 수산화나트륨(NaOH)로 분리한 후 화학반응이 없는 소재를 통해 이산화염소만 제2챔버(20)로 분리하여, 이산화염소와 화학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테프론 재질을 이용하며, 테프론의 가공은 화학 반응이 없는 소재(기수분리막; 6a)를 이용하여 제2챔버(20)에 고농도 가스를 먼저 포집한 후 제1챔버(10)로 순간 주입하고 멸균 시간 및 농도를 컨트롤러로 변경시켜 최적의 멸균조건을 찾아주도록 순환 펌프(16; 도 1참조)와, 밸브 1 내지 밸브 7, 전기분해부(40), DC 전원부(8; 도 1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의 무해화 시스템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멸균소독기의 무해화 시스템은 이산화염소가스를 감지하는 농도측정기(11,21,31)를 통하여, 측정된 이산화염소가스의 인체허용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를 차단하는 알고리즘으로 7개의 밸브와 도 1과 같이 순환펌프(16; 도 1) 액체펌프(5; 도 1) 및 DC 전원부(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록도의 제1챔버(10)와 제2챔버(20) 내에 있는 멸균가스(이산화염소 가스)를 무해화 시스템(70)으로 흡기하고, 중화액체에 혼합하여 무해화시키며, 공기를 계속해서 순환 시키면서 농도측정을 통하여 무해화 농도를 검출한다.
상기 블록도의 중화액체와 이산화염소가스가 빠르게 중화반응 하도록 자외선램프(32)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챔버(20)와 수위조절기는 밸브와 연동하여 무해화하고 농도측정기로 피드백 받아 허용기준치에 들어오면 연속동작을 위한 준비상태가 된다.
상기 DC 전원부는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의료용구 및 원예작물 저온멸균소독기 각 부분에 필요한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첫째, 산화에틸렌(EtO) 가스, 고압 증기, 플라즈마 멸균 등 여러 멸균기 종류의 장점을 하나로 결집시켰다.
둘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시 복합 화학제 사용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 취급 복잡성, 고 비용성 등 여러 문제를 해소하였다.
셋째, 공통필수 물질인 아염소산나트륨만을 사용하여 전기분해를 통해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며 전극의 효율화로 크기를 소형화하거나 같은 크기에서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성능을 향상시켜 움직임이 간편한 소도구 멸균기부터 대형 멸균기 응용까지 적용 폭을 넓히고 사용 보급을 확대하였다.
넷째, 성능이 뛰어나고 환경 친화적이며 보급을 촉진할 수 있는 합리적 가격의 제품 생산은 곧 인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며 총 사회적 비용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 기존 멸균기 산업 분야의 현재 상태는 범세계적으로 기술적 평형이 이뤄져 현격한 기술 격차에 의한 시장 주도하며, 이산화염소가스의 장점을 가려왔던 단점(복잡-위험-고비용)을 제거함으로써 시장 장악 지배력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
여섯째, 공기를 제품 안으로 흡입하여 살균 정화된 공기를 내보내는 방식의 기존 공간살균기는 공간소독기로 부르는 것이 적합하며 업소용 소독제를 멸균기로 격상시켜 이해할 수 있다.
일곱째, 이산화염소 가스는 침투성이 좋아 조절된 농도로 멸균하고자 하는 대상공간으로 가스를 발생 방출시킴으로써 구석구석에 숨어 있는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
여덟째, 상기 언급한 문제점인 장시간의 멸균시간과 고비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치과나 중.소형 병원 및 중.대형 병원 중앙공급실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로서,아염소산나트륨(NaClO2) 용액을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하는 기수분리막이 내장된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가 공급되는 예비챔버;상기 예비챔버와 연통되고 멸균 대상물이 수납되는 메인챔버;상기 메인챔버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펌프부; 및상기 메인챔버 내에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대한 멸균이 완료된 후 상기 메인챔버 내의 독성물질을 자외선으로 중화시키는 무해화 시스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예비챔버의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상기 메인챔버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무해화 시스템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측정기를 포함하여, 상기 농도측정기를 통해 검출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를 이용한 멸균방법으로서,상기 예비챔버로 유입된 고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한 후, 상기 메인챔버에 멸균할 대상물을 충전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예비챔버의 고농도의 상기 이산화염소가스를 상기 메인챔버로 이동하여 일정시간 연속 순환시켜 멸균하는 공정;상기 멸균하는 공정 이후 상기 무해화 시스템으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유도하여 소멸시키는 공정; 및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예비챔버의 통로를 단절하고, 상기 예비챔버 내로 상기 이산화염소가스를 재급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를 이용한 멸균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7216A KR101131607B1 (ko) | 2009-05-29 | 2009-05-29 |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7216A KR101131607B1 (ko) | 2009-05-29 | 2009-05-29 |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676A KR20100128676A (ko) | 2010-12-08 |
KR101131607B1 true KR101131607B1 (ko) | 2012-03-30 |
Family
ID=4350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72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1607B1 (ko) | 2009-05-29 | 2009-05-29 |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160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57866A1 (ko) * | 2013-03-25 | 2014-10-02 | (주)푸르고팜 | 이산화염소 훈증장치, 및 이산화염소의 훈증방법 |
KR101465563B1 (ko) * | 2013-08-26 | 2014-11-26 | (주)옥시테라피 | 습윤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
KR20210019263A (ko) | 2019-08-12 | 2021-02-22 | 이준식 | 공간 살균 탈취 장치 |
KR20210126958A (ko) | 2020-04-13 | 2021-10-21 | 이명오 |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휴대형 공간살균장치 |
WO2024226982A1 (en) * | 2023-04-26 | 2024-10-31 | Sterigenics Nv | Large volume chlorine dioxide sterilization and/or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6157B1 (ko) * | 2015-06-25 | 2017-03-15 | (주)푸르고팜 |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공간 소독방법 |
KR101712021B1 (ko) * | 2016-08-29 | 2017-03-03 |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
KR101870283B1 (ko) * | 2017-10-31 | 2018-07-23 | 주식회사 프레시즘 |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
JP2021066934A (ja) * | 2019-10-24 | 2021-04-30 | 株式会社フジコム | 二酸化塩素ガス排出装置 |
KR102611564B1 (ko) * | 2021-11-24 | 2023-12-08 | 주식회사 오티아이코리아 |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내시경 소독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8487B1 (ko) | 1996-11-08 | 2004-08-18 |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 다층성형품및폴리페닐렌설파이드수지조성물 |
KR200412929Y1 (ko) | 2006-01-19 | 2006-04-05 | 김철기 |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
-
2009
- 2009-05-29 KR KR1020090047216A patent/KR10113160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8487B1 (ko) | 1996-11-08 | 2004-08-18 |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 다층성형품및폴리페닐렌설파이드수지조성물 |
KR200412929Y1 (ko) | 2006-01-19 | 2006-04-05 | 김철기 |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57866A1 (ko) * | 2013-03-25 | 2014-10-02 | (주)푸르고팜 | 이산화염소 훈증장치, 및 이산화염소의 훈증방법 |
KR101465563B1 (ko) * | 2013-08-26 | 2014-11-26 | (주)옥시테라피 | 습윤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
WO2015030387A1 (ko) * | 2013-08-26 | 2015-03-05 | (주)옥시테라피 | 습윤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
CN105555321A (zh) * | 2013-08-26 | 2016-05-04 | Oxy治疗有限公司 | 利用湿润二氧化氯气体的灭菌装置以及灭菌方法 |
KR20210019263A (ko) | 2019-08-12 | 2021-02-22 | 이준식 | 공간 살균 탈취 장치 |
KR20210126958A (ko) | 2020-04-13 | 2021-10-21 | 이명오 |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휴대형 공간살균장치 |
WO2024226982A1 (en) * | 2023-04-26 | 2024-10-31 | Sterigenics Nv | Large volume chlorine dioxide sterilization and/or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676A (ko) | 2010-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1607B1 (ko) |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 |
US20240399005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edical devices having passageways with ozone gas | |
US11738105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ultiple medical devices having passageways with ozone gas | |
CA3005981C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edical devices having passageways with ozone gas | |
KR100966933B1 (ko) | 오존소독방법 및 오존소독장치 | |
KR101250748B1 (ko) |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료용 소형 멸균장치 | |
KR100414360B1 (ko) | 플라즈마 처리기가 부착된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 |
WO2013157276A1 (ja) | 窒素酸化物による滅菌法及び滅菌装置 | |
CN109689116A (zh) | 包括医疗器械和牙科器械的工件的灭菌或消毒 | |
EP3116553B1 (en) | Disinfection apparatus | |
JP6590395B2 (ja) | 気体窒素酸化物の発生法、発生装置及び回収法 | |
CN105435267B (zh) | 一种双用医疗器械消毒柜 | |
US20070212282A1 (en) |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sterilizing superheated steam under normal pressure and hypoxia environment | |
EP1257301B1 (en) | Medical device disinfection | |
Walsh et al. | Principles of sterilization | |
US20230338596A1 (en) | Sterilization apparatus | |
KR20170118396A (ko) | 오존살균장치 | |
ZA200205985B (en) | Method for sterilizing endoscopes. | |
CN103143044A (zh) | 一种超高压医疗器械快速消毒灭菌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