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0283B1 -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83B1
KR101870283B1 KR1020170143729A KR20170143729A KR101870283B1 KR 101870283 B1 KR101870283 B1 KR 101870283B1 KR 1020170143729 A KR1020170143729 A KR 1020170143729A KR 20170143729 A KR20170143729 A KR 20170143729A KR 101870283 B1 KR101870283 B1 KR 101870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toilet
dioxide gas
water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진병기
석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시즘
더드림워커(주)
주식회사 코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시즘, 더드림워커(주), 주식회사 코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시즘
Priority to KR102017014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7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by diffusing deodorants in lava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장실을 살균하기 위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에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여 상기 화장실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 상기 화장실 내부의 악취의 원인이 되는 인자를 감지하기 위한 악취 인자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 및 상기 악취 인자 센서에서 감지된 악취 인자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에서 감지된 이산화염소 가스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염소 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하여 화장실을 살균함으로써, 악취를 방지하고 각종 유해균을 살균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화장실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System for sterilizing toilet using chlorine dioxide}
본 발명은 화장실 살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염소 가스 및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에 관한 것이다.
소독제는 페놀 화합물과 반응하여 이를 분해함으로써 물에서 페놀계 맛과 냄새를 제거하게 되는 기능이 있고, 아울러 식수나 폐수에서 청산염(cyanide), 아황산염(sulfied), 알데히드(aldehyde) 및 메르캅탄(mercaptan)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 등에 이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소독제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염소(Cl2)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질로서, 잔류성을 가지고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주로 수도수의 소독처리나 가정 및 업소 등에서의 소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염소(ClO2)는 강한 산화력, 살균소독력, 탈취력이 크고 다른 염소 소독 살균제와는 달리 트리할로메탄(THMs), 할로 아세틱 에스드(HAAs), 할로 아세토 나이트릴(HANs) 등 발암성 유기물을 생성하지 않으며, 다른 유기물과 반응하여 유기염소화합물을 생성하지 않고, 햇볕이나 온도에 의하여 신속히 분해되어 잔류성이 없는 친환경성 살균소독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산화염소의 높은 선택적 특성은 인체에 무해한 살균 작용에 있다.
즉, 이산화염소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THMs), 폴리클로로바이페닐(polychlorobiphenyls, PCBs)과 같은 원하지 않는 살균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넓은 pH범위에 걸쳐 그 효과를 나타내며, 용액에서 해리되지 않고(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빠른 살균 작용을 지니며, 처리 용액에서 축적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이산화염소는 운반과 저장이 위험하기 때문에, 운반과 저장이 금지되어 있고, 대부분 현지에서 발생장치에 의해 생산된다.
이처럼, 이산화염소는 강한 산화력과 살균성을 지니고 있으며, 융점 -59℃, 비점 11℃이고, 상온에서는 가스상의 물질이고, 상온·상압 하에서 물에 대하여 약 3000ppm(mg/l)의 용해도를 가지며, 공기 중에서는 가스농도 10% 이상에서 폭발성을 가지며, 살균이나 소독용, 탈취용, 표백용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공중 화장실은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면서 위생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악취 등의 여러가지 불편한 요소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자 소변기의 경우, 소변 후 물이 내려가며 소변기를 세척하는데, 세척수는 소변의 일부만 세척할 뿐이고, 일부 소변이 소변기 자체에 남기 때문에 냄새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일부 소변이 하수구에 남아있어 화장실 내부의 냄새 원인이 된다. 또한, 소변기 주위로 소변이 튀어 화장실 바닥에 오염원을 만들고, 그 오염원은 암모니아 등 나쁜 냄새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양변기의 경우, 대변 후 제거되지 못한 잔유물에서 냄새가 나기 때문에 살균 소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220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하여 화장실을 살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을 살균하기 위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에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여 상기 화장실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 상기 화장실 내부의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악취 인자를 감지하기 위한 악취 인자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 및 상기 악취 인자 센서에서 감지된 악취 인자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에서 감지된 이산화염소 가스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실 살균 시스템은, 상기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풍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에서 감지된 이산화염소 가스 수치가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환풍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살균 시스템은,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수가 지나가는 관인 이산화염소수관과, 변기의 세척을 위해, 상기 이산화염소수관에 연결되어 변기에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하는 변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살균 시스템은, 상기 화장실 내부에 위치한 세면대의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산화염소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면대에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면대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살균 시스템은, 상기 화장실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살균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산화염소수관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하기 위한 청소용 살균수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살균 시스템은,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가 지나가는 관인 이산화염소 가스관과,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관에 연결되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원료가 투입되면, 상기 원료를 전기 분해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통, 상기 반응조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상기 저장통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펌프,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통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제1 밸브, 상기 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통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펌프 및 상기 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펌프를 포함하며, 이산화염소수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화장실 벽에 벽걸이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염소 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하여 화장실을 살균함으로써, 악취를 방지하고 각종 유해균을 살균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화장실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를 통하여 화장실 내부의 여러 곳에 이산화염소수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공함으로써, 화장실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살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화장실을 살균하기 위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살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살균 시스템은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200), 이산화염소 가스관(201), 이산화염소 가스 배출구(203), 세면대 배출구(205), 청소용 살균수 배출구(207), 이산화염소수관(209), 변기 배출구(211, 213), 악취 인자 센서(310),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320), 바닥 폐수 배출관(410), 환풍기(510), 급수부(610) 등을 포함한다.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200)는 이산화염소 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여 화장실 내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화장실 벽에 벽걸이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산화염소 가스관(201)은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20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가 지나가는 관이다.
이산화염소 가스 배출구(203)는 이산화염소 가스관(209)에 연결되어 화장실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배출한다.
악취 인자 센서(310)는 화장실 내부의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악취 인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악취 인자는 암모니아, 요소 등이 있다.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320)는 화장실 내부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악취 인자 센서(310)에서 감지된 악취 인자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20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320)에서 감지된 이산화염소 가스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치를 초과하면,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20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환풍기(510)는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320)에서 감지된 이산화염소 가스 수치가 제2 기준치를 초과하면, 환풍기를 구동시켜서 화장실 내부를 환기시킨다.
이산화염소수관(209)은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20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수가 지나가는 관이다.
변기 배출구(211, 213)는 변기의 세척을 위해 이산화염소수관(209)에 연결되어 변기에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화장실은 소변기의 세척을 위한 변기 배출구(211)와, 양변기의 세척을 위한 변기 배출구(213) 등이 예시되어 있다.
세면대 배출구(205)는 화장실 내부에 위치한 세면대의 일부에 설치되고, 이산화염소수관(209)에 연결되어 세면대에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세면대의 일부에 설치된 세면대 배출구(205)를 통해 공급되는 이산화염소수를 받아서 손을 살균할 수 있다.
청소용 살균수 배출구(207)는 화장실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살균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수관(209)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한다.
급수부(610)는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화장실의 소변기 및 양변기에서 나오는 폐수가 바닥 폐수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에서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사용함에 있어서, 물이 아닌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함으로써, 소변기에 남아있는 소변을 살균하여 악취를 방지하고, 냄새의 근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화장실 바닥의 오염원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산화염소수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양변기의 구석까지 오물을 제거하고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순한 탈취제가 아닌, 이산화염소를 이용하여 오염원의 근원을 제거함으로써, 냄새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악취 인자 센서(310)와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320)를 이용하여 화장실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오염 정도에 따른 가스 발생과 환기를 함으로써, 화장실을 보다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제1 연료통(10), 제2 연료통(20), 제1 연료펌프(30), 제2 연료펌프(40), 반응조(50), 제1 펌프(60), 에어 펌프(Air pump)(70), 제1 밸브(80), 제2 밸브(90), 저장통(100), 농도센서(110), 배출펌프(120), 챔버(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연료통(10)에는 구연산이 저장되어 있다.
제2 연료통(20)에는 아염소산나트륨이 저장되어 있다.
제1 연료펌프(30)는 제1 연료통(10)에 저장되어 있는 구연산을 반응조(50)에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연료펌프(40)는 제2 연료통(20)에 저장되어 있는 아염소산나트륨을 반응조(50)에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조(50)는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원료가 투입되면, 원료를 전기 분해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반응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제1 펌프(60)는 반응조(5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저장통(100)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펌프(70)는 저장통(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저장통(10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밸브(80)는 저장통(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도관과 연결되어, 저장통(100)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밸브이다.
제2 밸브(90)는 저장통(100)에서 배출되는 이산화염소수를 희석하기 위하여, 수도관과 연결되어, 저장통(100)에서 이산화염소수가 배출되는 관로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밸브이다.
저장통(100)은 반응조(5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농도센서(110)는 저장통(100) 내부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 펌프(120)는 저장통(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챔버(130)는 저장통(100)에서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공급되는 공간이다. 즉, 챔버(130)는 농수산물 저장창고 등과 같이 이산화염소 가스로 살균소독 훈증이 필요한 공간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농도센서(110)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미만이면, 제1 펌프(60)를 구동하여 저장통(100)에 이산화염소가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농도센서(110)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1 밸브(80)를 열어서 저장통(100)에 물이 투입되도록 한다.
이처럼, 제어부(140)는 저장통(100) 내부에서 일정한 이산화염소 농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반응조(50)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반응조(50)에 투입되는 원료를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판은 전원 공급 장치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판(+)과 전원 공급 장치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판(-)으로 구성된다.
전극판에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원료가 없으면 전극판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원료가 투입되면 전극판에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전극판의 전류 흐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류 센서로부터 전극판의 전류 흐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원료 펌프(30) 및 제2 원료 펌프(40)를 구동하여 반응조(50)에 원료가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류 센서로부터 전극판의 전류 흐름이 감지되면, 제1 원료 펌프(30) 및 제2 원료 펌프(40)의 구동을 중단하여 반응조(50)에 더 이상 원료가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200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 201 이산화염소 가스관
203 이산화염소 가스 배출구 205 세면대 배출구
207 청소용 살균수 배출구 209 이산화염소수관
211, 213 변기 배출구 310 악취 인자 센서
320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 410 바닥 폐수 배출관
510 환풍기

Claims (8)

  1. 화장실을 살균하기 위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에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여 상기 화장실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
    상기 화장실 내부의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악취 인자를 감지하기 위한 악취 인자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풍기; 및
    상기 악취 인자 센서에서 감지된 악취 인자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에서 감지된 이산화염소 가스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센서에서 감지된 이산화염소 가스 수치가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환풍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실 살균 시스템은,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수가 지나가는 관인 이산화염소수관과, 변기의 세척을 위해, 상기 이산화염소수관에 연결되어 변기에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하는 변기 배출구와, 상기 화장실 내부에 위치한 세면대의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산화염소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면대에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면대 배출구와, 상기 화장실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 살균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산화염소수관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배출하기 위한 청소용 살균수 배출구와,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가 지나가는 관인 이산화염소 가스관과,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관에 연결되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원료가 투입되면, 상기 원료를 전기 분해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반응조;
    구연산을 저장하고 있는 제1 연료통;
    아염소산나트륨을 저장하고 있는 제2 연료통;
    상기 구연산을 상기 반응조에 투입하기 위한 제1 연료 펌프;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을 상기 반응조에 투입하기 위한 제2 연료 펌프;
    상기 반응조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통;
    상기 반응조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상기 저장통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펌프;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통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제1 밸브;
    상기 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통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펌프;
    상기 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염소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펌프;
    상기 저장통 내부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센서; 및
    상기 농도센서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1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통에 이산화염소가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농도센서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농도가 상기 제3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밸브를 열어서 상기 저장통에 물이 투입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통 내부에서 일정한 이산화염소 농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산화염소수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상기 반응조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반응조에 투입되는 원료를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극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판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에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원료가 없으면 상기 전극판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원료가 투입되면 상기 전극판에 전류가 흐르고,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상기 전극판의 전류 흐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상기 전극판의 전류 흐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연료 펌프 및 제2 연료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반응조에 원료가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상기 전극판의 전류 흐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연료 펌프 및 제2 연료 펌프의 구동을 중단하여 상기 반응조에 더 이상 원료가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살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 장치는 화장실 벽에 벽걸이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살균 시스템.
KR1020170143729A 2017-10-31 2017-10-31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Active KR10187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729A KR101870283B1 (ko) 2017-10-31 2017-10-31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729A KR101870283B1 (ko) 2017-10-31 2017-10-31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283B1 true KR101870283B1 (ko) 2018-07-23

Family

ID=6310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729A Active KR101870283B1 (ko) 2017-10-31 2017-10-31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83A (ko) 2020-06-30 2022-01-06 (주)기술과가치 이산화염소 발생원이 결합된 살균용기
KR20220125603A (ko)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KR20240171330A (ko) 2023-05-30 2024-12-09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염병 전파방지를 위한 치료시설 화장실 위생설비 전처리 소독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863A (ko) * 2000-07-10 2002-01-18 박호군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그에 이용되는 장치 및이산화염소의 용도
KR20030063228A (ko) * 2002-01-22 2003-07-28 가부시키가이샤 산실 사용필 의료기구류의 세척·멸균처리방법
JP3849725B2 (ja) * 1996-04-11 2006-11-22 水道機工株式会社 二酸化塩素の製造方法
JP4217077B2 (ja) * 2003-01-23 2009-01-28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隔膜型電極の安定化方法
KR20100128676A (ko) * 2009-05-29 2010-12-08 최병현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KR20120027801A (ko) * 2010-09-13 2012-03-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깔짚의 살균소독 방법
KR20150022074A (ko)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엔에프 공중 위생시설의 정화 장치
KR20150098708A (ko) * 2014-02-20 2015-08-31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가스 공급장치
JP2016088797A (ja) * 2014-11-04 2016-05-23 株式会社アマテラ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二酸化塩素ガス発生用キットおよびゲル状組成物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725B2 (ja) * 1996-04-11 2006-11-22 水道機工株式会社 二酸化塩素の製造方法
KR20020005863A (ko) * 2000-07-10 2002-01-18 박호군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그에 이용되는 장치 및이산화염소의 용도
KR20030063228A (ko) * 2002-01-22 2003-07-28 가부시키가이샤 산실 사용필 의료기구류의 세척·멸균처리방법
JP4217077B2 (ja) * 2003-01-23 2009-01-28 東亜ディーケーケー株式会社 隔膜型電極の安定化方法
KR20100128676A (ko) * 2009-05-29 2010-12-08 최병현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KR20120027801A (ko) * 2010-09-13 2012-03-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깔짚의 살균소독 방법
KR20150022074A (ko)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엔에프 공중 위생시설의 정화 장치
KR20150098708A (ko) * 2014-02-20 2015-08-31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가스 공급장치
JP2016088797A (ja) * 2014-11-04 2016-05-23 株式会社アマテラ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二酸化塩素ガス発生用キットおよびゲル状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83A (ko) 2020-06-30 2022-01-06 (주)기술과가치 이산화염소 발생원이 결합된 살균용기
KR20220125603A (ko)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KR102486676B1 (ko) * 2021-03-05 2023-01-10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KR20240171330A (ko) 2023-05-30 2024-12-09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염병 전파방지를 위한 치료시설 화장실 위생설비 전처리 소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29B1 (ko)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101870283B1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KR100867427B1 (ko) 축사 내,외부 소독 및 가축 음용수 생성장치
US20150041410A1 (en) Point of use electrolysis system
KR100531667B1 (ko)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KR20140122263A (ko) 만족스러운 수질의 식수용 상수도를 제조하기 위하여 불만족스러운 수질의 중수도를 위생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08813A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JPH09182684A (ja) 薬剤徐放装置を備える水槽
JPH119481A (ja) 浴室清掃装置
CA268306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ogenic and chemical reduction in fluid waste
KR100552978B1 (ko) 오존 접촉식 반응기를 이용한 유존 살균 수 제조장치
EP4150168B1 (en) Plumbing fixture sanitising system
JP6905236B1 (ja) トイレ室内の脱臭除菌装置
KR100984304B1 (ko) 살균수 및 산소수 제조장치
KR102291781B1 (ko) 오존 살균수 생성 장치
KR100871416B1 (ko) 오존살균수 생성장치
KR200452461Y1 (ko) 가습기
JPH10331231A (ja) オゾン水による便器洗浄装置
KR101394212B1 (ko) 살균수기
JPH10338958A (ja) オゾン水給水装置
KR101194058B1 (ko) 좌변기 항균수 공급장치
KR20190012814A (ko) 정화조 시스템
JP3165425U (ja) 浄化機能を備えた貯水タンク
JP4174510B2 (ja) 除菌消臭剤、除菌消臭剤溶液及びこれを用いた除菌消臭方法
JP2001248204A (ja) 便器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