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4107B1 - Drawer device - Google Patents

Draw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107B1
KR101114107B1 KR1020090062419A KR20090062419A KR101114107B1 KR 101114107 B1 KR101114107 B1 KR 101114107B1 KR 1020090062419 A KR1020090062419 A KR 1020090062419A KR 20090062419 A KR20090062419 A KR 20090062419A KR 101114107 B1 KR101114107 B1 KR 10111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ray
mirror
slide
slid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1907A (en
Inventor
도모하루 이즈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1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10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2단 인출식 장치에서도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는 격납규제구조를 구비한 인출장치를 제공한다.(Problem) Provided is a drawer having a containment control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high rigidity even in a two-stage drawout apparatus.

(해결수단) 하우징(2) 및 2개의 슬라이드체(3,4)를 가지며, 일방의 슬라이드체(3)는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방의 슬라이드체(4)는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인출장치에 있어서, 일방의 슬라이드체(3)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인출위치에서 타방의 슬라이드체(4)를 인출함에 의해서 일방의 슬라이드체(3)를 하우징에 대해서 걸어고정(로크)하는 로크위치와, 타방의 슬라이드체(4)를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다시 격납함에 의해서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격납규제수단으로서의 로크부재(56)를 구비하고 있으며, 로크부재(56)가 일방의 슬라이드체 측의 대응부 내지는 하우징 측의 대응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안내되어 상기 로크위치 및 상기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하였다.(Solution means) It has a housing 2 and two slide bodies 3 and 4, one slide body 3 is slid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a housing, and the other slide body 4 is one slide body. A drawer device slidably supported relative to the housing, wherein the one slide member 3 is drawn out of the housing by pulling the other slide member 4 out of the drawing position from the housing. A locking position for locking and locking and a locking member 56 serving as a restricting means for switching to the unlocking position for releasing the lock by storing the other slide body 4 again with respect to one slide body. The lock member 56 slides alo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one slide body side or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housing side to be switched to the lock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All.

Description

인출장치{DRAWER DEVICE}Take-out Device {DRAWER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에 장비되는 인출장치 중에서 전후 치수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인출량을 크게 하고 싶은 경우 등에 채용되는 2단(段) 인출식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pull-out type, for example, used in cases where the take-out size is to be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front and rear dimensions of a take-out device installed in an instrument panel or the like of a vehicle.

예를 들면, 차량용 배너티 미러는 통상 선바이저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러를 볼 때에는 선바이저를 비사용위치에서 사용위치인 앞측으로 회동 조작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배너티 미러는, 선바이저가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미러로서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쁘고, 또 배너티 미러를 사용할 때에는 시계를 방해하기 쉬워지게 되는 등의 이유에서, 차실 내에 있어서의 미러의 부착위치를 연구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For example, a banner banner mirror for a vehicle is usually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un visor, and when the mirror is viewed, the sun visor is rotated from the non-use position to the front side of the use position. Since the banner tea mirror has a high position of the sun visor, the convenience of using it as a mirror is poor, and when the banner tea mirror is use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irror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likely to be obstructed. Has been developed.

그 일례로서, 하기한 특허문헌 1에는 콘솔박스 상에 접고 펴기 가능한 또한 각도 조정 가능한 배너티 미러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콘솔박스는 차량 내의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미러를 들여다 보기 위해서는 구부린 자세를 취하지 않을 수 없고, 또 탑승자가 부주의하게 부딪칠 우려도 있어 반드시 최선의 부착위치는 아니었다.As an example, Patent Document 1 described below discloses that a banner tee mirror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is provided on a console box. However, since the console box is in a relatively low position in the vehicle, it is inevitably bent to look in the mirror, and the passenger may inadvertently bump into it, which is not necessarily the best attachment position.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차실 내의 비교적 높은 위치이면서 운전석 측에서도 조수석 측에서도 보기 쉬운 장소로서 인스트러먼트 패널을 이용하고, 여기에 인출식으로 격납하는 것으로 하되, 상부를 물품 안치용 트레이로 하고 하부를 미러로 하는 2단 인출구조를 검토하였다.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the instrument panel as a relatively high position in the cabin and easy to see from both the driver's side and the passenger's seat side, and it is to be stored therein with a pull-out type, but the upper portion is a tray for placing goods and the lower portion is a mirror. However, the withdrawal structure was reviewed.

그런데, 미러를 돌출시킨 상태로 그대로 두거나 기울인 그대로의 상태에서 트레이를 격납할 경우에는 미러가 깨질 우려도 있다. 그래서, 미러를 트레이 내에 격납하지 않으면 트레이 그 자체가 격납되지 않는 구조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격납 규제가 가능한 격납규제구조로서 하기한 특허문헌 2, 3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By the way, when the tray is stor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irror is protruded or in the inclined state, the mirror may be broken. Therefore, the structure that the tray itself is not stored unless the mirror is stored in the tray was examined. It is conceivable to use the technology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2 and 3 described below as a storage regulation structure capable of such a storage regulation.

특허문헌 2의 인출장치는, 고정용 외부 프레임과 인출용 중간 프레임 및 내부 프레임의 2단 인출식에 있어서, 인출?격납시의 작동이, 회동하는 걸림부재에 의해서, 내부?중간 프레임이 인출된 상태에서 격납할 때에는 내부 프레임의 격납 완료후에 중간 프레임이 격납된다. 또, 특허문헌 3의 컵 홀더는, 특허문헌 2와 같은 구성의 고정용 하우징과 인출용 홀더 본체 및 슬라이더의 2단 인출식 있어서, 홀더 본체와 슬라이더의 격납 규제에 관한 기술로서, 회동하는 로크돌조에 의해서, 홀더 본체가 후퇴한 때에 로크돌조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홀더 본체와 슬라이더가 격납된다.The drawing device of Patent Literature 2 is a two-stage drawing type of a fixed outer frame, a drawing intermediate frame, and an inner frame, in which the inner and middle frames are drawn out by a locking member which rotates when the drawing and stor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storing in the state, an intermediate frame is stored after completion of storing of the inner frame. Moreover, the cup holder of patent document 3 is a lockstone which rotates as a technique regarding the containment control of a holder main body and a slider in the two-stage pull-out type of the housing | casing for fixation, the holder main body for taking out, and the slider which are the same as that of patent document 2, When the holder main body is retracted by the jaws, the locking of the lock protrusion is released, and the holder main body and the slider are stored.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4-210150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10150

특허문헌 2 : 일본국 실개평 3-118132호 공보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118132

특허문헌 3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94674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594674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격납 규제에서는 걸림부재가 핀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고, 특허문헌 3의 격납 규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로크돌조가 샤프트를 통해서 회동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것이나 로크 강성이 낮게 되어 고장이나 파손의 요인이 된다.However, in the containment control of Patent Literature 2, the lock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n, and the containment control of Patent Literature 3 also employ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ck protrusion is rotated through the shaft as in the above. Low stiffness of the lock can cause failure or breakage.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타방의 슬라이드체가 일방의 슬라이드체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일방의 슬라이드체로의 격납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는 격납규제구조를 구비한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torage of one slide body if the other slide body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position of one slide body. It is to provide a take-out device having a containment control structure that can sufficiently increase the rigid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및 2개의 슬라이드체를 가지며, 일방의 슬라이드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방의 슬라이드체는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된 인출위치에서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를 인출함에 의해서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걸어고정(로크)하는 로크위치와,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를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다시 격납함에 의해서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 측의 대응부 내지는 상기 하우징 측의 대응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안내되어 상기 로크위치 및 상기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게 하고,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의 인출방향 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로크위치로 향해서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는 상기 경사면에 맞닿아서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로크위치에서 상기 로크해제위치로 전환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housing and two slide bodies, one slide body is slid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slide body is slid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one slide body. In the drawing apparatus, the lock position which hangs (locks) the said one slide body with respect to the said housing by drawing out the said other slide body in the extraction position with which the said one slide body was drawn out from the said housing, and the said And a lock member for switching to the unlocking position for releasing the lock by storing the other slide body again with respect to the one slide body, wherein the lock member is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side of the slide body or the housing. The slide position is guided alo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side And switch to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 member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ide of the slide direction of the one slide body, slides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the slide direction of the one slide body, and is supported toward the lock position, and is supported by the other slide body. And an engaging portion for contacting the inclined surface to switch the lock member from the lock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는 상기 하우징 내의 상측에 배치된 트레이이고,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는 상기 트레이 내의 하측에 배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인출단 측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 미러인 구성이다.Here, the said one slide body is a tray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in the said housing, The said other slide body is a structure which is a mirror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ngle adjustment is possible with the slider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said tray in the tray side, and the lead end side of the said slider.

상기 미러는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서 하측으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또한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The mirro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lider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downward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서 인출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및 미러가 상기 트레이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소정량만큼 인출되면, 상기 로크부재가 탄성력에 의해서 로크해제위치에서 로크위치로 전환된 후, 상기 미러가 각도 조정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If the slider and the mirror are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storag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y in the state where the tray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o the withdraw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the lock member is released from the unlocked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After switching to the locked position, the mirror is configured to be angle adjustable.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방의 슬라이드체가 인출된 후에 타방의 슬라이드체를 인출하면, 로크부재가 일방의 슬라이드체 측의 대응부 내지는 하우징 측의 대응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안내되어 로크위치로 돌출됨으로써 일방의 슬라이드체를 하우징에 대해서 걸어고정(로크)하고, 이 상태에서 타방의 슬라이드체를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다시 격납함에 의해서 로크부재가 로크해제위치로 퇴피하여 상기 로크가 해제됨으로써 일방의 슬라이드체를 하우징에 격납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slide body is taken out and the other slide body is taken out, the lock member slides alo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one slide body side or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housing side and protrudes to the lock position, thereby causing one slide body to slide out. Is locked (lock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in this state, the slide member is retracted to the unlocked position by storing the other slide body again with respect to the one slide body, and the lock is released to release the one slide body to the housing. Make it storeable.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일방의 슬라이드체와 타방의 슬라이드체의 격납규제구조로서, 종래의 회동식과는 달리 로크부재가 일방의 슬라이드체 측의 대응부 내지는 하우징 측의 대응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안내되기 때문에 로크 강성이 높으며, 과대한 힘으로 조작하더라도 고장이나 파손되지 않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is structure, as the containment control structure of one slide body and the other slide body, unlike the conventional rotational type, since the lock member slides along the corresponding part of one slide body or the corresponding part of a housing side, lock rigidity It is high, and even if operated with excessive force, it is not broken or broken,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또, 로크부재가 일방의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로크위치와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대한 걸어고정하는 힘(로크력)을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점, 로크부재가 로크위치로 향해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타방의 슬라이드체를 통한 로크해제위치에서 로크위치로의 민감 내지는 신속한 전환작동을 실현할 수 있는 점, 타방의 슬라이드체가 로크부재를 로크위치와 로크해제위치의 전환용 엑추에이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점 등에서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the lock member slides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lide direction of one slide body and is switched to the lock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ing force (locking force) for one slide body can be reliably increased. Since the point and the lock member are supported toward the lock position, a sensitive or quick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unlock position to the lock position through the other slide body can be realized. The other slide body locks the lock member and the unlock position. Since it functions as an actuator for switching positions, it is excellent in that the structure becomes simple.

그리고, 상기 미러가 인출위치로 인출된 트레이의 하측에서 또한 트레이의 인출단 측까지 슬라이더를 통해서 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더에 대해서 각도 조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설치하면, 상기한 격납규제구조의 이점에 더하여, 트레이가 작은 물품의 안치대로서의 작용 및 미러에 대한 보호 작용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성에서도 우수하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rror is angled with respect to the slider in the state where the mirror is drawn out through the slider from the lower side of the tray drawn out to the withdrawal position and to the side of the tray end, the induction of the vehicle as described in "Background art",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containment structure, when mounted on a treatment panel, the tray has a function as a support stand for a small article, a protection against a mirror, and the like, so that the mirror can be easily used and also excellent in safety.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 미러를 가장 보기 쉬운 위치 내지는 미러를 최적한 자세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position where the mirror is most easily seen or the mirror in an optimum posture.

또한, 트레이가 탄성력에 의해서 인출위치로 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및 미러가 트레이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소정량만큼 인출되면, 로크부재가 로크해제위치에서 로크위치로 전환된 후에 미러가 각도 조정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미러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확실하게 또한 안전하게 최적한 각도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인출장치를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설치하는 구조로서 최적한 것이 된다.Further, if the slider and the mirror are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stor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y while the tray is pulled out to the pulled out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the mirror can be adjusted angle after the lock member is switched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ed position. Therefore, since the mirror can be used at an optimum angle reliably and safely by simple operation, for example, it is optimal as a structure in which the take-o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최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인출장치의 구조를 분명하게 한 후에 작동에 대해서 언급한다.Best Mode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description, the operation of the take-out apparatus is made clear after clarification.

〈구조〉<rescu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인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인출장치(1)는 대략 직사각형 편평형상의 하우징(2)과, 하우징(2) 내의 상측에 인출ㆍ격납 가능하게 배치된 일방의 슬라이드체로서의 트레이(3)와, 트레이(3) 내의 하측에 인출ㆍ격납 가능하게 배치된 타방의 슬라이드체로서의 슬라이더(4)와, 슬라이더(4)의 선단측에 경동(傾動)기구(6~9)나 클릭 스토퍼 기구(90,92,94)가 장착된 회동기구(88,B,N)를 통해서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 미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것들의 주된 부재는 합성수지 사출성형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The take-out apparatus 1 has a housing 2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shape, a tray 3 as one slide body arranged to be pulled out and stored above the housing 2, and a drawer below the tray 3. ㆍ Rotator 4 which is provided as the other slide body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can be stored, and tilt mechanisms 6-9 and click stopper mechanisms 90,92,94 are attach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slider 4; The mirror 5 is connected so that angle adjustment is possible through the mechanism 88, B, N. As shown in FIG. Moreover, these main members are comprised by the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ed object.

상기한 주된 부재 중, 하우징(2) 및 그 부속부품의 상세구조를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Among the main members described above, detailed structures of the housing 2 and its accessory par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상기 하우징(2)은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에 매설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전체가 길이방향의 일단을 개구한 대략 직사각형 편평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후방부 상면을 개구하고, 전방부 상면을 상측 커버부(10)로 덮고 있다. 선단측의 좌우측부에는 하우징(2)의 고정용 부착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2 is disposed in an embedded state in an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shape in which the whole is opened in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using 2 opens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It is covered with the part 10. The fixing attachment part 12 of the housing 2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eft-right side part of the front end side.

하우징(2)의 양 내측벽에는 트레이(3)의 슬라이드 안내용으로서 전후 대략 중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리브(14)와, 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후 대략 중간까지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양 가이드 홈(15)은 트레이(3)의 측면형상에 대응한 홈형상을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의 적당한 개소에 부착되며 트레이(3)의 양 측부에 탄성접촉하여 슬라이드 저항을 줄이는 가이드 스프링(30)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이드 스프링(30)은, 예를 들면 부착 베이스와, 이 부착 베이스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조와, 부착 베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원호형상 스프링부로 이루 어진다.Both inner walls of the housing 2 have guide ribs 14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rear side for slide guide of the tray 3, and from the front side to the middle in the front and re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grooves 15 are formed. Both guide grooves 15 form a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 of the tray 3, and are attached to appropriate portions of the groove as shown in FIG. 2 and slide in elastic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tray 3, respectively. It has a guide spring 30 to reduce the resistance. In addition, the guide spring 30 consists of an attachment base, the latching protrusion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is attachment base, and the arc-shaped spring part formed in the inside of the attachment base, for example.

하우징(2)의 내측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후술하는 회전식 댐퍼(44)의 기어에 맞물리는 래크(16)와, 상측 커버부(10)의 하측(내측 바닥면의 대략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격납규제수단(52)을 구성하고 있는 로크부재(56)와 걸어맞춰져서 트레이(3){및 슬라이더(4)}의 후퇴 즉 격납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걸어맞춤구멍(18)과, 걸어맞춤구멍(18)의 근방에서 상하로 관통되는 '凸'자형의 부착구멍(20)과, 후단측에 있어서의 좌우 중간에 위치하여 관통되어 있는 축구멍(24)과, 축구멍(24)의 전방측에 좌우 1쌍의 스토퍼 리브(24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engaged with the gear 16 of the rotary damper 4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side (approximately center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portion 10. Engaging with the lock member 56 which penetrates up and down and comprises the containment control means 52 mentioned later, and restricts the retreat of the tray 3 (and the slider 4), ie the slide to a storage direction. A hole 18, a '凸' -shaped attachment hole 20 penetrating up and down in the vicinity of the engagement hole 18, a shaft hole 24 penetrated in the left and right middle portions at the rear end side; The pair of left and right stopper ribs 24a protru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shaft hole 24.

부착구멍(20)에는 회전식 권취 스프링(22)의 일단에서 인출된 스프링 단부(22a)가 걸어맞춰진다. 이 권취 스프링(22)은 그 타단측이 되는 회전축(22b)이 트레이(3)의 후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태에서, 트레이(3)가 하우징(2)의 내부에 격납되는 과정에서 권취 스프링(22)의 스프링이 신장되며, 그 탄성력을 오로지 동력으로 하여 트레이(3) 및 슬라이더(4)를 항시 하우징(2)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한다.A spring end 22a drawn out from one end of the rotary winding spring 22 is engaged with the attachment hole 20. This winding spring 22 is in the process of the tray 3 being stored in the housing 2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22b which becomes the other end sid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ear end side of the tray 3, and is supported. The spring of the winding spring 22 is extended, and the tray 3 and the slider 4 are always protruded in the direction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2 by using only the elastic force as a power.

축구멍(24)에는 작동 암(26)이 인청동제의 지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빠짐방지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작동 암(26)은 후술하는 트레이(3) 측의 하트 캠 홈(48)과 함께 푸쉬?푸쉬 걸림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구멍(24)에 지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부(26a)와, 축부(26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선단측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암부(26b)와, 암부(26b)의 선단 상측에 세워지게 형성된 핀(26c)과, 암부(2b)의 선단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규제돌기(26d)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축부(26a)의 하단은 축구멍(24)의 이형(異形)형상에 90°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상태에서 축구멍(24)에 대해서 빠짐방지된다. 규제돌기(26d)는 좌우 1쌍의 스토퍼 리브(24a)에 맞닿음으로써 작동 암(26)의 회동 요동 내지는 회동범위를 규제한다.An actuating arm 26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24 in a preventive manner of falling out through a support spring 28 made of phosphor bronze. The actuating arm 26 constitutes a push-push catching mechanism together with the heart cam groove 48 on the tray 3 sid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i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haft part 26a and the shaft part 26a which are rotatably inserted in the shaft hole 24 via the support spring 28, and is toward the front end side. It consists of an extending arm portion 26b, a pin 26c formed upright on the tip end of the arm portion 26b, and a regulating protrusion 26d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arm portion 2b. Moreover,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rt 26a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crosses 90 degrees with the release shape of the shaft hole 24,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with respect to the shaft hole 24 in a mounting state. The regulating projections 26d contact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topper ribs 24a to regulate the rotational swing or the rotation range of the actuating arm 26.

다음은 트레이(3)의 상세구조 및 이것에 부착되는 각 부품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트레이(3) 및 슬라이더(4) 등의 상면측 형상을 나타내고, 도 4는 그 하면측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Nex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ray 3 and each component attached to it are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3 has shown the upper surface side shape of the tray 3, the slider 4, etc., and FIG. 4 has shown the lower surface side shape.

상기 트레이(3)는 하우징(2)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측 내지는 내부는 후방부, 중간부, 전방부로 구획되어 있다. 후방부는 하우징(2)의 기구부분에 연동하는 개소이고, 중간부는 로크부재(52)의 부착용 개소이고, 전방부는 슬라이더(4) 및 폴딩(folding)상태의 미러(5)의 격납공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The tray 3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2. The lower side or the inner side is divided into a rear part, an intermediate part and a front part. The rear part is a part which interlocks with the mechanism part of the housing 2, the middle part is an attachment part of the lock member 52, and the front part is set as a storage space of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of a folding state. have.

또, 트레이(3)는, 양 측부에 형성되며 하우징(2)의 가이드 리브(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가이드 홈(40)과, 양 측부의 후방에 부착되며 하우징(2)의 내벽면에 탄성접촉하는 가이드 스프링(41)과, 후방 하측에 돌출형성되며 회전식 댐퍼(44)를 고정하는 댐퍼 부착부(42)와, 후방측의 일부가 잘라내어진 상태로 형성되며 권취 스프링(22)의 회전축(22b)을 축받이하는 1쌍의 축받이부(46)와, 후방 하측에 있어서 댐퍼 부착부(42)와 축받이부(46)의 사이에 형성된 하트 캠 홈(48)과, 하트 캠 홈(48)의 전방측에 형성된 로크부재 부착용 오목부(50)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tray 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40 and slidably fitted to the guide ribs 14 of the housing 2, and is attached to the rear of both sides and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 A guide spring 41 elastically contacting the wall surface, a damper attachment portion 42 protruding from the rear lower side and fixing the rotary damper 44, and a portion of the rear side is cut out and wound spring 22. A pair of bearing portions 46 bearing the rotary shaft 22b of the shaft, a heart cam groove 48 formed between the damper attachment portion 42 and the bearing portion 46 at the rear lower side, and a heart cam groove ( It has the lock member attachment recess 50 formed in the front side of 48.

상기 회전식 댐퍼(44)는 하우징(2)의 래크부(16)에 맞물리는 기어를 가지고 있으며, 댐퍼 부착부(4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와 래크부(16)의 맞물림 및 댐퍼(44)의 유체저항에 의해서 트레이(3)가 권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급속히 인출되지 않도록 제동한다. The rotary damper 44 has a gear that meshes with the rack portion 16 of the housing 2, and the gear and the rack portion 16 engage and damper 44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damper attachment portion 42. The tray 3 is braked so that the tray 3 is not rapidly drawn ou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2 due to the fluid resistance.

축받이부(46)는 후방으로 향해서 삼각형상으로 확장된 리드면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트레이(3)를 하우징(2)에 배치할 때, 권취 스프링(22)의 스프링 단부(22a)를 부착구멍(20)에 걸어맞춘 후, 권취 스프링(22)을 하우징(2) 내의 바닥면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트레이(3)를 하우징(2)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회전축(22b)이 상기 리드면에 유도되어 축받이부(46)의 깊숙한 내부까지 이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트레이(3)는 권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항시 전진방향으로 탄지된다.The bearing portion 46 has a lead surface extending in a triangular shape toward the rear. This is because when the tray 3 is placed in the housing 2, the spring end 22a of the winding spring 22 is engaged with the attachment hole 20, and then the winding spring 22 is bottomed in the housing 2. By pushing the tray 3 into the housing 2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22b, the rotating shaft 22b is guided to the lead surface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bearing 46 to be rotatably supported. The tray 3 is always suppor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2.

하트 캠 홈(4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3)의 후방측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하트 캠 홈(48)은 하트형상의 중앙 돌출부의 주위에 형성된 걸림용 오목부에 작동 암(26)의 핀(26c)이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권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트레이(3)가 하우징(2) 내의 격납위치에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트레이(3)를 누르면, 트레이(3)가 약간 후퇴함에 의해서 핀(26c)이 걸림용 오목부에 걸어맞춰진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즉, 이 푸쉬?푸쉬 걸림기구에서는 핀(26c)과 하트 캠 홈(48)의 작용에 의해서, 트레이(3)를 권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우징(2) 내로 압입하면 격납위치에 유지되고, 그리고 트레이(3)를 압입방향으로 재차 누르고서 손을 떼면,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트레이(3)가 권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인출위치까지 전진 가능하게 된다.The heart cam groove 48 is formed in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tray 3 as shown in FIG. The heart cam groove 48 resists the elastic force of the take-up spring 22 by engaging the pin 26c of the actuating arm 26 with the engaging recess formed around the heart-shaped central protrusion, and thus the tray 3. ) Is held at the storage position in the housing 2, and when the tray 3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latching state in which the pin 26c is engaged with the locking recess for the tray 3 retreats slightly is released. That is, in this push-pushing mechanism, the tray 3 is pushed into the housing 2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2 by the action of the pin 26c and the heart cam groove 48, so that it is in the storage position. When the tray 3 is held and released by pressing the tray 3 again in the pressing direction, the latched state is released and the tray 3 can be advanced to the pulled out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2.

오목부(50)는 하트 캠 홈(48)의 전방측에서 격납규제수단(52)에 대응하여 일단(一段) 깊게 형성되어 있다. 격납규제수단(52)은 트레이(3)가 하우징(2)에 대해서 인출된 인출위치에서 슬라이더(4)가 트레이(3)에 대해서 인출된 때에 하우징(2)에 대해서 트레이(3)를 격납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불가능하게 되도록 걸어고정(로크)하고, 슬라이더(4)를 트레이(3)의 격납위치까지 슬라이드함에 의해서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54)와 로크레버(56)와 압축 코일 스프링(58)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cave portion 50 is formed deep in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containment restricting means 52 on the front side of the heart cam groove 48. The containment control means 52 stores the tray 3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 when the slider 4 is withdrawn from the tray 3 at the withdrawal position where the tray 3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2. The lock is released so that the slide is impossible, and the lock is released by sliding the slider 4 to the storage position of the tray 3, and the case 54 and the lock lever as shown in FIG.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58.

케이스(54)는 그 하면(도 4에서는 상면이 된다) 및 전방측 중앙이 개구되어 있으며, 오목부(50) 내에 돌조 등을 통해서 걸어맞춤으로써 고정된다.The case 54 has its lower surface (it becomes an upper surface in FIG. 4) and the front center of the case 54, and is fixed by engaging in the recess 50 through protrusions or the like.

로크레버(56)는 상기 케이스(54)의 좌우 중간에 있는 배치공간에 대응한 작은 블록형상을 이루며, 전면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인출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56a)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로크레버(56)는 그 상면(도 4에서는 하면이 된다)측에 형성된 오목부와 양 측면에 형성된 돌조를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54)의 배치공간에 대해서 소정 치수만큼 상하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로크레버(56)는 상기한 양 측면의 돌조가 케이스(54)의 배치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양 측면에 형성된 세로 홈에 끼워맞춰지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 때, 로크레버(56)는 상기 오목부와 케이스(54)의 대응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58)에 의해서 케이스(54)의 하면의 개구부에서 상기한 걸어맞춤구멍(18) 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됨으로써 트레이(3)의 격납방향으 로의 슬라이드를 저지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격납규제수단(52)에서는 트레이(3)의 대응부에 케이스(54)에 상당하는 유지부를 직접 형성하여 케이스(54)를 생략하도록 하여도 된다.The lock lever 56 forms a small block shape corresponding to an arrangement space in the left and right middle of the case 54, and the inclined surface gradually protrudes in the drawing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thereof mov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56a). The lock lever 56 has recesses formed on its upper surface (which becomes a lower surface in Fig. 4) and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can be moved by a predetermined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case 54. Are assembled. In addition, the lock lever 56 is assembled in such a state that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lock lever 56 fit into the vertical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defining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case 54. At this time, the lock lever 56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18 described above in the opening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54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58 disposed between the recess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ase 54. The slide in the storage direction of the tray 3 is prevented by elastically moving in the direction protruding to the side. In addition, in the storing control means 52, the hold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case 54 may be directly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tray 3, and the case 54 may be omitted.

또, 트레이(3)의 상면 후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걸림돌조(6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걸림돌조(60)는 트레이(3)를 하우징(2) 내에 배치할 때에 상측 커버부(10)를 통과할 때까지는 탄성변형되고 통과한 후에는 탄성복귀되는 것으로, 트레이(3)가 하우징(2) 내에서 인출될 때에 상측 커버부(10)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맞닿아서 그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인출량(인출위치)을 규제한다. 또, 트레이(3)는 하우징(2)에서 인출된 인출위치에 있어서 상측 커버부(10)로부터 돌출되는 전방부분을, 그 상면에 물품 안치용 오목부(62a) 등을 형성한 평탄한 트레이부(62)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트레이부(62) 상을 물품 안치대나 메모용의 작은 메모대 등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3, a pair of left and right engagement protrusions 60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rear part of the tray 3, and is formed. The latching protrusion 60 is elastically deformed until the upper cover part 10 passes when the tray 3 is disposed in the housing 2, and is elastically returned after the tray 3 passes. The drawing amount (drawing position) is regulated so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upper cover part 10 when drawing out from the inside) so as not to be drawn out further. In addition, the tray 3 is a flat tray portion 62 in which a fro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cover portion 10 at the withdrawal position drawn out from the housing 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ith recesses 62a for placing the article. The tray portion 62 is used as an article mounting stand, a small memo stand for memo, or the like.

또한, 트레이(3)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에는 좌우 1쌍의 부착용 리브(64)가 돌출 형성되며, 이 리브(64)를 이용하여 프런트 커버(66)가 끼워맞춰져서 고정된다. 프런트 커버(66)에는 미러(5)의 폭 치수에 대응한 폭으로 하부가 개구되는 절결부(66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right and left attachment ribs 64 protrude from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tray 3, and the front cover 66 is fitted and fixed using the ribs 64. The front cover 66 is formed with a notch portion 66a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open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mension of the mirror 5.

다음은 트레이(3)와 슬라이더(4)와 미러(5)의 관계를 설명한다.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y 3,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is demonstrated.

도 4에 있어서, 트레이(3)에 있어서의 오목부(50)의 전방측 내측 상면을 슬라이더(4) 및 미러(5)의 슬라이드 안내면(68)으로 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안내면(68)은 중앙 가이드(68a)와, 중앙 가이드(68a)의 좌우 양측에 일단(一端) 높게 형성된 1쌍의 중간 가이드(68b)와, 중간 가이드(68b)의 좌우에 일단 더 높게 형성된 좌우 가이드(68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앙 가이드(68a) 및 중간 가이드(68b)는 슬라이더(4)용 안내면이고, 좌우 가이드(68c)는 미러(5)용 안내면이다. 또, 중앙 가이드(68a)와 중간 가이드(68b)의 단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가이드 리브(7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In FIG. 4, the front inner side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50 in the tray 3 is made into the slide guide surface 68 of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As shown in FIG. The slide guide surface 68 is once hig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guide 68a, a pair of intermediate guides 68b formed at one en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guide 68a, and the middle guide 68b. The formed left and right guides 68c are provided. The center guide 68a and the middle guide 68b are guide surfaces for the slider 4, and the left and right guides 68c are guide surfaces for the mirror 5. Further, left and right guide ribs 7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e from the stepped portions of the center guide 68a and the intermediate guide 68b.

여기서, 슬라이더(4)는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이 비교적 평탄하게 형성되며, 그 중앙부분(70)이 상기 중앙 가이드(68a)를 따라서 슬라이드 접촉하고, 중앙부분(70)의 좌우에 일단 낮게 형성된 양측 플랜지부(72)가 상기 중간 가이드(68b)를 따라서 슬라이드 접촉한다. 중앙부분(70)의 양 측벽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74)에 끼워맞춰지는 가이드 홈(7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70a) 및 가이드 리브(74)의 일부는 절제(切除)되어 있으며, 이 절제된 부분을 통해서 슬라이더(4)를 트레이(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격납규제수단(52)의 케이스(54)를 트레이(3)에 먼저 부착하게 되면 슬라이더(4)의 부착이 곤란하게 되어 있으나, 이 순서를 반대로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54)를 부착한 후에는 슬라이더(4)의 트레이(3)로부터의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다.Here, the slider 4 is formed with a relatively flat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s. 3 to 6, the center portion 70 of which slides along the center guide 68a, and the center portion 70 Both flange portions 72 once lowe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lide along the intermediate guide 68b. Guide grooves 70a fitted to the guide ribs 74 are formed at both sidewalls of the central portion 70. In addition, a part of the guide groove 70a and the guide rib 74 is cut off, and the slider 4 can be slidably attached to the tray 3 through the cut off part. That is, in this structure, if the case 54 of the containment control means 52 is attached to the tray 3 first,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slider 4, but by reversing this order, the case 54 is removed. After attaching, falling off of the tray 3 of the slider 4 is reliably prevented.

또, 중앙부분(70)의 후단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해제용 돌기(걸어맞춤부)(76)가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돌기(76)는 슬라이더(4)의 후퇴위치 내지는 격납위치에서 상기한 로크부재(56)의 경사면(56a)에 맞닺음으로써, 코일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로크부재(56)를 상측위치, 즉 로크해제위치에 유지한다. 또, 플랜지부(72)의 상면에는 중간 가이드(68b)의 하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이드 스프링(78)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가이드 스프링(78)은 플랜지부(72)의 상면에 걸어맞춰져서 연결되는 가이드 케이스와 이 가이드 케이스의 내측에 지지된 인청동제의 판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Further, at the rear end of the central portion 70, as shown in Fig. 4, the unlock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76 protrudes backward. The projection 76 engages the inclined surface 56a of the lock member 56 at the retracted position or the storage position of the slider 4, thereby resi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58 to raise the lock member 56 upward. Position, ie unlocked position. Further, a guide spring 78 in sliding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guide 68b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72. The guide spring 78 has a guide case which is engaged with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72 and a leaf spring made of phosphor bronze supported inside the guide case.

미러(5)는 편평한 반원판형상의 틸트(tilt)판(6)을 통해서 슬라이더(4)의 중앙부분(70)의 선단부에 형성된 축받이부(82)에 부착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90°회동한 수직상태의 위치에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전개되게 되면, 그 배면이 슬라이더(4)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면이 되며, 미러(5)의 거울면(98)을 상면으로 한 상태로 그 배면이 좌우 가이드(68c)를 따라서 슬라이드된다. 또한, 좌우 가이드(68c)에는 미러(5)의 트레이(3) 내로의 삽입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리브(84)가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규제 리브(84)에서부터 트레이(3)의 전방측까지의 사이에는 금속 프레스 성형체로 된 하측 커버(80)에 의해서 하측을 덮도록 되어 있다.The mirror 5 is attached to the bearing portion 82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central portion 70 of the slider 4 via a tilt plate 6 in the form of a flat semi-circular plate, and almost 90 as shown in FIG. 4 and 5, when developed in a horizontal state at the rotated vertical position, the rear surface becomes almost the sam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r 4, and the mirror surface 98 of the mirror 5 The back surface is slid along the left and right guides 68c with the upper surface as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guides 68c are provided with a projection rib 84 for regulat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mirror 5 into the tray 3, and the front of the tray 3 from this regulation rib 84. The lower side is covered by the lower cover 80 which consists of metal press molding bodies to the side.

다음은 슬라이더(4)에 대한 미러(5)의 부착구조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Next,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mirror 5 to the slider 4 is demonstrated using FIG. 5 and FIG.

상기 중앙부분(70)의 축받이부(82)에는 축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측 플랜지부(72)의 사이가 넓게 벌어진 확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미러(5)의 좌우 회동과 하향 경동(傾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A shaft hole is formed in the bearing portion 82 of the central portion 70 and is formed in an expanded shape with a wide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s 72 on both sides, so that the mirror 5 can rotate left and right and down tilt ( It is possible to move.

또, 틸트판(6)의 회동중심구멍에는 칼라(88)를 개재하여 부착용 비스(B)가 끼워지고, 축받이부(82)의 축구멍을 통과한 비스(B)의 돌출단부에 너트(N)를 나사 결합함에 의해서, 틸트판(6)은 슬라이더(4)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경우, 축받이부(82)의 하부에 있어서, 중앙부분(70)의 전단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향해서 개구되는 블라인드 홀(blind hole)(9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블라인드 홀(90)에는 코일 스프링(92)이 삽입되며, 이 코일 스프링(92)에 의해서 그 돌출단에 설치한 볼(94)이 항시 틸트판(6)의 외주에 누름접촉하도록 탄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screw B is fitted into the pivot center hole of the tilt plate 6 via the collar 88, and the nut N is provided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screw B passing through the shaft hole of the bearing 82. ), The tilt plate 6 is pivotally sup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r 4 by screwing. In this case, in the lower part of the bearing part 82, the blind hole 90 which opens toward the front side is formed i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center part 70 as shown in FIG. The coil spring 92 is inserted into the blind hole 90, and the coil 94 is held so that the ball 94 provided at the protruding end is alway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lt plate 6. .

이것에 대응하여, 틸트판(6)의 외주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둘레방향을 따라서 볼받이 홈(6a)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볼받이 홈(6a)에 직교하는 3개의 스토퍼 홈(6b)을 형성함에 의해서 클릭 스토퍼 기구가 구성되며, 틸트판(6)의 좌우방향으로의 불필요한 회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클릭음에 의한 조작감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Correspondingly, three stopper grooves 6b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lt plate 6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s shown in FIG. 7 and perpendicular to the ball receiving grooves 6a. The click stopper mechanism is formed by restricting the unnecessary rotation of the tilt plate 6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a feeling of operation by the click sound is obtained.

미러(5)는 편평한 직사각형 틀형상의 미러 베이스(96)와, 미러 베이스(96)의 표면에 접착된 거울면(98)과, 미러 베이스(96)의 후단에 돌출형성된 2개의 축받이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축받이부(100)는 틸트판(6)의 전단부에 돌출형성된 1쌍의 축받이부(6c)에 축(7) 및 판 스프링(9)을 통해서 경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9)은 미러(5)를 각도 조정하는 경동 조작시에 있어서 무단계로 정지시키는데 최적한 마찰상태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 판 스프링(9)의 마찰력에 의해서 미러(5)를 임의의 경사 각도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양측 축받이부(6c,100)에 축(7)을 끼운 상태에서 축(7)의 외주에 E링(8)을 장착함으로써 축(7)이 빠짐방지된다. 또한, 미러 베이스(96)의 하단에는, 미러(5)의 수평격납상태에서 프런트 커버(66)의 곡면과 일치함과 아울러 하부 절결부(66a)를 폐색하는 장식 커버(9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mirror 5 has a flat rectangular frame mirror base 96, a mirror surface 98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mirror base 96, and two bearing portions 100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mirror base 96. ). Each bearing part 1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bearing parts 6c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tilt plate 6 via the shaft 7 and the leaf spring 9. In addition, the leaf spring 9 is for obtaining an optimum friction state for stopping steplessly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angle-adjusting the mirror 5.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leaf spring 9, the mirror 5 can be stopped at any inclined angle position. In addition, the shaft 7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attaching the E ring 8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7 in a state where the shaft 7 is fitted to both bearing portions 6c and 100. 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mirror base 96, a decorative cover 96a which coincides with the curved surface of the front cover 66 in the horizontally sealed state of the mirror 5 and closes the lower cutout 66a is integrally formed. Formed.

〈작동〉<work>

다음은 상기한 인출장치(1)를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200)에 장비한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에 대해서 도 8~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procedure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apparatus 1 is equipped with the instrument panel 200 of a vehicle is demonstrated using FIGS. 8-10.

인출장치(1)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200)의 경사부에 있어서 상측의 적당한 개소에 매설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차실 내로 향해서 트레이(3)의 프런트 커버(66) 및 미러(5)의 장식 커버(96a)가 노출된 상태에서 인스트러먼트 패널(200)의 대응하는 표면의 곡면과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위화감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인스트러먼트 패널(200)에 설치된 공조기기의 조작 버튼이나 오디오 기기 등의 조작 버튼, 이것들의 표시부 등은 도시만 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8A, the take-out apparatus 1 is mounted in a buried state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upper side 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instrument panel 200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of the tray 3 faces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compartment. The cover 66 and the decorative cover 96a of the mirror 5 are designed to be inconsistent by matching the curve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instrument panel 200 in the exposed state. In addition, here,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instrument panel 200, operation buttons, such as an audio device, these display parts, etc. shall be shown in figure only,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가) 도 8(a)와 도 9(a)와 도 10(a)는 인출장치(1)의 격납상태, 즉 트레이(3) 및 슬라이더(4)가 각각 격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트레이(3)가 상기한 핀(26c)과 하트 캠 홈(48)의 작용에 의해서 권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우징(2)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슬라이더(4)와 미러(5)는 트레이(3)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상기한 가이드 스프링(78)의 누름접촉력에 의해서 탄성 유지되어 있다. 로크부재(56)는 슬라이더(4)의 로크해제용 돌기(76)가 경사면(56a)에 맞닿음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된 삽입상태, 즉 로크해제위치에 유지되어 있다.8A, 9A, and 10A show the storage state of the take-out apparatus 1, that is, the state where the tray 3 and the slider 4 are in the storage position, respectively. . In this state, the tray 3 is held in the storage position relative to the housing 2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2 by the action of the pin 26c and the heart cam groove 48 described above.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are elastically held by the pressing contact force of the guide spring 78 described above at the storage position relative to the tray 3. The locking member 56 is placed in an inserted state in which the locking release projection 76 of the slider 4 slides upward to resist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58 by contacting the inclined surface 56a, that is, in the unlocking position. Maintained.

(나) 인출장치(1)는, 상기한 격납상태에서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프런트 커버(66)를 일단 누르고서 떼면, 상기한 핀(26c)과 하트 캠 홈(48)의 작용에 의해서 그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트레이(3)는 슬라이더(4) 및 미러(5)와 함께 권취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인출위치까지{즉, 걸림돌조(60)가 상측 커버부(10)의 대응부에 맞닿을 때까지} 전진한다. 도 8(b)와 도 9(b)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트레이(3)가 인출위치까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4)와 미러(5)가 트레이(3) 내의 격납위치에 있기 때문에 눈에 뜨이지 않게 되며, 트레이(3)의 돌출부 상면을 물품 안치대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9(b)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56)가 하우징(2)의 걸어맞춤구멍(18)에 대향하고 있으나, 여전히 로크해제용 돌기(76)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트레이(3)를 격납측으로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B) The take-out device 1 is the pin 26c and the heart cam groove (1) when the operator presses and releases the front cover 66 with a finger as shown in Fig. 9A in the above-mentioned storage state. As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by the action of 48, the tray 3, together with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is moved to the pulled out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inding spring 22 (i.e., the locking projection 60 is moved). Advance until it contacts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upper cover part 10. 8 (b) and 9 (b) show a state where the tray 3 is pulled out to the withdraw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since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are in the storage position in the tray 3, they are inconspicuou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of the tray 3 can be utilized as an article mounting stand. Further,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9B and 10B, the lock member 56 faces the engagement hole 18 of the housing 2, but the unlocking projection 76 is still presen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tract the tray 3 to the storage side.

(다) 도 9(c) 및 도 10(c)는 상기한 트레이(3)의 인출상태에서 조작자의 손에 의해서 미러(5)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미러(5)가 약간 인출되면 슬라이더(4)의 로크해제용 돌기(76)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로크부재(56)는, 상기 돌기(76)가 로크부재(56)의 경사면(56a)에서 떨어지게 되면, 코일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서 로크위치인 케이스(54)의 대응벽을 따라서 하측으로 슬라이드하여 돌출됨으로써 하우징(2)의 걸어맞춤구멍(18)에 걸어맞춰지게 되며, 이후는 트레이(3)의 격납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9 (c) and 10 (c) show a state in which the mirror 5 is pulled out by the operator's hand in the pulled-out state of the tray 3 described above. In this structure, when the mirror 5 is slightly pulled out, the unlocking projection 76 of the slider 4 also moves forward. As a result, when the protrusion 76 falls off the inclined surface 56a of the lock member 56, the lock member 56 removes the corresponding wall of the case 54 in the locked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58. Therefore, by sliding downward and being protruded, it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18 of the housing 2, after which the storage operation of the tray 3 becomes impossible.

(라) 미러(5)는 슬라이더(4)를 통해서 인출된 후에 도 8(c),(d) 및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경동 각도나 회동 각도를 조정하여 조작자의 정면 눈높이 에 맞게 함으로써 차실 내에서 화장을 고치는 등으로 활용되게 된다. 즉, 미러(5)는 상기한 축(7)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임의의 각도로 조정됨과 동시에 판 스프링(9)에 의해서 각 조정 각도에서 정지되어 유지된다. 동시에, 미러(5)는 상기한 틸트판(6)의 클릭 스토퍼 기구에 의해서 틸트판(6)을 통해서 임의의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각 회동 각도에서 클릭되어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미러(5)의 사용중에 잘못하여 트레이(3)가 격납방향으로 압압력을 받더라도 로크부재(56)와 걸어맞춤구멍(18)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인출위치에 유지되게 된다.(D) After the mirror 5 is drawn out through the slider 4, as shown in Figs. 8 (c), (d) and 9 (d), the mirror 5 is adjusted to the operator's front eye level by adjusting its tilt angle or rotation angle. By doing so, it will be used to repair makeup in the car. That is, the mirror 5 is adjusted to an arbitrary angle downward by using the above-mentioned shaft 7 as a supporting point, and is stopped and maintained by each leaf angle 9 by the leaf spring 9. At the same time, the mirror 5 is rotated in any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tilt plate 6 by the click stopper mechanism of the tilt plate 6 described above, and is clicked and held at each rotation angle. In this state, even if the tray 3 is pressurized in the storage direction by mistake while the mirror 5 is in use, the lock member 56 and the engaging hole 18 are held in the pulled out position.

(마) 이상의 구조에서는, 미러(5)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트레이(3)의 하우징(2)에 대한 격납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인출장치(1)를 다시 도 8(a)와 도 9(a)와 도 10(a)의 격납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순서와는 반대의 순서로, 우선 미러(5)를 수평하게 한 후에 슬라이더(4)와 함께 트레이(3) 내로 밀어 넣으면, 슬라이더(2)의 로크해제용 돌기(76)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돌기(76)가 로크부재(56)의 경사면(56a)에 맞닿아서 로크부재(56)를 트레이(3) 측의 케이스(54) 내지는 하우징(2) 측의 대응부를 따라서 로크해제위치로 밀어올려서 걸어맞춤구멍(18)으로부터 빼냄으로써, 트레이(3)를 하우징(2) 내로 슬라이드시켜서 격납할 수 있다.(E) In the above structure, in the state where the mirror 5 is taken out, the slide of the tray 3 in the storag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 is impossible. Therefore, in order to put the take-out apparatus 1 back into the storage state of FIGS. 8A, 9A, and 10A, the mirror 5 is first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above. Afterwards, when the slide 4 is pushed into the tray 3 together with the slider 4, the protrusion 76 is moved to the rear of the unlocking protrusion 76 so that the protrusion 76 is inclined surface of the lock member 56. In contact with 56a, the lock member 56 is pushed to the unlocked position along the counterpart of the case 54 on the tray 3 side or the housing 2 side to the unlocked position and pulled out of the engagement hole 18 to obtain the tray ( 3) can be stored by sliding it into the housing 2.

한편,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실질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세한 부분은 그 형태 및 각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더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200)에 인출ㆍ격납 가능한 2단 인출식 인출장치(1)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용도, 예를 들면 사무기기나 주방 등의 집기류의 2단 인출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또 일방의 슬라이드체에 이동 가능하게 격납되는 타방의 슬라이드체도 미러 및 슬라이더 뿐만 아니라 2단 서랍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should just be equipped substantially with the structure specified in a claim, The detail is further changeable or developable with reference to the form and each modification. As an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wo-stage draw-out type drawer 1 that can be pulled out and stored in the instrument panel 200 of a vehicle. Not only can be applied to the two-stage pull-out type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office equipment and kitchen, but also the other slide body that can be moved to one slide body can be applied not only to mirrors and sliders but also to two-stage drawers.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인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a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인출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하우징과 그 부속부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측 커버부의 일부를 잘라낸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cut out of a part of the upper cover p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apparatus and its accessory parts;

도 3은 상기 인출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트레이와 슬라이더와 미러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tray, a slider, and a mirror constituting the take-out apparatus;

도 4는 상기 인출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트레이와 슬라이더와 미러의 이면측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y, the slider, and the rear side of the mirror constituting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apparatus;

도 5는 상기 슬라이더와 미러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er and the mirror;

도 6은 상기 슬라이더와 미러의 이면측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er and the rear side of the mirror;

도 7은 상기 미러의 축지지부에 있어서의 회동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rotation mechanism in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of the mirror.

도 8의 (a)~(d)는 상기 인출장치를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장비한 상태에서 미러를 각도 조정할 때까지의 조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A)-(d) are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operation process until the mirror is angle-adjusted in the state equipped with the said extraction apparatus in the instrument panel.

도 9의 (a)~(d)는 도 8의 대응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설명도(A)-(d)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correspondence part of FIG. 8 as a cross section.

도 10의 (a)~(c)는 도 9의 A부, B부, C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A)-(c) is sectional drawing which expands A part, B part, and C part of FIG.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인출장치 2 - 하우징1-take-out unit 2-housing

10 - 상측 커버부 14 - 가이드 리브10-Upper cover 14-Guide rib

16 - 래크 3 - 트레이(일방의 슬라이드체) 16-rack 3-tray (one slide)

60 - 걸림돌조 4 - 슬라이더(타방의 슬라이드체) 60-Jam 4-Slider (other slide)

5 - 미러(타방의 슬라이드체) 96 - 미러 베이스5-mirror (other slide body) 96-mirror base

98 - 거울면 6 - 틸트판98-Mirror 6-Tilt Plate

6a - 볼받이 홈 6b - 스토퍼 홈6a-ball gutter groove 6b-stopper groove

6c - 축받이부 7 - 축6c-bearing 7-shaft

8 - E링 9 - 판 스프링 8-E-ring 9-leaf spring

18 - 걸어맞춤구멍 22 - 권취 스프링18-Retention Holes 22-Winding Springs

22a - 스프링 단부 22b - 회전축22a-spring end 22b-axis of rotation

26 - 작동 암 26c - 핀26-working arm 26c-pin

28 - 지지 스프링 28-support spring

48 - 하트 캠 홈(푸쉬?푸쉬 걸림기구)48-Heart Cam Groove

52 - 격납규제수단 54 - 케이스52-Containment Controls 54-Cases

56 - 로크부재 56a - 경사면56-Lock member 56a-sloped

58 - 코일 스프링 76 - 로크해제용 돌기(걸어맞춤부)58-Coil Spring 76-Unlocking Protrusion

92 - 코일 스프링 80 - 하측 커버92-coil spring 80-lower cover

82 - 축받이부 200 - 인스트러먼트 패널82-bearing 200-instrument panel

Claims (6)

하우징(2) 및 2개의 슬라이드체(3,4)를 가지며, 일방의 슬라이드체(3)는 상기 하우징(2)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방의 슬라이드체(4)는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인출장치에 있어서, It has a housing 2 and two slide bodies 3 and 4, and one slide body 3 is slid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aid housing 2, and the other slide body 4 is the said one slide. In the take-out device which is slid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ieve 3,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가 상기 하우징(2)에서 인출된 인출위치에서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4)를 인출함에 의해서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를 상기 하우징(2)에 대해서 걸어고정(로크)하는 로크위치와,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4)를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에 대해서 다시 격납함에 의해서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는 로크부재(56)를 구비하고 있으며, The one slide 3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2 to draw the other slide 4 from the housing 2, thereby locking the one slide 3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 And a locking member 56 which is switched to the unlocking position for releasing the lock by storing the lock position to be locked (lock) and the other slide body 4 again with respect to the slide body 3. And 상기 로크부재(56)가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 측의 대응부 내지는 상기 하우징(2) 측의 대응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안내되어 상기 로크위치 및 상기 로크해제위치로 전환되게 하고,The lock member 56 slides alo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one slide body 3 side or the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housing 2 side to be switched to the lock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상기 로크부재(56)는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의 인출방향 측에 형성된 경사면(56a)을 가지며,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의 슬라이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로크위치로 향해서 탄지되어 있으며,The lock member 56 has an inclined surface 56a formed on the side of the one slide body 3 in the withdrawal direction, slid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ide direction of the one slide body 3, and the lock. Is burnt towards the location,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4)는 상기 경사면(56a)에 맞닿아서 상기 로크부재(56)를 상기 로크위치에서 상기 로크해제위치로 전환하는 걸어맞춤부(7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장치.The other slide body (4) has an engaging portion (76) which abuts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56a) to switch the lock member (56) from the lock position to the unlock position.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체(3)는 상기 하우징(2) 내의 상측에 배치된 트레이(3)이고, The one slide body 3 is a tray 3 disposed above the housing 2, 상기 타방의 슬라이드체(4)는 상기 트레이(3) 내의 하측에 배치된 슬라이더(4) 및 상기 슬라이더(4)의 인출단 측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 미러(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장치.The other slide body (4) is a drawer (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lider (4) disposed below the tray (3) and a mirror (5) connected to the lead end side of the slider (4) so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미러(5)는 상기 슬라이더(4)에 대해서 하측으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또한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장치.And the mirror (5) is connected to the slider (4)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downward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트레이(3)가 상기 하우징(2)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서 인 출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4) 및 미러(5)가 상기 트레이(3)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소정량만큼 인출되면, 상기 로크부재(56)가 탄성력에 의해서 로크해제위치에서 로크위치로 전환된 후, 상기 미러(5)가 각도 조정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장치.With the tray 3 drawn out from the stor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 to the drawing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are held at the stor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y 3. The draw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lock member 56 is drawn out by a fixed amount, the lock member 56 is switched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ed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and then the mirror 5 is adjustable in angle.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트레이(3)가 상기 하우징(2)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서 인출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4) 및 미러(5)가 상기 트레이(3)에 대한 격납위치에서 소정량만큼 인출되면, 상기 로크부재(56)가 탄성력에 의해서 로크해제위치에서 로크위치로 전환된 후, 상기 미러(5)가 각도 조정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장치.In the state where the tray 3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 to the extraction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the slider 4 and the mirror 5 have a predetermined amount at the storag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y 3. If the lock member 56 is pulled out, the lock member 56 is switched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ed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and then the mirror 5 becomes angle adjustable.
KR1020090062419A 2008-07-24 2009-07-09 Drawer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1141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90667 2008-07-24
JP2008190667A JP2010023786A (en) 2008-07-24 2008-07-24 Draw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07A KR20100011907A (en) 2010-02-03
KR101114107B1 true KR101114107B1 (en) 2012-02-22

Family

ID=4172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4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4107B1 (en) 2008-07-24 2009-07-09 Drawer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023786A (en)
KR (1) KR1011141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2497B2 (en) 2009-05-13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Goods holder
JP2012174884A (en) * 2011-02-22 2012-09-10 Renesas 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315668B1 (en) * 2012-06-29 2013-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Ipad for storage tray for automobile
ITFI20120135A1 (en) * 2012-06-29 2013-12-30 Miro Di Gargini Roberto E Ingrassia Michele S N C "SUPPORT DEVICE FOR TELEVISION, MONITOR AND THE LIKE"
CN104827942B (en) * 2014-11-12 2017-12-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Slide construction, drawer system and there is its automobile
FR3079481B1 (en) * 2018-03-30 2020-03-13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TRIM ELEMENT COMPRISING A STORAGE DEVICE MOVABLE IN TRANSLATION AND ROTATION
KR102053033B1 (en) * 2019-05-17 2019-12-06 (주)경도시스템 Integrated type storage device for battery pack
CN112406717B (en) * 2020-11-24 2022-02-08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Automobile storage box, auxiliary instrument board and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132U (en) * 1990-03-16 1991-12-05
JP2002096670A (en) * 2000-09-21 2002-04-02 Nifco Inc Drawing-out mechanism and cup holder unit using it
JP2010023587A (en) * 2008-07-16 2010-02-04 Daihatsu Motor Co Ltd Tray structure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959Y2 (en) * 1990-11-27 1997-0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Display device for vehicles
JP3946085B2 (en) * 2002-05-16 2007-07-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Drawing device
JP2004175168A (en) * 2002-11-26 2004-06-24 Nifco Inc Drawer device
JP2004196090A (en) * 2002-12-18 2004-07-15 Piolax Inc Drawer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132U (en) * 1990-03-16 1991-12-05
JP2002096670A (en) * 2000-09-21 2002-04-02 Nifco Inc Drawing-out mechanism and cup holder unit using it
JP2010023587A (en) * 2008-07-16 2010-02-04 Daihatsu Motor Co Ltd Tray structur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07A (en) 2010-02-03
JP2010023786A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107B1 (en) Drawer device
KR100798845B1 (en) Car tray lock
US8777173B2 (en) Holding apparatus
US5620228A (en) Drawer device
KR101172576B1 (en) Lock mechanism of moving body
KR100683225B1 (en) Tray Locking Structure of Car
KR101500271B1 (en) Sliding locking device of arm rest for automobile
KR101417535B1 (en) Multibox for vehicle
KR20190035084A (en) Slider with locking function
KR102273871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JPH0838281A (en) Lock mechanism of moving body
US11162286B2 (en) Closing device for a storag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JP3524800B2 (en) Vehicle storage device
CN112918349A (en) Height-adjustable&#39;s instrument desk table and instrument desk assembly
US6427961B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in a motor vehicle
JP4435936B2 (en) Pull-out holder for vehicles
KR20140011834A (en) Article storage device of vehilce
JP2000175765A (en) Armrest device for vehicle
KR101877973B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able console armrest using press roller
JP2010047969A (en) Stop device for sliding door
KR101172138B1 (en) Structure of console arm rest
JP5239162B2 (en) Manual vanity mirror device
KR100521518B1 (en) Height-adjuster of seat for vehicle
KR101852757B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able console armrest
CN218895517U (en) Water tank assembly and cooling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1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