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5345B1 -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345B1
KR101105345B1 KR1020110096755A KR20110096755A KR101105345B1 KR 101105345 B1 KR101105345 B1 KR 101105345B1 KR 1020110096755 A KR1020110096755 A KR 1020110096755A KR 20110096755 A KR20110096755 A KR 20110096755A KR 101105345 B1 KR101105345 B1 KR 10110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olding unit
mounting portion
sign
fasten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6142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53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정밀
Priority to KR102011009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bayone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지판 현수용 행거가 지주의 기울기에 구애받지 않고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지주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램핑유닛; 상기 클램핑유닛에 대한 장착부, 그리고 전방 개구된 내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홀딩유닛;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홀딩유닛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표지판 현수용 행거; 및 상기 행거의 상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각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변각수단은 상기 홀딩유닛의 수용부가 상기 장착부를 향한 단면적 확장 구조를 갖도록 상기 연결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하 경사부, 상기 연결부의 전단부(前端部)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행거를 관통하여 상기 행거를 상기 연결부에 상하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선회축, 상기 연결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상하 체결공, 그리고 상기 상하 체결공 각각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행거를 지지하게 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행거가 홀딩유닛에 상하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행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행거의 상부 및 하부가 고정볼트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행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Signboard Fixing Assembly having an Angle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은 표지판 현수용 행거가 지주의 기울기에 구애받지 않고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변각(變角)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6770호(2007.09.21.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주를 감싸 두 자유단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지주에 고정되는 포스트클램프;
테이퍼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포스크틀램프의 외주에 그 대경부가 접합되며, 대경부 쪽에 원호형의 조정슬롯을 가지고 표지판/도로명판을 현수하는 행거의 일단을 삽입하는 행거홀더;
상기 행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행거홀더의 소경부 쪽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행거를 행거홀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힌지;
상기 행거홀더의 조정슬롯을 통해 상기 행거의 한쪽 단부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정볼트;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행거가 지주의 수직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행거가 행거홀더에 형성된 조정슬롯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지주의 기울기에 따라 이에 대한 행거의 각도를 조절하여 지주의 수평 여부에 상관없이 행거를 수평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조정볼트만으로는 행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어, 상기 행거 및 상기 조정볼트가 장치의 설치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정슬롯을 타고 쉽게 유동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행거홀더 및 행거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루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행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행거가 대개 경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를 관통하여 스크루를 체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는,
지주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램핑유닛;
상기 클램핑유닛에 대한 장착부, 그리고 전방 개구된 내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홀딩유닛;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홀딩유닛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표지판 현수용 행거; 및
상기 행거의 상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각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변각수단은
상기 홀딩유닛의 수용부가 상기 장착부를 향한 단면적 확장 구조를 갖도록 상기 연결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하 경사부,
상기 연결부의 전단부(前端部)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행거를 관통하여 상기 행거를 상기 연결부에 상하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선회축,
상기 연결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상하 체결공, 그리고
상기 상하 체결공 각각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행거를 지지하게 되는 고정볼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유닛에는 상기 장착부의 전면(前面) 양단부(兩端部)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두 서포트가 형성되되,
상기 각 서포트는 후단부(後端部)가 상기 장착부의 길이와 상응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향해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지주에 체결되는 클램핑부와, 상기 장착부의 고정을 위해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는 장착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지주와 상기 장착플레이트 사이의 상부 또는 하부 공간부를 벌리거나 좁혀 상기 행거의 상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서브변각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서브변각수단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하 서브체결공, 그리고
상기 상하 서브체결공 각각에 체결되는 가압볼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행거 일단부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체결 시 이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는,
행거가 홀딩유닛에 상하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행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행거의 상부 및 하부가 고정볼트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행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딩유닛에 서포트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홀딩유닛이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브변각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행거의 각도 조절 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볼트와 행거의 일단부에 패드가 개재됨에 따라, 고정볼트에 의한 상기 행거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홀딩유닛과 행거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6 및 도 7은 패드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홀딩유닛과 행거의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이하,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라고 함)는 크게 클램핑유닛(100), 홀딩유닛(200), 행거(300), 변각수단(400) 및 서브변각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클램핑유닛(100)은
지주(P)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P)에 체결되는 클램핑부(110),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110)에 연결되는 장착플레이트(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110)는 다수의 패널(111)이 상호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이에 의해 상기 클램핑부(110)는 상기 지주(P)의 형상이나 지름이 다소 변경되더라도 그 형상이나 크기에 상응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지주(P)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의 전면(前面)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도브테일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홀딩유닛(200)은
상기 클램핑부(110)에 장착되어 행거(3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유닛(100)에 대한 장착부(210),
전방 개구된 내부 수용부(221)를 갖고 상기 장착부(210)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220), 그리고
상기 장착부(210)의 전면 양단부(兩端部)와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두 서포트(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210)에는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의 도브테일홈(121)에 대응되는 도브테일부(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유닛(100)과 상기 홀딩유닛(200)은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와 상기 장착부(210)가 도브테일 이음(dovetail joint) 방식으로 암수(雌雄) 결합됨에 따라 상호 연결되며,
이때, 상기 장착부(21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의 상부 및 하부 중앙에는 각각 결합볼트(212)가 체결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20)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장착부(210)를 향한 확장형 경사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221)는 후술될 상하 경사부(410)에 의해 상기 장착부(210)를 향한 단면적 확장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서포트(230)는 후단부(後端部)가 상기 장착부(210)의 길이와 상응하도록 상기 장착부(210)를 향해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각 서포트(230)는 상기 연결부(220)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가 되며, 상기 장착부(210)와 상기 연결부(220)를 더욱 견고하게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행거(300)는
표지판(B)을 현수(懸垂)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수용부(221)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행거(300)는 표지판(B)과의 결합방식 또는 강도향상을 위한 구조변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당연하게도 상기 수용부(221)의 전방 개구부는 상기 행거(300)의 단면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행거(300)의 단면적보다 다소 넓은 단면적을 갖게 된다.
상기 변각수단(400)은
상기 수용부(221)에 삽입된 상기 행거(30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유닛(200)의 수용부(221)가 상기 장착부(210)를 향한 단면적 확장 구조를 갖도록 상기 연결부(220)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하 경사부(410),
상기 연결부(220)의 전단부(前端部) 및 상기 수용부(221)에 삽입된 상기 행거(300)를 관통하여 상기 행거(300)를 상기 연결부(220)에 상하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선회축(420),
상기 연결부(22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상하 체결공(430), 그리고
상기 상하 체결공(430) 각각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수용부(221)에 삽입된 상기 행거(300)를 지지하게 되는 고정볼트(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선회축(420)은 볼트로 이루어지며, 아울러 이의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430)은 암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볼트(440)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수용부(221)에 삽입된 상기 행거(300)는 상기 상하 경사부(410)가 허용하는 구간만큼 상기 선회축(420)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 동작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선회축(420)을 이용하여 상기 행거(300)를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한 상태에서, 먼저 상부 고정볼트(440)의 체결량을 조절하여 상기 행거(300)를 수평하게 배치한 다음, 하부 고정볼트(440)를 체결하는 과정으로 상기 행거(300)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평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변각수단(500)은
상기 지주(P)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20) 사이의 상부 또는 하부 공간부(S1, S2)를 벌리거나 좁혀 상기 행거(300)의 상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상하 서브체결공(510), 그리고
상기 상하 서브체결공(510) 각각에 체결되는 가압볼트(5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하 서브체결공(510)은 암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압볼트(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주(P)를 양쪽에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210)는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바, 상기 장착부(210)에는 상기 가압볼트(520)가 장착부(210)를 지나 상기 상하 서브체결공(5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서브체결공(5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공(2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볼트(520)는 상기 상하 관통공(213)을 지나 상기 상하 서브체결공(510) 각각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지주(P)를 가압하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가압볼트(520)의 체결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공간부(S1, S2)를 더욱 벌리거나 좁힐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장착플레이트(120) 상부와 상기 지주(P)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장착플레이트(120) 하부와 상기 지주(P)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홀딩유닛(200) 및 상기 행거(3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서브변각수단(500)은 상기 홀딩유닛(20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행거(300)의 각도 조절 범위를 더욱 확대시키게 되며, 상기 변각수단(400)과 함께 상기 행거(300)의 각도를 두 단계에 걸쳐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행거(300)의 각도를 더욱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에는,
상기 고정볼트(440)와 상기 행거(300) 일단부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고정볼트(440)의 체결 시 이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패드(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드(600)는 고무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440)의 체결에 의한 상기 행거(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체결된 고정볼트(440)의 단부가 상기 패드(600)를 파고들게 되어 상기 고정볼트(4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드(600)는 상기 행거(300)의 일단부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 부착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300)에 안착홈(310)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행거(300)에 매립되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클램핑유닛
110 ; 클램핑부
111 ; 패널
120 ; 장착플레이트
121 ; 도브테일홈
200 ; 홀딩유닛
210 ; 장착부
211 ; 도브테일부
212 ; 결합볼트
213 ; 관통공
220 ; 연결부
221 ; 수용부
230 ; 서포트
300 ; 행거
310 ; 안착홈
400 ; 변각수단
410 ; 경사부
420 ; 선회축
430 ; 체결공
440 ; 고정볼트
500 ; 서브변각수단
510 ; 서브체결공
520 ; 가압볼트
600 ; 패드
P ; 지주
B ; 표지판
S1, S2 ; 상하 공간부

Claims (4)

  1. 지주(P)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램핑유닛(100);
    상기 클램핑유닛(100)에 대한 장착부(210), 그리고 전방 개구된 내부 수용부(221)를 갖고 상기 장착부(210) 전방에 배치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홀딩유닛(200);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홀딩유닛(200)의 수용부(221)에 삽입되는 표지판(B) 현수용 행거(300); 및
    상기 행거(300)의 상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각수단(400);
    을 포함하되,
    상기 변각수단(400)은
    상기 홀딩유닛(200)의 수용부(221)가 상기 장착부(210)를 향한 단면적 확장 구조를 갖도록 상기 연결부(220)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하 경사부(410),
    상기 연결부(220)의 전단부(前端部) 및 상기 수용부(221)에 삽입된 상기 행거(300)를 관통하여 상기 행거(300)를 상기 연결부(220)에 상하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선회축(420),
    상기 연결부(22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상하 체결공(430), 그리고
    상기 상하 체결공(430) 각각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수용부(221)에 삽입된 상기 행거(300)를 지지하게 되는 고정볼트(4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에는 상기 장착부의 전면(前面) 양단부(兩端部)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두 서포트가 형성되되,
    상기 각 서포트는 후단부(後端部)가 상기 장착부의 길이와 상응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향해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100)은 상기 지주(P)에 체결되는 클램핑부(110)와, 상기 장착부(210)의 고정을 위해 상기 클램핑부(110)에 연결되는 장착플레이트(120)를 갖고,
    상기 지주(P)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20) 사이의 상부 또는 하부 공간부(S1, S2)를 벌리거나 좁혀 상기 행거(300)의 상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서브변각수단(5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서브변각수단(500)은
    상기 장착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상하 서브체결공(510), 그리고
    상기 상하 서브체결공(510) 각각에 체결되는 가압볼트(5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40)와 상기 행거(300) 일단부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고정볼트(440)의 체결 시 이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패드(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KR1020110096755A 2011-09-26 2011-09-26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KR10110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55A KR101105345B1 (ko) 2011-09-26 2011-09-26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55A KR101105345B1 (ko) 2011-09-26 2011-09-26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345B1 true KR101105345B1 (ko) 2012-01-16

Family

ID=4561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55A KR101105345B1 (ko) 2011-09-26 2011-09-26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16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결합이 용이한 표지판의 구조
KR20180062724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한 표지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53B1 (ko) * 2005-12-20 2006-03-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교통표지 장치
KR100841003B1 (ko) * 2007-12-24 2008-06-2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KR100912700B1 (ko) * 2009-05-19 2009-08-1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53B1 (ko) * 2005-12-20 2006-03-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교통표지 장치
KR100841003B1 (ko) * 2007-12-24 2008-06-2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KR100912700B1 (ko) * 2009-05-19 2009-08-1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16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결합이 용이한 표지판의 구조
KR20180062724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한 표지판
KR101928151B1 (ko) * 2016-12-01 2018-12-11 장용선 결합이 용이한 표지판의 구조
KR101928152B1 (ko) * 2016-12-01 2018-12-11 장용선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한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3237A1 (en) Interlocking shape for use in construction members
JP5588227B2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装置
KR102074793B1 (ko) 태양광발전모듈용 지지구조물
KR20150000983A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CN110984504A (zh) 一种免焊接的装饰墙板结构及安装方法
CN204681292U (zh) 光伏组件固定装置
KR101105345B1 (ko)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KR102007978B1 (ko) 태양광패널의 지지장치
US6582018B2 (en) Swing frame for hanging a swing chair
JP5863879B2 (ja) 横葺屋根用の屋根上設置物取付金具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200442648Y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426131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3209229U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CN205637823U (zh) 快装式墙体篷房
KR200443394Y1 (ko) 특고압 수직장주용 완금장치
KR101130227B1 (ko)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JP5794504B2 (ja) 型枠保持金具
KR20200001792U (ko) 에어컨 실외기용 차양장치
US20100219310A1 (en) Plumbing fixture mounting bracket assembly
JP3194315U (ja) 太陽光パネルの設置、取付に伴うガイドレール
KR20140003950U (ko) 사각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CN114776086A (zh) 圆形斜柱模板支撑方法
KR200474690Y1 (ko) 가구용 다리
KR20100083385A (ko)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50715

Decision date: 20170313

Appeal identifier: 20151000039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392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15

Effective date: 2017031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7031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50715

Decision date: 20170313

Appeal identifier: 20151000039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