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83385A -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385A
KR20100083385A KR1020090002733A KR20090002733A KR20100083385A KR 20100083385 A KR20100083385 A KR 20100083385A KR 1020090002733 A KR1020090002733 A KR 1020090002733A KR 20090002733 A KR20090002733 A KR 20090002733A KR 20100083385 A KR20100083385 A KR 2010008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assembly plate
hole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675B1 (ko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김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섭 filed Critical 김동섭
Priority to KR102009000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6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일정부분 삽입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파이프가 설치된 제1조립판; 파라솔 대가 삽입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2파이프가 설치된 제2조립판;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핀과 파라솔 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 후 제2조립판을 제1조립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고정장치, 고정핀, 회전, 조립판, 체결부재

Description

고정장치{Fixing device}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라솔을 재설치시키지 않고 파라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파라솔을 설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파라솔은 해변, 잔디밭 등의 지면에 박혀져 세워지거나, 갯바위 틈에 삽입되어 세워진다. 또한, 파라솔을 세우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시멘트를 채워서 그곳에 파라솔 대를 삽입하여 파라솔을 세우거나, 파라솔의 날개 끝에 줄을 묶고 그 줄을 나무나 돌에 묶어 파라솔을 세운다.
그러나, 용기에 시멘트를 채우는 경우에는 무게가 매우 무거워 이동이 불편하고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갯바위 틈에 설치시 바위 틈의 각도가 수직으로 있지 아니하여 파라솔을 수직으로 세우지 못하며, 줄을 사용하는 경우 줄을 묶기 위한 지형물이 필요하므로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가 제한적이다. 그리고, 파라솔에 의해 형성된 그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햇빛의 이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원하는 곳에 그늘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시간이 지날 때마다 파라솔을 다시 설 치하거나, 그늘에 따라 자리를 자주 옮겨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파라솔을 편리하게 지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햇빛의 이동에 따라 파라솔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일정부분 삽입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파이프가 설치된 제1조립판; 파라솔 대가 삽입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2파이프가 설치된 제2조립판;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핀과 파라솔 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 후 제2조립판을 제1조립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제1파이프를 중심으로 제1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장공; 제2파이프를 중심으로 제2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장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제1조립판과 제2조립판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은 장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제2파이프를 중심으로 제2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장공; 제1파이프를 중심으로 제1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장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제1조립판과 제2조립판을 고정시키는 체 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은 장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공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체결너트와, 장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파이프로 삽입되어 파라솔 대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지지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판은 파라솔 대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의 입구측에 형성된 결합판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조립판은 고정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조립판은 제1조립판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파라솔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햇빛의 이동에 따라 파라솔을 재설치하지 않고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곳에 그늘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라솔을 세우기 위한 별도의 고정줄이나 시멘트용기가 불필요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지형물에 제한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 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파라솔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5는 상기 고정장치의 제2조립판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파라솔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장치(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핀(101), 고정핀(101)이 삽입되는 제1파이프(111)가 설치된 제1조립판(110), 파라솔 대(11)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121)가 설치된 제2조립판(120), 고정핀(101)과 파라솔 대(1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 및, 제1파이프(111)와 제2파이프(121)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 후 제2조립판(120)을 제1조립판(11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핀(101)은 망치나 돌에 의하여 지면에 박혀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핀(101)은 지면에 박혀져 고정되는 고정부(102)와 제1파이프(111)에 일정부분 삽입되는 삽입부(1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부(103)의 외경은 제1파이프(111)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부(102)의 외경은 제1파이프(111)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제1파이프(111)로 삽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즉, 고정핀(101)은 제1파이프(111)에 삽입되어 지면에 박혀져 고정되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채용가능하다. 이때, 고정부(102)는 지면에 용이하게 박혀지도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조립판(110)은 고정핀(101)이 삽입되는 제1파이프(111)를 구비한다.
상기 제1파이프(111)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고정핀(101)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파이프(111)의 일측에는 관통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2)은 고정부재(130)가 삽입되어 제1파이프(111)에 삽입된 고정핀(101)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30)는 제1파이프(111)에 형성된 관통공(112)과 각각 연통하도록 제1파이프(111)에 설치된 고정너트(134) 및, 고정핀(101)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고정너트(134)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32)로 이루어진다. 즉, 제1파이프(111)에 고정핀(101)이 삽입되면 고정볼트(132)를 관통공(112)과 연통된 고정너트(134)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한다. 이때,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고정볼트(132)의 전방부는 고정핀(101)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핀(101)을 제1파이프(111)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130)를 이용하여 고정핀(101)을 제1파이프(111)에 고정시 고정볼트(132)를 풀어 제1조립판(110)을 고정핀(101)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킨 뒤 다시 고정볼트(132)를 조임으로써 제1조립판(110)을 원하는 각도를 갖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30)는 고정핀(101)을 제1파이프(1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후술할 제2파이프(121)에 삽입되는 파라솔 대(11)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조립판(120)은 파라솔 대(11)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121)를 구비한다.
상기 제2파이프(121)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파라솔 대(11)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2파이프(121)의 일측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2)은 고정부재(130)가 삽입되어 제2파이프(121)에 삽입된 파라솔 대(11)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30)는 고정핀(101)을 제1파이프(111)에 고정시키고, 파라솔 대(11)를 제2파이프(121)에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고정부재(130)는 제2파이프(121)에 형성된 관통공(122)과 각각 연통하도록 제2파이프(121)에 설치된 고정너트(134) 및, 파라솔 대(11)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고정너트(134)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32)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파이프(121)에 파라솔 대(11)가 삽입되면 고정볼트(132)를 관통공(122)과 연통된 고정너트(134)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한다.
한편, 파라솔 대(11)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121)의 입구측에는 결합판(12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125)은 제2파이프(121)에 삽입된 파라솔 대(11)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지지판(150)과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공(126)이 형성된다. 즉, 고정장치(100)는 파라솔 대(1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판(1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판(150)은 제2파이프(121)에 삽입되어 파라솔 대(11)의 측면을 일부분 감싸도록 이루어진 지지부(151) 및, 제2파이프(121)의 입구측에 형성된 결합판(125)과 결합되는 결합부(155)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51)는 파라솔 대(11)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부(151)는 통상적으로 나무로 이루어진 파라솔 대(11)가 고정부재(130)의 고정볼트(132)에 의하여 가압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지지부(151)는 고정볼트(132)가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고정볼트(132)의 가압에 의하여 파라솔 대(11)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155)는 지지부(15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지지부(15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판(125)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결합부(155)에는 결합공(126)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장공(156)이 형성되어 결합판(125)에 형성된 결합공(126)과 연통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판(125)과 결합부(155)는 결합공(126)과 결합장공(156)에 삽입되는 볼트(157) 및, 상기 볼트(157)와 나사결합되는 너트(158)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제2파이프(121)에 파라솔 대(11)와 함께 지지판(150)이 삽입되면, 고정볼트(132)를 이용하여 지지부(151)가 파라솔 대(11)의 측면을 가압하게 한 뒤, 결합장공(156)과 결합공(126)에 볼트(157)를 삽입하여 너트(158)와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지지판(150)이 파라솔 대(11)로 이동되더라도 결합장공(156)에 의하여 결합공(126)과 연통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파라솔 대(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상기 지지판(150)을 더 구비하여 파라솔 대(11)를 제2파이프(121)에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판(150)이 없더라도 고정부재(130)에 의하여 파라솔 대(11)가 제2파이프(121)에 고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40)는 제1파이프(111)를 중심으로 제1조립판(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장공(114), 제2파이프(121)를 중심으로 제2조립판(1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공(124) 및, 상기 장공(114)과 체결공(124)에 삽입되어 제1조립판(110)과 제2조립판(1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체결부(140)는 제1파이프(111)와 제2파이프(121)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 후 제2조립판(120)을 제1조립판(1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호(弧) 형상의 장공(114)은 원주면의 1/4의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제1파이프(111)를 사이에 두고 제1조립판(110)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즉, 호 형상의 장공(114)을 연장시 원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공(114)의 양끝단부의 네 개의 중심점들은 각각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공(124)은 제2파이프(121)를 사이에 두고 제2조립판(12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공(124)은 정사각형의 각 모서리 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며, 제1조립판(110)에 형성된 장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각 체결공(124)은 장공(114)의 양끝단부 중심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제1조립판(110)과 제2조립판(120)이 조립시 장공(114)과 체결공(124) 은 서로 연통되고, 제2조립판(120)이 제1조립판(110)으로부터 회전될 경우 체결공(124)이 장공(144)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조립판(110)과 제2조립판(120)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조립되며, 상기 제2조립판(120)은 제1조립판(110)으로부터 회전되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공(124)과 연통하도록 제2조립판(120)에 설치된 체결너트(144) 및, 장공(114)과 체결공(124)에 삽입되어 체결너트(144)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142)로 이루어진다. 즉, 체결볼트(142)를 장공(114) 및 체결공(124)에 삽입하고 체결너트(144)와 나사결합 함으로써 제1조립판(110)과 제2조립판(1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142)를 풀어 제2조립판(120)을 제1조립판(110)에 대해 회전시킨 후, 체결볼트(142)로 다시 체결너트(144)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제2조립판(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제2조립판(120)에 고정된 파라솔(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너트(144)는 각 체결공(124)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체결볼트(142)는 제1조립판(110)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체결볼트(142)가 각 체결공(124)에 삽입되어 체결너트(144)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조립판(110)과 제2조립판(120)이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상기 체결볼트(142)의 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체결부(140)가 제1조립판(110)에 호(弧) 형상의 장공(114)이 형성되고, 제2조립판(120)에 체결공(124)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공(114)과 체결공(124)이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조립판(120)의 양측면에 호(弧)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제1조립판(110)에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체결부(140)는 제1조립판(110)과 제2조립판(120)에 각각 장공과 체결공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면 전술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립판(120)에 장공이 형성되고, 제1조립판(110)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제1조립판(110)과 제2조립판(120)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조립되는 것은, 상술한 제1조립판(110)에 장공(114)이 형성되고, 제2조립판(120)에 체결공(124)이 형성되어 조립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100)는, 제1조립판(110)이 고정핀(101)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조립판(120)이 제1조립판(11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2조립판(120)에 고정된 파라솔을 다양한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햇빛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그늘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파라솔(10)을 설치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장치(100)의 고정핀(101)을 설치하고자하는 지면에 고정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갯바위 틈에 고정핀(101)을 삽입시켜 고정장치(100)를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핀(101)은 제1파이프(111)에 삽입되어 고정부재(1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고정핀(101)을 제1파이프(111)에 고정시 제1조립판(110)을 고정핀(101)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 정핀(101)과 제1조립판(1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조립판(110)에 제2조립판(120)을 설치한다. 즉, 체결볼트(142)를 제1조립판(110)에 형성된 장공(114)과 제2조립판(120)에 형성된 체결공(124)에 삽입하여 체결너트(144)와 나사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제2조립판(120)의 제2파이프(121)에 파라솔 대(11)를 삽입하여 고정부재(130)로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판(150)을 이용하여 파라솔 대(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판(150)은 파라솔 대(11)가 고정볼트(132)의 강한 압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판(150)의 결합은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햇빛의 이동에 따라 파라솔(10)의 각도를 변화시킬 경우 체결볼트(142)를 풀어 제2조립판(120)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뒤 다시 체결볼트(142)를 조여 고정시킨다. 또한, 고정핀(101)이 고정된 제1파이프(111)의 고정볼트(132)를 푼 뒤 제1조립판(110) 및 제1조립판(110)과 결합된 제2조립판(120)을 함께 회전시킨다. 즉, 제1조립판(110)이 고정핀(101)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조립판(120)이 제1조립판(110)으로부터 회전됨으로써 고정장치(100)를 이동시키지 않고 다양한 각도를 갖도록 파라솔(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파라솔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2조립판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2조립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지지판이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라솔 100 : 고정장치
101 : 고정핀 110 : 제1조립판
111 : 제1파이프 114 : 장공
120 : 제2조립판 121 : 제2파이프
124 : 체결공 130 : 고정부재
140 : 체결부 150 : 지지판

Claims (6)

  1.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일정부분 삽입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파이프가 설치된 제1조립판;
    파라솔 대가 삽입되고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2파이프가 설치된 제2조립판;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에 형성된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핀과 파라솔 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 후 제2조립판을 제1조립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제1파이프를 중심으로 제1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장공;
    제2파이프를 중심으로 제2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장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제1조립판과 제2조립판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은 장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제2파이프를 중심으로 제2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장공;
    제1파이프를 중심으로 제1조립판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장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제1조립판과 제2조립판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은 장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공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체결너트와, 장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로 삽입되어 파라솔 대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지지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판은 파라솔 대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의 입구측에 형성된 결합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조립판은 고정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조립판은 제1조립판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1020090002733A 2009-01-13 2009-01-13 파라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Active KR10104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33A KR101046675B1 (ko) 2009-01-13 2009-01-13 파라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33A KR101046675B1 (ko) 2009-01-13 2009-01-13 파라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385A true KR20100083385A (ko) 2010-07-22
KR101046675B1 KR101046675B1 (ko) 2011-07-05

Family

ID=4264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33A Active KR101046675B1 (ko) 2009-01-13 2009-01-13 파라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40B1 (ko) * 2013-07-26 2014-11-12 임종환 파라솔 고정장치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37Y1 (ko) * 2013-02-22 2015-02-03 김기훈 파라솔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529Y2 (ko) 1978-08-16 1981-06-17
AU5388079A (en) 1979-01-05 1980-07-10 Donald James Mcfarlane Umbrella support clamp
JP2000125913A (ja) * 1998-10-28 2000-05-09 Aida Yoshinori 傘等の保持具
KR200361742Y1 (ko) * 2004-06-24 2004-09-13 최주호 낚시 받침대의 각도 조절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40B1 (ko) * 2013-07-26 2014-11-12 임종환 파라솔 고정장치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675B1 (ko)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9688B2 (en)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US20150159337A1 (en) Device for anchoring constructions in the ground
US9631392B2 (en)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GB2561296A (en) Alignment plate for mounting a structure to a foundation
US6401408B1 (en) Molded plastic stake with multiple shoulders
US20110297197A1 (en) Umbrella anchoring device
KR101046675B1 (ko) 파라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US9624685B1 (en) Mount system for an umbrella
US11761232B2 (en) Adjustable fence post coupler
JP3194864U (ja) 高さ調整式杭
CN211714015U (zh) 建造于地下空间的房建结构
KR101561437B1 (ko) 온실용 지주 조립체
AU2007231806A1 (en) Moldboard positioning assembly and use thereof
US20180216306A1 (en) Anchor Device and Method
KR101565154B1 (ko) 지주용 스크류 파일
KR102048818B1 (ko) 파라솔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KR20160000132U (ko) 낚시 좌대
CN209572655U (zh) 一种园林树木支撑结构
US86017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nd installation
US20140017423A1 (en) Apparatus, system and/or a method for holding a pole
KR101548594B1 (ko) 파라솔 고정구
CN208563180U (zh) 一种护栏横梁连接机构
CN208563179U (zh) 角度可调式组合护栏
KR20031172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부재
KR100663730B1 (ko) 기둥용 유로폼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