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8335B1 -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335B1
KR101098335B1 KR1020080070007A KR20080070007A KR101098335B1 KR 101098335 B1 KR101098335 B1 KR 101098335B1 KR 1020080070007 A KR1020080070007 A KR 1020080070007A KR 20080070007 A KR20080070007 A KR 20080070007A KR 101098335 B1 KR101098335 B1 KR 10109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ulfonyl chloride
group
catalyst
naphtha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21A (ko
Inventor
송충의
오상호
노호식
이지웅
이제은
육성훈
진직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335B1/ko
Priority to JP2011518633A priority patent/JP5420658B2/ja
Priority to EP08876585.4A priority patent/EP2321310B1/en
Priority to PCT/KR2008/006169 priority patent/WO2010008117A1/en
Publication of KR2010000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21A/ko
Priority to US13/008,793 priority patent/US85809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 C07D45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containing not further condensed quinuclidine ring systems
    • C07D45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containing not further condensed quinuclidine ring systems having a quinolyl-4, a substituted quinolyl-4 or a alkylenedioxy-quinolyl-4 radical linked through only one carbo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e.g. quin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 및 이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의 제조방법은 신코나 알칼로이드로부터 제조된 아민을 염기 존재하에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탈대칭화(Desymmetrization) 반응을 통해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다양한 구조의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짧은 시간내에 매우 높은 입체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0074915652-pat00079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R은 에틸 또는 -CH=CH2이고; Ar은 아릴기이다.
신코나-알칼로이드 촉매, 메소-고리 산무수물, 키랄성 헤미에스터

Description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 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 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Cinchona-based bifucntional organo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chiral hemiesters by asymmetric ring opening reaction of meso-cyclic acid anhydrid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설폰아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 및 이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의제조방법은 신코나 알칼로이드로부터 에피머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아민을 염기 존재하에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폰아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탈대칭화 반응을 통해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 화합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제약 산업에서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 화합물은 라세미 화합물에 비해 종종 낮은 부작용과 높은 역가를 보이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제를 얻기 위한 통상적인 유기합성방법은 종종 천연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키랄 보조제를 사용하거나 라세미 화합물의 분할이 있다. 키랄 보조제는 촉매량이 아닌 당량으로 사용해야하고, 자연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이므로 구조적 제한이 있다. 분할제를 사용하는 라세미체의 분할방법은 원하지 않는 거울상 이성질체는 버려지는 것을 의미하며, 수율이 낮고 낭비적인 단점이 있다.
오다 등(J. Oda, J. Chem . Soc . Perkin Trans I. 1997, 1053)은 신코나 알칼로이드인 (+)-신코닌을 촉매량 (10 mol%) 사용하여 고리형 산무수물의 고리열림반응 진행하여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4일간의 오랜 반응시간과 거울상 입체선택성(enantioselectivity)이 낮은 (최대 69% ee) 문제가 있다.
볼름 등(C. Bolm, J. Org . Chem . 2000, 65, 6954)은 퀴니딘을 10 mol% 고리형 산무수물의 고리열림반응을 진행하여 최대 91% ee까지 거울상 입체선택성을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때, 고가인 펨피딘을 1당량 사용해야 하고 -55℃에서 최대 6일간 반응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뎅(L. Deng)등은 한국특허등록 제10-0769381호에서 유기촉매를 이용한 키랄성 헤미에스터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변형된 비스-신코나 알칼로이드, 예컨대 (DHQD)2AQN을 촉매로 사용하는 방법을 보고하였다. (Y. Chen, S.-K. Tian, L. Deng, J. Am . Chem . Soc . 2000, 122, 9542-9543). 상기의 촉매를 사용할 경우 높은 거울상 입체선택성으로 반응을 성공적으로 종결시킬 수 있지만, 너무 장시간의 반응시간(최대 140시간)이 필요하고 촉매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높은 거울상 입체선택성을 얻기 위해서는 저온(-20도 ~ - 40도)을 유지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응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더구나 촉매의 대량합성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보고된 바 있다(Y. Ishii 등, Organic Process Research & Development, 2007, 11, 609-615).
기존의 합성방법으로는 높은 거울상 입체선택성을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얻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장시간 반응시키는 단점이 있어, 보다 효율적인 촉매 및 제조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기술을 분석한 결과, 높은 입체 선택성을 얻기 위해 낮은 온도와 장시간의 반응시간이 필요한 주요 원인으로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 구조내의 키랄 3차 아민, 예를 들어 퀴누클리딘의 질소원자가 친핵체를 활성화 시키는 단일작용 촉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코나 알칼로이드의 구조를 변형시켜 출발물질인 메소-고리 산무수물, 즉 친전자체와 친핵체를 동시에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이작용성 촉매를 고안, 합성하게 되었으며, 산소를 포함하는 비양자성 용매중에서 상기의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유기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과 알코올을 친핵체로하여 반응시키는 경우, 상온에서 1 내지 10 시간 내에 높은 거울상 입체선택성을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알칼로이드 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와 같이 아민을 염기 존재하에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유기용매 내에서 상기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의 존재하에 친핵체와 반응시킴으로써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설폰아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이작용성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탈대칭화 반응을 통해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촉매는 비대칭 환경을 제공하여 프로키랄한 메소-고리 산무수물과 친핵체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작용성 촉매 기능을 가지는 분자이다. 예를 들어, 퀴누클리딘의 질소원자는 염기 작용으로 친핵체를 활성화시키고 설폰아미드기의 수소원자는 메소-고리 산무수물과의 수소 결합을 통해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에틸 또는 -CH=CH2이고; Ar은 아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젠 또는 나프탈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오쏘-톨루엔, 메타-톨루엔, 파라-비닐벤젠, 1-나프탈렌, 2-나프탈렌 및 페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0074915652-pat00080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에틸 또는 -CH=CH2이고; Ar은 아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에서 Ar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젠 또는 나프탈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에서 Ar은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오쏘-톨루엔, 메타-톨루엔, 파라-비닐벤젠, 1-나프탈렌, 2-나프탈렌 및 페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아릴기의 치환체의 성질은 촉매의 전자 성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촉매 활성 및 광학 선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설명한 실시예에서 보듯이, 아릴기의 치환체의 전자적 성질이나 입체적 장애는 촉매의 활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광학 선택성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은, 본원에 기재된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해 다수가 상기의 언급된 치환체 이외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 물에 대해 더 이상의 일상적인 실험 없이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동등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신코나 알칼로이드로부터 에피머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아민을(Organic Letters 2005, 7, 1967), 염기 존재하에 1당량의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인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염기가 트리에틸아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가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 또는 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유용한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화학식 1)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05
화학식 1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반응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유용한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화학식 2)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0074915652-pat00081
화학식 2
상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에서,
R은 에틸 또는 -CH=CH2이고; Ar은 아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에서 Ar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젠 또는 나프탈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에서 Ar은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오쏘-톨루엔, 메타-톨루엔, 파라-비닐벤젠, 1-나프탈렌, 2-나프탈렌 및 페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삼중고리 산무수물, 이중고리 산무수물, 치환된 숙신산 무수물 및 치환된 글루타르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유기용매 내에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인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의 존재하에 친핵체와 반응시킴으로써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 상기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 및 친핵체성 반응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선택적 고리열림반응을 통해, 고도의 입체선택성을 가지는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촉매 반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적당한 유기용매에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촉매와 친핵체 첨가하여 교반하는 하기 반응식 3과 같은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높은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의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해당 탈대칭화 반응의 최적화된 조건에서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8% 초과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의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수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07
본 발명은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이 삼중고리산 무수물, 이중고리산 무수물 및 치환된 숙신산 무수물 또는 치환된 글루타르산 무수물인 상기 언급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비양자성 용매인 에틸비닐 에테르, 디메톡시에탄, 메틸 t-부틸 에테르, 다이에틸 에테르,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 퓨란, 다이옥산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메틸 t-부틸 에테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는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에 대해서 0.1 내지 30 mol%,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mo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ol% 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의 고리열림 반응을 위하여 친핵체로 알코올 또는 티올을 사용한다. 이때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2-프로펜-1-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벤질 알코올, 프로판올 또는 아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소-고리형 산무수물 화합물에 대하여 1 내지 100 당량, 바 람직하게는 1 내지 20 당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당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응온도는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에 대한 비교 및 다양한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에 대해 메탄올을 친핵체로 사용하여 입체선택적 고리열림 반응에 대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한다. 당해 헤미에스터는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킨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결정하였다. 또한 당해 촉매는 산-염기 추출 과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다양한 키랄성 헤미에스터는 성격이 다른 두 개의 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입체화학적 또는 제약학적으로 유용한 키랄성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는 천연물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퀴닌, 퀴니딘, 하이드로 퀴닌 또는 하이드로 퀴니딘으로부터 합성할 수 있고 금속촉매와 달리 독성이 낮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산업적 이용가치가 높다. 또한 대기중에서 반응을 진행할 수 있으며 고온이나 저온이 아니라 상온에서도 높은 거울상 선택성을 가지며 반응 후 쉽게 촉매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유기용매 중에서 상기 설폰아미드 잔기로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의 존재하에 -20 ℃ 내지 상온에서 알코올에 의한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의 고리열림 반응을 진행하여 다양한 구조의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짧은 시간내에 매우 높은 입체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은, 분원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해 다수가 동등한 더 이상의 실험 없이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동등물은 다음 청구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생각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유도체화된 유기촉매의 일반적인 합성 방법>
신코나 알칼로이드로부터 에피머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아민을 염기 존재하 에 1당량의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를 합성한다.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에 해당하는 유기 촉매는 문헌[Organic Letters 2005, 7, 1967]에 상세히 기술된 9-아미노(9-데옥시)에피신코나 알칼로이드로부터 상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하이드로 퀴닌 또는 퀴닌을 트리페닐 포스핀과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를 이용하여 다이페닐 포스포릴 아자이드와 반응시켜 하이드록시기를 아민으로 치환한 후에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고 분리정제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1
Q- BTBSA ( Quinine -( bis )-3,5- Trifluoromethyl benz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 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3.54 g, 10.94 mmol) 용액에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3.42g, 10.94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1.52 mL, 10.9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3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BTBSA(5.9 g, 89.5%)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08
1H NMR (300 MHz, d6-DMSO, 110℃) δ 0.58 - 0.65 (m, 1H), 1.18 - 1.25 (m, 1H), 1.33 - 1.67 (m, 3H), 2.14 - 2.31 (m, 1H), 2.45 - 2.52 (m, 1H, overlapped with DMSO), 2.60 - 2.73 (m, 1H), 2.88 - 3.13 (m, 2H), 3.20 - 3.40 (m, 1H), 3.93 (s, 3H), 4.91 (t, J=1.5, 0.5H), 4.97(td, 3J=17.1, 3J=1.5, 2J=1.5Hz, 1.5H), 5.78(ddd, 3J=17.1, 3J=10.5, 3J=6.9Hz, 1H), 7.33-7.38(m, 2H), 7.47(d, J=2.4Hz, 1H), 7.82(d, J=9Hz, 1H), 7.90-8.00(m, 3H), 8.54(d,4 J=4.2Hz, 1H) ppm;
13C NMR(100MHz, d6-DMSO, 110oC) δ; 25.49, 27.26, 27.45, 38.97, 40.11, 55.27, 55.49, 58.59, 102.32, 113.61, 120.87, 122.41 (q, J(C-F)=271Hz), 124.47, 126.52, 127.19, 130.84(q, 2 J(C-C-F)=34Hz), 131.42, 141.67, 144.53, 145.02, 146.91, 157.83 ppm;
19F NMR(376MHz, d6-DMSO, 45oC) δ -62.2 ppm
실시예 2
QD - BTBSA ( Quinidine -( bis )-3,5- Trifluoromethyl benz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I)(1.89 g, 5.84 mmol) 용액에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1.83 g, 5.84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0.9 mL, 6.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3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D-BTBSA(2.69 g, 76.8%)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0074915652-pat00082
실시예 3
HQ - BTBSA ( Hydroquinine -( bis )-3,5- Trifluoromethyl benz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II)(1.25 g, 3.84 mmol) 용액에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1.20 g, 3.84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0.54 mL, 3.8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증류수(3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10% 메탄올)로 정제하여 HQ-BTBSA(1.8 g, 77.9%)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0
실시예 4
Q- PTSA ( Quinine - para - tolu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30 mL) 중의 아민(I)(1.29 g, 3.99 mmol) 용액에 파라-톨루엔 설포닐 클로라이드(0.76 g, 3.99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0.61 mL, 4.3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2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10% 메탄올)로 정제하여 Q-PTSA(1.0 g, 52.5%)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1
실시예 5
Q- OTSA ( Quinine - ortho - tolu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2.42 g, 7.48 mmol) 용액에 오쏘-톨루엔 설포닐 클로라이드(1.426 g, 7.48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1.14 mL, 8.2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3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OTSA(2.86 g, 80%)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2
실시예 6
Q- MTSA ( Quinine - meta - tolu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2.44 g, 7.54 mmol) 용액에 메타-톨루엔 설포닐 클로라이드(1.44 g, 7.54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1.15 mL, 8.2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3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MTSA(2.85 g, 79.1%)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3
실시예 7
Q-1- NSA ( Quinine -1- Naphthal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30 mL) 중의 아민(I)(1.3 g, 4.0 mmol) 용액에 1-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0.91 g, 4.0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0.67 mL, 4.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고 증류수(3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1-NSA(1.6 g, 77.5%)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4
실시예 8
Q-2- NSA ( Quinine -2- Naphthal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1.88 g, 5.81 mmol) 용액에 2-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1.32 g, 8.81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0.97 mL, 6.9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4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2-NSA(2.35 g, 79%)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5
실시예 9
Q- BSA ( Quinine - benz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2.48 g, 7.67 mmol) 용액에 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2.03 g, 11.51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0.97 mL, 9.2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4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BSA(2.88 g, 81%)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6
실시예 10
Q-4- VBSA ( Quinine -4- vinyl benzene Sulfonamide ) 촉매의 제조방법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50 mL) 중의 아민(I)(2.10 g, 6.49 mmol) 용액에 4-비닐 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1.97 g, 9.74 mmol)첨가하고, 이어서 트리에틸아민(0.82 mL, 7.7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증류수(40 m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로 정제하여 Q-4-VBSA(2.73 g, 86%)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7
< 프로키랄 또는 메소 고리형 산무수물의 촉매에 의한 탈대칭화 >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8
실시예 11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 촉매(Q-BTBSA)를 10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1% 수율)를 수득하였다. 하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enantiomeric excess)을 96%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Figure 112008051750707-pat00019
1H NMR (300MHz, CDCl3) δ 1.36 - 1.62(m, 4H), 1.72 - 1.84(m, 2H), 1.96 - 2.10(m, 2H), 2.80 - 2.92(m, 2H), 3.68(s, 3H) 13C NMR (75MHz, CDCl3) δ 23.8, 23.9, 26.1, 26.4, 42,5, 42.7, 51.9, 174.2, 180.3
실시예 12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2%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5%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13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1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2%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 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5%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14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0.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89%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3%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15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PTSA)를 10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5%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2%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16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1-N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5%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2%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17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2-N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5%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2%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18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 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6%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19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메틸 t-부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4-V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 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5%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20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4-V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5%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실시예 21
-20℃에서 무수물(1a) 0.5 mmol을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10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4-V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 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a,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상기 반응식 4의 이미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7%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8.50 분, t(주생성물) = 11.79 분).
Figure 112008051750707-pat00020
실시예 22
20℃에서 무수물(1b)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 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b, 92%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6%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1.04 분, t(주생성물) = 14.25 분)
1H NMR (300 MHz, CDCl3) δ 2.32-2.65 (m, 4H), 3.02-3.12 (m, 2H), 3.69 (s, 3H), 5.68 (m, 2H); 13C NMR(75MHz,CDCl3) δ 25.68, 25.86, 39.58, 39.70, 52.10, 125.18, 125.30, 173.82, 179.66.
실시예 23
-20℃에서 무수물(1b) 0.5 mmol을 메틸 t-부틸 에테르 10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b, 92%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8.3%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1.04 분, t(주생성물) = 14.25 분)
실시예 24
-20℃에서 무수물(1b) 0.5 mmol을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10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b, 92%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9%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1.04 분, t(주생성물) = 14.25 분).
Figure 112008051750707-pat00021
실시예 25
20℃에서 무수물(1c)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4.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c, 90%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6%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2.27 분, t(주생성물) = 20.35 분)
1H NMR (300 MHz, CDCl3) δ 1.35-1.58 (m, 4H), 1.75-1.83 (m, 2H), 2.57-2.62 (m, 2H), 2.82-3.04 (m, 2H), 3.69 (s, 3H); 13C NMR(75MHz, CDCl3) δ 23.98, 24.17, 39.96, 40.22, 40.52, 46.83, 51.42, 172.98, 179.01.
Figure 112008051750707-pat00022
실시예 26
20℃에서 무수물(1d)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d, 90%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4%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8.90 분, t(주생성물) = 24.93 분)
1H NMR (300 MHz, CDCl3) δ 1.34 (bd, J=9.0Hz, 1H), 1.50(dt, J=9.0Hz and 1.8Hz, 1H), 3.01 - 3.41(m, 4H), 3.59(s, 3H), 6.21(dd, J=5.0 and 3.0Hz, 1H), 6.33(dd, J=5.0 and 3.0Hz, 1H); 13C NMR(75MHz, CDCl3) δ 46.23, 46.72, 48.08, 48.37, 48.93, 51.67, 134.46, 135.71, 173.00, 178.15.
실시예 27
20℃에서 무수물(1d) 0.5 mmol을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10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d, 90%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7.5%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8.90 분, t(주생성물) = 24.93 분).
Figure 112008051750707-pat00023
실시예 28
20℃에서 무수물(1e) 0.5 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e, 88%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5%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0.86 분, t(주생성물) = 11.31 분)
1H NMR (300 MHz, CDCl3) δ 1.42 (bd, J=9.0Hz, 1H), 2.13(bd, J=9.0Hz, 1H), 2.62(m, 2H), 3.09(m, 2H), 3.65(s, 3H), 6.22(m, 2H); 13C NMR(75MHz, CDCl3) δ 45.49, 45.52, 45.90, 47.47, 47.57, 51.97, 138.00, 138.19, 174.00, 180.13.
Figure 112008051750707-pat00024
실시예 29
-20℃에서 무수물(1f) 0.5 mmol을 메틸 t-부틸 에테르 20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f, 95%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8%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5.0 분, t(주생성물) = 11.0 분)
1H NMR (300MHz, CDCl3): δ 1.02-1.21 (m, 6H), 2.71- 2.79 (m, 2H), 3.66(s, 3H); 13C NMR (75MHz, CDCl3): δ 14.8, 14.9, 42.3, 42.4, 52.0, 175.2, 180.3.
실시예 30
-20℃에서 무수물(1f) 0.5 mmol을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50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에서 9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ent-2f, 99%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9%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11.0 분, t(주생성물) = 15.0 분).
Figure 112008051750707-pat00025
실시예 31
-20℃에서 무수물(1g) 0.5 mmol을 메틸 t-부틸 에테르 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10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 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g, 95%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1%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33.5 분, t(주생성물) = 30.3 분)
1H NMR (300MHz, CDCl3): δ 1.05 (d, J = 6.3 Hz, 3H), 2.2 - 2.6 (m, 5H), 3.68(s, 3H); 13C NMR (75MHz, CDCl3) δ 19.9, 27.2, 40.6, 40.6, 51.7, 172.9, 178.8.
실시예 32
-20℃에서 무수물(1g) 0.5 mmol을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10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5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ent-2g, 95%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 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87%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30.3 분, t(주생성물) = 33.5 분).
Figure 112008051750707-pat00026
실시예 33
-20℃에서 무수물(1h) 0.5 mmol을 메틸 t-부틸 에테르 15 mL에 용해시킨 후 유기촉매(Q-BTBSA)를 10 mol% 첨가하고 메탄올을 10당량을 한꺼번에 첨가하여 -2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묽은 염산 수용액(1N, 3 mL)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 그래피(노르말-핵세인 중에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헤미에스터(2h, 97% 수율)를 수득하였다. 알려진 방법(H. Han, Tetrahedron Lett . 2004, 45, 3301-3304)에 따라 헤미에스터와 (R)-1-(1-나프틸)에틸 아민을 반응시켜 헤미에스터에 상응하는 에스터 아미드로 전환시킴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을 94% 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거울상 입체선택성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ypersil, 40:1, 핵산:이소프로필 알코올, 1mL/분, t(부생성물) = 24.1 분, t(주생성물) = 12.1 분)
1H NMR (300MHz, CDCl3): δ 2.6- 2.8 (m, 4H), 3.56 (s, 3H), 3.58- 3.67 (m, 1H), 7.10 - 7.35 (m, 5H); 13C NMR (75MHz, CDCl3): δ 37.9, 40.2, 40.5, 51.7, 127.1, 127.2, 128.7, 142.3, 172.2, 177.8.
하기 표 11은 실시예 11 내지 33의 각각의 탈대칭화 반응에 대한 수율 및 입체선택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원형무수물 생성물 용매
(mL)
촉매 (몰 %) 온도 (oC) 시간 수율 (%) % ee
1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27
Figure 112010074915652-pat00028
Et2O
(5 mL)
Q-BTBSA
(10 mol %)
20 1 91 96
12
Figure 112010074915652-pat00029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0
Et2O
(5 mL)
Q-BTBSA
(5 mol %)
20 2 92 95
13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2
Et2O
(5 mL)
Q-BTBSA
(1 mol %)
20 6 92 95
14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3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4
Et2O
(5 mL)
Q-BTBSA
(0.5 mol %)
20 20 89 93
15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5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6
Et2O
(5 mL)
Q-PTSA
(10 mol %)
20 20 95 92
16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7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8
Et2O
(5 mL)
Q-1-NSA
(5 mol %)
20 1 95 92
17
Figure 112010074915652-pat00039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0
Et2O
(5 mL)
Q-2-NSA
(5 mol %)
20 1 95 92
18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2
IPr2O
(5 mL)
Q-BSA
(5 mol %)
20 1.5 99 96
19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3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4
MTBE
(5 mL)
Q-4-VBSA
(5 mol %)
20 1 99 95
20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5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6
IPr2O
(5 mL)
Q-4-VBSA
(5 mol %)
20 1.5 99 95
2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7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8
IPr2O
(10 mL)
Q-4-VBSA
(5 mol %)
-20 4 99 97
22
Figure 112010074915652-pat00049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0
Et2O
(5 mL)
Q-BTBSA
(5 mol %)
20 1.5 92 96
23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2
MTBE (10 mL) Q-BTBSA
(5 mol %)
-20 4 92 98
24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3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4
IPr2O (10 mL) Q-BTBSA
(5 mol %)
-20 5 92 99
25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5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6
Et2O
(5 mL)
Q-BTBSA
(5 mol %)
20 4.5 90 96
26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7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8
Et2O
(5 mL)
Q-BTBSA
(5 mol %)
20 5 90 94
27
Figure 112010074915652-pat00059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0
IPr2O (10 mL) Q-BTBSA
(5 mol %)
20 5 90 97.5
28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2
Et2O
(5 mL)
Q-BTBSA
(5 mol %)
20 6 88 95
29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3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4
MTBE
(20 mL)
Q-BTBSA
(5 mol %)
-20 5 95 98
30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5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6
IPr2O (50 mL) Q-BTBSA
(5 mol %)
-20 9 99 99
3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7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8
MTBE
(5 mL)
Q-BTBSA
(10 mol %)
-20 4 95 91
32
Figure 112010074915652-pat00069
Figure 112010074915652-pat00070
IPr2O (10 mL) Q-BTBSA
(5 mol %)
-20 5 95 87
33
Figure 112010074915652-pat0007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72
MTBE
(15 mL)
Q-BTBSA
(10 mol %)
-20 4 97 94
도 1은 본 발명의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 Q-BTBSA, HQ-BTBSA, QD-BTBSA, Q-PTSA, Q-OTSA, Q-MTSA, Q-1-NSA 및 Q-2-NSA의 구조식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Q-BTBSA 촉매에 대한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Q-BTBSA 촉매에 대한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Q-BTBSA 촉매에 대한 19F-NMR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Claims (19)

  1.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74915652-pat00073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에틸 또는 -CH=CH2이고;
    Ar은 -CF3, 메틸, 또는 -CH=C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며, 단, 파라-톨루엔은 제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Ar이 -CF3, 메틸, 또는 -CH=C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 또는 나프탈렌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Ar이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오쏘-톨루엔, 메타-톨루엔, 파라-비닐벤젠, 1-나프탈렌, 2-나프탈렌 및 페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화학식 2의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10074915652-pat0008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에틸 또는 -CH=CH2이고;
    Ar은 -CF3, 메틸, 또는 -CH=C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며, 단, 파라-톨루엔은 제외한다.
  5. 제4항에 있어서, Ar이 -CF3, 메틸, 또는 -CH=C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 또는 나프탈렌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Ar이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오쏘-톨루엔, 메타-톨루엔, 파라-비닐벤젠, 1-나프탈렌, 2-나프탈렌 및 페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삼중고리 산무수물, 이중고리 산무수물, 치환된 숙신산 무수물 및 치환된 글루타르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유기용매 내에서 하기 화학식 1a 또는 화학식 2a의 화합물인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의 존재 하에 친핵체와 반응시킴으로써 키랄성 헤미에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a
    Figure 112011059016322-pat00084
    화학식 2a
    Figure 112011059016322-pat00085
    상기 화학식 1a 또는 2a에서,
    R은 에틸 또는 -CH=CH2이고;
    Ar은 -CF3, 메틸, 또는 -CH=C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친핵체가 알코올 또는 티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친핵체가 메탄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친핵체를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0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를 프로키랄 또는 메소-고리형 산무수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몰% 내지 30 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디메톡시에탄, 에틸비닐 에테르, 메틸 t-부틸 에테르, 다이에틸 에테르, 다이이소프로필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 퓨란 및 다이옥산으로 이루어진 비양자성 용매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신코나 알칼로이드로부터 에피머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아민을, 염기 존재하에 1당량의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1항 또는 제4항의 화합물인 유도체화된 이작용성 신코나 알칼로이드 촉매를 합성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신코나 알칼로이드가 다이하이드로 퀴닌, 퀴닌, 다이하이드로 퀴니딘 또는 퀴니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신코나 알칼로이드가 퀴닌 또는 퀴니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염기가 트리에틸아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가 -CF3, 메틸, 또는 -CH=C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 또는 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가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 오쏘-톨루엔 설포닐 클로라이드, 메타-톨루엔 설포닐 클로라이드, 파라-비닐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 1-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 2-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설포닐 클로라이드 유도체가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설포닐 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70007A 2008-07-18 2008-07-18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KR10109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07A KR101098335B1 (ko) 2008-07-18 2008-07-18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JP2011518633A JP5420658B2 (ja) 2008-07-18 2008-10-17 シンコナ基材ニ官能性有機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キラル性ヘミエステルの製造方法
EP08876585.4A EP2321310B1 (en) 2008-07-18 2008-10-17 Cinchona-based bifunctional organo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chiral hemiesters using the same
PCT/KR2008/006169 WO2010008117A1 (en) 2008-07-18 2008-10-17 Cinchona-based bifucntional organo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chiral hemiesters using the same
US13/008,793 US8580964B2 (en) 2008-07-18 2011-01-18 Cinchona-based bifucntional organo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chiral hemiester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07A KR101098335B1 (ko) 2008-07-18 2008-07-18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21A KR20100009221A (ko) 2010-01-27
KR101098335B1 true KR101098335B1 (ko) 2011-12-26

Family

ID=4155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07A KR101098335B1 (ko) 2008-07-18 2008-07-18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80964B2 (ko)
EP (1) EP2321310B1 (ko)
JP (1) JP5420658B2 (ko)
KR (1) KR101098335B1 (ko)
WO (1) WO2010008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8778A1 (en) 2011-05-16 2012-11-22 Cellectis S.A. Doubly secure transgenic algae or cyanobacteria strains to prevent their establishment and spread in natural ecosystems
CA2857078A1 (en) * 2011-11-28 2013-06-06 Mylan Laborato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chiral statin side chain intermediates employing candida/antarctica lipase b
JP5943319B2 (ja) * 2011-12-01 2016-07-05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ヘテロアレーンスルホニル化キナアルカロイドアミン化合物
US9487523B2 (en) 2012-03-14 2016-11-08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for making CGRP receptor antagonists
JP6212534B2 (ja) * 2012-03-14 2017-10-11 メルク・シャープ・アンド・ドーム・コーポレーションMerck Sharp & Dohme Corp. Cgrp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の製造方法
SG11202109569RA (en) 2019-03-21 2021-10-28 Immunogen Inc Methods of preparing cell-binding agent-drug conjugates
RS64961B1 (sr) 2019-04-26 2024-01-31 Immunogen Inc Derivati kamptotecina
CN115160352B (zh) * 2022-08-17 2023-12-19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氢化金鸡纳碱衍生的双功能催化剂及其制备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557A1 (en) * 1996-06-05 1997-12-11 Wolfgang Lindner Cinchonan based chiral selectors for separation of stereoisom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9571A (ja) 2000-04-04 2003-10-07 ブランデイス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メソ形化合物の触媒的不斉非対称化
DE10334724A1 (de) * 2003-07-30 2005-02-24 Bayer Healthcare Ag N-Biarylamide
US7309699B2 (en) * 2003-12-22 2007-12-18 Abbott Laboratories 3-Quinuclidinyl amino-substituted biaryl derivatives
KR101176670B1 (ko) * 2004-03-25 2012-08-23 메모리 파마슈티칼스 코포레이션 인다졸, 벤조티아졸, 벤조이소티아졸, 벤즈이속사졸, 및그의 제조법 및 용도
GB0526246D0 (en) * 2005-12-22 2006-02-01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CN101029049B (zh) * 2007-03-23 2011-04-13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可回收和重复使用的金鸡纳生物碱衍生物配体在合成紫杉醇和多烯紫杉醇侧链中的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557A1 (en) * 1996-06-05 1997-12-11 Wolfgang Lindner Cinchonan based chiral selectors for separation of stereoisom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cal Communication, 2008, pp.1208-1210*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008, vol.73, no.6, pp.2454-245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80964B2 (en) 2013-11-12
KR20100009221A (ko) 2010-01-27
JP5420658B2 (ja) 2014-02-19
EP2321310A1 (en) 2011-05-18
WO2010008117A1 (en) 2010-01-21
EP2321310A4 (en) 2012-04-04
US20110213151A1 (en) 2011-09-01
JP2011528349A (ja) 2011-11-17
EP2321310B1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335B1 (ko) 신코나 기재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메소-고리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 키랄성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US6580003B2 (en) Catalytic asymmetric desymmetrization of meso compounds
KR101130818B1 (ko) 이작용성 비스 신코나 알칼로이드 티오우레아 유기 키랄 촉매 화합물을 이용한 아즈락톤으로부터의 키랄 아미노산 제조방법
JP4649645B2 (ja) 光学活性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法
CN107602382B (zh) 一种有机催化合成手性芳基烯丙基醚类化合物的方法
JP5622019B2 (ja) アミノアルコール誘導体塩構造を有する不斉有機分子触媒及び該不斉有機分子触媒を用いた光学活性化合物の製造方法
KR20060070485A (ko) 프로키랄 및 메소 사이클릭 무수물의 촉매적 비대칭탈대칭화
KR101178108B1 (ko) 신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및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메소-고리형 산무수물로부터 입체선택적 헤미에스터의 제조 방법
KR101073679B1 (ko) 고분자 지지된 이작용성 유기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입체선택적인 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KR100743617B1 (ko) 고광학순도를 갖는 키랄 3-히드록시 피롤리딘 및 그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8525376A (ja) クロマノール誘導体の新規な製造方法
WO2002012171A1 (en) Method for preparing chiral compound by asymmetric ring opening reactions of epoxides
US9006441B2 (en) Conjugate addition reactions using bifunctional cinchona-alkaloid-based catalysts
JP7220466B2 (ja) 光学活性ベンズアザボロ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12673A (ja) ヘテロアレーンスルホニル化キナアルカロイドアミン触媒およびこれを用いるβ−アミノカルボニ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4572372B2 (ja) 光学活性4級炭素含有化合物の製法
JP5158926B2 (ja) 不斉マンニッヒ型反応用キラルジルコニウム触媒の製造方法
KR101163994B1 (ko) 입체선택성이 우수한 이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즈락톤으로부터의 키랄 아미노산 제조방법
US20030236226A1 (en) Catalytic asymmetric cyanosilylation of ketones, aldehydes, thioketones, thioaldehydes, imines and hydrazones
KR100472572B1 (ko) 라세믹화합물의 비대칭 개환반응에 의한 키랄화합물의제조방법
KR20090108253A (ko) 메소-고리 산무수물의 비대칭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한입체선택적인 헤미에스터의 제조방법
JP2007031344A (ja) 光学活性β−アミノ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法及び触媒
US8822696B2 (en) Ligand for asymmetric synthesis catalyst,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alpha-alkenyl cyclic compound using the same
KR100904149B1 (ko) 이차 알코올의 라세미화 또는 동적속도론적 광학분할에 유용한 루테늄 촉매
KR101396304B1 (ko) 키랄 인돌 숙신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