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9468B1 - 그로밋 - Google Patents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468B1
KR101089468B1 KR1020107027044A KR20107027044A KR101089468B1 KR 101089468 B1 KR101089468 B1 KR 101089468B1 KR 1020107027044 A KR1020107027044 A KR 1020107027044A KR 20107027044 A KR20107027044 A KR 20107027044A KR 101089468 B1 KR101089468 B1 KR 10108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wall
wall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grommet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569A (ko
Inventor
다카시 오쿠하라
츠토무 사카타
사토시 우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4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그로밋을 통과한 와이어 하네스가 급격하게 구부러지더라도, 그로밋의 차체 걸림 홈이 변형되지 않아, 시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 그로밋은,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이 밀착하여 관통하는 내측관과 내측관의 외주면에 이어지며 경사벽부를 갖는 외측관을 구비한다. 외측관의 경사벽부에는 관통 구멍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외경 위치에 굴곡부가 마련되어 있다. 굴곡부는 경사벽부와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경사벽부의 외주면의 굴곡부에 대한 대직경측의 경사 각도는 굴곡부에 대한 소직경측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설정된다.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에 내측관의 축선 방향에 평행한 후육부가 이어진다.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와 후육부 사이의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는 환형으로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되어 있다. 후육부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벽부의 굴곡부에 대응하는 내주면에 이르는 부분은 내측관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부분의 두께는 두껍다. 경사벽부의 외주면에는,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차형 돌출 리브가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는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내주면에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전체 종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홈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그로밋{GROMMET}
본 발명은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배선될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부착되어 이 관통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 부분의 보호, 방수 및 방진을 도모하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자동차의 엔진룸으로부터 객실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그로밋을 장착하고, 이 그로밋을, 자동차의 차체를 엔진룸과 객실로 분할하는 차체 패널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부착하여,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고, 엔진룸측으로부터 객실측으로 물, 먼지 및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있다.
본원의 출원인은, 그로밋을 일측으로부터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외주면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소위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을 제안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1647호(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W/H) 상에 장착되고, 이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를 관통 구멍(3)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엔진룸(X)에서 차체를 엔진룸(X)과 객실(Y)로 구획하는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부착되고, 와이어 하네스(W/H)는 엔진룸(X)으로부터 객실(Y)로 인출되어 있다. 즉, 차체 패널(2)을 사이에 두고 엔진룸(X)측을 와이어 하네스(W/H)의 압입측(P1)으로 규정하고, 차체 패널(2)을 사이에 두고 객실(Y)측을 와이어 하네스(W/H)의 인출측(P2)으로 규정한다.
상기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W/H)가 밀착하여 관통하는 소직경 관부(103)와 소직경 관부(103)의 압입측에 마련된 확대직경 관부(104)를 구비한다. 확대직경 관부(104)의 소직경 단부(104a)는 소직경 관부(103)의 압입측에 이어진다. 확대직경 관부(104)의 대직경 단부(104b)의 외주면에 차체 걸림 홈(101)이 마련되어 있다.
그로밋(100)을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삽입하고 부착할 때에는, 소직경 관부(103)를 관통 구멍(3) 내로 삽입하고, 와이어 하네스(W/H)를 압입측(P1)으로부터 인출측(P2)으로 압박한다. 그 후, 확대직경 관부(104)가 내측으로 휘어지고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가 차체 걸림 홈(101)에 체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그로밋(100)이 차체 패널(2)과 결합한다.
이 때에, 확대직경 관부(104)의 외주 경사면에 주위 방향으로 단차형 돌출 리브(105)를 마련하여, 그로밋(100)과 관통 구멍(3)의 내주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삽입 저항을 경감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걸림 홈(101)의 바닥면측으로부터 경사벽부의 대직경측에 이르는 내주면에는 깊은 홈(106)이 형성되어 경사벽부를 내측으로 휘기 쉽게 한다. 이에 의해,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100)은 그로밋(100)을 엔진룸측으로부터 압박하는 것만으로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확대직경 관부(104)의 외주면에 돌출 리브(10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로밋(100)의 삽입력이 저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장품의 급증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공간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을 관통하는 와이어 하네스는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전장품(D)과 간섭한다. 특히, 객실측에서는 와이어 하네스가 인출되는 계기 패널 내에 탑재되는 전장품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엔진룸에서도 와이어 하네스가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지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밀착된 소직경 관부(103)도 구부러진다. 소직경 관부(103)에 이어지는 확대직경 관부(104)는 구부림 방향으로 인장되고, 확대직경 관부(104)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101)도 인장된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걸림 홈(101)의 경사벽 측면(101a)이 부상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3)의 내주면과 차체 걸림 홈(101) 사이의 시일성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차체 걸림 홈(101)의 내주면에 전술한 깊은 홈(106)이 마련되어 있으면, 차체 걸림 홈(101)의 강성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차체 걸림 홈(101)이 변형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그로밋을 차체에 삽입하는 힘을 저감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면, 그로밋이 차체에 부착된 후의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에 기인하여 차체 걸림 홈이 쉽게 변형된다.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1647호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부착할 때의 삽입력을 저감하고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의 와이어 하네스가 구부러져 배치되는 경우에도 차체 걸림 홈의 변형을 방지하여, 양호한 시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체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이 그로밋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이 밀착하여 관통하는 내측관과, 상기 내측관의 양단의 압입측과 인출측 사이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와,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에 이어지며 경사벽부를 갖는 외측관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관의 경사벽부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외경 위치에 굴곡부가 마련되어 있다. 굴곡부는 경사벽부와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경사벽부의 외주면의 굴곡부에 대한 대직경측의 경사 각도는 굴곡부에 대한 소직경측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설정된다.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에 내측관의 축선 방향에 평행한 후육부가 이어진다.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와 후육부 사이의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는 환형으로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육부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벽부의 굴곡부에 대응하는 내주면에 이르는 부분은 내측관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부분의 두께는 두껍다. 경사벽부의 외주면에는,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차형 돌출 리브가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경사벽부는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내주면에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전체 종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홈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측관의 상기 후육부가 상기 환형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 이어지며,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소직경 단부측의 내주면은 상기 내측관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상기 내측관의 상기 인출측의 단부는 상기 경사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과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압입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한다. 상기 환형 연결부의 경사부로부터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의 내면을 향해 압박 리브가 돌출한다. 상기 압박 리브가 접촉하는 상기 경사벽부 상의 위치를 넘어서 상기 굴곡부측에 굽힘 응력 흡수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그로밋에 있어서는,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의 내주면을 잘라내어 형성한 홈(106)이 그로밋의 삽입력을 저감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그로밋에 있어서는, 홈(106)이 생략되어 있다. 즉, 후육부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벽부의 굴곡부에 대응하는 내주면에 이르는 부분은 내측관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부분의 두께는 두껍다. 이에 따라, 차체 걸림 홈을 확실하게 유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홈(106)을 없앰으로 인하여, 삽입력의 저감을 달성하지 못하지만, 경사벽부에 있어서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내주면에,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전체 종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벽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리브를 마련하여 경사벽부와 관통 구멍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이고 있기 때문에, 특허 문헌 1에서와 같이, 돌출 리브의 상면을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로밋의 삽입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각 돌출 리브의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돌출 리브가 내측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경사벽부의 경사 각도는 경사벽부의 굴곡부보다 대직경측에서 작고 경사벽부의 외주면에서 돌출하는 돌출 리브의 경사 각도도 작기 때문에, 삽입력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로밋의 삽입력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차체 걸림 홈의 두께를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로밋이 차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가 급격하게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차체 걸림 홈이 거의 변형되지 않아 양호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돌출 리브의 개수는 4개 내지 8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6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돌출 리브에 마련된 홈의 깊이는 경사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리브의 상면에 이르는 경사벽부의 두께의 30% 내지 50%로 설정된다.
홈의 깊이를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삽입력의 저감과 차체에 그로밋을 장착한 후의 차체 걸림 홈의 변형 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의 양단의 압입측과 인출측 사이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외측관의 후육부가 환형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 이어진다. 상기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측의 내주면은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상기 내측관의 인출측 단부는 상기 경사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에 상기 내측관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를 마련하여, 이 인출 선단측 관부의 내주면과 내측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분리 간극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와이어 하네스가 밀착하여 관통하는 그로밋의 내측관은,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된 외측관으로부터 큰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분리형의 그로밋에 있어서, 그로밋으로부터 인출되고 객실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가 대략 90도의 각도로 급격하게 구부러지고 와이어 하네스의 이러한 구부러짐에 따라 내측관이 변형되는 경우라도, 내측관의 변형이 외측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측관은 인출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된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서 환형 연결부를 통해 외측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 연결부에서 내측관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어, 내측관의 변형은 외측관의 대직경 단부측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분리형의 그로밋에서,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과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압입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한다. 상기 환형 연결부의 경사부로부터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내면을 향해 압박 리브가 돌출한다. 상기 압박 리브가 접촉하는 경사벽부 상의 위치를 넘어서 굴곡부측에 굽힘 응력 흡수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로밋을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 작업자는 와이어 하네스를 내측관의 압입측에서 잡고 압입한다. 내측관이 환형 연결부를 통하여 외측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관의 인출측의 경사벽부에는 압박력이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환형 연결부로부터 압박 리브가 돌출하고, 이 압박 리브가 인출측에서 경사벽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경사벽부에 압박력을 전달하며, 이로써 그로밋의 삽입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환형 연결부가 작은 두께를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바로 돌출하지 않고 축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하기 때문에, 내측관이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에 의해 변형될 때에, 환형 연결부에서 그 변형을 흡수하여, 내측관의 변형이 외측관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가 압입측의 엔진룸측에서 급격하게 구부러지더라도, 환형 연결부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어, 외측관의 차체 걸림 홈은 변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연결부는 내측관으로부터 압입측으로, 이어서 인출측으로 경사지는 V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V자형 구조로 인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에 의해 내측관이 구부러질 때에 환형 연결부에서의 변형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 리브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경사벽부에 압박력을 균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 리브의 두께는, 상기 환형 연결부의 두께의 2배 내지 4배로 설정하고, 상기 경사벽부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하네스가 급격하게 구부러져 내측관을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외측관의 차체 걸림 홈의 주변 부분의 두께가 두꺼우며 이 부분에 의해 차체 걸림 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 걸림 홈이 거의 변형되지 않아, 양호한 시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관의 돌출 리브의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로밋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a는 인출측에서 취한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압입측에서 취한 본 발명의 그로밋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인출측에서 취한 도 1a의 그로밋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어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도 3과 유사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와이어 하네스가 그로밋의 인출측에서 구부러져 있는 경우의 그로밋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b는 와이어 하네스가 그로밋의 압입측에서 구부러져 있는 경우의 그로밋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참고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종래의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종래의 그로밋의 일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의 그로밋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룸(X)으로부터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을 거쳐 객실(Y)까지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W/H)에, 그로밋(1)이 장착되어 있다. 그로밋(1)은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차체에 부착된다. 그로밋(1)은, 엔진룸(X)으로부터 관통 구멍(3)에 삽입되어 차체에 부착되는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이다. 그로밋(1)의 일단부가 압입측(P1)이 되고, 타단부가 인출측(P2)이 된다. 그로밋(1)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성형된다.
제1 실시예의 그로밋(1)은,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와 내측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분리형의 그로밋이다.
그로밋(1)은, 와이어 하네스(W/H)의 전기 케이블 세트를 통과시키는 소직경의 내측관(5)과, 내측관(5)의 압입측(P1)의 압입 단부(5P1)와 인출측(P2)의 인출 단부(5P2) 사이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서 외주면(5a)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6), 그리고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에 연속하는 대직경의 외측관(8)을 포함한다.
외측관(8)은 내측관(5)과 동축 관계이고, 내측관(5)의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공간을 두고 배치된다. 내측관(5)은 압입측(P1)과 인출측(P2)에서 외측관(8)의 양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다.
외측관(8)은,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과 외측관(8) 사이의 접속부에서 인출측(P2)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후육부(9)에 경사벽부(11)가 연속해 있고, 이 경사벽부(11)는 축선 방향으로 그 직경이 줄어들도록 인출측(P2)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후육부(9)와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 사이의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차체 걸림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11)의 선단에는, 내측관(5)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내주면과 내측관(5)의 외주면(5a) 사이에는 환형 간극(S)(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내측관(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외측관(8)의 소직경 단부가 환형 간극(S)을 두고 내측관(5)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인출 단부(5P2)가 외측관(8)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간극(S)의 반경 방향 거리(d1)가 내측관(5)의 반경(d2)의 1/2 내지 3/2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경 방향 거리(d1)가 반경(d2)의 3/4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간극(S)을 사이에 두고서 내측관(5)의 외주면(5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길이(L1)는 그로밋(1)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L1)가 5 mm 내지 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8)의 후육부(9)는 환형 연결부(6)의 외주 단부(6a)와 후육부(9) 사이의 접속부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하여 약간 돌출한다. 압입측 선단면(9a)은 축선(0)에 대한 수직면을 형성한다. 환형의 차체 걸림 홈(10)은 후육부(9)와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차체 걸림 홈(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기립된 인출측면(10b)의 선단은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11a)에 이어진다. 대직경 단부(11a)와 소직경 단부(11b)의 사이에 굴곡부(11c)가 마련되어 경사벽부(11)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고 있다. 굴곡부(11c)에 대한 소직경 단부측의 경사 각도는 굴곡부(11c)에 대한 대직경 단부측의 경사 각도보다 크게 설정된다.
상기 경사 각도가 변경되는 상기 경사벽부(11)의 외주면에는, 차체 걸림 홈(10)의 인출측면(10b)의 선단의 대직경 단부(11a)로부터 소직경 단부(11b)로 연장되는 축선 방향의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 리브(15)의 주위 방향의 폭이 동일하기 때문에,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리브(15)는, 주위 방향으로 소직경 단부측의 인접 돌출 리브(15) 사이의 간격이 좁고, 대직경 단부측의 인접 돌출 리브(15) 사이의 간격이 넓다.
단차형 돌출 리브(15)를 상기 굴곡부(11c)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게 함으로써 생기는 가상 외경은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의 내경과 동등하게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수는 6개이고, 그 피치는 60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육부(9)로부터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에 이르는, 즉 후육부(9)로부터 대직경측 단부(11e)에 이르는 상기 외측관(8)의 내주면은 축선 방향(O)에 평행한 평면부(11h)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평면부(11h)에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그로밋의 홈(106)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경사벽부(11)의 대직경측 단부(11e)의 두께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그로밋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된다. 굴곡부(11c)로부터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이르는 부분의 두께(t1)는 얇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두께(t2)는 상기 두께 t1보다 크게 설정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벽부(11)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까지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각 돌출 리브(15)의 내주면에는 돌출 리브(1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홈(15h)이 마련되어 있다. 홈(15h)의 깊이는 돌출 리브(15)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면(15a)에 이르는 두께의 30% 내지 50%로 설정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벽부(11)의 외면에는 각 돌출 리브(15)의 근원 부분과 인접 돌출 리브(15)들 사이의 중앙부에 축방향 홈(15k, 15i)이 형성되어, 경사벽부(11)가 쉽게 휘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벽부(11)의 대직경측에 마련된 각 돌출 리브(15)에는, 돌출 리브(15)의 상면(15a)을 인출측면(10b)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하는 경사면(15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 리브(15)의 양 측면(15d, 15e)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5c)을 사이에 두고 있는 선단측은 서로 근접하는 경사면(15f, 15g)을 형성한다. 즉, 각 돌출 리브(15)의 대직경 단부측에는 3면 컷트의 경사면(15c, 15f, 15g)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돌출 리브(15)의 선단면이 3면에서 컷트되어 라운드진 코너를 형성하여 에지를 없애고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가 차체 걸림 홈(10) 내에 들어갈 때에 돌출 리브(15)가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에 의해 걸리지 않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8)과 내측관(5)을 서로 연결하는 환형 연결부(6)는, 내측관(5)의 외주면(5a)에 연속하는 내주 단부(6b)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해 V자형으로 돌출한다. 환형 연결부(6)의 외주 단부(6a)는 내주 단부(6b)보다 압입측(P1)에 배치되고, 외측관(8)의 후육부(9)에 연속한다.
즉,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종래의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100)에서는 확대직경 관부의 소직경측이 소직경 관부에 이어져 있지만, 본 발명의 그로밋(1)에서는 (확대직경 관부에 대응하는) 외측관(8)의 대직경측이 환형 연결부(6)를 통해 내측관(5)에 연결되어 있다.
환형 연결부(6)는 휠 수 있도록, 그 두께(t3)(도 3 참조)가 실질적으로 내측관(5)의 두께(t4)(도 3 참조) 이하로 설정된다. 내측관(5)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환형 연결부(6)의 각도(θ)는 20도 내지 30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내측관(5)과 외측관(8)은 반경 방향으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V자형의 환형 연결부(6)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W/H)가 구부러짐에 따라 내측관(5)이 변형될 때, 환형 연결부(6)는 내측관(5)의 변형을 흡수하며, 그 결과 내측관(5)의 변형이 외측관(8)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써, 릴리프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연결부(6)는 내주 단부(6b)와 V자형 돌출 단부(6c) 사이의 경사부에, 경사벽부(11)를 향해 구부러져 있는 굴곡부(6d)가 마련되어 있다. 두꺼운 압박 리브(18)가 굴곡부(6d)로부터 경사벽부(11)를 향해 돌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리브(18)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해 있지만, 오프너 케이블 및 급수 호스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용 내측관(28, 2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분할되어 있다.
압박 리브(18)의 두께(t5)(도 3 참조)는 환형 연결부(6)의 두께(t3)의 2배 내지 4배가 되도록 충분히 크고, 경사벽부(11)의 두께(t1)보다 크며, 실질적으로 후육부(9)의 두께와 동일하다.
압박 리브(18)가 두꺼운 이유는, 그로밋(1)을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삽입할 때,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경사벽부(1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압박력이 외측관(8)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점에 기인한다. 그로밋(1)이 차체 패널(2)에 부착되어 있을 때,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는 경사벽부(1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 압박 리브의 돌출 단부와 경사벽부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 리브(18), 내측관(5), 환형 연결부(6) 및 외측관(8)의 사이에 차음 공간(B)(도 3 참조)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리브(18)는 외경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돌출한다. 돌출 단부(18a)는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연속하는 경사벽부(11)의 소직경 단부에 대향한다. 압박 리브(18)가 접촉하는 경사벽부(11)측에는, 경사벽부(11)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스토퍼용 돌기(12a)가,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스토퍼용 돌기(12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인출 선단측 관부(12)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박 리브(18)를 경사벽부(11)에 확실히 접촉시켜 압박력을 경사벽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경사벽부(11)에는,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접촉하는 부분의 외경측으로부터 굴곡부(11c)에 이르기까지의 내면에 환형의 얕은 홈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벽부(11)에는 얇은 두께(t6)의 박육부(19)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로부터 소직경측에 박육부(19)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으로 인하여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변형될 때, 박육부(19)가 응력 흡수부의 역할을 한다. 즉, 굽힘 응력이 박육부(19)에 집중되어, 인출 선단측 관부(12)는 그 변형을 차체 걸림 홈(10)에 전달하기가 어렵게 된다. 박육부(19)의 두께(t6)는 환형 연결부(6)의 두께(t3)보다 작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8)의 경사벽부(11)에는, 보닛 개방용의 오프너 케이블과 세탁기용의 급수 호스를 포함한 (전술한) 두 선재를 위한 관통 구멍(24, 25)이 마련되어 있다.
와이어 하네스(W/H)가 밀착하여 관통하는 소직경의 내측관(5)은, 외측관(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내측관(5)은, 외측관(8)를 넘어 돌출한 각 단부의 내주면에 3개의 방수 립(lip)(33)(도 3)이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을 수용하는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은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3a)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해 돌출하는 버어(3b; burr)를 갖는 개구이므로, 외측관(8)의 차체 걸림 홈(10)은 버어(3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와이어 하네스(W/H)를 그로밋(1)에 부착하는 공정은, 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내측관(5)의 내주면을 확장하면서, 와이어 하네스(W/H)의 전선을 삽입함으로써 실시된다. 와이어 하네스(W/H)를 내측관(5)에 삽입한 후, 내측관(5)의 양단부(5P1, 5P2)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와이어 하네스(W/H)와 상기 양단부(5P1, 5P2)는, 그 둘레에 접착 테이프(40)를 권취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와이어 하네스(W/H)의 직경의 증감이 환형 연결부(6)에서 흡수되므로, 환형 연결부(6)를 통해 내측관(5)에 연결된 외측관(8)은, 상기 직경의 증감에 기인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외측관의 외경을 설계 치수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환형 연결부(6)는 변형될 수 있을 정도로 얇고 V자형으로 형성되므로, 환형 연결부(6)는 굴곡 각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직경의 증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장착된 그로밋(1)은, 차체를 엔진룸(X)과 객실(Y)로 구획하는 차체 패널(2)의 버어(3b)를 갖는 관통 구멍(3)에 삽입되어 부착된다.
그로밋(1)을 관통 구멍(3)에 삽입하는 삽입 작업은, 내측관(5)의 인출 단부(5P2)를 엔진룸(X)으로부터 관통 구멍(3)에 삽입한 후, 엔진룸(X)에서 작업자가 와이어 하네스(W/H)와 그로밋(1)을 붙잡고서, 그로밋(1)을 관통 구멍(3)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압입 동작이 일측에서 한번에 행해지는 한 동작 작업을 통해, 그로밋(1)이 관통 구멍(3)에 걸린다.
구체적으로, 외측관(8)의 경사벽부(11)에 있어서 소직경측의 부분(11d)은 관통 구멍(3)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그로밋(1)은 관통 구멍(3)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가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에 도달하면, 경사벽부(11)의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내주면(3a)과 접촉하여, 삽입 저항이 발생한다. 그 후로는, 내주면(3a)으로 인해 외측관(8)이 관통 구멍(3)에 쉽게 더 압입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내측관(5)의 압입측(P1)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하네스(W/H)를 잡고서 밀면, 와이어 하네스(W/H)와 밀착해 있는 내측관(5)이 인출측(P2)을 향해 인출 방향으로 전진한다. 또한, 이러한 내측관(5)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측관(5)에 연결된 환형 연결부(6)의 압박 리브(18)도 외측관(8)의 경사벽부(11)의 내면을 향해 전진하고,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경사벽부(11)의 내주면에 부딪친다. 따라서, 경사벽부(11)가 압박 리브(18)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므로, 경사벽부(11)를 구비한 외측관(8)은 관통 구멍(3)을 통과하여 객실(Y)에 이른다.
상기 압박 리브(18)가 경사벽부(11)를 가압하는 때에, 경사벽부(11)의 외주면에 돌출 리브(15)가 마련되어 있고 이 돌출 리브의 상면이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 및 버어(3b)의 내주면에 접촉하기만 하기 때문에, 경사벽부(11)와 관통 구멍(3)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삽입력이 저감된다. 또한, 돌출 리브(15)의 내주면에 홈(15h)을 형성하여 돌출 리브의 강성을 저하시켜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고, 굴곡부(11c)에서의 삽입력이 과도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선 방향에 평행한 평면부(11h)는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로부터 차체 걸림 홈(10)에 이르는 부분의 내주면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압박 리브(18)가 경사벽부(11)를 압박하고,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선단이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에 도달한다.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는 선단부에 3면 컷트 형태의 경사면(15c, 15f, 15g)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관통 구멍(3)에 들어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과 버어(3b)가 차체 걸림 홈(10)에 들어가고, 그로밋(1)이 차체 패널(2)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로밋(1)이 차체 패널(2)에 고정된 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실(Y) 안으로 인출된 와이어 하네스(W/H)는 90도 하향(또는 상향, 우향, 좌향)으로 급격히 구부러지는 경우가 많다.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와이어 하네스(W/H)는 내측관(5)을 밀착하여 관통할 수 있고, 접착 테이프(40)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W/H)에 고정된 내측관(5)은 와이어 하네스(W/H)의 굴곡 각도에 순응하며, 내측관(5)은 인출 단부(5P2)에서 하향 굴곡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그로밋(1)에서는 인출 단부(5P2)가 하향으로 구부러져 있더라도, 외측관(8)은 인출 단부(5P2)에서 내측관(5)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외측관(8)의 인출 선단측 관부(12)와 내측관(5)의 사이에는 큰 간극(S)이 존재한다. 따라서, 내측관(5)과 외측관(8) 사이의 간극(S)에서 내측관(5)만이 구부러지므로, 외측관(8)은 인출측(P2)에서 구부러지지 않는다.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 등의 각도로 급격하게 구부러지고,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내측관(5)이 크게 구부러진 경우에, 이러한 구부러짐은 내측관(5)에 연결된 환형 연결부(6)를 통해 외측관(8)에 전달될 것이다. 이 경우에도, V자형의 얇은 환형 연결부(6)가 내측관(5)의 변형을 흡수한다.
또한, 차체 걸림 홈(10)의 내주면에 이어지는 경사벽부의 내주면에 어떠한 홈도 형성하지 않고 경사벽부(10)의 내주면에 축선 방향에 평행한 평면부(11h)를 형성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차체 걸림 홈(10)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시일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하네스(W/H)가 압입측(P1)의 엔진룸(X)에서 구부러지면, 환형 연결부(6)가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을 흡수하여, 차체 걸림 홈(10)을 관통 구멍(3)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부러짐의 영향에 의해 차체 걸림 홈(10)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1-1)의 참고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로밋(1-1)은 도 8a에 도시된 종래의 그로밋(100)에서와 같이, 인출측(P2)에서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가 내측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형의 그로밋이다.
그로밋(1-1)은 제1 실시예의 내측관(5)에 대응하는 소직경 관부(50)와, 제1 실시예의 외측관(8)에 대응하는 확대직경 관부(51)를 구비한다. 확대직경 관부(51)는, 소직경 단부가 환형 연결부(53)를 통하여 소직경 관부(50)에 연결되어 있는 경사벽부(52)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벽부(52)에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굴곡부(52c)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경사벽부(52)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대직경 단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벽부(52)의 대직경 단부에 후육부(56)가 마련되어 있고, 후육부(56)와 경사벽부(52) 사이의 경계 영역에 차체 걸림 홈(10)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차체 걸림 홈(10)의 바닥면측에 대향하는 확대직경 관부(51)의 내주면으로부터 얇은 폐쇄면부(55)가 돌출하고 있다. 이 폐쇄면부(55)의 중앙부는 직경 방향으로 분할되어, 와이어 하네스 통과부를 형성한다. 폐쇄면부(55)는 압입측(P1)을 향해 돌출하는 얇은 V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소직경 관부(57)가 폐쇄면부(55)로부터 돌출하여 테이프 권취식으로 와이어 하네스와 밀착한다. 급수 호스용 가이드관(58)과 오프너 케이블(도시 생략)용 가이드관이 폐쇄면부(55)로부터 돌출한다.
차체 걸림 홈(10)을 확대직경 관부(51)에 지지하기 위하여, 차체 걸림 홈(10)에 대응하는 내주면으로부터 굴곡부(52c)의 내주면을 향해 축선 방향(O)에 평행하게 평면부(52h)가 돌출하고 어떠한 홈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경사벽부(52)는, 경사벽부(52)의 외면에 마련된 각 돌출 리브(15)에 대응하는 내주면에 홈(15h)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그로밋(1-1)에서 와이어 하네스가 구부러지고 소직경 관부(50)로 구부러지면, 소직경 관부(50)의 환형 연결부(53)를 통하여 연결된 경사벽부(52)에 굽힘이 전달된다. 그러나 차체 걸림 홈(10) 주변의 부분이 두께가 두꺼워 경사벽부(52)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차체 걸림 홈(10)은 경사벽부(52)의 굽힘을 따르지 않고, 이로써 차체 걸림 홈(10)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입측의 엔진룸(X)에서 와이어 하네스가 구부러지면, 소직경 관부(57)가 구부러진다. 그러나 V자형의 폐쇄면부(55)가 소직경 관부(57)의 굽힘을 흡수할 수 있고 차체 걸림 홈(10) 주변의 부분 두껍고 경사벽부(52)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 걸힘 홈(10)은 경사벽부의 굽힘을 따르지 않아서, 차체 걸림 홈(10)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그로밋
2 : 차체 패널
3 : 관통 구멍
5 : 내측관
6 : 환형 연결부
8 : 외측관
9 : 후육부
10 : 차체 걸림 홈
11 : 경사벽부
11h : 평면부
15 : 돌출 리브
15h : 홈
18 : 압박 리브

Claims (5)

  1. 차체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에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로밋으로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이 밀착하여 관통하는 내측관과, 상기 내측관의 양단의 압입측과 인출측 사이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와,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에 이어지며 경사벽부를 갖는 외측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외경 위치에 굴곡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경사벽부와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경사벽부의 외주면의 상기 굴곡부에 대한 대직경측의 경사 각도는 상기 굴곡부에 대한 소직경측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경사벽부의 대직경 단부에 상기 내측관의 축선 방향에 평행한 후육부가 이어지며,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대직경 단부와 상기 후육부 사이의 경계 영역의 외주면에는 차체 걸림 홈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후육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굴곡부에 대응하는 내주면에 이르는 부분은 상기 내측관의 상기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 부분의 두께는 두꺼우며, 상기 경사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로부터 상기 대직경 단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차형 돌출 리브가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경사벽부는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내주면에 각 단차형 돌출 리브의 전체 종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의 상기 후육부가 상기 환형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 이어지며,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소직경 단부측의 내주면은 상기 내측관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측관의 상기 인출측 단부는 상기 경사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과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압입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하고, 상기 환형 연결부의 경사부로부터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의 내면을 향해 압박 리브가 돌출하며, 상기 압박 리브가 접촉하는 상기 경사벽부 상의 위치를 넘어서 상기 굴곡부측에 굽힘 응력 흡수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각 돌출 리브에 마련된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경사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돌출 리브의 상면에 이르는 상기 경사벽부의 두께의 30% 내지 50%로 설정되는 것인 그로밋.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7027044A 2008-06-03 2008-12-18 그로밋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6297 2008-06-03
JP2008146297A JP5098828B2 (ja) 2008-06-03 2008-06-03 グロメット
PCT/JP2008/073058 WO2009147763A1 (ja) 2008-06-03 2008-12-18 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569A KR20110003569A (ko) 2011-01-12
KR101089468B1 true KR101089468B1 (ko) 2011-12-07

Family

ID=4139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0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468B1 (ko) 2008-06-03 2008-12-18 그로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79417A1 (ko)
EP (1) EP2276133A4 (ko)
JP (1) JP5098828B2 (ko)
KR (1) KR101089468B1 (ko)
CN (1) CN102084565A (ko)
AU (1) AU2008357339B2 (ko)
WO (1) WO2009147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5569B2 (ja) * 2010-04-01 2013-12-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JP5747778B2 (ja) * 2011-10-18 2015-07-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2017220976A (ja) * 2016-06-03 2017-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グロメット
US9944239B1 (en) * 2017-05-19 2018-04-17 Newfrey Llc Fluid and dust resistant split grommet
JP6843098B2 (ja) * 2018-09-10 2021-03-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N112821302A (zh) * 2019-08-23 2021-05-18 陈魏彬 一种电力排管防护管塞及其操作方法
JP7077347B2 (ja) * 2020-02-17 2022-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DE102020004934A1 (de) * 2020-08-13 2022-02-17 Auto-Kabel Management Gmbh D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Kabel
DE102021118919A1 (de) * 2020-09-23 2022-03-24 Illinois Tool Works Inc. Tüllenvorrichtung
JP7562607B2 (ja) * 2022-08-04 2024-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521A (ja) 2000-05-23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2171644A (ja) 2000-09-22 2002-06-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649A (ja) * 1995-11-22 1997-06-06 Yazaki Corp グロメット
JP3319454B2 (ja) * 1999-12-14 2002-09-03 住友電装株式会社 ドア用グロメット
JP3743553B2 (ja) 2000-09-22 2006-0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DE60124596T2 (de) * 2000-09-22 2007-03-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Tülle
US6495767B2 (en) * 2000-09-22 2002-12-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JP4056727B2 (ja) * 2001-10-29 2008-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7020931B1 (en) * 2003-12-23 2006-04-04 Yazaki North America, Inc. Grommet and retainer
JP4482327B2 (ja) * 2003-12-26 2010-06-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4406374B2 (ja) * 2005-01-07 2010-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組立体の組付構造
JP4851830B2 (ja) * 2006-04-04 2012-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7659480B2 (en) * 2007-07-11 2010-02-09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grommet
US8108968B2 (en) * 2009-02-17 2012-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romme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521A (ja) 2000-05-23 2001-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2171644A (ja) 2000-09-22 2002-06-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4565A (zh) 2011-06-01
AU2008357339A1 (en) 2009-12-10
JP2009296738A (ja) 2009-12-17
KR20110003569A (ko) 2011-01-12
AU2008357339B2 (en) 2012-09-27
WO2009147763A1 (ja) 2009-12-10
JP5098828B2 (ja) 2012-12-12
EP2276133A4 (en) 2012-03-28
US20110079417A1 (en) 2011-04-07
EP2276133A1 (en)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392B1 (ko) 그로밋
KR101089468B1 (ko) 그로밋
KR101092798B1 (ko) 그로밋
KR101118771B1 (ko) 그로밋
KR101078482B1 (ko) 그로밋
JP5269519B2 (ja) 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KR101175467B1 (ko) 그로밋
KR101354219B1 (ko) 그로밋
KR20180112849A (ko) 그로밋
JP5136222B2 (ja) グロメット
JP5931465B2 (ja) グロメットの取付構造
JP5136223B2 (ja) グロメット
JP7077347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210554188U (zh) 换挡拉线固定结构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