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9211B1 -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211B1
KR101089211B1 KR1020100122001A KR20100122001A KR101089211B1 KR 101089211 B1 KR101089211 B1 KR 101089211B1 KR 1020100122001 A KR1020100122001 A KR 1020100122001A KR 20100122001 A KR20100122001 A KR 20100122001A KR 101089211 B1 KR101089211 B1 KR 10108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hotoresist
stripper composition
photoresist stripper
heptan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성
전문교
배종일
이종순
양혜성
Original Assignee
엘티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씨 (주) filed Critical 엘티씨 (주)
Priority to KR102010012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211B1/ko
Priority to TW100128171A priority patent/TWI465564B/zh
Priority to JP2011187941A priority patent/JP2012118502A/ja
Priority to CN201610079171.7A priority patent/CN105676602A/zh
Priority to CN201110271127.3A priority patent/CN10248662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211B1/ko
Priority to JP2013235744A priority patent/JP6006711B2/ja
Priority to JP2016176121A priority patent/JP2017040928A/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03F7/425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containing mineral alkaline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basic compounds, e.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bas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2Liquid compositions therefor, e.g. develop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03F7/426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containing organic halogen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sulfonic 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8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01L21/02071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the processing being a delineation, e.g. RIE, of conductiv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TFT-LCD 모든 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통합 포토레지스트 박리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a) 1차 알칸올 아민 1~20중량%; (b) 알코올 10~60중량%; (c) 물 0.1~50중량%; (d) 극성유기용제 5~50중량%; 및 (e) 부식방지제 0.01~3중량%를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박리액 조성물은, 공정진행한 변성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제거 능력이 뛰어나고 알루미늄 및 구리 배선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유기막 및 COA 공정에 도입할 수 있으며 끓는점 150℃ 이상의 알코올류 및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부식방지 능력이 향상되고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COMPOSITION OF STRIPPING SOLUTION FOR LIQUID CRYSTAL DISPLAY PROCESS PHOTORESIST COMPRISING PRIMARY ALKANOLAMINE}
본 발명은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TFT-LCD 모든 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통합 포토레지스트 박리제에 관한 것이다.
평면디스플레이(FPD)의 제조 공정에 있어, 기판 위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은 크게 노광 공정, 건식 또는 습식 식각 공정 및 애싱(ashing) 등의 일련의 공정으로 구성되는데,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를 도포하고 노광한 후, 이에 대하여 건식 또는 습식 식각을 수행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금속배선 위에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는 포토레지스트 박리제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LCD 공정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제들의 조성은 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기계로 1, 2차 알칸올 아민류, 극성용매 또는 글리콜류의 혼합물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식각공정 후에 잔존하고 있는 포토레지스트를 상술한 포토레지스트 박리제을 이용하여 박리시킨 후 물로 세정하는데, 이 경우 금속배선이 부식되고, 포토레지스트의 재흡착이 발생하여 불순물이 생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알칸올 아민류가 물과 섞이면 수산화이온을 발생시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인데, 이에 따라 금속배선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부식방지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부식방지제는 그 원가가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LC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이에 따른 공정원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TFT LCD Al 배선막의 경우 변성 포토레지스트를 박리해야 하는데, 이때 약염기성 아민의 경우 포토레지스트 제거능력이 저하되어 포토레지스트 박리가 완벽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특허 제 10-0950779호에는 약염기성 알칸올 아민이 3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박리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변성 포토레지스트의 박리가 완벽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물에 의해 활성화된 강염기성 알칸올 아민을 사용할 경우 Al 및 Cu 배선막의 손상이 불가피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유기계 LCD용 박리액의 경우 부식방지제를 미량 첨가한다. 그러나 물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박리액의 경우 TFT-LCD 포토레지스트 박리공정을 진행할 경우, 사용 시간에 따라 물이 휘발하므로 박리액 물의 함량이 변하며 부식방지제의 부식방지 및 포토레지스트 박리 능력이 급격하게 변한다. 따라서 그동안, 유기계 박리액 조성에서 강염기성 알칸올 아민과 부식방지제를 첨가한 LCD용 박리액 조성물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있었으나, 강염기성 알칸올 아민을 사용한 수계형 LCD용 박리액 조성물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머캅토기가 포함된 아졸계 화합물을 부식방지제로 사용한 비교적 안정적인 부식방지 및 포토레지스트 박리제를 개발하여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TFT-LCD용 박리액 조성물 첨가제인 머캅토기가 포함된 아졸계 화합물을 부식방지제로 사용하여 물의 함량 변화 시에도 Cu와 Al의 부식방지 및 포토레지스트 박리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수계형 포토레지스트 박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구체예에서 (a) 1차 알칸올 아민 1~20중량%; (b) 알코올 10~60중량%; (c) 물 0.1~50중량%; (d) 극성유기용제 5~50중량%; 및 (e) 부식방지제 0.01~3중량%를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1차 알칸올 아민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 amine),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 amin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2-메틸아미노에탄올(2-Methylaminoethanol) 및 3-아미노프로판올아민(3-Aminopropanol 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헥사놀(1-Hexanol), 옥탄올(Octanol), 1-헵탄올(1-Heptanol), 1-데칸올(1-Decanol), 2-헵탄올(2-Heptanol) 및 테트라하이드로 퍼퓨릴알콜(Tetrahydrofurfurylalcoh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부식방지제는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가 N, O 및 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로 치환된 C5-C10 헤테로 고리이고, 상기 헤테로 고리의 탄소 원자에 머캅토기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헤테로 고리는 이미다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부식방지제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2,5-디머캅토-1,3,4-티아디졸(2,5-Dimercapto-1,3,4-thiadizole) 및 2-머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극성유기용제는 R-O(CH2CH2O)H의 화학식(여기서 상기 R은 선형 탄화수소, 분지 탄화수소 또는 원형 탄화수소 중 어느 하나이다)을 갖는 글리콜을 함유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극성유기용제는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ollidone, NMP), 설폴란(Sulfolane),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 DMSO),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및 모노메틸포름아마이드(Monomethylformamid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a) 1차 알칸올 아민 1~20중량%; (b) 알코올 10~60중량%; 및 (c) 극성유기용제 5~70중량%를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1차 알칸올 아민은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헥사놀(1-Hexanol), 옥탄올(Octanol), 1-헵탄올(1-Heptanol), 1-데칸올(1-Decanol), 2-헵탄올(2-Heptanol) 및 테트라하이드로 퍼퓨릴알콜(Tetrahydrofurfurylalcoh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구성 요소는 머캅토기가 포함된 아졸계 화합물을 부식방지제로 0.01~3중량% 사용한다. 부식방지제의 무게비가 너무 낮을 경우 금속배선막에 대한 부식방지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특히 부식방지제의 함량이 낮을 경우 물의 양이 줄어들수록 부식방지 효과의 감소가 심하다. 부식방지제 무게비가 너무 높을 경우 포토레지스트 박리능력이 약해진다. 본 발명 조성물에서 부식방지제를 3중량% 사용할 경우 부식방지 및 박리능력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식방지제는 고가이기 때문에 필요이상 적정량을 과량 투입할 필요는 없다.
또한 LCD 패턴 성분요소인 Mo, Al 및 Cu 등의 부식방지 능력을 더욱 향상 시키기 위해 기타 부식방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그리고 pH 11(10% 수용액 기준) 이상인 1, 2차 알칸올 아민(예: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amine, MIPA), 2-메틸아미노에탄올(2-Methylaminoethanol, 2-MAE), 디에틸에탄올아민(Diethylethanolamine, DEEOA) 및 MDEA, MDMA, DEEOA 혼합액)의 함량은 1~20중량%일 수 있다. 물의 함량은 0.1~50중량%, 알코올(예;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끓는점 197.7℃)의 함량은 10~60중량%일 수 있다. 극성유기용제로는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ollidone, NMP),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 DMSO),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및 N-메틸포름아마이드(N-Methylformamide, NMF)등을 5~50중량%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 후 세척력 향상을 위해 글리콜류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glycolmonoethylether, ED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Diethyleneglycolmonobutylether, BDG), 트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Triethyleneglycolether, TEG) 등을 20%~60%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게비는 5~50중량%가 적당하며 너무 적을 경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잘 용해할 수 없고, 반대로 너무 많을 경우에는 가격적으로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박리액에 대한 pH 11 이상이고 끓는점이 150℃ 이상인 1차 알칸올 아민의 무게비는 1~20중량%가 적당하며 1중량% 미만인 경우 변성 포토레지스트 박리력에 문제가 발생하며 공정진행에 따른 손실에 의해 박리력에 문제가 발생한다. 20중량% 초과의 경우 부식방지제가 상대적으로 추가 투입되어야 하며, 금속배선막 부식의 우려가 있고,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물의 함량은 0.1~50중량%, 알코올(끓는점 150℃ 이상, (예;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끓는점 197.7℃),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알콜(Tetrahydrofurfurylalcohol, THFA 끓는점 178℃) 등)의 함량은 10 ~ 60중량%가 적당하며, 비율이 너무 적을 경우 Cu 배선막의 부식방지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물의 비율이 너무 높을 경우 Al 금속배선 부식이 생성될 우려가 있고, 포토레지스트 박리효과가 저하된다. 알코올을 첨가하지 않을 경우 부식방지 및 박리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박리공정 진행 시 공정온도(40℃ 이상), 장비 내 배기압에 의해 물이 휘발되어 박리액의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LCD 포토레지스트 박리공정 진행 시 박리액의 사용 시간에 따라 적당량의 알코올을 혼합해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는 수계형이다. 물을 포함하는 수계형 박리액은 유기계 박리액에 비해 아민의 염기도가 더욱 활성화 된다. 따라서,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공정에 있어서, 건식 식각, 임플란트 및 하드 베이크 공정진행한 후에 남아있는 변성포토레지스트에 대한 제거능력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유기계 LCD용 박리액에 비해 낮은 공정온도를 적용하여도 월등히 탁월하다. 낮은 공정온도의 적용은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당 발명 박리액 조성물에 대해 최적의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및 구리배선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유기막 및 COA 공정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글리콜류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혼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박리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글리콜류는 용해된 포토레지스트를 박리제에 잘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하여 신속히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에서 언급한 글리콜의 경우 구조가 R-O(CH2CH2O)H 인 것으로 여기서 'R'은 선형 탄화수소, 분지 탄화수소 및 원형 탄화수소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Diethyleneglycolmonomethylether, MDG),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glycolmonoethylether, ED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뷰틸에테르(Diethyleneglycolmonobutylether, BDG) 및 트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Triethyleneglycolether, TEG)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글리콜류의 조성비는 전체 조성비에서 무게비로 10~70중량%가 적당하며 위에서 언급한 R-O(CH2CH2O)H에 해당하는 것 중에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1 차의 강염기성 알칸올 아민이라도 입체장애가 있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이하 AMP로 칭함)은 물 없이 알코올류만 첨가한 유기계 조성에서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 변성된 포토레지스트를 완벽히 박리하면서, Al 및 Cu의 배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AMP의 경우 1차 아민이기 때문에 물과는 다음의 반응(1)에 의해 OH-을 생성하여 금속 배선막을 부식시킨다. 물이 없는 경우 아민과 금속의 부식반응은 식(2)와 같다. 이때 AMP의 경우 1차 아민이지만 식(2)의 R그룹이 매우 커 입체장애가 발생하여 부식반응을 억제한다. 한편 AMP는 1차의 강염기성 아민이기 때문에 변성된 포토레지스트를 박리하는데 유리하다.
(1) 수용액 상태에서의 아민과 구리 부식반응
RNH2 + H2O → RNH3 + + OH-
Cu2+ + 2OH- → Cu(OH)2(s)
Cu(OH)2(s) + 4RNH3 + → [Cu(RNH2)4]
(2) 유기용액 상태에서의 아민과 구리 부식반응
Cu2+ + 4RNH2 → Cu(RNH2)4 2
따라서 본 발명은 TFT-LCD 포토레지스트 박리공정 시 구리 및 알루미늄 배선에 대해, 물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식방지 및 박리능력이 탁월하고 공정진행한 변성포토레지스트 제거능력도 우수하여, 기존발명의 장점은 유지하며 단점은 극복한 포토레지스트 박리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박리제는 반도체 또는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공정에 있어서, 공정진행한 변성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제거능력이 뛰어나고 알루미늄 및 구리 배선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유기막 및 COA 공정에 도입할 수 있으며, 끓는점 150℃ 이상의 알코올류 및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부식방지 능력이 향상되고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은 Al 금속막 배선 유리 기판을 오븐에서 170℃의 온도로 10분간 열처리하여 제작한 현미경 대표사진이다.
도 2는 박리액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열처리 제작(170℃/10분) 기판을 30초간 침지시켜 변성된 포토레지스트의 제거 정도를 평가 시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고, 기판에 남아있는 현미경 대표사진이다. (X에 해당 됨)
도 3은 박리액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열처리 제작(170℃/10분) 기판을 30초간 침지시켜 변성된 포토레지스트의 제거 정도를 평가 시 포토레지스트 일부가 제거되지 않고, 기판에 남아있는 현미경 대표사진이다. (△에 해당 됨)
도 4는 박리액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열처리 제작(170℃/10분) 기판을 30초간 침지시켜 변성된 포토레지스트의 제거 정도를 평가 시 포토레지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현미경 대표사진이다. (◎에 해당 됨)
도 5는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은 Cu 금속막 배선 유리 기판을 SEM으로 촬영한 대표사진이다.
도 6은 박리액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은 Cu 유리 기판을 10분간 침지시켜 Cu 표면의 부식 정도 평가 시 (◎)에 해당되는 SEM 대표사진이다.
도 7은 박리액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은 Cu 유리 기판을 10분간 침지시켜 Cu 표면의 부식 정도 평가 시 (?)에 해당되는 SEM 대표사진이다.
도 8은 박리액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은 Cu 유리 기판을 10분간 침지시켜 Cu 표면의 부식 정도 평가 시 (△)에 해당되는 SEM 대표사진이다.
도 9는 박리액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은 Cu 유리 기판을 10분간 침지시켜 Cu 표면의 부식 정도 평가 시 (X)에 해당되는 SEM 대표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변성 포토레지스트 박리 능력과 부식방지 능력 시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박리액 조성물은 부식방지제로서 2-머캅토벤즈이미다졸 1중량%를 함유하고, 구체적인 아민, 물 등의 나머지 구성성분 및 그 조성(중량 %)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지 않은 Al 금속막 배선 유리 기판을 오븐에서 160℃의 온도로 10분간 열처리하여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박리액 조성물을 50℃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작된 기판을 박리액 조성물에 30초간 침지시켜 변성된 포토레지스트의 제거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박리액 조성물을 50℃로 유지하면서, Cu 금속막 배선 유리 기판을 박리액 조성물에 10분간 침지시켜 Cu 배선막의 부식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아세톤에 10분간 침지시킨 Cu 금속막 배선 유리 기판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표 1).
상기 실험 결과 값은 다음과 같은 기호로 표 1에 표기하였다.
[Al 배선 변성 포토레지스트(PR) 박리능력]
◎: 변성된 포토레지스트가 완전 제거됨
△: 변성된 포토레지스트의 흔적량 남아 있음
X : 변성된 포토레지스트가 1/3이상 남아 있음
[Cu 배선 부식 정도]
◎: 대조군 기판과 부식 정도 동일
○: 대조군 기판 대비 막 두께 동일, 표면에 미약한 부식 발생
△: 대조군 기판 대비 막 두께 감소 및 표면에 부식 발생
X : Cu 배선막 부식되어 1/2 이상 막 두께 감소됨
구분 아민 종류 아민 EG THFA NMP(5%) +EDG(48%) Al배선 변성 PR 박리능력 Cu 배선
부식
1 MEA 7 20 20 - 53
2 MEA 7 20 - 20 53
3 MIPA 7 20 20 - 53
4 MIPA 7 20 - 20 53
5 DIPA 7 20 20 - 53
6 DIPA 7 20 - 20 53
7 TIPA 7 20 20 - 53 X
8 TIPA 7 20 - 20 53 X
9 2-MAE 7 20 - 20 53
10 2-MAE 7 20 20 - 53
11 MDEOA 7 20 20 - 53 X
12 MDEOA 7 20 - 20 53 X
13 DEEOA 7 20 20 - 53 X
14 DEEOA 7 20 - 20 53 X
15 AEEOA 7 20 20 - 53
16 AEEOA 7 20 - 20 53
17 3-APN 7 20 20 - 53
18 3-APN 7 20 - 20 53
MEA :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 amine)
MIPA :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 amine)
DIPA : 디아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 amine)
TIPA : 트리아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 amine)
AMP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2-MAE: 2-(메틸아미노) 에탄올(2-(Methylamino) ethanol)
MDEOA :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 amine)
DEEOA: 디에틸에탄올아민(Diethylethanol amine)
AEEOA : 아미노에틸에탄올 아민(Aminoethylethanol amine)
3-APN : 3-아미노프로판올아민(3-Aminopropanol amine)
MDEA: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
MDMA : 메틸디메탄올아민(Methyldimethanolamine)
EG :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EDG :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glycolmonoethylether)
NMP :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ollidone)
THFA : 테트라하이드로 퍼퓨릴알콜(Tetrahydrofurfurylalcohol)
MBI : 2-머캅토벤즈이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표 1에서와 같이 부식방지제로서 2-머캅토벤즈이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을 포함한 본 발명 조성물 조건에서 변성 PR 박리능력과 Cu 배선부식방지능력을 동시에 만족하는 조성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부식방지제(MBI, 2-머캅토벤즈이미다졸)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으며, 표 2에 기재된 약어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다.
구분 아민 종류 아민 EG THFA NMP(5%) +EDG(48%) Al배선변성 PR 박리능력 Cu 배선부식
1 MEA 7 20 20 - 53 X
2 MEA 7 20 - 20 53 X
3 MIPA 7 20 20 - 53 X
4 MIPA 7 20 - 20 53 X
5 DIPA 7 20 20 - 53
6 DIPA 7 20 - 20 53
7 TIPA 7 20 20 - 53 X
8 TIPA 7 20 - 20 53 X
9 AMP 7 20 - 20 53 X
10 AMP 7 20 20 - 53 X
11 2-MAE 7 20 - 20 53 X
12 2-MAE 7 20 20 - 53 X
13 MDEA 7 20 20 - 53 X
14 MDEA 7 20 - 20 53 X
15 MDMA 7 20 20 - 53 X
16 MDMA 7 20 - 20 53 X
17 DEEOA 7 20 20 - 53 X
18 DEEOA 7 20 - 20 53 X
19 AEEOA 7 20 20 - 53 X
20 AEEOA 7 20 - 20 53
21 3-APN 7 20 20 - 53 X
22 3-APN 7 20 - 20 53 X
표 2에서와 같이 수계형 포토레지스트에서 1차 알칸올 아민 및 물을 사용하면서 Cu 부식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변성 포토레지스트 박리능력이 떨어지거나 또는 Cu 배선부식방지 능력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2.
Cu 부식 방지제의 종류 또는 알코올의 함량만 하기 표 3과 같이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구분 Cu 부식방지제 MEA EG THFA NMP(5%) +EDG(48%) Cu 배선부식 비고
1 BIMD 7 20 20 - 53
2 BIMD 7 20 - 20 53
3 IMD 7 20 20 - 53
4 IMD 7 20 - 20 53
5 4-MIMD 7 20 20 - 53
6 4-MIMD 7 20 - 20 53
7 BTA 7 20 20 - 53 부식방지제잔류
8 BTA 7 20 - 20 53 부식방지제잔류
9 TTA 7 20 20 - 53 부식방지제잔류
10 TTA 7 20 - 20 53 부식방지제잔류
11 MBI 7 20 20 - 53
12 MBI 7 20 - 20 53
13 2,5-DTA 7 20 20 - 53 ?
14 2,5-DTA 7 20 - 20 53 ?
15 MBT 7 20 20 - 53
16 MBT 7 20 - 20 53
17 MBI 7 30 10 - 53
18 MBI 7 30 - 10 53
BIMD :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
IMD : 이미다졸(Imidazole)
4-MIMD: 4-메틸이미다졸(4-methylimidazole)
BTA :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TTA : 테트라졸(Tetrazole)
MBI : 2-머캅토벤즈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2,5-DTA : 2,5-디머캅토-1,3,4-티아디졸(2,5-Dimercapto-1,3,4-thiadizole)
MBT : 2-머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
표 3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머캅토기가 포함되지 않은 화합물을 부식방지제로 사용한 경우에는 배선이 부식되거나 공정 후 부식방지제가 잔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2-머캅토벤즈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2,5-디머캅토-1,3,4-티아디졸 및 2-머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과 같은 머캅토기가 포함된 아졸계 화합물을 부식방지제로 사용한 경우, 배선의 부식이 거의 완전하게 방지되고 잔류하는 부식방지제도 전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1차 아민으로 입체장애가 있는 AMP(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구분 아민종류 아민 EG THFA NMP(5%)+EDG(48%) Al배선변성
PR박리능력
Cu배선
부식
1 AMP 7 0 40 0 53
2 AMP 7 0 0 40 53
3* AMP 7 20 20 0 53
4* AMP 7 20 0 20 53
*부식방지제를 첨가한 경우
표 4의 결과와 같이 AMP는 물 및 부식방지제를 첨가한 경우뿐만 아니라, 물 없이 알코올류만 첨가하는 유기계 조성에서 금속 배선막 부식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변성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박리하면서, Al 및 Cu의 배선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와 같이 수계형 포토레지스트 박리제 제조 시 강염기인 1차 에탄올아민과 머캅토기가 포함된 아졸계 화합물을 부식방지제로 사용하면 심하게 변성된 포토레지스트 완전 박리와 구리 배선부식 방지가 동시에 가능하였다. 또한 입체장애가 있는 1차 알칸올 아민인 AMP는 물이 포함되지 않는 유기계 조성으로 사용 시 부식방지제가 없어도 구리 배선이 부식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a) 1차 알칸올 아민 1~20중량%;
    (b) 끓는점 150℃ 이상의 1차 알코올 10~60중량%;
    (c) 물 0.1~50중량%;
    (d) 극성유기용제 5~50%중량%; 및
    (e) 부식방지제 0.01~3중량%를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알칸올 아민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 amine),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민(Monoisopropanol amine),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2-메틸아미노에탄올(2-Methylaminoethanol) 및 3-아미노프로판올아민(3-Aminopropanol 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헥사놀(1-Hexanol), 옥탄올(Octanol), 1-헵탄올(1-Heptanol), 1-데칸올(1-Decanol), 2-헵탄올(2-Heptanol) 및 테트라하이드로 퍼퓨릴알콜(Tetrahydrofurfurylalcoh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제는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가 N, O 및 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로 치환된 C5-C10 헤테로 고리이고, 상기 헤테로 고리의 탄소 원자에 머캅토기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 고리는 이미다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제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2,5-디머캅토-1,3,4-티아디졸(2,5-Dimercapto-1,3,4-thiadizole) 및 2-머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유기용제는 R-O(CH2CH2O)H의 화학식(여기서 상기 R은 선형 탄화수소, 분지 탄화수소 또는 원형 탄화수소 중 어느 하나이다)을 갖는 글리콜을 함유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유기용제는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ollidone, NMP), 설폴란(Sulfolane),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 DMSO),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및 모노메틸포름아마이드(Monomethylformamid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9. (a) 1차 알칸올 아민 1~20중량%;
    (b) 끓는점 150℃ 이상의 1차 알코올 10~60중량%; 및
    (c) 극성유기용제 5~70중량%를 포함하고,
    나머지로 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알칸올 아민은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끓는점 150℃ 이상의 1차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헥사놀(1-Hexanol), 옥탄올(Octanol), 1-헵탄올(1-Heptanol), 1-데칸올(1-Decanol), 2-헵탄올(2-Heptanol) 및 테트라하이드로 퍼퓨릴알콜(Tetrahydrofurfurylalcoh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20100122001A 2010-12-02 2010-12-02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Active KR10108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001A KR101089211B1 (ko) 2010-12-02 2010-12-02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TW100128171A TWI465564B (zh) 2010-12-02 2011-08-08 用於液晶顯示器製造過程中之含初級醇胺的光阻剝除組成
JP2011187941A JP2012118502A (ja) 2010-12-02 2011-08-30 1級アルカノールアミンを含むlcd製造用フォトレジスト剥離液組成物
CN201610079171.7A CN105676602A (zh) 2010-12-02 2011-09-14 用于液晶显示器制造工艺的包含伯烷烃醇胺的光刻胶剥离组合物
CN201110271127.3A CN102486620B (zh) 2010-12-02 2011-09-14 用于液晶显示器制造工艺的包含伯烷烃醇胺的光刻胶剥离组合物
JP2013235744A JP6006711B2 (ja) 2010-12-02 2013-11-14 1級アルカノールアミンを含むlcd製造用フォトレジスト剥離液組成物
JP2016176121A JP2017040928A (ja) 2010-12-02 2016-09-09 1級アルカノールアミンを含むlcd製造用フォトレジスト剥離液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001A KR101089211B1 (ko) 2010-12-02 2010-12-02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211B1 true KR101089211B1 (ko) 2011-12-02

Family

ID=4550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001A Active KR101089211B1 (ko) 2010-12-02 2010-12-02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2012118502A (ko)
KR (1) KR101089211B1 (ko)
CN (2) CN105676602A (ko)
TW (1) TWI465564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910A (ko) * 2012-11-13 2014-05-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얼룩 발생 방지용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150028526A (ko) 2013-09-06 2015-03-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28916A (ko) 2013-09-06 2015-03-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WO2017026803A1 (ko) * 2015-08-13 2017-02-16 엘티씨 (주)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200116443A (ko) * 2019-10-01 2020-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얼룩 발생 방지용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WO2021101227A1 (ko) 2019-11-21 2021-05-27 엘티씨 (주) 디스플레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2825130B1 (ko) * 2024-06-13 2025-06-27 엘티씨 (주) 디스플레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0151A1 (en) * 2012-10-08 2014-04-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tripp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for Removal of Thick Film Resist
KR101668063B1 (ko) * 2013-05-07 2016-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레지스트 제거용 스트리퍼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의 박리방법
KR102204768B1 (ko) * 2013-08-22 2021-01-18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횡전계 구동형 액정 표시 소자용 액정 배향막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TWI518467B (zh) * 2013-11-15 2016-01-21 達興材料股份有限公司 光阻脫除劑和電子元件及其製造方法
CN111781808B (zh) * 2015-09-16 2024-06-07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抗蚀剂剥离液组合物、平板显示器基板及其制造方法
CN106919013B (zh) * 2015-12-28 2021-12-07 安集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低蚀刻的去除光阻残留物的清洗液
CN106019863B (zh) * 2016-07-14 2019-08-09 江阴江化微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世代平板铜制程光阻剥离液
WO2018122992A1 (ja) * 2016-12-28 2018-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ジスト剥離液
CN108949383B (zh) * 2017-05-17 2021-05-25 东曹株式会社 清洗剂组合物和使用其的清洗方法
CN107577121A (zh) * 2017-08-29 2018-01-12 昆山艾森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光刻胶去胶液
KR102224907B1 (ko) 2018-04-17 2021-03-09 엘티씨 (주) 드라이필름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CN120303619A (zh) * 2022-12-12 2025-07-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致抗蚀剂去除用组合物及光致抗蚀剂的去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505A (ja) * 2000-08-29 2002-03-12 Nagase Kasei Kogyo Kk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59971B1 (en) * 1986-11-10 1994-05-04 Baker J T Inc Stripping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stripping resists from substrates
JP3167664B2 (ja) * 1997-10-28 2001-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US6440326B1 (en) * 1998-08-13 2002-08-2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hotoresist removing composition
KR100268108B1 (ko) * 1998-08-25 2000-12-01 윤종용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JP4229552B2 (ja) * 1998-12-25 2009-02-25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ホトレジスト用剥離液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ホトレジスト剥離方法
JP2001209190A (ja) * 2000-01-25 2001-08-03 Nagase Denshi Kagaku Kk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360985B1 (ko) * 2000-04-26 2002-11-1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
JP2001350276A (ja) * 2000-06-05 2001-12-21 Nagase Kasei Kogyo Kk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4085262B2 (ja) * 2003-01-09 2008-05-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レジスト剥離剤
TWI315030B (en) * 2003-06-26 2009-09-21 Dongwoo Fine Chem Co Ltd Photoresist stripper composition, and exfoliation method of a photoresist using it
US20050032657A1 (en) * 2003-08-06 2005-02-10 Kane Sean Michael Stripp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for microelectronics
US7384900B2 (en) * 2003-08-27 2008-06-10 Lg Display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copper-compatible resist
CN1875326A (zh) * 2003-10-29 2006-12-06 长濑化成株式会社 光致抗蚀剂剥离用组合物及剥离光致抗蚀剂的方法
KR20050110955A (ko) * 2004-05-20 2005-11-2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및 이를 포토레지스트박리에 사용하는 방법
US7825078B2 (en) * 2004-07-15 2010-11-02 Mallinckrodt Baker, Inc. Non-aqueous microelectronic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fructose
JP4846301B2 (ja) * 2004-08-30 2011-12-2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の製造方法及びストリッピング組成物
WO2006081406A1 (en) * 2005-01-27 2006-08-03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Compositions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substrates
KR20070035722A (ko) * 2005-09-28 2007-04-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박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JP2007114519A (ja) * 2005-10-20 2007-05-10 Tokyo Ohka Kogyo Co Ltd ホトレジスト用剥離液
JP2008191631A (ja) * 2006-08-21 2008-08-21 Tosoh Corp レジスト除去用組成物
JP2008133529A (ja) * 2006-08-29 2008-06-12 Rohm &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剥離方法
KR20080076016A (ko) * 2007-02-14 2008-08-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박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리 방법
JP4692497B2 (ja) * 2007-02-28 2011-06-01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
JP4716225B2 (ja) * 2007-05-15 2011-07-06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
JP4962254B2 (ja) * 2007-10-10 2012-06-27 東ソー株式会社 レジスト除去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レジスト除去方法
JP5318773B2 (ja) * 2007-10-17 2013-10-16 ヘンケル コーポレイション 剥離液組成物、それを用いた樹脂層の剥離方法
TWI450052B (zh) * 2008-06-24 2014-08-21 Dynaloy Llc 用於後段製程操作有效之剝離溶液
CN102301282B (zh) * 2008-11-28 2014-03-05 出光兴产株式会社 防腐蚀性光致抗蚀剂剥离剂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505A (ja) * 2000-08-29 2002-03-12 Nagase Kasei Kogyo Kk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910A (ko) * 2012-11-13 2014-05-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얼룩 발생 방지용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2032321B1 (ko) * 2012-11-13 2019-10-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얼룩 발생 방지용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150028526A (ko) 2013-09-06 2015-03-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28916A (ko) 2013-09-06 2015-03-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20180239256A1 (en) * 2015-08-13 2018-08-23 Ltc Co., Ltd. Photoresist Stripper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CN107924144A (zh) * 2015-08-13 2018-04-17 Ltc有限公司 用于制造液晶显示的光刻胶剥离剂组合物
KR101764577B1 (ko) * 2015-08-13 2017-08-23 엘티씨 (주)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WO2017026803A1 (ko) * 2015-08-13 2017-02-16 엘티씨 (주)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US10859917B2 (en) 2015-08-13 2020-12-08 Ltc Co., Ltd. Photoresist stripper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CN107924144B (zh) * 2015-08-13 2020-12-29 Ltc有限公司 用于制造液晶显示的光刻胶剥离剂组合物
KR20200116443A (ko) * 2019-10-01 2020-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얼룩 발생 방지용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2324927B1 (ko) * 2019-10-01 2021-11-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얼룩 발생 방지용 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WO2021101227A1 (ko) 2019-11-21 2021-05-27 엘티씨 (주) 디스플레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210062762A (ko) 2019-11-21 2021-06-01 엘티씨 (주) 디스플레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2825130B1 (ko) * 2024-06-13 2025-06-27 엘티씨 (주) 디스플레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6620B (zh) 2016-06-01
JP6006711B2 (ja) 2016-10-12
JP2012118502A (ja) 2012-06-21
JP2014063186A (ja) 2014-04-10
TW201224140A (en) 2012-06-16
TWI465564B (zh) 2014-12-21
JP2017040928A (ja) 2017-02-23
CN102486620A (zh) 2012-06-06
CN105676602A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211B1 (ko) 1차 알칸올 아민을 포함하는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CN102216855B (zh) 用于制造lcd的光致抗蚀剂剥离组合物
KR101764577B1 (ko) Lcd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CN102227687A (zh) 光致抗蚀剂剥离剂组合物、层积金属布线基板的光致抗蚀剂剥离方法和制造方法
JP2005043873A (ja) フォトレジスト剥離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ォトレジストの剥離方法
WO2010119753A1 (ja)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及びフォトレジスト剥離方法
KR101167240B1 (ko) 레지스트 제거용 조성물
KR20140082713A (ko) 구리/아졸 중합체 억제를 갖는 마이크로일렉트로닉 기판 세정 조성물
KR100544889B1 (ko)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KR20070025444A (ko) 변성된 포토레지스트 제거를 위한 반도체 소자용 박리액조성물
KR101319217B1 (ko)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포토레지스트의 박리방법
KR101304723B1 (ko) 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및 이를이용한 박리 방법
KR101679030B1 (ko) 레지스트 제거용 조성물
KR102512488B1 (ko) 포토레지스트 제거용 박리액 조성물
KR20040088990A (ko)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100568558B1 (ko) 구리 배선용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
KR100928996B1 (ko)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100125108A (ko) 구리용 레지스트 제거용 조성물
KR100842072B1 (ko) 포토레지스트 제거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제거 방법
KR100544888B1 (ko) 구리 배선용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
KR101130353B1 (ko) 포토레지스트용 박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리방법
KR20170002933A (ko) 스트리퍼 조성액
KR101285123B1 (ko) 투명 전도막 및 레지스트 제거용 박리액 조성물
KR20240044715A (ko) Igzo 기판용 박리액 조성물
KR20040088989A (ko) 포토레지스트 박리액용 부식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