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2096B1 -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096B1
KR101062096B1 KR1020050031550A KR20050031550A KR101062096B1 KR 101062096 B1 KR101062096 B1 KR 101062096B1 KR 1020050031550 A KR1020050031550 A KR 1020050031550A KR 20050031550 A KR20050031550 A KR 20050031550A KR 101062096 B1 KR101062096 B1 KR 10106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bit line
current
capacitor
change mem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774A (ko
Inventor
가쯔또시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0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 G11C11/1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using multiple magnetic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4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2Differential amplifiers of non-latching type, e.g. comparators, long-tailed pai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7Single-ended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06Sense amplifier related aspects
    • G11C2207/063Current sense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고, 저항 변화 기억 소자내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비트선과 워드선과의 교차부에 배치된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판독 회로는,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상기 비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접속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가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비트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50031550
기억 데이터, 바이어스 전위, 스위칭 소자, 전류 공급 회로, 용량 소자

Description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DATA READO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
도 7은 종래의 데이터 판독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장치
2 : 비트선
3 : 워드선
4 : MRAM
5 : 기억 회로
6 : 데이터 판독 회로
10 : 바이어스 전위 설정 회로
11 : 전류 공급 회로
12 : 센스 앰프
13 : 스위치
14 : 용량 소자
15 : 스위칭 트랜지스터
17 : 오피 앰프
18 : 스위치
20, 21 : 트랜지스터
GND : 그라운드 단자
VDD : 전원 단자
C1∼C5 : 컨덴서
SW1∼SW3 : 스위치
<특허 문헌1> 미국 특허 제6205073호 명세서
본 발명은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용량의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반도체 기판 상에 고밀도로 실장 가능한 저항 변화 기억 소자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가 주목받아 오고 있다. 이 저항 변화 기억 소자는,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로 대표되듯이, 기억 데이터(「0」 또는 「1」)에 따라 내부의 저항값이 증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저항 변화 기억 소자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는 비트선과 워드선과의 교차부에 저항 변화 기억 소자를 배치함과 함께, 이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데이터 판독 회로를 접속하여, 이 데이터 판독 회로를 이용하여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했을 때에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내장된 데이터 판독 회로(101)에서는, 비트선(102)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기 위해, 저항 변화 기억 소자(103)에 커런트 컨베이어 회로(current conveyer circuit)(104)를 병렬 접속하고, 이 커런트 컨베이어 회로(104)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판독 시에 비트선(102)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까지 상승시킴으로써 저항 변화 기억 소자(103)에 바이어스 전위를 인가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5는 디코더, 참조 부호 106은 전류원을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의 커런트 컨베이어 회로(104)를 이용한 데이터 판독 회로(101)에서는, 데이터 판독 시에 비트선(102)의 전위를 초기값(통상 0V)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예를 들면, 0.4V)까지 상승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비트선(102)의 전위가 바이어스 전위로 안정될 때까지 대략 수 ㎲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그 때문에, 종래의 데이터 판독 회로(101)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에서는, 연속하여 고속으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여,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비트선과 워드선과의 교차부에 배치된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한 데이터 판독 회로가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판독 회로는,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상기 비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 및 이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접속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가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비트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용량 소자에 미리 결정된 양의 전하가 축적된 후,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접속한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용량 소자에 축적한 전하를 이 용량 소자의 용량과 상기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하여,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절단한 상태로 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미리 상승시킨 후 상기 전류 공급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상승시켜,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가 판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의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상기 전류 공급 회로에 센스 앰프를 접속하고, 이 센스 앰프는, 상기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공급되는 판독 전류를 증폭함과 함께,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증폭하여, 증폭된 판독 전류와 증폭된 참조 전류간의 전류 차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비트선과 워드선과의 교차부에 배치된 메모리 셀로서의 저항 변화 기억 소자 및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접속된 데이터 판독 회로 - 상기 데이터 판독 회로는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했을 때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내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기억 데이터를 판독함 - 를 갖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판독 회로는, 스위칭 소자를 통해 상기 비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 및 이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접속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가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비트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용량 소자에 미리 결정된 양의 전하가 축적된 후,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접속한 상태로 하여, 상기 용량 소자에 축적된 전하를 상기 용량 소자의 용량과 상기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하여,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절단한 상태로 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미리 상승시킨 후, 상기 전류 공급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상승시켜,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가 판독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3 양태의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전류 공급 회로에 센스 앰프를 접속하고, 이 센스 앰프는, 상기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공급되는 판독 전류를 증폭함과 함께,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증폭하여, 증폭된 판독 전류와 증폭된 참조 전류간의 전류 차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억 데이터의 판독 시에, 미리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상승시킨 후에, 상승된 전위는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까지 더 상승시키도록 되므로, 단시간에 비트선의 전위를 바이어스 전위에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단시간에 판독할 수 있으며, 판독 동작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비트선에 접속한 용량 소자에 축적한 전하를 이 용량 소자의 용량과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함으로써 미리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로 상승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 비트선의 프리-차지(pre-charge)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판독 전류와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각각 증폭한 후, 이들간의 전류차를 출력한다. 따라서, 판독 전류와 참조 전류 간의 전류차(마진)를 증대시킬 수 있어, 참조 전류에서의 기억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기억 데이터에 따라 내부의 저항값이 변화하는 저항 변화 기억 소자를 메모리 셀로서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칩이나 이 메모리 셀 및 프로세서 등을 내장한 반도체 칩 등의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각각의 디코더에 접속한 비트선과 워드선과의 교차부에 메모리 셀로서의 저항 변화 기억 소자를 배치함과 함께, 이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데이터 판독 회로를 접속한 것이다.
이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함으로써,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일정한 판독 전압을 인가하여, 그 때에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흐르는 판독 전류의 전류값을 검출하여, 그 판독 전류와 미리 결정된 참조 전류를 비교함으로써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비트선에 용량 소자를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접속함과 함께, 이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비트선의 전위가 용량 소자의 전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비트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회로를 접속하고, 또한 이 전류 공급 회로에 센스 앰프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 판독 회로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판독한다.
우선, 스위칭 소자를 절단한 상태에서 용량 소자에 미리 결정된 양의 전하를 축적한다.
이어서, 스위칭 소자를 접속한 상태로 함으로써, 축적된 전하를 이 용량 소자의 용량과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한다. 결과적으로, 용량 소자의 전위를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함과 함께,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미리 상승시킨다.
이어서, 스위칭 소자를 절단한 상태로 하고, 전류 공급 회로를 이용하여 비트선의 전위를 바이어스 전위로 상승시킨다.
마지막으로, 센스 앰프를 이용하여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공급되는 판독 전류 및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증폭하여, 이들간의 전류 차를 출력한다. 이 전류 차로부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의 저항 상태를 판정함으로써,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서는, 기억 데이터의 판독 시에,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상승시킨 후에, 상승된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까지 더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단시간에 비트선의 전위를 바이어스 전위에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억 데이터를 단시간에서 판독할 수 있고, 판독 동작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비트선에 접속한 용량 소자에 축적한 전하를 이 용량 소자의 용량과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함으로써 미리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로 상승시켜, 이 비트선의 프리-차지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비트선의 용량은, 비트선에 별도로 접속한 용량 소자의 용량이어도 되고, 혹은 비트선의 배선 용량을 이용해도 된다. 비트선의 배선 용량을 이용한 경우에는, 비트선에 용량 소자를 개별로 접속할 필요가 없어져, 구성부품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판독 전류와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의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각각 증폭하고나서, 이들간의 전류 차를 출력한다. 따라서, 판독 전류와 참조 전류와의 차(마진)를 증대할 수 있어,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1)는, 복수개의 비트선과 워드선(3)과의 교차부에 저항 변화 소자(MRAM(4))를 배치함으로써 기억 회로(5)를 구성함과 함께, 이 기억 회로(5)에는 각 MRAM(4)에 기억된 기억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회로(6)를 접속하고 있다.
기억 회로(5)에서는, 각 비트선(2)에 MRAM(4)를 접속하고, 이 MRAM(4)와 그라운드 단자 GND 사이에 스위칭 트랜지스터(7)를 접속하고 있고, 이 스위칭 트랜지스터(7)의 각각의 게이트 단자에 워드선(3)을 접속하고 있다. 이 워드선(3)에는, 디코더(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억 회로(5)에서는, 각 비트선(2)에 스위칭 트랜지스터(8)를 접속하고 있고, 이 스위칭 트랜지스터(8)의 각각의 게이트 단자에 제어 신호선(9)을 접속하고 있다. 이 제어 신호선(9) 각각에는 디코더(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억 회로(5)에서는, 각 비트선(2)과 그라운드 단자 GND 사이에 용량 소자로서의 컨덴서 C1을 접속하고 있다. 이 컨덴서 C1은, 비트선(2)과 그라운드 단자 GND 사이의 배선 용량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 판독 회로(6)는, 바이어스 전위 설정 회로(10)와 전류 공급 회로(11)와 센스 앰프(1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이어스 전위 설정 회로(10)에서는, 비트선(2)에 스위치(13)를 접속하고, 이 스위치(13)에 용량 소자(14)를 접속하고, 이 용량 소자(14)에 그라운드 단자 GND를 접속하는 한편, 전원 단자 VDD와 용량 소자(14) 사이에 스위칭 트랜지스터(15)를 접속하고 있고, 이 스위칭 트랜지스터(15)의 게이트 단자에 챠지 신호선(16)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13)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임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해도 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용량 소자(14)는 비교적 대용량의 제1 컨덴서 C2와, 이 제1 컨덴서 C2와 스위치 SW1∼SW3을 통하여 각각 병렬 접속한 비교적 소용량의 제2∼제4 컨덴서 C3∼C5를 포함한다. 스위치 SW1∼SW3의 연속 조작에 의해 용량 소자(14)의 전체적인 용량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어스 전위 설정 회로(10)에서는, 챠지 신호선(16)을 액티브 상태로 함으로써 전원 단자 VDD와 용량 소자(14)를 접속하여, 용량 소자(14)에 미리 결정된 양의 전하를 축적하도록 하고 있다.
전류 공급 회로(11)에서는, 바이어스 전위 설정 회로(10)의 용량 소자(14)에 오피 앰프(17)의 비반전 입력 단자를 접속하는 한편, 이 오피 앰프(17)의 반전 입력 단자를 스위치(18)를 통하여 비트선(2)에 접속하고, 오피 앰프(17)의 출력 단자를 P 채널형의 트랜지스터(19)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19)의 드레인 단자를 전원 단자 VDD에 접속함과 함께, 트랜지스터(19)의 소스 단자를 비트선(2)(오피 앰프(17)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18)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임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해도 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전류 공급 회로(11)는, 스위치(18)를 접속한 상태로 함으로써,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한 용량 소자(14)의 전위와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한 비트선(2)의 전위가 동등하게 되도록 비트선(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센스 증폭기(12)에서는, 전류 공급 회로(11)의 오피 앰프(17)의 출력 단자를 P 채널형의 트랜지스터(20)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20)의 드레인 단자를 전원 단자 VDD에 접속함과 함께, 트랜지스터(20)의 소스 단자에 N 채널형의 트랜지스터(21)의 드레인 단자를 접속한다. 이 트랜지스터(21)의 게이트 단자에는 MRAM(4)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통전함과 함께, 트랜지스터(21)의 소스 단자에 그라운드 단자 GND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센스 앰프(12)는, 전류 공급 회로(11)로부터 MRAM(4)에 공급되는 판독 전류를 트랜지스터(20)로 증폭함과 함께, MRAM(4)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트랜지스터(21)로 증폭하고, 이들간의 전류 차를 출력 신호선(22)으로부터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데이터 판독 회로(6)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판독 회로(6)는, 초기 상태에서는, 스위치(13) 및 스위치(18)가 절단 상태, 스위칭 트랜지스터(15)가 비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고, 용량 소자(14)에 전하가 축적되어 있지 않아, 용량 소자(14)의 전위와 비트선(2)의 전위가 0V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인에이블(enable) 신호 RE가 액티브 상태로 됨과 함께 클럭 신호 CK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그것에 따라 챠지 신호선(16)의 차지 신호 CH가 액티브 상태로 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5)도 액티브 상태로 되어, 용량 소자(14)에 전원 단자 VDD로부터 미리 결정된 양의 전하가 축적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스터(15)를 비액티브 상태로 함과 함께, 스위치(13)를 접속 상태로 변경하면, 용량 소자(14)와 제어 신호선(9)에 의해 선택된 비트선(2)에 접속된 컨덴서 C1이 병렬로 접속되어, 용량 소자(14)에 축적된 전하가 이 용량 소자(14)의 용량과 비트선(2)의 용량으로 분배된다. 이에 의해, 용량 소자(14)의 전위는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되는 한편, 비트선(2)의 전위는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미리 상승한다.
예를 들면, 바이어스 전압을 0.1V, 비트선(2)의 컨덴서 C1의 용량을 200fF, 전원 전압을 1.8V로 하면, 용량 소자(14)의 용량으로서는, 200fF·0.1V/(1.8V-0.1V)= 11.76fF로 계산된다. 이와 같이 용량 소자(14)의 용량을 설정해 두면, 용량 분할 후의 용량 소자(14)의 전위가 바이어스 전위로 되고, 비트선(2)의 전위를 대략 바이어스 전위로 프리-차지시킬 수 있다.
프리-차지에 필요한 시간은, 비트선(2)의 배선 저항이 수십Ω, 배선 용량이 수백 fF이기 때문에, 대략 수 피코초 정도로 된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수천배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13)를 절단 상태로 함과 함께, 스위치(18)를 접속 상태로 변경하면, 전류 공급 회로(11)가 작동하여, 비트선(2)의 전위를 용량 소자(14)로 결정되는 바이어스 전위로까지 상승시켜, 그 바이어스 전위를 유지한다.
센스 앰프(12)에서, 전류 공급 회로(11)로부터 MRAM(4)에 공급되는 판독 전류를 트랜지스터(20)에 의해 n배로 증폭시킴과 함께, MRAM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의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트랜지스터(21)에 의해 n배로 증폭시켜, 이들간의 전류 차를 출력 신호선(22)으로부터 출력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이내라면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서브-조합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억 데이터의 판독 시에, 미리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상승시킨 후에, 상승된 전위는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까지 더 상승시키도록 되므로, 단시간에 비트선의 전위를 바이어스 전위에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단시간에 판독할 수 있으며, 판독 동작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비트선에 접속한 용량 소자에 축적한 전하를 이 용량 소자의 용량과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함으로써 미리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로 상승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 비트선의 프리-차지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판독 전류와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각각 증폭한 후, 이들간의 전류차를 출력한다. 따라서, 판독 전류와 참조 전류 간의 전류차(마진)를 증대시킬 수 있어, 참조 전류에서의 기억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Claims (4)

  1.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고, 저항 변화 기억 소자내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비트선과 워드선과의 교차부에 배치된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resistance change memory)로부터 기억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판독 회로로서,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상기 비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capacitance device);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접속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가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비트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절단된(disconnected) 상태에서 상기 용량 소자에 미리 결정된 양의 전하가 축적된 후,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접속한 상태로 하여, 상기 용량 소자에 축적된 전하를 상기 용량 소자의 용량과 상기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하여,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절단한 상태로 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미리 상승시킨 후, 상기 전류 공급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상승시켜,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가 판독되는, 데이터 판독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센스 앰프가 상기 전류 공급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센스 앰프는, 상기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공급되는 판독 전류를 증폭함과 함께,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판독 전류와 상기 증폭된 참조 전류간의 전류 차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판독 회로.
  3. 비트선과 워드선과의 교차부에 배치된 메모리 셀로서의 저항 변화 기억 소자및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접속된 데이터 판독 회로 - 상기 데이터 판독 회로는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했을 때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내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함으로써 기억 데이터를 판독함 - 를 갖는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판독 회로는,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상기 비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접속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가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비트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가 절단된(disconnected) 상태에서 상기 용량 소자에 미리 결정된 양의 전하가 축적된 후,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접속한 상태로 하여, 상기 용량 소자에 축적된 전하를 상기 용량 소자의 용량과 상기 비트선의 용량으로 분배하여, 상기 용량 소자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설정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절단한 상태로 하고,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미리 결정된 전위까지 미리 상승시킨 후, 상기 전류 공급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선의 전위를 상기 바이어스 전위로 상승시켜,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로부터 기억 데이터가 판독되는, 반도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센스 앰프가 상기 전류 공급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센스 앰프는, 상기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 공급되는 판독 전류를 증폭함과 함께, 상기 저항 변화 기억 소자에서의 기억 상태를 판정할 때 임계값으로 되는 참조 전류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판독 전류와 상기 증폭된 참조 전류간의 전류 차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
KR1020050031550A 2004-04-16 2005-04-15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62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21723 2004-04-16
JP2004121723A JP4063239B2 (ja) 2004-04-16 2004-04-16 データ読出し回路及びこの回路を有する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774A KR20060045774A (ko) 2006-05-17
KR101062096B1 true KR101062096B1 (ko) 2011-09-02

Family

ID=3509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5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2096B1 (ko) 2004-04-16 2005-04-15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7203B2 (ko)
JP (1) JP4063239B2 (ko)
KR (1) KR101062096B1 (ko)
CN (1) CN100468564C (ko)
DE (1) DE102005017087A1 (ko)
TW (1) TWI2708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4133A (ja) * 2006-03-01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システム
US9099174B2 (en) * 2012-10-09 2015-08-04 Micron Technology, Inc. Drift acceleration in resistance variable memory
JPWO2007119857A1 (ja) 2006-04-11 2009-08-27 日本碍子株式会社 バイオロジカルインジケ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886204B2 (en) * 2006-09-27 2011-02-08 Sandisk Corporation Methods of cell population distribution assisted read margining
KR100849717B1 (ko) * 2006-12-28 2008-08-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문턱전압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는 메모리장치
CN101783182B (zh) * 2009-01-21 2012-10-03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阻变存储器的检测电路及检测设备
US8477550B2 (en) * 2010-05-05 2013-07-02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Pass-gated bump sense amplifier for embedded drams
JP5614150B2 (ja) 2010-07-29 2014-10-29 ソニー株式会社 抵抗変化型メモリデバイス
US8687421B2 (en) 2011-11-21 2014-04-01 Sandisk Technologies Inc. Scrub techniques for use with dynamic read
US8837198B2 (en) 2012-10-01 2014-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bit resistance measurement
US9001573B1 (en) 2013-12-06 2015-04-0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ogramming memory cells
US9230689B2 (en) 2014-03-17 2016-01-05 Sandisk Technologies Inc. Finding read disturbs on non-volatile memories
US9552171B2 (en) 2014-10-29 2017-01-24 Sandisk Technologies Llc Read scrub with adaptive counter management
US9978456B2 (en) 2014-11-17 2018-05-22 Sandisk Technologies Llc Techniques for reducing read disturb in partially written blocks of non-volatile memory
US9349479B1 (en) 2014-11-18 2016-05-24 Sandisk Technologies Inc. Boundary word line operation in nonvolatile memory
US9449700B2 (en) 2015-02-13 2016-09-20 Sandisk Technologies Llc Boundary word line search and open block read methods with reduced read disturb
US9653154B2 (en) 2015-09-21 2017-05-16 Sandisk Technologies Llc Write abort detection for multi-state memories
JP7032174B2 (ja) * 2018-02-27 2022-03-08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メモリのデータ読出方法
CN109859786B (zh) * 2019-01-28 2020-10-0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自旋磁存储器的数据运算方法
KR102656527B1 (ko) * 2019-04-05 202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CN113131939B (zh) * 2021-04-22 2022-05-17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电流读出电路及忆阻器阵列列电流读出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360A (ja) 1998-03-17 1999-10-08 Toshiba Corp 強誘電体記憶装置
JP2003178573A (ja)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薄膜磁性体記憶装置
JP2004030714A (ja) 2002-06-21 2004-01-29 Renesas Technology Corp 薄膜磁性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691A (ja) * 1995-05-30 1996-12-13 Nkk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02208298A (ja) * 2001-01-10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360A (ja) 1998-03-17 1999-10-08 Toshiba Corp 強誘電体記憶装置
JP2003178573A (ja)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薄膜磁性体記憶装置
JP2004030714A (ja) 2002-06-21 2004-01-29 Renesas Technology Corp 薄膜磁性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63239B2 (ja) 2008-03-19
CN1684197A (zh) 2005-10-19
US20050231999A1 (en) 2005-10-20
TW200614235A (en) 2006-05-01
US7177203B2 (en) 2007-02-13
CN100468564C (zh) 2009-03-11
TWI270882B (en) 2007-01-11
JP2005310196A (ja) 2005-11-04
DE102005017087A1 (de) 2005-11-10
KR20060045774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096B1 (ko) 데이터 판독 회로 및 이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KR100903045B1 (ko) 데이터 판독 회로, 데이터 판독 방법 및 데이터 기억 장치
CN106782652B (zh) 用于非易失性存储器设备的具有偏移补偿的感测放大器电路
US7738306B2 (en) Method to improve the write speed for memory products
US7460390B2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US8559243B2 (en) Self timed current integrating scheme employing level and slope detection
KR100369278B1 (ko) 연상 메모리(cam)
US8254178B2 (en) Self-timed integrating differential current
US786929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ingle-ended sensing amplifier
KR19980702130A (ko) 판독 바이어싱 회로, 고속 감지 회로 및 감지 방법
US7616471B2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US20030112681A1 (en) Fast-sensing amplifier for flash memory
US7826291B2 (en) Precharge and evaluation phase circuits for sense amplifiers
KR100816946B1 (ko) 메모리 장치
KR100512168B1 (ko) 미소 전압차를 감지하는 감지증폭기 및 감지 증폭 방법
JP4374539B2 (ja) 強誘電体メモリ装置
KR10077674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1860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28960B1 (ko) 메모리 장치용 감지 증폭기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