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0990B1 -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990B1
KR101040990B1 KR1020110011848A KR20110011848A KR101040990B1 KR 101040990 B1 KR101040990 B1 KR 101040990B1 KR 1020110011848 A KR1020110011848 A KR 1020110011848A KR 20110011848 A KR20110011848 A KR 20110011848A KR 101040990 B1 KR101040990 B1 KR 101040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disinfectant
weight
parts
b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익
Original Assignee
신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익 filed Critical 신동익
Priority to KR102011001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02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with halogen atoms, e.g. triclosan, povidone-io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with other specific functional groups, e.g. aldehydes, ketones, phenols, quaternary phosphonium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3Carbohydrates
    • A61L2300/232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polysaccharides, lipopolysacchar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제역 등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와 각종 세균에 대한 소독제를 함유한 축사깔개용 톱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독제를 함유시킨 톱밥으로 된 축사용 깔개로서, 소독제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는 등의 조절을 통하여, 축사용 깔개로 사용하는 소독제 함유 톱밥의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와 함께 소독제를 포함하는 톱밥을 축사용 깔개로 사용하는 경우, 톱밥 자체가 소독될 뿐만 아니라, 톱밥을 둘러싼 수용성 고분자 막이 소독제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 대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생산한 이후에도 상당한 시간 동안 소독제의 효과가 지속됨으로 인하여, 톱밥의 생산 이후 운반 및 보관 등의 유통과정에서도 톱밥에 소독제 성분이 남아있어, 축산 농가 등에서 이 톱밥을 축사용 깔개로 사용하더라도 소독제에 따른 축사의 소독 효과 및 가축의 구제역 등의 질병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Stable-rug Sawdust Containing Disinfectan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구제역 등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와 각종 세균에 대한 소독제를 함유한 축사깔개용 톱밥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독제를 함유시킨 톱밥으로 된 축사용 깔개로서, 소독제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는 등의 조절을 통하여, 축사용 깔개로 사용하는 소독제 함유 톱밥의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거의 매년 발생하는 구제역이나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사태로 인하여 축산 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있고, 또한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방역 제도에도 상당한 허점이 드러나고 있는 현실에서 축산 농가 스스로의 예방 활동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구제역은 구제역 바이러스에 전염되는 전염성 높은 우제류 가축의 급성전염병으로 발굽이 2개인 소, 돼지 등의 입이나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기는 질병으로서, 치사율이 5~55%에 달하는 가축의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전염병이다. 소의 경우 잠복기는 3~8일이며, 초기에 고열(40~41℃)이 있고, 사료를 잘 먹지 않고 거품 섞인 침을 흘리고, 잘 일어서지 못하고 통증을 수반하는 급성 구내염 과 제관, 지간에 수포가 생기면서 앓다가 죽게 된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고, 만일 구제역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검역을 철저히 해야 하며, 감염된 소와 접촉된 모든 소를 소각하거나 매장해야 한다. 한편, 최근 정부는 구제역 등의 방역 전략을 대대적인 살처분에서 살처분과 함께 적극적인 사전 백신 접종 등으로 변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만,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을 확률이 존재하고, 또한 2차에 걸친 백신접종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을 볼 때, 축산 농가 자체적인 소독 실시 등의 방역 활동의 중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 구제역이 발생하면 구제역 바이러스가 쉽게 옮길 우려가 있는 축사깔개용 톱밥을 포함하여 사료, 분뇨 등의 유입 및 유출은 철저히 차단하게 된다. 구제역 발생기간 중에는 톱밥 등의 공급 자체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축사에서는 축분의 처리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축산 농가에서는 축사용 깔개를 사용하여 찬 바닥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함과 함께, 유기질 퇴비로 축분을 활용하여 왔는데, 이렇게 겨울 기간 중에 톱밥 등과 같은 축사용 깔개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축산농가는 가축을 추위로부터 보호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축분 등의 처리에도 애를 먹을 수밖에 없다.
한편, 축사용 깔개로는 톱밥, 왕겨, 수피, 볏짚 등이 활용되어 왔다. 이를 통해서 수분과 탄질비(炭質比)를 조절하고, 산소를 알맞게 공급하여 호기성(好氣性) 발효 처리를 하면 유기물이 분해되어 악취와 병원균이 없어지고 부피와 무게가 줄어 취급하기 좋은 유기질비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대표적으로 축분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톱밥은 국립축산연구소에서 소나무 톱밥을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는데, 소나무 톱밥은 연질의 섬유질과 송진 및 정유성분에 의한 향균, 소취 등의 효과가 크며 특유의 테르펜 성분은 가축의 스트레스해소(진정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착유소, 비육소, 양돈, 양계의 깔개 및 유기농 비료에 많이 사용한다. 또한, 톱밥 입자마다 수십 만개의 숨구멍이 있어 흡수력이 우수하고 소나무 특유의 다공질 구조와 유익한 많은 종류의 천연성분은 가축에 기생충 발병을 예방해 주기도 한다.
구제역의 발생 시기가 보통 추운 겨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축사의 가축을 차가운 바닥의 한기로부터 보호하면서, 동시에 철저히 소독된 상태로 공급되면서 구제역 등을 포함하여 각종 바이러스나 세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소독제를 함유한 축사용 깔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소독액을 이용하여 농가에 공급할 톱밥 등을 일시적으로 소독할 수는 있으나, 소독후에 톱밥 등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소독액의 대부분이 제거되는 상황에서 장기간 소독효과를 발생할 수 있게 하면서, 농가에서 축사에 공급된 이후에도 일정 정도의 소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소독제 함유 톱밥을 공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1473호의 축사용 깔판 조성물과 그 깔판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축사용 깔판에 살균제가 함유되어 제조되나, 깔판에 함유된 살균제 성분이 제조 후 운반 및 보관 등의 유통과정에서 대부분 사라져 깔판의 살균효과 지속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미국등록특허 제5110785호(COMPOSITION OF MATTER AND METHOD OF MAKING)에 의하면 톱밥을 고온으로 처리할 경우 톱밥 내의 구조가 친유성 구조로 바뀌고, 물 위에 뜬 기름을 흡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KR10-2006-0081473 A
본 발명은 소독제를 함유하는 톱밥을 축사용 깔개로 제공하는데 있어서, 고온에서의 처리에서도 소독제를 함유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아울러 소독제의 방출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톱밥을 건조시켜 압축시킨 축사깔개용 톱밥을 제조함에 있어서, 천연 수용성 고분자와 함께 물에 희석시킨 소독제와 톱밥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새로운 소독제 함유 톱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톱밥에 소독제를 함유시키는 과정에서 친환경적인 천연 유래의 수용성 고분자에 소독제를 혼합하여 이를 톱밥에 혼합시킴으로써, 수용성 고분자가 형성하는 필름 내에 소독제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에서의 톱밥 열처리에도 불구하고 소독제가 톱밥 내에 잔류하게 하며, 이후 소독제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여 소독효과의 지속시간을 늘려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와 함께 소독제를 포함하는 톱밥을 축사용 깔개로 사용하는 경우, 톱밥 자체가 소독될 뿐만 아니라, 톱밥을 둘러싼 수용성 고분자 막이 소독제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 대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생산한 이후에도 상당한 시간 동안 소독제의 효과가 지속됨으로 인하여, 톱밥의 생산 이후 운반 및 보관 등의 유통과정에서도 톱밥에 소독제 성분이 남아있어, 축산 농가 등에서 이 톱밥을 축사용 깔개로 사용하더라도 소독제에 따른 축사의 소독 효과 및 가축의 구제역 등의 질병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에 사용될 소독제는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독제 5~10 중량부 및 천연 수용성 고분자 7~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 단계 1 : 톱밥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단계 1은 벌목이나 제재소 등에서 절단 및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인 톱밥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톱밥을 10 내지 100mesh 여과스크린이 달린 여과선별기를 50 내지 200rpm으로 통과시켜, 톱밥에 잔존하는 나무껍질 및 돌, 모래, 못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톱밥은 국립축산연구소에서 소나무 톱밥을 권장하고 있으므로, 톱밥의 원료목은 소나무를 사용하며, 함수율 35 내지 55% 이내, 입자크기가 0.1 내지 3mm 범위의 것을 사용한다. 이 정도의 크기가 깔개용으로 사용되는데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한편, 톱밥의 원료목은 목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수입된 톱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전염병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원목에 대한 방역작업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건조기에 투입하는 톱밥에 통왕겨를 섞을 수 있다. 이는 톱밥의 수급이 부족할 경우 통왕겨를 톱밥에 혼합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왕겨 50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통왕겨는 분쇄가 되지 않은 상태의 자연 상태로서는 흡수성이 나쁘고,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워 축사의 깔개용으로 사용할 때 가축의 몸과 발에 자극 및 상처를 주기 때문에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왕겨는 벼의 도정공장 또는 미곡종합처리장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것이며, 통왕겨를 물에 넣고 세척하여 먼지 등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이를 건져내어 건조시켜 분쇄기에 넣고 100 내지 300mesh로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2. 단계 2 : 톱밥을 건조하는 단계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톱밥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톱밥을 회전식 건조기에 넣고, 1차로 500 내지 600℃의 열을 가하여 건조하고, 2차로 온도를 80 내지 120℃로 낮추어 건조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건조기는 10 내지 1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열이 고르게 톱밥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톱밥을 고온으로 건조함으로써, 톱밥의 구조가 고분자 및 소독제 성분을 많이 포함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회전식 건조기는 톱밥의 함수율이 5 내지 15%이내가 될 때까지 가동하며, 건조 시간은 톱밥의 함수율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상기 단계 1의 통왕겨가 섞인 톱밥의 건조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함수율은 통왕겨 및 톱밥의 전체 함수율을 의미한다.
3. 단계 3 : 소독제를 제 조하는 단계
단계 3은 상기 단계 2의 톱밥과 함께 교반할 소독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소독제는 미리 제조하였다가 제조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에 사용될 소독제는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독제 5~10 중량부 및 천연 수용성 고분자 7~10 중량부를 포함한다.
혼합용기에 물 30 중량부를 넣고, 상기 물 30 중량부에 대하여 소독제 5~10 중량부 및 천연 수용성 고분자 7~10 중량부를 넣고 막대기 등으로 젓거나, 교반기 등을 이용해 혼합해 준다.
단계 3에서 사용되는 소독제로는 알려진 모든 종류의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계 소독제, 알데히드계 소독제, 4급암모늄계 계면활성제의 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요오드계 소독제 및 알데히드계 소독제의 혼합, 더 나아가서는 여기에 4급암모늄계 계면활성제를 더 혼합시킨 소독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는 요오드계와 알데히드계의 혼합인 경우에는 요오드계 소독제와 알데히드계 소독제를 1: 1~2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4급암모늄계 계면활성제를 더 혼합시킨 소독제의 경우에는 요오드계:알데히드계:4급암모늄계를 1:1~2:0.5~0.8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요오드계 소독제는 산화제이며 그 소독력은 크고 항균범위가 넓다. 요오드제에 있어서 요오드틴크(Iodine tincture) 소독액은 우수한 소독력에 비해 소독부위를 황염시키고 피부에 자극성이 있는 결점이 있다.
요오드포르(Iodophors) 소독액은 요오드와 계면활성제의 복합물질을 기타 산 등과 함께 물에 용해시킨 요오드계 소독제로서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우수한 소독력으로 임상에 많이 사용되고 있고, 살균효과가 6~8시간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축사의 깔개용으로 사용하는 톱밥에 혼합되는 것으로 가축의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은 요오드계 소독제에서 요오드포르 소독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포르 소독액에 있어서 유효 요오드의 함량은 다양하나, 본 발명에서는 2.75%의 유효 요오드 함량을 사용하였다.
알데히드계 살균제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글루타르알데히드(gultaraldehyde) 등이 있다. 포름알데히드는 무색의 자극성이 있는 액체로서 방부제 및 조직표본 제작에 사용되며, 훈증소독이나 분무소독으로 사용하는데 건물의 훈증소독시에는 보통 과망간산칼륨과 포름알데히드용액을 3:5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40%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포르말린이라고 하며 피부자극성과 냄새가 있기 때문에 기구 및 실내소독에 이용된다.
글루타르알데히드는 포름알데히드에 비해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성이 낮고 광범위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감수성이 있어 구제역 방역용 소독제로 사용하고 있다. 단백질(예, 혈청 등) 존재하에서도 살균력을 유지하며, 살균작용은 알칼리성에서 강하다. 특히, ph7.5~8.5의 2%완충용액으로 사용시 가장 효과적이다. 알데히드계 살균제에서는 가축의 피부에 자극성이 적은 글루타르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4급암모늄계 계면활성제의 소독제는 암모늄(NH4)에 존재하는 4개의 수소가 유기분자단으로 치완된 것이며, 백색의 겔이고, 물에 잘 녹는다. 4급암모늄계 계면활성제에는 세트리미드, 염화벤잘코늄 등이 있다. 4급암모늄계 계면활성제, 특히 염화벤잘코늄은 이미 소독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4급암모늄계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염화벤잘코늄을 사용한다.
한편, 수용성 고분자란 물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의미하며, 상온에서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고분자는 물론, 고온의 물에서 용해된 후 상온에서 물에 대한 용해 안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사용 용제인 물에는 잘 용해되지 않으나 물에 용해시키기 위하여 적량의 에탄올(ethanol)과 같은 중간단계의 용제에 고분자를 용해시킨 후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 고분자 등을 모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고분자는 물에 녹을 수 있고, 톱밥에 혼합 후 필름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이면 충분하다.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살충제 내의 물이 기화됨에 따라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며,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등 다양한 종류의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천연 고분자로는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 덱스트란(Dextr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그의 염, 콜라겐(Collagen), 한천(Agar), 아라비아 고무(Arabia gum), 잔사 고무, 아카시아고무(Acasia gum), 카라야 고무(Karaya gum), 토라간 고무(Tragacanth gum), 구어 고무(Guar gum)와 같은 검, 전분(Starch), 카라긴산, 알긴산(Alginic acid),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천연 수용성 고분자는 살충작용 외에 그 종류에 따라 부가적으로 작물의 영양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반합성 고분자로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가용성 전분(Soluble Starch), 덱스트린(Dextrine), 카르복시메틸 전분(Carboxy methyl starch), 디알데히드 전분(Dialdehyde starch)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Polyvin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산(Poly Acrylic acid) 또는 그의 염(Salt),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카르복시기(Carboxy) 함유 아크릴수지(Acryl resin), 카르복시기(Carboxy) 함유 폴리에스테르수지(Polyester resin), 수용성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용성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말토덱스트린, 폴리덱스트로스와 같이 수용성으로 널리 알려진 범용성 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르복시기(Carboxy) 함유 폴리에스테르수지(Polyester resin), 수용성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용성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말토덱스트린, 폴리덱스트로스와 같이 수용성으로 널리 알려진 범용성 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고분자는 축산 퇴비화를 위해서 생분해성의 천연고분자나 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전분 등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이나, 환경적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단계 3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혼합용기에 물 30 중량부를 넣고, 상기 물 30 중량부에 대하여 소독제로써 글루타르알데히드 3 내지 5 중량부, 요오드포르소독액(유효요오드 2.75%기준) 3 내지 5 중량부 및 수용성 고분자로써 전분 7 내지 10 중량부를 넣고 막대기 등으로 저어서 섞어 혼합해 준다.
4. 단계 4 : 톱밥과 소독제를 교반하는 단계
단계 4는 상기 단계 2의 톱밥에 소독제를 넣고 교반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에서 2차 건조가 끝난 후 톱밥을 회전식 건조기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기 단계 3의 소독제를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35 중량부 살포한다.
그리고 회전식 건조기에 열은 공급하지 아니하고, 10 내지 100rpm으로 회전시켜 소독제가 톱밥에 골고루 퍼지게 하여 교반한다.
5. 단계 5 : 소독제가 함유된 톱밥을 압축하는 단계
단계 5는 상기 단계 4의 톱밥을 압축시켜 성형하는 단계이다.
톱밥을 수평 압축기의 성형틀에 넣고, 140 내지 150톤의 강한 압력을 톱밥에 가하여 사각 블럭 형태로 성형한다. 이때 압축 규격은 가로 50 내지 60cm, 세로 50 내지 60cm, 높이 10 내지 20cm의 직육면체 형상의 패널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 5에서 압축된 톱밥은 직사광선을 피해 실온에서 보관하도록 하며, 다수의 압축된 톱밥을 톤백(ton-bag)에 넣어 포장하고, 상기 톤백을 보관창고에 보관하거나, 시장에 출하한다.
한편, 상기 압축된 톱밥의 사용은 단단한 바닥(콘크리트 바닥 등)에 떨어트리고, 깨서 가루 형태로 변환한 다음 축사의 바닥 등에 깔아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 실시예 1>
벌목이나 제재소 등에서 발생하는 소나무 톱밥을 50mesh 여과스크린이 달린 여과선별기 넣고 50rpm으로 통과시켜 톱밥에 함유된 수피 및 돌, 모래, 못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톱밥을 회전식 건조기에 넣고, 1차로 550℃의 열을 가하여 건조하고, 2차로 100℃의 열을 가하며, 상기 회전식 건조기를 5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고, 톱밥의 함수율이 10%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그와 동시에, 혼합용기에 물 30 중량부를 넣고, 그 속에 요오드포르소독액(유효요오드 2.75%기준) 3 중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5 중량부 및 옥수수 전분 8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독제를 만들었다.
다음으로 상기 소독제를 회전식 건조기에 들어 있는 톱밥에 상기 소독제를 투입시켰다. 이때 상기 소독제는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투입시켰다. 그리고 회전식 건조기를 다시 50rpm으로 회전시켜 상기 소독제와 톱밥이 골고루 섞이도록 교반하였다. 여기서 건조기에 다시 열을 가하지 않으나, 톱밥이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알데히드계 살균제의 글루타르알데히드에 의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따라서 적절히 환기를 요하며, 환기가 되는 장소에서 교반 작업을 하는 것이 좋으며, 작업자는 방독마스크 등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제가 함유된 톱밥을 수평 압축기의 성형틀에 넣고, 150톤의 압력을 가하여 가로 50cm, 세로 50cm, 높이 20cm의 육면체 형상의 패널로 성형하였다.
<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소독제로써 요오드포르소독액(유효요오드 2.75%기준) 2 중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4 중량부 및 염화벤잘코늄 2 중량부를 소독제로 사용하여 톱밥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소독제로써 요오드포르소독액(유효요오드 2.75%기준) 2 중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4 중량부 및 세트리미드 2 중량부를 소독제로 사용하여 톱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소독제에서 옥수수 전분을 제외시켜 톱밥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를 포함하는 톱밥의 소독제 방출 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 후 톱밥을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톱밥 시료를 취하여 밀폐된 용기에 약 1시간 정도 보관한 후에 글루타르알데히드 특유의 냄새가 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후 2일 후 5일 후 7일 후
실시예 1 강한 냄새 있음 강한 냄새 있음 약한 냄새 있음 약한 냄새 있음
비교예 약한 냄새 있음 냄새 없음 냄새 없음 냄새 없음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를 포함하는 톱밥을 이용하여 제조된 톱밥의 경우, 톱밥을 제조 한 후 7일 이후까지 소독제 성분이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톱밥에 비해서 소독효과의 지속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독제 함유 톱밥의 경우, 톱밥 자체가 소독이 됨은 물론이거니와, 제조 이후의 보관 및 축사깔개로의 사용 단계에서도 일정한 소독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소독제를 함유한 축사깔개용 톱밥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톱밥을 축사바닥에 깔되, 톱밥의 두께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게 5~10cm의 두께로 깔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톱밥은 톱밥에 소독제 성분이 지속적으로 남아 있으므로, 축사는 물론, 상기 톱밥에 접촉되는 가축의 구제역 및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용도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톱밥을 여과기에 투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톱밥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500 내지 600℃로 1차 건조한 후, 다시 80 내지 120℃로 2차 건조하되, 톱밥의 함수율은 5 내지 15%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건조기의 회전 속도는 10 내지 100RPM을 유지하는 단계(단계 2);
    물 30 중량부에 대하여 글루타르알데히드 3 내지 5 중량부, 요오드포르소독액 3 내지 5 중량부 및 전분 7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독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2차 건조가 끝난 후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계 3의 소독제를 30 내지 35 중량부 살포하고 교반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의 톱밥을 압축기에 넣고, 패널 형상으로 압축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소독제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톱밥은 톱밥 100 중량부에 대해서 통왕겨 40 내지 50 중량부를 톱밥에 혼합시킨 통왕겨가 혼합된 톱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KR1020110011848A 2011-02-10 2011-02-10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04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48A KR101040990B1 (ko) 2011-02-10 2011-02-10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48A KR101040990B1 (ko) 2011-02-10 2011-02-10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990B1 true KR101040990B1 (ko) 2011-06-16

Family

ID=4440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48A KR101040990B1 (ko) 2011-02-10 2011-02-10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830A (ko) 2017-03-02 2018-09-12 조영준 요오드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A (ja) * 1992-06-22 1994-01-11 Solvay Umweltchem Gmbh 動物用敷きわら及びその製法
KR20060081473A (ko) * 2005-01-07 2006-07-13 최혜원 축사용 깔판 조성물과 그 깔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A (ja) * 1992-06-22 1994-01-11 Solvay Umweltchem Gmbh 動物用敷きわら及びその製法
KR20060081473A (ko) * 2005-01-07 2006-07-13 최혜원 축사용 깔판 조성물과 그 깔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830A (ko) 2017-03-02 2018-09-12 조영준 요오드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9340A (en) Absorbent composition for animal excreta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01007746A (zh) 抗重茬高效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EP2846626B1 (en) Bedding for ungulates and its recycling into compost
JP2014039526A (ja) 養豚敷床システム
CN104430357A (zh) 一种含有丁香菌酯及起协同作用的杀菌剂的组合物
CN104151087B (zh) 一种药肥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和施用方法
CN109042357A (zh) 一种用于奶牛牛床的发酵垫料
CN105076218B (zh) 一种杀菌组合物
KR101174501B1 (ko) 친환경 기능성 원예용 포트
KR101040990B1 (ko) 소독제 함유 축사깔개용 톱밥 및 그 제조방법
JPH0959080A (ja) 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502257A (ja) ハエ及び他の昆虫の防除のための基材、その生産方法並びに動物用ベッドとしての前記基材の使用
CN101167463A (zh) 一种戊唑醇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JP6867613B1 (ja) 畜舎環境改善用分散液及び畜舎環境改善方法
JP4901070B2 (ja) 粒状忌避剤の製造方法
Munshi et al. Button mushroom cultivation
CN100362919C (zh) 农用杀菌剂绿色木霉·烯酰吗啉水分散片剂或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JP2010001263A (ja) 野菜及び花卉植物の食害防止剤
KR20120091521A (ko) 구제역 소독제를 함유한 축사 깔개용 압축톱밥 및 그 제조방법
CN101167462A (zh) 一种己唑醇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CN101167455A (zh) 亚胺唑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JP3585919B2 (ja) 木酢液及び該木酢液の製造システム
US12114657B1 (en) Compositions for use in animal housing
KR102318436B1 (ko) 멀칭지용 생분해 기능성 코팅조성물 및 그에 의해 코팅된 멀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