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3604B1 - 조향 모멘트의 인가에 의해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조향 모멘트의 인가에 의해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604B1
KR101023604B1 KR1020040094868A KR20040094868A KR101023604B1 KR 101023604 B1 KR101023604 B1 KR 101023604B1 KR 1020040094868 A KR1020040094868 A KR 1020040094868A KR 20040094868 A KR20040094868 A KR 20040094868A KR 101023604 B1 KR101023604 B1 KR 10102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w rate
moment
driver
steering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029A (ko
Inventor
발터프랑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5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6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62D6/003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in order to control vehicle yaw movement, i.e. around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9Steering assistants using warnings or proposing actions to the driver without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8Control of feed-back to the steering input member, e.g. simulating road feel in steer-by-wire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3Driver counter-steering; Avoidance of conflicts with ESP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오버스티어링되는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차량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에게 올바른 조향 거동을 통지하기 위해, 액츄에이터(9)에 의해 조향 휠(13)에 대해 조향 모멘트(M)가 작용된다.
Figure R1020040094868
차량, 오버스티어링, 주행 동역학, 한계 상황, 조향 거동, 액츄에이터, 조향 휠

Description

조향 모멘트의 인가에 의해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DRIVER BY APPLYING A STEERING MOMEMT IN A DYNAMICALLY LIMITED DRIVING SITUATION}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횡방향 슬립각 및 요잉 속도 조절을 위한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ESP)의 개략도.
도2는 제1 주행 상황에서의 설정 및 실제 요잉율과 조향 모멘트의 곡선.
도3은 제2 주행 상황에서의 설정 및 실제 요잉율과 조향 모멘트의 곡선.
도4는 제3 주행 상황에서의 설정 및 실제 요잉율과 조향 모멘트의 곡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조향 액츄에이터
10 : 주행 동역학적 조절기
12 : 제어 유닛
13 : 조향 휠
14 : 차량
ist/dt : 실제 요잉율
soll/dt : 목표 요잉율
soll2/dt : 추가 목표 요잉율
M : 조향 모멘트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차량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청구범위 제7항의 전제부에 따른 대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ESP(전자식 안정화 프로그램)과 같은 주행 동역학적 조절은 예를 들어 곡선 주행에서의 오버스티어링 시와 같은 한계 상황에서 차량의 제어 능력을 상승시킨다. 개념적으로, 본원에서 주행 동역학적 조절은 액츄에이터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작동에 개입하는 모든 시스템으로 파악된다. 특히 예를 들어 ABS(로킹 방지 제동 시스템), ASR(구동 슬립 조절), ESP, AFS(능동 전륜 조향), 또는 EAS(전자식 능동 조향)와 같은 시스템이 이에 속한다. 공지된 주행 동역학적 조절은 조절을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특히 브레이크, 엔진 관리부 또는 조향 액츄에이터를 사용한다.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에서, ESP는 예를 들어 휠에 영향을 주는 휠 슬립을 조절 변수로 형성한다. 휠 슬립은 차량이 외부 제어로 들어가지 않고서 운전자 희망(곡선 주행, 가속, 제동 등)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맞춰진 주행 거동을 표시하도록 조절된다.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은 이를 위해 (통상 요잉율 센서의 도움으로) 실제 요잉율을 검출하여, 운전자 희망에 따른 목표 요잉율을 계산한다. 실제 상태 변수를 설정 상태 변수에 맞추기 위해 필요한 요잉 모멘트가 조절 편차로부터 계산된다. 그러면, 필요한 요잉 모멘트는 예를 들어 제동 시스템 또는 조향에 영향을 주기 위한 조향 액츄에이터를 위한 제어 신호로 변환된다.
임계 주행 상황에서, 운전자는 예를 들어 너무 강한 제동 또는 너무 강한 조향 변경과 같은 스스로의 잘못된 거동에 의해 주행 상황을 빨리 다시 악화시킨다. 운전자가 그러한 한계 상황에서 잘못 반응하면, 차량이 더 이상 제어되지 않을 수 있거나 적어도 안정화까지의 시간이 대체로 원래 필요한 것보다 더 길게 걸리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가능한 한 신속하고 편리하게 안정화할 수 있는 주행 동역학적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 및 제7항에 주어진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속항의 보호 대상이다.
본 발명의 태양은 예를 들어 차량의 오버스티어링과 같은 임계 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에게 그가 바르게 거동하고 있는 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안정화되는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조향 휠 상에 작용하고, 이는 미끄러지거나 오버스티어링된 차량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다시 정상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운전자가 어느 방향으로 조향해야 하는 지를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조향 모멘트는 양호하게는 요잉율의 조절 편차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도입된다. 선택적으로, 조향 모멘트는 또한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높은 횡방향 가속과의 조합인 높은 조향 속도와 같은 임계 주행 상황을 나타내는 다른 조건이 충족되면, 도입될 수 있다. 그러면, 운전자는 차량을 안정화하기 위해 그가 어느 방향으로 조향해야 하는 지를 그에게 통지하는 조향 모멘트를 조향 휠 상에서 감지한다.
조향 모멘트의 도입은 예를 들어 ESP와 같은 다른 시스템에 의한 추가의 안정화 개입이 필요 없이, 여러 경우에 단독으로 조향 개입 또는 그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에 의해 차량이 안정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제동 개입과 같은 추가의 안정화 개입이 수행된다. 따라서, 차량의 쾌적성 및 민첩성이 개선될 수 있고, 이는 또한 주행의 즐거움에 유용하다.
운전자의 반대 방향 조향이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에 의해 새로운 방향 희망으로서 해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화 기준에 기초하여 평형 모멘트를 계산하도록 안정화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운전자 희망, 즉 목표 요잉율(dΨsoll/dt)을 고정값으로 유지하고(목표 요잉율을 거의 동결시키고), 안정화 기준이 도달된 후에 목표 요잉율을 다시 운전자 희망(조향 휠 각도)에 따라 실현하는 것이 제안된다. 공지된 안정화 기준은, 예를 들어 요잉율의 조절 편차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 미만이거나 실제 요잉율의 구배가 미리 주어진 값 미만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의 제1 단계에서의 조향 컬럼 시스템은 운전자 희망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단계에서는, 추가의 조향 모멘트가 도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요잉율의 조절 편차에 따라 평가될 수 있는 임계 주행 상황이 시작되면 (여기서, P, I, 또는 D 부분이 평가됨), 조향 컬럼 시스템이 더 이상 운전자 희망을 검출하기 위해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 안정화의 목적으로 조향 모멘트를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단계로 상기 시스템이 전환된다. 목표 요잉율은 이러한 단계에서 동결되어 유지된다. 이는 또한 "조향 컬럼 시스템의 이중 사용"으로서 표현될 수 있는데, 제1 단계에서는 운전자 희망이 조향 휠 위치로부터 검출되지만 제2 단계에서는 운전자로부터 기인하지 않으므로 운전자 희망과는 상관없는 추가의 모멘트가 조향 휠 상에 작용하기 때문에 더 이상 운전자 희망 검출이 수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조향 모멘트는 예를 들어 서보 모터와 같은 서보 장치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와 같은 다른 조향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모멘트를 조향 휠 상에 작용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공지된 서보 장치는 통상 조향 과정에서 운전자를 보조하도록 설치된다.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보조 모멘트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반대 방향 조향을 위해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유압 모터 또는 전기 모터와 같은 조향 액츄에이터가 사용되어 조향 모멘트를 작용시키고 운전자에게 올바른 조향 거동에 대해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용하는 조향 모멘트는 양호하게는 운전자에 의해 극복될 수 있도록 할당된다. 특히, 조향 모멘트는 운전자의 손이 조향 휠로부터 미끄러질 정도로 강하지는 않다. 이는 운전자가 이후에 조향 과정에 대한 제어를 유지하고 조향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조향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용하는 반대 방향 모멘트는 양호하게는 차량이 다시 안정화되기 시작할 때, 다시 저하된다. 안정화에 대한 기준은 예를 들어 실제 요잉율의 구배가 다시 감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향 모멘트는 양호하게는 실제 요잉율의 구배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 미만이면 저하된다.
실제 요잉율이 제1 조향 개입 이후에 다시 목표 요잉율에 대해 증가하면, 즉 차량이 다시 외부 제어로 들어가는 경향이 있으면, 양호하게는 다른 모멘트 개입이 수행된다. 양호하게는 실제 및 목표 요잉율 사이의 편차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보다 크고 실제 요잉율의 구배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조향 모멘트는 새롭게 인가된다. 따라서, 차량은 또한 차량이 새롭게 외부 제어로 들어가고 최종의 불안정 상태가 짧은 시간 경과되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된 조향 모멘트의 크기는 목표 요잉율, 조절 편차 또는 이의 미분의 함수이다. 따라서, 조향 모멘트의 크기는 각각의 주행 상황에 대해 더욱 양호하게 맞춰질 수 있다.
차량의 횡방향 동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주행 동역학적 조절은 실제 요잉율을 검출하기 위한 요잉율 센서와, 운전자 희망에 기초하여 목표 요잉율을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갖는 제어 유닛과, 차량이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 존재할 때 조향에 대한 모멘트를 인가하도록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조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 될 것이다.
도1은, 대체로 종래 기술로부터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횡방향 슬립각 및 요잉 속도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주행 동역학적 조절부(ESP)의 전체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된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은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다시 안정화하기 위해 조향 휠(13) 상에 작용하는 조향 모멘트(M)를 통해 그가 어느 방향으로 조향해야 하는 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 유닛(12)에 의해 제어되는 조향 액츄에이터(9)가 제공된 점에서 공지된 시스템과 다르다. 보통의 운전자는 정상적인 주행 거동 시에 그가 오버스티어링된 차량을 정상 상태로 되돌려야 하는 상황을 거의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에서 종종 잘못 반응하게 된다. 조향에 대한 보조 모멘트(M)의 도입에 의해, 운전자는 오버스티어링된 상황에서 그가 어떻게 최선으로 반응해야 하는 지와 같은 통지를 받는다. 도입된 모멘트는 양호하게는 고정값을 갖는 펄스형 신호(직사각형 신호)이다.
공지된 조절 시스템은 조절 영역인 차량(14)과, 조절기 입력 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들(1 - 5)과, 제동력 및 구동력을 작용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들(6, 7)과, 상위에 놓인 주행 동역학적 조절기(10) 및 하위에 놓인 슬립 조절기(11)로 구성된 계층적(hierarchic) 조절기를 포함한다. 조절기 기능은 제어 유닛(12) 내에서 실시된다.
횡방향 슬립각 또는 요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위에 놓인 조절기(10)는 슬립 조절기(11)에 설정값을 목표 슬립(λSo)의 형태로 제공한다. 개별 휠에 대해 설정되어야 하는 목표 슬립(λSo)은 차량의 실제 거동과 목표 거동 사이의 조절 차이의 함수이다. 목표 거동은 조향 휠 각도 센서(3; 조향 희망), 허용 압력 센서(2; 지연 희망), 및 엔진 관리부(7; 구동 모멘트 희망)의 신호로부터 생성된다. 이로부터, 목표 요잉율(dΨsoll/dt)은 예를 들어 소위 "단일 트랙 모델"에 의해 계산된다. 실제 요잉율은 예를 들어 요잉율 센서(4)로부터 생성된다.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주행 동역학적 조절기(10) 내에서는 개별 휠에 대해 필요한 목표 슬립이 검출된다. 계산된 목표 슬립(λSo)은, 개별 휠에 대해 필요한 제동력 또는 구동력을 설정하는 액츄에이터인 "제동 유압부(6)" 및 "엔진 관리부(7)"에 대해 상응하는 지시로 변환되어 차량을 안정화시킨다.
전체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에, 불안정한 주행 상황에서 먼저 조향 액츄에이터(9)에 의해 조향 휠(13)에 대한 조절 개입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 차량이 이에 의해 안정화되지 않은 경우에만 추가의 제동 개입 또는 구동 개입이 수행되도록 설계된다.
조향 보조 기능의 작동 방식은 다음에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2는 다양한 요잉율(dΨ/dt)의 곡선을 도시하고, dΨist/dt는 요잉율 센서(4)로부터 송출된 실제 요잉율이고, dΨsoll/dt는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에 의해 고려되는 (부분적으로 동결되는) 목표 요잉율이고, dΨsoll2/dt는 운전자 요구 또는 조향각에 의해 결정되는 (추가의) 목표 요잉율을 표시한다.
여기서, 0과 t1 사이의 시간 간격은 운전자가 계속해서 곡선 내로 조향하는 곡선 주행을 설명한다 (실제 요잉율(dΨist/dt)이 상승한다).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조향 휠 각도(δL) 및 차량 속도(운전자 희망)로부터, 센서(5)에 의해 측정된 횡방향 가속 및 다른 기하학적인 보조 변수를 고려하여, 목표 요잉율(dΨsoll/dt)이 계산될 수 있다. 차량이 오버스티어링되면, 실제 요잉율(dΨist/dt)은 원래 목표 요잉율(dΨsoll/dt)에 따라야 하는 것보다 더 빨리 상승한다. 즉, 차량은 원래의 운전자 희망과 관련하여 수직축에 대해 너무 빨리 회전한다.
시점(t1)에서, 조절 편차는 미리 주어진 임계값을 초과한다. 이 때, 제어 유닛(12)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에게 그가 어느 방향으로 조향해야 하는 지를 표시하는 회전 모멘트(M)를 조향 휠 상에 작용하는 조향 액츄에이터(9)가 활성화되어 차량을 안정화시킨다. 반대 방향 모멘트가 보통의 운전자에 의해 오버스티어링될 수 있도록 계산된다. 운전자가 조향 시스템의 설정을 따르면, 대체로 훈련되지 않은 운전자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차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공지된 조향 액츄에이터(9)는 예를 들어 전기 서보 모터, 또는 전자 장치에 의해 상응하게 제어되는 서보 조향기의 유압 펌프이다. 이에 의해, 기존의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별도의 조향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조향 모멘트(M)의 작용으로, 시점(t1) 이후에 또한 차량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만(실제 요잉율(dΨist/dt)이 갑작스럽게 상승하지만), 이러한 제어 손실 단계는 비교적 짧고 시점(t2)에서 그의 최대값에 도달한다. 조향 모멘트(M)는 이러한 예에서, 실제 요잉율(dΨist/dt)이 다시 저하될 때가지 유지된다. 즉, 모멘트(M)의 비활성화를 위한 임계값은 위의 경우에 (dΨist/dt)/dt = 0이다. 선택적으로, 모멘트(M)를 복원하기 위한 임계값도 프로그램될 수 있다.
곡선(dΨsoll2/dt)은 조향각으로부터 검출되는 요잉율의 곡선을 도시한다. 여기서, 반대 방향 조향이 잘 인식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는 강하게 변경된 조향 휠 위치(시점(t1))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조향하여, 또한 조향 휠(13)의 중립 위치를 넘는다. 시점(t2) 이후에, 운전자는 다시 곡선 내로 조향한다 (목표 요잉율 상승).
운전자의 반대 방향 조향은 차량의 주행 동역학적 조절과 관련하여 다음의 문제점을 갖는다. 대향 위치된 곡선 내로 조향하는 것(예를 들어, 좌향 곡선을 주행하기 전에 우향 곡선이 있는 경우 등)이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에 의해 운전자의 희망으로서 해석되면, 차량은 운전자에 의해 반대 방향 조향을 통한 안정화가 시도되는 오버스티어링 상황으로 들어간다. 또한, 차량은 그가 이후에 따라야 하는 좌향 곡선 내에 계속해서 존재한다. 차량은 이러한 좌향 곡선 내에서 이제 안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반대 방향 조향(dΨsoll2/dt)을 무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목표 요잉율(dΨsoll/dt)은 조절 단계 중에, "중요한 값"으로 고정(동결)된다. 이러한 중요한 값은 운전자에 의해 반대 방향 조향 이동 이전에 미리 주어지는 값이다. 상기 예에서, 시스템에 의해 고려되는 목표 요잉율(dΨsoll/dt)은 시점(t1)에서 조절 임계값을 초과하기 전에 사전 제공된 값으로 동결된다. 목표 요잉율(dΨsoll/dt)은 안정화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위의 경우에는 요잉율 센서(4)에 의해 송출되는 실제 요잉율(dΨist/dt)이 미리 주어진 임계값에 미만될 정도로 동결된 목표 요잉율(dΨsoll/dt)에 접근할 때까지 이러한 값으로 유지된다. 이는 시점(t3)에서의 경우이다. 먼저, 이러한 시점(t3)에서, 추가의 조향각이 다시 고려되고, 목표 요잉율(dΨsoll/dt)의 현재값이 계산된다. 시점(t3) 이후에, 차량은 다시 안정화된다.
도3의 (a)는 초기에 대체로 도2의 (a)의 상황에 대응하는 주행 상황에서의 목표 요잉율(dΨsoll/dt) 및 실제 요잉율(dΨist/dt)을 도시한다. 운전자는 차량이 오버스티어링되는 곡선 내로 조향하며, 시점(t1)에서 발생한다. 실제 요잉율(dΨist/dt)과 목표 요잉율(dΨsoll/dt) 사이의 최대 편차의 초과 시에, 다시 조향에 대해 반대 방향 모멘트(M)가 작용한다. 반대 방향 모멘트(M)는 시점(t2)에서 다시 저하된다. 시점(t2) 이후에, 실제 요잉율(dΨist/dt)은 다시 시점(t3)까지 감소되어, 시점(t3)에서 최소값에 도달하고 그 후에 다시 상승한다. 시점(t3)에서, 실제 요잉율(dΨist/dt)과 목표 요잉율(dΨsoll/dt) 사이의 편차는 미리 주어진 임계값보다 훨씬 크다. 동시에, 실제 요잉율의 구배는 미리 주어진 구배 임계값을 초과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dΨist/dt)/dt = 0). 두 조건이 충족되면, 조향 액츄에이터(9)는 시점(t3)에서 새롭게 활성화되어 조향 모멘트(M)가 조향기 및 조향 휠(13)에 대해 작용한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운전자는 다시 반대 방향 조향 작동을 수행하여 (주행 동역학적 조절에 의해 고려되지 않는 추가의 목표 요잉율(dΨsoll2/dt) 참조), 실제 요잉율(dΨist/dt)이 시점(t4)으로부터 다시 감소된다. 시점(t4)에서, 실제 요잉율(dΨist/dt)의 구배에 대한 임계값이 미달되어 반대 방향 모멘트(M)가 복원된다.
시점(t5)에서, 실제 요잉율(dΨist/dt) 및 목표 요잉율(dΨsoll/dt)이 다시 접근하여, 목표 요잉율(dΨsoll/dt)이 활성화되고 추가의 운전자 희망에 맞춰진다.
도4의 (a)는 차량을 안정화하기 위해 운전자가 여러 번 반대 방향 조향하는 주행 상황에서의 실제 요잉율(dΨist/dt) 및 목표 요잉율(dΨsoll/dt)의 곡선을 도시한다. 여기서, 시점(t1과 t2; t4와 t5; 또는 t6와 t7) 사이에서, 조향 모멘트가 조향 휠(13) 상에 작용한다. 그러나 도3의 (a)의 상황과 다르게, 목표 요잉율은 반대 방향 조향 작동 이후에 시점(t3)에서 활성화되는데, 이는 실제 요잉율(dΨist/dt)과 동결된 목표 요잉율(dΨsoll/dt) 사이의 차이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보다 작고 실제 요잉율(dΨist/dt)의 구배가 0보다 작기 때문이다. 시점(t5) 및 시점(t7)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반해, 시점(t4)에서 목표 요잉율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고, 이는 실제 요잉율(dΨist/dt)의 구배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을 초과하기 때문이다.
조향 모멘트를 인가하기 위한 위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운전자가 한계 상황에서 바르게 반응하고 차량이 신속하게 다시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주행 동역학적 조절 시스템(예를 들어, ESP)은 운전자가 설정을 따르기만 하면, 조절할 필요가 없다. 차량이 미끄러지면, 조절이 개입하여 제동 개입 또는 구동 개입을 통해 차량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동역학적 조절에 의하면, 임계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가 바르게 반응하고, 차량이 신속하게 안정화되어 제어될 수 있다.

Claims (9)

  1.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차량(14)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행 동역학적으로 임계 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다시 안정화하기 위해 어느 방향으로 조향해야 하는 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조향 휠(13)에 대해 모멘트(M)가 작용하고,
    목표 요잉율(dΨsoll/dt)은 모멘트(M)의 도입 중에 고정값으로 유지되고, 그 다음 미리 주어진 안정화 기준이 충족된 경우에야 비로소 다시 목표 요잉율(dΨsoll/dt)의 새로운 값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멘트(M)는, 운전자가 모멘트(M)의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조향 휠(13)을 조작할 때 운전자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값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멘트(M)는 실제 요잉율(dΨist/dt)의 구배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 미만이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정된 조향 모멘트(M)의 크기는 목표 요잉율(dΨsoll/dt) 또는 조절 편차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실제 요잉율(dΨist/dt)과 목표 요잉율(dΨsoll/dt) 사이의 편차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보다 크고 실제 요잉율(dΨist/dt)의 구배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멘트(M)와는 다른 모멘트의 개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차량(14)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2 - 7, 11)와,
    -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조향 휠(13)에 대해 모멘트(M)를 도입하기 위한 액츄에이터(9)를 포함하고,
    목표 요잉율(dΨsoll/dt)은 모멘트(M)의 도입 중에 고정값으로 유지되고, 그 다음 미리 주어진 안정화 기준이 충족된 경우에야 비로소 다시 목표 요잉율(dΨsoll/dt)의 새로운 값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모멘트(M)는 실제 요잉율(dΨist/dt)의 구배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 미만이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실제 요잉율(dΨist/dt)과 목표 요잉율(dΨsoll/dt) 사이의 편차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보다 크고 실제 요잉율(dΨist/dt)의 구배 가 미리 주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다른 보조 모멘트 개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094868A 2003-11-22 2004-11-19 조향 모멘트의 인가에 의해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23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4662A DE10354662B4 (de) 2003-11-22 2003-11-2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stützen des Fahrers eines Kraftfahrzeugs in fahrdynamischen Grenzsituationen
DE10354662.6 2003-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029A KR20050050029A (ko) 2005-05-27
KR101023604B1 true KR101023604B1 (ko) 2011-03-21

Family

ID=3453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3604B1 (ko) 2003-11-22 2004-11-19 조향 모멘트의 인가에 의해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23604B1 (ko)
DE (1) DE10354662B4 (ko)
FR (1) FR2862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1413A1 (de) * 2004-08-26 2006-03-02 Volkswagen Ag Elektromechanische Lenkung mit dynamischer Lenkempfehlung
DE102005018471B4 (de) 2005-04-21 2024-03-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abilisier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06025254A1 (de) 2006-05-31 2007-12-06 Volkswagen Ag Elektromechanische Lenkung mit Lenkempfehlung
DE102009008843B4 (de) * 2009-02-13 2017-05-04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eines Kraftfahrzeugs und Servolenk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9035634B4 (de) 2009-07-31 2012-06-28 Audi Ag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Kraftfahrzeugs während eines Schleudervorgangs und entsprechendes Kraftfahrzeug
US8903610B2 (en) * 2013-03-12 2014-12-0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assist torque based on a vehicle state
JP2015013583A (ja) * 2013-07-05 2015-01-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4211452B4 (de) 2013-08-13 2016-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eines Fahrzeugs in einer instabilen Fahrsituation sowie zugehöriges Lenksystem und entsprechend ausgestattetes Fahrzeug
EP2907730B1 (en) 2014-01-29 2017-09-0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Hands on steering wheel detect
DE102014005011A1 (de) 2014-04-05 2015-10-08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abilisierung eines erfassten instabilen Fahrzustands eines Kraftfahrzeugs
US10589774B2 (en) 2015-05-01 2020-03-1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Counter rotation steering wheel
US10351159B2 (en) 2015-05-01 2019-07-1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with a radially projecting attachment
US9919724B2 (en) 2015-05-29 2018-03-2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with manual retrieval
US11560169B2 (en) 2015-06-11 2023-01-2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system and method
US10343706B2 (en) 2015-06-11 2019-07-0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DE102016110791A1 (de) 2015-06-15 2016-12-1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Gestensteuerung für ein einfahrbares Lenkrad
US10577009B2 (en) 2015-06-16 2020-03-0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US9828016B2 (en) 2015-06-24 2017-11-28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DE102016111473A1 (de) 2015-06-25 2016-12-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ationäre lenkradbaugruppe und verfahren
US20160375931A1 (en) 2015-06-25 2016-12-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otation control system for a steering wheel and method
US10112639B2 (en) 2015-06-26 2018-10-3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Vehicle steer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840271B2 (en) 2015-06-29 2017-12-1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with rake limiter
US9849904B2 (en) 2015-07-31 2017-12-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with dual actuators
US9845106B2 (en) 2015-08-31 2017-12-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Overload protection for belt drive mechanism
DE102016218414B4 (de) * 2015-10-12 2019-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stützen eines Fahrers eines Kraftfahrzeugs in einer fahrdynamischen Grenzsituation
DE102016218424B4 (de) 2015-10-13 2021-1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hrerassistenzsystem
US10160472B2 (en) 2015-10-20 2018-12-2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with stationary hub
US9809155B2 (en) 2015-10-27 2017-11-0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lever, vehicle having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US10029725B2 (en) 2015-12-03 2018-07-2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orque feedback system for a steer-by-wire vehicle, vehicle having steering column, and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 vehicle
DE102016001125B4 (de) 2016-02-02 2025-01-23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zum Unterstützen eines Fahrers bei einem Schleudervorgang und Kraftfahrzeug
DE102017201231B4 (de) 2016-03-08 2019-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sweichassistenzsystems sowie Fahrerassistenz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10496102B2 (en) 2016-04-11 2019-12-0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DE102017108692B4 (de) 2016-04-25 2024-09-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uerung einer elektrischen Servolenkung unter Verwendung von Systemzustandsvorhersagen
US10351161B2 (en) 2016-05-27 2019-07-1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with manual retraction
CN107521547B (zh) 2016-06-21 2020-03-10 操纵技术Ip控股公司 转向柱组件的自锁伸缩式致动器
US10457313B2 (en) 2016-06-28 2019-10-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ADAS wheel locking device
US10363958B2 (en) 2016-07-26 2019-07-3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mode determination and transitioning
US10160477B2 (en) 2016-08-01 2018-12-2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column assembly
US10189496B2 (en) 2016-08-22 2019-01-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assembly having a telescope drive lock assembly
US10384708B2 (en) 2016-09-12 2019-08-2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Intermediate shaft assembly for steer-by-wire steering system
US10160473B2 (en) 2016-09-13 2018-12-2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decoupling system
US10399591B2 (en) 2016-10-03 2019-09-0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mpensation with grip sensing
US10239552B2 (en) 2016-10-14 2019-03-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otation control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US10481602B2 (en) 2016-10-17 2019-11-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ensor fusion for autonomous driving transition control
US10421475B2 (en) 2016-11-15 2019-09-2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lectric actuator mechanism for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manual override
US10310605B2 (en) 2016-11-15 2019-06-0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steering system controls
US9862403B1 (en) 2016-11-29 2018-01-0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anually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utonomous vehicle
US10351160B2 (en) 2016-11-30 2019-07-1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sensor assembly
US10780915B2 (en) 2016-12-07 2020-09-2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Vehicle steering system having a user experience based automated driving to manual driving transition system and method
US10370022B2 (en) 2017-02-13 2019-08-0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utonomous vehicle
US10385930B2 (en) 2017-02-21 2019-08-2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Ball coupling assembly for steering column assembly
US10449927B2 (en) 2017-04-13 2019-10-2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system having anti-theft capabilities
US10875566B2 (en) 2018-03-22 2020-12-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ow release assembly for a manually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10974756B2 (en) 2018-07-31 2021-04-1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Clutch device latching system and method
DE102019216908A1 (de) * 2019-11-04 2021-05-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Warnsignals am Lenkrad eines Fahrzeu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371A (ja) 1986-01-24 1987-07-30 Nissan Motor Co Ltd 操舵反力制御装置
KR930007748A (ko) * 1991-10-23 1993-05-20 나까무라 히로까즈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H05270419A (ja) * 1992-03-27 1993-10-19 Toyota Motor Corp 車両運動制御装置
JP2003285762A (ja) 2002-03-29 2003-10-07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4235B2 (ja) * 1995-08-31 2004-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操舵力補正装置
US5684700A (en) * 1995-12-05 1997-11-0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daptive steering control using vehicle slip angle and steering rate
DE19650691C2 (de) * 1996-12-07 1998-10-29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Verfahren zur Lenk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Straßenfahrzeugs
GB2372020A (en) * 2001-02-07 2002-08-14 Lucas Industries Ltd Haptic controller for electrically-assisted power steering in road vehicles
DE10122153A1 (de) * 2001-05-08 2002-1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e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141425B4 (de) * 2001-08-23 2006-05-11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fahrzustandsabhängigen Lenkunterstütz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371A (ja) 1986-01-24 1987-07-30 Nissan Motor Co Ltd 操舵反力制御装置
KR930007748A (ko) * 1991-10-23 1993-05-20 나까무라 히로까즈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H05270419A (ja) * 1992-03-27 1993-10-19 Toyota Motor Corp 車両運動制御装置
JP2003285762A (ja) 2002-03-29 2003-10-07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62595A1 (fr) 2005-05-27
DE10354662B4 (de) 2012-11-15
FR2862595B1 (fr) 2008-06-27
DE10354662A1 (de) 2005-06-23
KR20050050029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04B1 (ko) 조향 모멘트의 인가에 의해 주행 동역학적 한계 상황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418329B2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JP4777257B2 (ja) 車両を安定化させる際に車両操作者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062382B2 (en) Video enhanced stability control in road vehicles
KR101028945B1 (ko) 차량 조향시 운전자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EP2251235B1 (en) Vehicle stability control device
US8892305B2 (en) Mo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8983724B2 (en) Method for setting an actuator that influences the driving dynamics of a vehicle
US2009013815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uperposed steer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02127886A (ja) 車両の姿勢制御装置
US7792620B2 (en) Driving dynamics control adapted to driving conditions and based on steering interventions
JP2008537920A (ja) 衝突後における車両の安定化方法および装置
KR102067914B1 (ko) 노면 상에서의 수막현상의 경우 운전자들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JP2010530827A (ja) 車両状態変数の自動補正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3707405B2 (ja) 車線逸脱警告装置
CN112298163B (zh) 车辆用干扰应对系统
US20190023263A1 (en) Behavior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4956035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300599B1 (ko) 자동차의 조향 보조 토크 제어 방법
US11858574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control method
JP2005145358A (ja) 制動方法及び制動装置
JP2001088583A (ja) 車両の挙動制御装置
KR100695429B1 (ko) 이에스피를 이용한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타력 제어방법
JP2006159991A (ja) 車輌用操舵制御装置
JP544474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