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2197B1 -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197B1
KR101022197B1 KR1020100049041A KR20100049041A KR101022197B1 KR 101022197 B1 KR101022197 B1 KR 101022197B1 KR 1020100049041 A KR1020100049041 A KR 1020100049041A KR 20100049041 A KR20100049041 A KR 20100049041A KR 101022197 B1 KR101022197 B1 KR 10102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yl methacrylate
slip
wax
slip packa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태윤
Original Assignee
(주)새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새론테크
Priority to KR102010004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1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25 내지 45 중량%; 실리카 샌드, 보크사이트, 제강슬러그, 호두 껍질, 대나무 껍질, 컬러 샌드, 및 글라스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골재 30 내지 45 중량%; 벤톤,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황산바륨, 및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진제 15 내지 30 중량%; 기능성 충진제 3 내지 10 중량%; 체질 안료 2 내지 5 중량%; 및 왁스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속경성이라 경화속도가 빠르고,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극 내부에 침투성이 우수하여 피착제와 일체화되고 겨울철 영하의 온도에서도 내충격성이 저하되지 않고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없어 내후성이 우수하고 시인성을 유지함으로써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고 빗길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Pavement composition for anti-slip}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 등에 포장하여 제동거리를 단축하고 빗길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발전함과 동시에 차량의 이용률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교통의 원활한 소통과 안전을 위하여 많은 도로의 건설과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시설물을 설치하고 있으며, 한편 도로건설을 위한 도로포장방법으로서는 기초가 되는 노반 및 두께 2~3㎝이상의 표층을 가진 아스팔트 포장 또는 노반과 그 위의 콘크리트판으로 이루어지는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끄럼방지 포장은 포장의 미끄럼 저항을 높여 자동차의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시설로서, 노면의 미끄럼 저항이 낮아진 곳,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이 불량한 곳 등에 포장 면의 미끄럼 저항을 높여주어 자동차의 제동거리를 짧게 하거나 또는 학교 통학로, 횡단보도 등과 같이 사람들이 보행하는 도로의 식별력을 높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그리고 미끄럼방지 포장은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수준의 미끄럼 저항이 확보되지 못하는 구간에 설치하여 마찰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즉 도로의 사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포장의 미끄럼저항이 전 구간에 걸쳐서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포장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미끄럼 저항을 높이기 위해 미끄럼방지용 도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로를 보수하며, 최근 이러한 미끄럼방지용 도포제 조성물은 도로 이외에도 보행 시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인 건축물의 옥상, 야외주차장, 공원 등에도 도포함에 따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752134호는 고형 에폭시 수지 60 내지 80 wt%, 안료 10 내지 15 wt%, 활석 3 내지 10 wt%, 황산바륨 1 내지 5 wt%, 반응성 희석제 5 내지 15 wt%, 카플링제 1 내지 5 wt%로 이루어진 주제와, 변성 폴리 아민 80 내지 90 wt%, 벤질알콜 5 내지 15 wt%, 경화촉진제 5 내지 10 wt%로 이루어진 경화제와,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3~4:1의 중량비로 조성하고, 여기에 제강 슬래그, 규석 또는 자연석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재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728862호는 5종 시멘트(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중용열 시멘트, 조강 시멘트, 저열 시멘트, 내황산염 시멘트)와 혼합시멘트 및 특수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멘트 20~70 중량%, 감수제 0.02~1.5 중량%, 증점제 0.005~0.08 중량%, 팽창제 1~10 중량%, 골재 20~75 중량%를 용기나 믹서에 함께 모아서 혼합하여 분체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개시된 특허들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공한 미끄럼방지 포장의 경우에는 대형 트럭의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포장 면들이 쉽게 균열하거나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극 내부에 침투성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저하되지 않고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없으며 미끄럼 저항성이 뛰어나 빗길, 내리막 구간 등 운전자 위험 구간에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25 내지 45 중량%; 실리카 샌드, 보크사이트, 제강슬러그, 호두 껍질, 대나무 껍질, 컬러 샌드, 및 글라스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골재 30 내지 45 중량%; 벤톤,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황산바륨, 및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진제 15 내지 30 중량%; 기능성 충진제 3 내지 10 중량%; 체질 안료 2 내지 5 중량%; 및 왁스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속경성이라 경화속도가 빠르고,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극 내부에 침투성이 우수하여 피착제와 일체화되고 겨울철 영하의 온도에서도 내충격성이 저하되지 않고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없어 내후성이 우수하고 시인성을 유지함으로써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고 빗길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25 내지 45 중량%; 골재 30 내지 45 중량%; 벤톤,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황산바륨, 및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진제 15 내지 30 중량%; 기능성 충진제 3 내지 10 중량%; 체질 안료 2 내지 5 중량%; 왁스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20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20 내지 8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올레핀형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개질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3 내지 15 중량%를 투입하고, 경화촉진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도로에 우수한 접착력을 지니고, 우수한 바인더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여 차량의 지속적인 하중에 의한 크랙 및 탈락현상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의 함량이 적어 하지면과 접착력 저하, 바인더로서의 역할이 미흡하여 골재 탈락 현상을 일으켜 바람직하지 못하고, 4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 및 바인더로서 양호한 물성을 가지나 수지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표면 미끄럼 저항이 떨어져 빗길, 내리막 구간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력이 우수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Methyl MethAcrylate) 수지를 이용한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조성물 중 주성분이 되는 바인더로서 사용이 되고 있다.
또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에틸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투입하면 유리전이온도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수지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경화도막 물성의 내한성이 향상되어 겨울철 영하의 기온에서 도막 물성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올레핀형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개질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은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들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투입시에 도막이 강인하여 내충격성 저하로 인한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점도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도막 물성이 연성으로 변해 차량의 하중에 의해 제품 표면에 바퀴 자국 등 제품의 눌러짐 현상에 의한 미끄럼 저항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화촉진제는 금속염계 코발트, 디메틸 아크릴 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아민계 촉진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촉진제의 함량은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시 겨울철 저온에서 제품 도막 경화속도가 느려져 차량 개방에 시간이 많이 지체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저장 안정성 및 가사시간이 짧아져 시공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여름에는 경화촉진제를 투입시키지 않아도 경화속도가 빠르므로 투입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골재는 실리카 샌드, 보크사이트, 제강슬러그, 호두 껍질, 대나무 껍질, 컬러 샌드, 및 글라스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골재의 함량은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0 내지 4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미끄럼 저항기능 및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4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골재의 과 함유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로 현상 및 두께가 높이 도포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충진제는 벤톤,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황산바륨,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제의 함량은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치수 안정성 및 내마모성, 칙소성(Thixotropic)의 저하를 가져와 미끄럼 기능 저하 및 내구성 저하를 가져오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칙소 상승에 의한 작업성 저하 및 내충격성 저하 등의 영향을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기능성 충진제는 숯 분말 및 중공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에서 기능성 충진제는 숯과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분말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숯 분말은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구멍이 고밀도로 분포되어 있어 제습 및 습도 조절 기능이 탁월하여 결로방지 및 통기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숯 분말은 침투 도막의 알칼리성을 부여하여 중성화된 콘크리트에 알카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원형 중공체 분말인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는 열차폐와 열반사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형 중공체 분말은 입경의 크기가 약 30 ~ 100 ㎛이고, 비중이 0.7 ~ 0.9이며, 융점이 약 1,500 내지 1,900℃인 미세 원형 중공체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세한 원형 중공체 분말인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는 건조 도막층에 열차폐와 열반사 효과를 부여하여 열전도율이 낮고 단열효과를 발휘한다. 여름철 아스팔트의 온도는 태양열 및 차량바퀴의 마찰열을 더해 80 내지 90 ℃까지 상승한다. 이러한 아스팔트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부 온도 상승을 막아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도시 열섬 효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기능성 충진제의 함량은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통기성 또는 단열성의 기능이 충족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기성 또는 단열성의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다른 필수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를 첨가하여 건조 도막층의 표면 TACKY를 방지하여 차량 통행으로 인한 표면오염을 방지하는 프리믹스 형태의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성성분들을 혼합한 프리믹스 제품이라 롤러, 레이크(rake), 스프레이 등으로 1회에 시공으로 제품 도포가 완료되는 간단한 시공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지면 접착 및 골재를 잡아주는 바인더 기능이 우수하여 골재 탈락을 방지하여 오래도록 미끄럼 기능을 유지하여 속경성 제품으로 겨울철에도 시공 후 차량 개방이 빨리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도로의 번잡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도 형성이 우수하여 미끄럼 저항성이 뛰어나 빗길이나 내리막 구간 등의 운전자 위험 구간에서도 운전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에는 50% 벤조일퍼옥사이드의 경화제를 사용한다. 계절별로 온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온도에 따라 투입량을 결정하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를 사용한다. 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투입시 경화속도 지연 및 시편 물성의 강도가 빠른 시간 내에 구현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사 시간이 짧아져 작업성 저하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5g, 에틸아크릴레이트 25g을 혼합한 수지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올레핀형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PE) 8g, 경화촉진제 1g을 혼합하여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4g, 제강슬러그 37g, 벤톤 및 탄산칼슘 19g,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세한 원형 중공체 분말 5g, 체질안료 4g, 폴리에틸렌 왁스 1g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g, 에틸아크릴레이트 30g을 혼합한 수지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올레핀형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8g, 경화촉진제 1g을 혼합하여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g, 제강슬러그 38g, 벤톤 및 탄산칼슘 19g,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세한 원형 중공체 분말 3g, 체질안료 4g, 폴리에틸렌 왁스 1g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g, 에틸아크릴레이트 30g을 혼합한 수지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g, 경화촉진제 1g을 혼합하여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4g, 제강슬러그 38g, 벤톤, 탄산칼슘 및 실리카 18.5g,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세한 원형 중공체 4g, 체질안료 4g, 폴리에틸렌 왁스 1.5g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5g, 에틸아크릴레이트 25g을 혼합한 수지에 폴리메틸메타크릴에이트와 폴리프로필렌 2g을 혼합하고, 경화촉진제 1.5g을 투입하여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8g, 재강슬러그 27g, 벤톤, 탄산칼슘 및 실리카 18g,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세한 원형 중공체 7g, 체질안료 4g, 폴리에틸렌 왁스 1g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5g, 에틸아크릴레이트 25g을 혼합한 수지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올레핀형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17g을 혼합하고, 경화촉진제 1.5g을 투입하여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g, 제강슬러그 42g, 벤톤, 탄산칼슘 및 실리카 20g,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세한 원형 중공체 2g, 체질안료 4g, 폴리에틸렌 왁스 2g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서 사용된 조성물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변성 MMA 수지 34 35 34 38 30
골재 37 38 38 27 42
충진제 19 19 18.5 18 20
기능성 충진제 5 3 4 7 2
체질 안료 4 4 4 4 4
PE 왁스 1 1 1.5 1 2
(단위 : 중량%)
평가 및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시료를 충분히 혼합시켜 도포면에 시공한 다음 KS F 2375(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방법)에 의거 제작한 휠 트래킹 공시체를 이용하여 미끄럼 저항성을 측정하였고, 그리고 KS C 7613(휘도측정방법)에 따라 휘도계(LS-100, MINOLTA)를 이용하여 휘도 성능을 측정하였다.
도포된 구간은 양산 산막공단 내에 폭 3m, 길이 1m의 도로를 4구간으로 구분하여 시험도포하여 시공성을 평가하였고, 시험 도포한 미끄럼방지용 포장구간을 12개월간(2009년 1월 ~ 2010년 1월) 관찰하여 내마모성(ASTM 4060 Taber 시험(H-18, 1 Kg, 1,000 cycle)과 변색, 표면 갈라짐, 부착상태 및 크랙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미끄럼 저항성(BPN) 101 100 100 78 105
휘도(cd/m2) 89 88 88 89 89
건조시간(분/20℃) 35 36 35 38 35
제습 및 열차폐 효과 ×

마모상태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부착상태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

크랙발생상태

3개월
6개월 ×
9개월 ×
12개월 × ×
◎ : 우수, ○ : 양호, × : 미흡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고, 제습 및 열차폐 효과가 우수한 반면, 비교예 1은 미끄럼 저항성이 미흡하고, 비교예 2는 제습 및 열차폐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모두 3 내지 12개월 경과하는 동안 마모상태 및 부착상태가 우수하고 12개월 경과 후에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1은 마모상태 및 부착상태는 우수하나, 6개월 이후부터 크랙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2는 12개월 경과 후 부착성 및 크랙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냈다.
위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속경성이라 경화속도가 빠르고, 부착상태가 양호하고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없어 내후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20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20 내지 8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에 올레핀형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및 개질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3 내지 15 중량% 혼합하고, 경화촉진제로 0.5 내지 2 중량%를 투입하여 제조된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25 내지 45 중량%;
    실리카 샌드, 보크사이트, 제강슬러그, 호두 껍질, 대나무 껍질, 컬러 샌드, 및 글라스 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골재 30 내지 45 중량%;
    벤톤,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황산바륨, 및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충진제 15 내지 30 중량%;
    숯과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분말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기능성 충진제로서, 상기 실리케이트 분말은 입경의 크기가 30 ~ 100 ㎛이고, 비중이 0.7 ~ 0.9이며, 융점이 약 1,500 내지 1,900℃인 미세 원형 중공체 분말인 기능성 충진제 3 내지 10 중량%;
    체질 안료 2 내지 5 중량%; 및
    왁스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진제는 금속염계 코발트, 디메틸 아크릴 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아민계 촉진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20100049041A 2010-05-26 2010-05-26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02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41A KR101022197B1 (ko) 2010-05-26 2010-05-26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41A KR101022197B1 (ko) 2010-05-26 2010-05-26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197B1 true KR101022197B1 (ko) 2011-03-16

Family

ID=4393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2197B1 (ko) 2010-05-26 2010-05-26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19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96B1 (ko) * 2011-06-30 2012-01-11 (주)새론테크 피복 그루빙용 미끄럼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25213B1 (ko) 2011-07-01 2012-03-21 (주) 탄탄대로 노면의 미끄럼 방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82460B1 (ko) 2011-05-16 2012-09-18 듀라케미 (주) 아크릴공중합수지를 바인더로 하는 미끄럼방지제 및 그 미끄럼방지제를 이용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방법
KR101812242B1 (ko) * 2016-06-17 2017-12-26 케이엔케이코팅스 주식회사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2049466B1 (ko) * 2019-05-15 2019-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질소 기체를 이용한 중공 경량 골재의 제조 방법
KR102090316B1 (ko) * 2019-07-22 2020-06-01 (주)새론테크 오염 방지 기능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차열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23085B1 (ko) 2021-02-03 2021-11-09 주식회사 세흥케미칼 속경화형 친환경 단열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속경화형 친환경 단열 바닥재
KR102450179B1 (ko) 2021-11-02 2022-10-05 좌운선 친환경 아크릴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성과 미끄럼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03077B1 (ko) * 2022-08-11 2023-02-23 주식회사 제이에스건설화학 미끄럼방지바닥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2578898B1 (ko) 2023-05-10 2023-09-18 주식회사 홍서 내구성이 개선된 고기능성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 방법
KR102710300B1 (ko) 2023-12-26 2024-09-26 이은비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2750586B1 (ko) * 2024-03-25 2025-01-09 주식회사강원피앤씨 Mma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38B1 (ko) * 2007-01-25 2008-09-02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KR100937181B1 (ko) * 2009-07-27 2010-01-19 (주)새론테크 자전거 전용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38B1 (ko) * 2007-01-25 2008-09-02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KR100937181B1 (ko) * 2009-07-27 2010-01-19 (주)새론테크 자전거 전용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60B1 (ko) 2011-05-16 2012-09-18 듀라케미 (주) 아크릴공중합수지를 바인더로 하는 미끄럼방지제 및 그 미끄럼방지제를 이용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방법
KR101103696B1 (ko) * 2011-06-30 2012-01-11 (주)새론테크 피복 그루빙용 미끄럼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25213B1 (ko) 2011-07-01 2012-03-21 (주) 탄탄대로 노면의 미끄럼 방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12242B1 (ko) * 2016-06-17 2017-12-26 케이엔케이코팅스 주식회사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2049466B1 (ko) * 2019-05-15 2019-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질소 기체를 이용한 중공 경량 골재의 제조 방법
KR102090316B1 (ko) * 2019-07-22 2020-06-01 (주)새론테크 오염 방지 기능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차열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23085B1 (ko) 2021-02-03 2021-11-09 주식회사 세흥케미칼 속경화형 친환경 단열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속경화형 친환경 단열 바닥재
KR102450179B1 (ko) 2021-11-02 2022-10-05 좌운선 친환경 아크릴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성과 미끄럼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03077B1 (ko) * 2022-08-11 2023-02-23 주식회사 제이에스건설화학 미끄럼방지바닥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2578898B1 (ko) 2023-05-10 2023-09-18 주식회사 홍서 내구성이 개선된 고기능성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 방법
KR102710300B1 (ko) 2023-12-26 2024-09-26 이은비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2750586B1 (ko) * 2024-03-25 2025-01-09 주식회사강원피앤씨 Mma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197B1 (ko)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0856420B1 (ko) 차열성을 갖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바인더
KR101065256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그루빙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KR101103696B1 (ko) 피복 그루빙용 미끄럼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94429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2142987B1 (ko)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0955458B1 (ko)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KR101045361B1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0953984B1 (ko) 아크릴계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
KR100927665B1 (ko) 고탄성 mma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체의 보강공법
KR101663588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62203B1 (ko) 미끄럼 방지홈 용 친환경 표면경화 및 방수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0663B1 (ko) 투수 및 차열 기능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강화된 아스팔트컬러 포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컬러 무늬 투수 포장재및 그 시공방법
KR101132207B1 (ko) 도로 노면의 미끄럼방지 및 야간시인성이 개선된 바닥재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바닥재
KR101449480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 및 보도 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9031B1 (ko) 도로의 미끄럼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0757235B1 (ko) 미끄럼방지용 칼라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
KR101663584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일반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6833203A (zh) 一种冷涂快干型彩色路面防滑涂料
KR101310271B1 (ko) 융설 미끄럼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융설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20200032392A (ko) 미끄럼방지용 아크릴계 도료
KR102205323B1 (ko) 혼입골재 침강방지 및 논슬립이 향상된 미끄럼방지 조성물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공법
KR100896429B1 (ko)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차열성포장체
KR100725759B1 (ko) 미끄럼 방지용 저감재 조성물
KR100757234B1 (ko) 반강성 칼라 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그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1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