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2996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996B1
KR101002996B1 KR1020037008984A KR20037008984A KR101002996B1 KR 101002996 B1 KR101002996 B1 KR 101002996B1 KR 1020037008984 A KR1020037008984 A KR 1020037008984A KR 20037008984 A KR20037008984 A KR 20037008984A KR 101002996 B1 KR101002996 B1 KR 10100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recorded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841A (ko
Inventor
나카무라다카토시
가와이도시히코
이리야신이치
사카타준이치로
고노데쓰야
오노마사미치
사카이다아쓰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6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9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에 축적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하여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서버(401)에의 요청 신호의 송신, 서버(401)로부터의 악곡 데이터의 수신 및 재생 처리, 표시 제어부(426)에 의한 GUI의 표시를 제어하고, 통신부(423)가 서버(401)로부터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변환부(424)에 출력한다. 서버 프로그램(411)은, 클라이언트(402)에의 악곡 데이터의 송신,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 내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의 정보의 등록을 제어하고, 요청된 악곡 데이터를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로부터 검색하고, 클라이언트(402)에 송신한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 전화기, 거치형 재생 장치, 휴대형 재생 장치, 및 간이형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37008984
악곡 데이터, 스테이션, 요청, 생성 수단, 수신 수단, 재생 수단.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버가 축적하고 있는 악곡(music) 데이터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하고, 클라이언트가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기억 용량의 증가, 및 음성 재생 기술의 향상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 내부에 악곡 데이터를 기록하고,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성 출력하여 즐기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많은 악곡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카테고리, 아티스트, 앨범별 등의 방법으로, 악곡 데이터를 복수의 폴더로 분류하거나, 또는 그 분류를 몇 단계인가 준비함으로써, 계층 구조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악곡을 찾을 수 있도록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폴더를 사용한 계층 구조로 악곡 데이터를 분류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악곡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예를 들면, 악곡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곡명 등)을 기억하고 있어, 그 악곡을 듣고 싶은 경우에는, 파일명의 검색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작곡가명은 기억하고 있어도, 곡명을 모르는 경우나, 어느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듣고 싶은 같은 경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래식」이라고 하는 대분류를, 또한, 「작곡가별」 및 「오케스트라별」이라고 하는 중분류로 분류하고, 각각의 분류로, 작곡가별의 폴더, 및 오케스트라별의 폴더를 준비하는 등 하여, 계층 구조에 의해 분류를 행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원하는 악곡 데이터를 찾아낼 수가 없다.
사용자는, 계층 구조를 더듬어, 원하는 악곡 데이터를 찾아냈을 경우, 예를 들면, 그 악곡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하여 클릭 조작 등을 행함으로써, 그 데이터를 재생시켜, 즐길 수 있다.
또, 이들 악곡 데이터는, 카피 방지가 되어 있으면, 그 규정수 이내에서, 예를 들면, CD-R 등의 리무버블 디스크에 카피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듣고 싶은 악곡 데이터를 도 1과 같은 폴더 구성을 더듬어 찾아, 리무버블 디스크에 카피하여,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를 두고 있는 이외의 방 등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그렇지만,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계층 구조로, 악곡 데이터를 정리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원하는 악곡 A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클래식」폴더로부터, 「작곡가별」폴더를 선택하여, 그 중 「작곡가 B」폴더를 열어 악곡 A를 선택한다고 하는 복잡한 조작이 필요했다.
또, 그 악곡 A가 「C오케스트라」의 연주에 의한 것이었을 경우, 상이한 분류의 「C오케스트라」의 폴더에도 악곡 A의 데이터를 넣지 않으면, 오케스트라 별 로 악곡을 찾으려고 하는한 경우에, 악곡 A를 찾아낼 수가 없다. 그러므로, 동일한 데이터를 복수의 폴더에 기록할 필요가 생겨, 한정된 기억 용량을 쓸데없게 사용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복잡한 계층 구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지금 참조하고 있는 폴더가, 어느 정도 깊은 계층인지를 의식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예를 들면, 어느 악곡을 찾기 위해서, 상이한 계층을 더듬어 버렸을 경우, 이용하고 있는 파일 시스템에 따라서는, 일단 원래의 계층으로 돌아올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복잡한 계층 구조를 더듬어, 어느 악곡의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고, 재생하기 위한 조작을 행한 경우, 악곡은, 그 최초의 부분으로부터 재생된다. 그 악곡의 최초의 부분(예를 들면, 많은 팝스에서는, 인트로(인트로덕션)에 대응하는 부분)을 듣는 것 만으로는, 재생중인 곡이, 사용자가 확실히 원하던 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재생된 악곡이, 사용자가 원하던 곡이 아니었던 경우, 사용자는, 또 복잡한 계층 구조를 더듬어, 원하는 악곡을 찾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다른 관점으로부터 생각한 경우, 이와 같이 엄격하게 폴더에 의해 분류 나누기가 행해져 있으므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자신이 계층 구조로 되어 있는 폴더군을 찾고, 최하층에 있는 악곡 데이터까지 찾아 도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어느 정도 이해하여, 의식적으로 악곡 데이터의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시키는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라디오 방송을 듣는 경우와 같이, BGM(Back Grounds Music)로서, 그다지 의식하지 않고 음악을 보내고 싶을 때 등은, 이러한 조작은 번잡하게 느껴진다.
또, 라디오 방송에서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방송국의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듣는 것도 가능하지만, 자신이 모르는 곡이 흘러 나오는 경우도 있어, 새롭게 자신의 기호에 있던 곡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지만, 자기 자신이 재생하는 악곡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 같은 경우, 비록, 그 퍼스널 컴퓨터에, 자신이 모르는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었다고 해도, 수많은 악곡 데이터 중에서, 모르는 곡만을 선택적으로 찾아내는 것은 곤란하다.
또, 다른 방에서 음악을 즐기고 싶은 경우, 리무버블 디스크에 악곡 데이터를 카피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그래서, 가정 내에서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서버에 악곡 데이터를 기록하고, 클라이언트로 그 악곡 데이터를 재생시키도록 했을 경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서버에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계층 구조를 어느 정도 이해하지 않으면, 원활하게 조작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의해 재생시키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의식하지 않고, 또, 퍼스널 컴퓨터 특유의 계층(디렉토리나 폴더) 구조를 의식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소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 및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을 가지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1 기록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소정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보조하기 위한 표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송신 수단 및 수신 수단은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요청 신호 및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요청 신호는 소정 데이터를 지정하거나 또는 소정 데이터가 포함되는 가상적인 분류명 및 그 분류 중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요청 신호는 소정 데이터의 일부의 송신을 요구하는 제1 요청 신호 또는 소정 데이터 전체 중 어느 것의 송신을 요구하는 제2 요청 신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생성 수단은 전원이 인가된 경우, 입력 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제1 조작이 입력된 경우 및 재생 수단에 의해 소정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제1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제2 조작이 입력된 경우 제2 요청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요청 신호에 의해 요청되는 소정 데이터의 일부란 소정 데이터가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경우 사용자에게 있어 가장 특징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재생 수단은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1 소정 데이터 및 제2 소정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 제1 소정 데이터를 재생한 음성과 제2 소정 데이터를 재생한 음성 사이에 소정 간격의 화이트 노이즈를 삽입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은 소정 데이터의 일부의 송신을 요구하는 제1 요청 신호의 송신을 지령하기 위한 제1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수단과, 소정 데이터의 전체의 송신을 요구하는 제2 요청 신호의 송신을 지령하기 위한 제2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스텝과, 소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 및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을 가지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입력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입력이 제어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요청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1 기록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소정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스텝과, 소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 및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을 가지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입력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입력이 제어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요청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1 기록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소정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소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과,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과,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소정 데이터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 수단은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 수단과, 분석 수단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갱신 수단은 분석 수단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의 최상층에 새로운 분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방법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청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소정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1 기록 제어 스텝과,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2 기록 제어 스텝과,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제1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3 기록 제어 스텝과,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요청 신호,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스텝과,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추출된 소정 데이터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청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소정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1 기록 제어 스텝과,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2 기록 제어 스텝과,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제1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3 기록 제어 스텝과,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요청 신호,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스텝과,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추출된 소정 데이터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과, 소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과,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과,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과, 제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소정 데이터를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제1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요청 신호를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과,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소정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고,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가 가지는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요청 신호가 송신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데이터가 수신되고, 수신된 소정 데이터가 재생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고, 소정 데이터가 기록되고,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고,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되고, 수신된 요청 신호,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소정 데이터가 추출되고, 추출된 소정 데이터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가 수신되고, 소정 데이터가 기록되고, 소정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고,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수신된 요청 신호,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소정 데이터가 추출되고, 추출된 소정 데이터가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고,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요청 신호가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데이터가 수신되고, 수신된 소정 데이터가 재생된다.
도 1은, 종래의 악곡 데이터의 기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가정 내 네트워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퍼스널 컴퓨터의 죠그 다이얼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퍼스널 컴퓨터의 우측면의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2의 PDA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크레이들에 장착되어 있는 PDA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PDA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PDA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2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부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 (A)는, 도 2의 거치형 재생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B)는, 도 2의 거치형 재생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거치형 재생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7 (A)는, 리모트 코맨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B)는, 리모트 코맨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2의 휴대형 재생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휴대형 재생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2의 간이형 재생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간이형 재생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간이형 재생 장치의 상이한 표시창의 형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악곡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링크 정보 리스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랭킹 리스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클라이언트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35는, 클라이언트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36은, 클라이언트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37 (A)는, 악곡과 악곡 사이가 무음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 (B)는, 크로스페이드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 (C)는, 재생되는 곡의 전환의 화이트 노이즈 부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서버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39는, 표시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을 적응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다.
퍼스널 컴퓨터(1)는, 악곡 데이터와, 악곡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하는 복수의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PDA(Personal Digital (Data) Assistants)(11), 휴대 전화기(12), 거치형 재생 장치(13), 휴대형 재생 장치(14), 및 간이형 재생 장치(15)와, 무선 통신(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11a,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됨)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PDA(11) 내지 간이형 재생 장치(1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에, 악곡 데이터를 요청하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면, PDA(11) 내지 간이형 재생 장치(15)를, 가정 내의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소유하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어서도,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퍼스널 컴퓨터(1)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기본적으로, 본체(21)와, 본체(2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표시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표시부(22)를 본체(21)에 대하여 열 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체(21)의 평면도, 도 5는, 본체(21)에 형성되어 있는 후술하는 죠그 다이얼(23)의 확대도이다. 또, 도 6은, 본체(2l)에 형성되어 있는 죠그 다이얼(23)의 측면도이다.
본체(21)에는, 각종의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할 때 조작되는 키보드(24), LCD(25)에 표시되는 포인터(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킬 때 등에 조작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의 터치 패드(26), 및 전원 스위치(27)가 그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죠그 다이얼(23) 및 IEEE 1394 포트(28) 등이, 본체(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 패드(26)에 대신하여, 스틱식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표시부(22)의 정면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25), 그리고 우상부에는, 전원 램프 PL, 전지 램프 BL,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메시지 램프 ML(도시하지 않음), 그 외의 LED로 이루어지는 램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2)의 상부 중앙부에는, CCD(고체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CCD 비디오 카메라(29)를 가지는 촬상부(30), 및 마이크로폰(31)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21)의 도 3 중 우상 측에는 CCD 비디오 카메라(29)를 조작하기 위한 셔터 버튼(32)이 설치되어 있다.
촬상부(30)는, 회동 가능하게 표시부(22)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촬상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CCD 비디오 카메라(29)가 퍼스널 컴퓨터(1)를 조작하는 사용자 자신을 촬상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시선과 같은 방향을 촬상할 수 있는 위치로 회동된다.
다음에, 죠그 다이얼(23)은, 예를 들면, 본체(21) 상의 키보드(24)의 도 4 중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키 A 및 키 B 사이에, 그 상면이 키 A 및 키 B와 대략 같은 높이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죠그 다이얼(23)은, 도 5 중 화살표 a로 나타낸 회전 조작에 따라 소정 처리(예를 들면, 화면의 스크롤의 처리)를 실행하고, 동 도면 중 화살표 b로 나타낸 이동 조작에 대응한 처리(예를 들면, 아이콘의 선택의 결정 처리)를 실행한다.
IEEE 1394 포트(28)는, IEEE 1394에 규정되어 있는 규격에 따른 구조를 가지고, IEEE 1394에 규정되어 있는 규격에 따른 케이블이 접속된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1)의 내부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앙 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51)는, 예를 들면, 인텔(Intel)사제의 펜티엄(등록 상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호스트 버스(52)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52)에는, 또한, 브리지(53)(이른바, 노스 브리지)가 접속되어 있고, 브리지(53)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50)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버스(56)에 접속되어 있다.
브리지(53)는, 예를 들면, 인텔사제의 AGP Host Bridge Controller인 440BX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51) 및 RAM(Random Access Memory)(54)(이른바 , 메인메모리) 등을 제어한다. 또한, 브리지(53)는, AGP(50)를 통하여, 비디오 콘트롤러(57)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 브리지(53)와 브리지(이른바 , 사우스 브리 지(PCI-ISA Bridge)(58)로, 이른바 칩 세트가 구성되어 있다.
브리지(53)는, 또한, 캐시 메모리(5)와도 접속되어 있다. 캐시 메모리(5)는, SRAM(Static RAM) 등 RAM(54)과 비교하여, 보다 고속인 기입 또는 판독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로 구성되며, CPU(5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캐시한다(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CPU(51)는, 그 내부에 1차적인, 캐시 메모리(5)와 비교하여, 보다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고, CPU(51) 자체가 제어하는 캐시를 가진다.
RAM(54)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M)으로 구성되며, CPU(5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CPU(5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RAM(54)은, 소정 타이밍에서 HDD(67)로부터 로드된, 예를 들면, 전자 메일 프로그램(54A), 오토 파일럿 프로그램(54B),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54C), 죠그 다이얼 드라이버(54D), 및 오퍼레이팅(operating) 프로그램(OS)(54E),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54F), 웹 브라우저(54G), 및 그 외의 응용 프로그램(54H)(후술하는 서버 프로그램 등을 포함함)을 기억한다.
전자 메일 프로그램(54A)은, 모뎀(75), 공중회선망,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 전자 메일 서버, 및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문(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오토 파일럿 프로그램(54B)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처리(또는 프로그램) 등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순차 기동하여,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54C)은, 전술한 각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죠그 다이얼(23)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의 통지를 수취하고,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죠그 다이얼(23)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죠그 다이얼(23)을 조작함으로써 무엇을 행할 것인가를 LCD(25)에 표시시킨다.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54C)은 또, 죠그 다이얼(23)의 이벤트(죠그 다이얼(23)이 도 5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도 5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가압되는 등의 조작)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죠그 다이얼 드라이버(54D)는, 죠그 다이얼(23)의 조작에 따라 각종 기능을 실행한다.
OS(0perating System)(54E)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이른바 윈도우즈(등록 상표)(95) 또는 윈도우즈(등록 상표)(98), 또는 애플 컴퓨터사의 이른바 Mac OS(등록 상표) 등으로 대표되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54F)은, 피어 투 피어(pear to pear) 통신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그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전자 메일 프로그램(54A)을 제어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IP주소가 첨부된 전자 메일을, 통신 상대에게 송신시키거나 통신 상대로부터 송신되어 온 소정 전자 메일로부터 IP주소를 취득한다.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54F)은 또, 웹 브라우저(54G)를 제어하여, 웹 브라우저(54G)의 기능에 따른 통신을 행한다.
웹 브라우저(54G)는,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54F)에 의한 제어에 따라, 소정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열람하기(표시부(22)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응용 프로그램(54H)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서버 프로그램 등의 각종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다.
비디오 콘트롤러(57)는, AGP(50)를 통하여 브리지(53)에 접속되어 있고, AGP(50) 및 브리지(53)를 통하여 CPU(5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내장하는 비디오 메모리에 기억한다. 비디오 콘트롤러(57)는, 표시부(22)의 LCD(25)에, 비디오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 비디오 콘트롤러(57)는, CCD 비디오 카메라(29)로부터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를, PCI 버스(56)를 통하여, RAM(54)에 공급한다.
PCI 버스(56)에는, 사운드 콘트롤러(64)가 접속되어 있다. 사운드 콘트롤러(64)는, 마이크로폰(31)으로부터 음성을 취입하고, 그 음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RAM(54)에 출력한다. 또 사운드 콘트롤러(64)는, 스피커(65)를 구동하여, 스피커(65)에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 PCI 버스(56)에는 모뎀(75)이 접속되어 있다. 모뎀(75)은, 공중회선망에 접속되어 있고, 공중회선망 또는 인터넷을 개입시키는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PC카드 슬롯 인터페이스(111)는, PCI 버스(56)에 접속되어 슬롯(33)에 장착된 인터페이스 카드(11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CPU(51) 또는 RAM(54)에 공급하는 동시에, CPU(5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카드(112)에 출력한다. 인 터페이스 카드(112)에는, 드라이브(113) 및 무선 통신 모듈(114)이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113)는, PC카드 슬롯 인터페이스(111) 및 인터페이스 카드(112)를 통하여, PCI 버스(56)에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113)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21), 광디스크(122), 광자기 디스크(123), 또는 반도체 메모리(24)(도 8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메모리 스틱(상표)(131)을 포함함)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카드(112), PC카드 슬롯 인터페이스(111), 및 PCI 버스(56)를 통하여, RAM(54)에 공급한다. 또, CPU(51)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후술하는 처리에 의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드라이브(113)에 장착되는 자기 디스크(121), 광디스크(122), 광자기 디스크(123), 또는 반도체 메모리(24)(메모리 스틱(131))에 기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스틱을 별개로 준비하고, 메모리 스틱(131)을, 인터페이스 카드(112) 및 드라이브(113)를 통하지 않고, 접속 가능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무선 통신 모듈(114)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PDA(11) 내지 간이형 재생 장치(15)와, 예를 들면, IEEE 802. 11a 등의 규격에 따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114)은, PC카드 슬롯 인터페이스(111) 및 인터페이스 카드(112)를 통하여, PCI 버스(5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USB 포트(107)나 IEEE 1394 포트(28)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114)를 사용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PDA(11) 내지 간이형 재생 장치(15)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PCI 버스(56)에는 브리지(58)(이른바, 사우스 브리지)도 접속되어 있다. 브리지(58)는, 예를 들면, 인텔사제의 PIIX4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콘트롤러/구성 레지스터(configuration register)(59), IDE 인터페이스(61), 및 USB 인터페이스(68) 등을 내장하고 있다. 브리지(58)는, IDE 버스(62)에 접속되는 디바이스, 또는 ISA/EIO(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Extended Input 0utput) 버스(63) 또는 I/O 인터페이스(69)를 통하여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제어 등, 각종의 I/O(Input/Output)를 제어한다.
IDE 콘트롤러/구성 레지스터(59)는, 이른바 프라이머리 IDE 콘트롤러와 새컨드리 IDE 콘트롤러와의 2개의 IDE 콘트롤러, 및 구성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프라이머리 IDE 콘트롤러에는, IDE 버스(62)를 통하여, HDD(67)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새컨드리 IDE 콘트롤러에는, 다른 IDE 버스에, 도시하지 않은 CD ROM 드라이브 또는 HDD 등의, 이른바 IDE 디바이스가 장착되었을 때, 그 장착된 IDE 디바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HDD(67)는, 전자 메일 프로그램(67A), 오토 파일럿 프로그램(67B),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67C), 죠그 다이얼 드라이버(67D), OS117E,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67F), 웹 브라우저(67G), 및 그 외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7H)(후술하는 서버 프로그램 등을 포함함) 등을 기록한다.
HDD(67)에 기록되어 있는 전자 메일 프로그램(67A) 내지 응용 프로그램(67H) 등은, RAM(54)에 적당히 로드된다.
ISA/EIO 버스(63)에는, 또한, I/O 인터페이스(69)가 접속되어 있다. 이 I/O 인터페이스(69)는, 엠베디드 콘트롤러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있어서, ROM(70), RAM(71), 및 CPU(72)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ROM(70)은, IEEE 1394 인터페이스 프로그램(70A), LED 제어 프로그램(70B), 터치 패드 입력 감시 프로그램(70C), 키 입력 감시 프로그램(70D), 웨이크업 프로그램(70E), 및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70F) 등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IEEE 1394 인터페이스 프로그램(7OA)은, IEEE 1394포트(28)를 통하여, IEEE 1394의 규격에 따른 데이터(패킷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LED 제어 프로그램(70B)은, 전원 램프 PL, 전지 램프 BL,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메시지 램프 ML, 또는 그 외의 LED로 이루어지는 램프의 점등의 제어를 행한다. 터치 패드 입력 감시 프로그램(70C)은, 이용자의 조작에 대응한 터치 패드(26)로부터의 입력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키 입력 감시 프로그램(70D)은, 키보드(24) 또는 그 외의 키스위치로부터의 입력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웨이크업 프로그램(70E)은, 브리지(58)의 타이머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설정된 시각이 되었을 때, 소정 처리(또는 프로그램) 등을 기동하기 위해서, 퍼스널 컴퓨터(1)를 구성하는 각 칩의 전원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70F)은, 죠그 다이얼(23)의 회전형 인코더가 회전되었는가 여부, 또는 죠그 다이얼(23)이 눌렸는가 여부를 항상 감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ROM(70)에는 또한, BI0S(Basic Input/0utput System)(기본 입출력 시스템)(70G)가 기입되어 있다. BI0S(70G)는, OS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주변 기기(터치 패드(26), 키보드(24), 또는 HDD(67) 등)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수수(입출력)를 제어한다.
RAM(71)은, LED 제어, 터치 패드 입력 스테이터스, 키입력 스테이터스, 또는 설정 시각용의 각 레지스터,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용의 I/0 레지스터, 또는 IEEE 1394 I/F 레지스터 등을, 레지스터(71A) 내지(71F)로서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LED 제어 레지스터에는, 죠그 다이얼(23)이 눌려, 전자 메일 프로그램(54A)이 기동되었을 때, 소정 값이 격납되고, 격납되어 있는 값에 대응하여, 메시지 램프 ML의 점등이 제어된다. 키입력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는, 죠그 다이얼(23)이 가압되면, 소정 조작 키 플랙이 격납된다. 설정 시각 레지스터에는,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24) 등의 조작에 따라, 소정 시각이 설정된다.
또, 이 I/O 인터페이스(69)에는, 도시하지 않는 코넥터를 통하여, 죠그 다이얼(23), 터치 패드(26), 키보드(24), IEEE 1394포트(28), 및 셔터 버튼(32) 등이 접속되고, 죠그 다이얼(23), 터치 패드(26), 키보드(24), 또는 셔터 버튼(32) 각각 대한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ISA/EIO 버스(63)에 출력한다. 또, I/O 인터페이스(69)는, IEEE 1394포트(2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기기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또한, I/O 인터페이스(69)에는, 전원 램프 PL, 전지 램프 BL, 메시지 램프 ML, 전원 제어 회로(73), 및 그 외의 LED로 이루어지는 램프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 제어 회로(73)는, 내장 배터리(74) 또는 AC전원에 접속되어 있고, 각 블록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내장 배터리(74) 또는 주변 장치의 세컨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 I/0 인터페이스(69)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7)를 감시하고 있다.
I/O 인터페이스(69)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내부에 설치된 전원에 의해, IEEE 1394 인터페이스 프로그램(7OA) 내지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70F)을 실행한다. 즉, IEEE 1394 인터페이스 프로그램(70A) 내지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70F)은, 항상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27)가 오프로 CPU(51)가 OS 54E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라도, I/O 인터페이스(69)는, 죠그 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70F)을 실행하므로, 예를 들면, 전력 절약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죠그 다이얼(23)이 가압되었을 때, 퍼스널 컴퓨터(1)는, 미리 설정한 소정 소프트웨어 또는 스크립트 파일의 처리를 기동한다.
이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에 있어서는, 죠그 다이얼(23)이 프로그래머블 파워키(PPK)기능을 가지므로, 전용의 키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는, 퍼스널 컴퓨터(1)가 촬상부(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퍼스널 컴퓨터는 촬상부(30)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가 아니고, 데스크탑형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PDA(11)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파지되었 을 때의 PDA(11)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크레이들(141)에 장착된 PDA(11)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PDA(11)의 정면도이다.
PDA(11)는, 한 손으로 파지, 및 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그 개체가 형성되어 있다. PDA(11)의 상부에는, 반도체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 스틱(131)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스틱(131)은, 본원 출원인인 소니 주식회사에 의해 개발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이다. 이 메모리 스틱(131)은, 세로 21.5×가로 50×두께 2.8[mm]의 소형 박형 형상의 플라스틱 케이스 내에 전기적으로 재기입하거나 소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일종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격납한 것이며, 10핀 단자를 통하여 화상이나 음성, 음악 등의 각종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메모리 스틱(131)은, 대용량화 등에 의한 내장 플래시 메모리의 사양 변경에 대하여도, 사용하는 기기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독자적인 시리얼 프로토콜을 채용하여, 최대 기입 속도 1.5[MB/S], 최대 판독 속도 2.45[MB/S]의 고속 성능을 실현하고 있는 동시에, 오소거 방지 스위치를 설치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PDA(1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DA(11)의 하면과 크레이들(141)의 상면이 접하도록 크레이들(141)에 장착된다. PDA(11)의 하면에는, 크레이들(141)과 접속하기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크레이들(141)과는, PDA(11)와 퍼스널 컴퓨터(1)를 유선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입출력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최신의 데이터로 갱신하는(이른바 핫싱크(hotsync)에 의해 데이터를 동기시킴) 경우의 도킹 스테이션이다.
PDA(11)에는, 표시부(161), 키(162), 및 죠그 다이얼(151) 등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161)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박형의 표시 장치로 구성되며, 아이콘, 썸네일, 또는 텍스트 등의 화상(예를 들면,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소정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를 표시한다. 표시부(161)의 위쪽에는, 터치 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드를 손가락 또는 펜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PDA(11)에 소정 데이터(기록 데이터) 또는 동작 지시가 입력된다.
키(162)는, 입력키 등으로 구성되며, 표시부(161)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의 선택 등을 입력한다.
죠그 다이얼(151)은, 회전 조작 또는 본체측으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표시부(161)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의 선택 등을 입력한다.
다음에, 도 11을 사용하여, PDA(1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71)은, 발진기(172)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플래시 ROM(Read only Memory)(173) 또는 EDO DRAM(Extended Data Ou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174)에 격납되어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개발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의 각종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플래시 ROM(173)는, EEPROM의 일종인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는, CPU(17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용의 파라미터 중 기본적으로 고정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EDO DRAM(174)은, CPU(17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당히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메모리 스틱 인터페이스(175)는, PDA(11)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스틱(31)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CPU(17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메모리 스틱(131)에 기입한다.
USB(Universal Serial Bus)인터페이스(176)는, 발진기(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접속되어 있는 USB 기기인 드라이브(183)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동시에, CPU(17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드라이브(183)에 공급한다. USB 인터페이스(176)는, 발진기(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접속되어 있는 USB 기기인 크레이들(141)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동시에, CPU(17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크레이들(141)에 공급한다.
또, USB 인터페이스(176)에는, 드라이브(183)도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183)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91), 광디스크(192), 광자기 디스크(193), 또는 반도체 메모리(9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그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USB 인터페이스(17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CPU(171) 또는 ED0 DRAM(174F)에 공급한다. 또, 드라이브(183)는, CPU(17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91), 광디스크(192), 광자기 디스크(193), 또는 반도체 메모리(94)에 기록시킨다.
플래시 ROM(173), EDO DRAM(174), 메모리 스틱 인터페이스(175), 및 USB 인터페이스(176)는,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CPU(171)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161)는, LCD 버스를 통하여, CPU(17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61)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소정 GUI 등을 표시한다. 터치 패드 제어부(178)은, 표시부(161)의 위쪽에 설치된 터치 패드가 조작되었을 때, 조작에 대응한 데이터(예를 들면, 터치된 좌표를 나타냄)를 표시부(16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를,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CPU(171)에 공급한다.
EL(Electro luminescence) 드라이버(179)는, 표시부(161)의 액정 표시부의 배면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전계 발광 소자를 동작시켜, 표시부(161)의 표시의 밝기를 제어한다.
적외선 통신부(180-1)는, CPU(17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적외선을 매체 로 하여,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통하여, 다른 기기(예를 들면, 상이한 PDA)에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된 적외선을 매체로 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CPU(171)에 공급한다.
통신부(180-2)는, CPU(17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예를 들면, IEEE 802. 11a,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 소정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다른 기기(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된 소정 통 신 방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CPU(171)에 공급한다.
즉, PDA(11)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UART를 통하거나,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 통신부(180-1) 및 통신부(180-2)를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통신부(180)라고 총칭한다.
음성 재생부(182)는, 스피커, 및 음성의 데이터의 복호 회로 등으로 구성되며, 미리 기억하고 있는 음성의 데이터,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한 음성의 데이터, 또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수신하는 악곡 데이터 등을 복호하여, 재생하고, 음성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음성 재생부(182)는, 버퍼(181)를 통하여, CPU(171)로부터 공급된 음성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키(162)는, 입력키 등으로 구성되며, CPU(171)에 각종의 지령을 입력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죠그 다이얼(151)은, 회전 조작 또는 본체측으로의 가압 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CPU(171)에 공급한다.
전원 회로(186)는,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184) 또는 접속되어 있는 AC(Alternating current) 어댑터(18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전원을 CPU(171) 내지 음성 재생부(182)의 각각에 공급한다.
다음에, 휴대 전화기(12)의 외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2)는, 표시부(202) 및 본체(203)로 구성되며, 중앙의 힌지 부(204)에 의해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202)는, 상단 좌부에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한 송수신용의 안테나(205)를 가진다. 휴대 전화기(12)는, 안테나(205)를 통하여, 고정 무선국인 기지국의 어딘가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한다.
또한, 표시부(202)의 정면에 액정 디스플레이(209)가 형성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209)는, 전파의 수신 상태, 전지 잔량, 전화 번호부로서 등록되어 있는 상대편명이나 전화 번호 및 발신 이력 등 외에, 전자 메일의 내용, 간이 홈페이지, 후술하는 카메라부(206)의 CCD 카메라(207)로 촬상한 화상, 또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소정 GUI 등을 표시한다.
한편, 본체(203)에는, 그 표면에 「0」내지 「9」의 숫자 키, 발호(發呼) 키, 리다이얼 키, 종화(終話) 및 전원 키, 클리어 키 및 전자 메일키 등의 조작 키(210)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키(210)의 조작에 대응한 각종 지시가, 휴대 전화기(12)에 입력된다.
또, 본체(203)의 조작 키(210)의 하부에 메모 버튼(211) 및 마이크로폰(212)이 형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2)는, 메모 버튼(211)이 조작되었을 때, 통화중인 상대의 음성을 녹음한다. 휴대 전화기(12)는, 마이크로폰(212)에 의해 통화시의 사용자의 음성을 집음한다.
또한, 본체(203)의 조작 키(2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한 죠그 다이얼(213)이, 본체(203)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2)는, 죠그 다이얼(213)에 대한 회동 조작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209)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 번호부 리스트 또는 전자 메일의 스크롤 동작, 간이 홈페이지의 페이지 넘김 동작, 또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 표시되는 GUI 화면 위의 커서 라인의 이동 등의 여러 가지의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본체(203)는, 사용자에 의한 죠그 다이얼(213)의 회동 조작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209)에 표시된 전화 번호부 리스트의 복수의 전화 번호 중에서 원하는 전화 번호를 선택하고, 죠그 다이얼(213)이 본체(203)의 내부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선택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확정하고, 확정한 전화 번호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발호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본체(203)는, 배면 측에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있고, 종화/전원 키가 온 상태로 되면, 배터리 팩으로부터 각 회로부에 대하여 전력이 공급되어 동작 가능한 상태로 기동한다.
본체(203)의 좌측면 상부에는, 삽입 및 인출 가능한 메모리 스틱(131)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 스틱 슬롯(214)이 형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2)는, 메모 버튼(211)이 눌러지면, 통화중인 상대의 음성을,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스틱(131)에 기록한다. 휴대 전화기(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 메일, 또는, 간이 홈페이지 등을,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스틱(131)에 기록한다.
또, 표시부(202)는, 상단 중앙부에 대략 180도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한 카메라부(206)를 가지는 것이라도 된다(카메라부(206)를 갖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휴대 전화기(12)는, 카메라부(206)의 CCD 카메라(207)에 의해 원하는 촬 상 대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메라부(206)가 사용자에 의해 대략 180도 회동되어 위치 결정되었을 경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02)는, 카메라부(206)의 배면측 중앙에 설치된 스피커(208)가 정면 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2)는, 통상의 음성 통화 상태로 완전히 전환된다.
도 14는, 휴대 전화기(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휴대 전화기(12)가 카메라부(206)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휴대 전화기(12)는, 카메라부(206)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2)는, 표시부(202) 및 본체(203)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251)에 대하여, 전원 회로부(252), 조작 입력 제어부(253), 화상 인코더(254), 카메라 I/F(인터페이스)부(255), LCD(Liquid Crystal Display) 제어부(256), 다중 분리부(258), 변복조 회로부(259), 및 음성 코덱(260)이 메인 버스(261)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는 동시에, 화상 인코더(254), 화상 디코더(257), 다중 분리부(258), 기억 재생부(263), 변복조 회로부(259), 및 음성 코덱(260)이 동기 버스(262)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25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종화/전원 키가 온 상태로 되면, 배터리 팩으로부터 각 부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2)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기동한다.
휴대 전화기(12)는, CPU, ROM 및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제어부(251)의 제어에 따라, 음성 통화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212)으로 집음한 음성 신호를 음 성 코덱(260)에 의해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휴대 전화기(12)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송수신 회로부(264)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가한 후에 안테나(205)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 휴대 전화기(12)는, 음성 통화 모드에 있어서, 안테나(205)로 수신한 수신 신호를 송수신 회로부(264)로 증폭해 주파수 변환 처리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를 가하여,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역확산 처리하고, 음성 코덱(260)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휴대 전화기(12)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208)에 출력시킨다.
또한, 휴대 전화기(12)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어서,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 조작 키(210) 또는 죠그 다이얼(213)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전자 메일의 텍스트 데이터를, 조작 입력 제어부(253)를 통하여 주제어부(251)에 송출한다.
주제어부(251)는, 텍스트 데이터를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송수신 회로부(264)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가한 후에 안테나(205)를 통하여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것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2)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어서, 전자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205)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역확산 처리하여, 원래의 텍스트 데이터를 복원한 후, L CD제어부(256)에 출력한다. LCD 제어부(256)는, 전자 메일을 표시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209)를 제어한다.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신한 전자 메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억 재생부(263)를 통하여 메모리 스틱(131)에 기록하는 일도 가능하다.
휴대 전화기(12)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CCD 카메라(207)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55)를 통하여 화상 인코더(254)에 공급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2)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CCD 카메라(207)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55) 및 LCD 제어부(256)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209)에 직접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인코더(254)는, CCD 카메라(207)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또는 MPEG4 등의 소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다중 분리부(258)에 송출한다.
이 때 동시에 휴대 전화기(12)는, CCD 카메라(207)로 촬상 중에 마이크로폰(212)으로 집음한 음성을, 음성 코덱(260)을 통하여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서 다중 분리부(258)에 송출한다.
다중 분리부(258)는, 화상 인코더(254)로부터 공급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와 음성 코덱(260)으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소정 방식으로 다중화하고, 그 결과 얻을 수 있는 다중화 데이터를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송수신 회로부(264)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가한 후에 안테나(205)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것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2)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간이 홈페이지 등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205)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역확산 처리하고, 그 결과 얻을 수 있는 다중화 데이터를 다중 분리부(258)에 송출한다.
다중 분리부(258)는, 다중화 데이터를 부호화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고, 동기 버스(262)를 통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디코더(257)에 공급하는 동시에,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260)에 공급한다.
화상 디코더(257)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MPEG2 또는 MPEG4 등의 소정 부호화 방식으로 대응한 복호 방식으로 디코드함으로써 재생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LCD 제어부(256)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209)에 공급하여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2)는, 예를 들면, 간이 홈페이지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에 포함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때 동시에 음성 코덱(260)은,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 한 후, 스피커(208)에 공급하여 출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2)는, 예를 들면, 간이 홈페이지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이 경우도, 전자 메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신한 간이 홈페이지 등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억 재생부(263)를 통하여 메모리 스틱(131)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휴대 전화기(12)는, CPU, ROM 및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제어부(251)의 RAM, 또는 ROM에, 각종의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을 기록하고, CPU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제어부(251)에 의해,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되는 요청 신호는, 데이터 통신 모드와 마찬가지로 하여,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확산 처리되어, 송수신 회로부(264)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가 가해진 후에 안테나(205)를 통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악곡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 모드와 마찬가지로 하여, 안테나(205)로 수신되어, 송수신 회로부(264)로 증폭되고, 주파수 변환 처리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가 가해져 변복조 회로부(259)로 스펙트럼 역확산 처리가 행해지고, 음성 코덱(260)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 된다. 그리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208)로부터 출력된다.
또는, 예를 들면, IEEE 802. 11a,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의 소정 통신 방식으로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새롭게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모드와 상이한 방법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도 15 (A) 및 도 15 (B)는,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A)는,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정면도이다. 거치형 재생 장치(13)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284-1) 및 (284-2)로부터 음성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거치형 재생 장치(13)는, 그 전면이, 표시 패널(281)과 전면 패널(282)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281)에는, 후술하는 GUI 화면이 표시된다.
전면 패널(282)에는, 조작 버튼(283)이 형성되어 있는 외에, 도시하지 않은 IR(Infra Red) 수신부가 설치되고, 도 17 (A) 및 도 17 (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리모트 코맨더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또, 전면 패널(282)에 스피커를 내장하거나 도시하지 않은 헤드폰에의 출력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스피커(284-1) 및 (284-2)를 접속하지 않아도, 음성 출력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도 15 (B)는,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치형 재생 장치(13)를 매우 박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표시 패널(281)에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게 하면서, 설치 장소가 곤란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6은,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입력 IF(Inter face)(301)는, 조작 버튼(283), 또는, 리모트 코맨더(302)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 IR수신부(303)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 버스(304)를 통하여, 제어부(305)에 출력한다.
제어부(305)는,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된, 이른바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제어부(305)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입력 JF301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통신부(306)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송출하거나 후술하는 GUI 화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310)로부터 판독하여, 버스(304)를 통하여, 표시 제어부(307)에 출력하여, 표시 패널(281)에 표시시키거나 통신부(306)로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버스(304)를 통하여, 음성 출력부(308)에 출력하여, 그 데이터 포맷에 적응한 재생 처리를 행하게 하여, 스피커(284) 또는 헤드폰(309)으로부터 음성 출력시킨다.
통신부(306)는, 예를 들면, IEEE 802.11a,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의 소정 통신 방식으로, 퍼스널 컴퓨터(1)와의 무선으로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제어부(305)로부터, 버스(304)를 통하여 입력된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하거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스(304)를 통하여, 제어부(305)에 출력하는 표시 제어부(307)는,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281)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다. 음성 출력부(308)는,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그 포맷에 근거한 방법으로 재생하여, 스피커(284), 또는 헤드폰(309)에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음성 출력을 제어한다.
기억부(310)에는, 표시 패널(281)에 표시되는 GUI 데이터가 기억되는 동시에, 제어부(305)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기억된다.
또, 제어부(305)에는, 버스(304)를 통하여, 드라이브(311)도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311)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321), 광디스크(322), 광자기 디스크(323), 또는 반도체 메모리(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그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버스(30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제어부(305)에 공급한다. 또, 드라이브(311)는, 제어부(305)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321), 광디스크(322), 광자기 디스크(323), 또는 반도체 메모리(24)에 기록시킨다.
도 17 (A) 및 도 17 (B)는, 리모트 코맨더(302)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리모트 코맨더(302)는, 도 1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서 버튼(331) 및(332), 줌아웃 버튼(333) 및 줌인 버튼(334), 및 리스타트 버튼(335)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표시 패널(281)에 표시되는 GUI를 참조하여, 커서 버튼(331) 내지 리스타트 버튼(335)을 조작한다.
커서 버튼(331) 및 (332)은, 표시 패널(281)에 표시되어 있는, 후술하는 아이콘, 또는 썸네일 등의 선택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줌아웃 버튼(333) 및 줌인 버튼(334)은, 줌아웃 및 줌인을 지시하는 경우, 즉, 표시 패널(281)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GUI 화면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리스타트 버튼(335)은, 거치형 재생 장치(13)로부터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을 처음부터 듣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사용자에 의해, 커서 버튼(331) 내지 리스타트 버튼(335)이 조작된 경우, IR송신부(336)로부터, 거치형 재생 장치의 IR수신부(303)에, 적외선 신호가 출력된다.
또, 리모트 코맨더(302)는, 도 1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서 버튼(331) 및(332), 및 리스타트 버튼(335)에 대신하여, 죠그 다이얼(341)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죠그 다이얼(341)은, 회전 가압 형태의 조작 소자이며,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C방향으로 가압 조작이 가능하다. 죠그 다이얼(341)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은, 도 17 (A)의 커서 버튼(331)에의 조작 입력과 마찬가지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고, 화살표 B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은, 도 17 (A)의 커서 버튼(332)에의 조작 입력과 마찬가지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고, 죠그 다이얼(341)에의 가압 조작은, 리스타트 버튼에의 조작 입력에 대응한다.
도 18은, 휴대형 재생 장치(14)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형 재생 장치(14)는, 예를 들면, 포켓에 들어가는 정도의 크기인 것으로 한다.
표시 패널(351)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GUI 화면이 표시된다. 도 15 (A) 및 도 15 (B)를 참조하여 설명한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표시 패널(281)과 비교하여, 표시 패널(35l)의 표시 에리어는 매우 작기 때문에,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표시 패널(281)에 표시되는 GUI보다, 간단한 구성의 GUI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 휴대형 재생 장치(14)는, 커서 키(352) 및 (353), 줌아웃 키(354) 및 줌인 키(355), 및 리스타트 키(356)을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형 재생 장치(14)를 포켓이나 가방 등에 넣은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헤드폰(16)과 휴대형 재생 장치(14)를 접속하는 케이블 도중에, 커서 키(352) 내지 리스타트 키(356)와 마찬가지의 키를 구비한 리모트 코맨더(357)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표시 패널(351)에 표시되는 GUI를 참조하여, 커서 키(352) 내지 리스타트 키(356)을 조작하거나, 또는, 표시 패널(351)을 참조하지 않는 상태로 리모트 코맨더(357)를 조작한다.
커서 키(352) 및 (353)는, 표시 패널(351)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또는 썸네일 등의 선택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줌아웃 키(354) 및 줌인 키(355)는, 표시 패널(351)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GUI 화면을 변경한다, 즉, 줌아웃 및 줌인을 지시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의해 표시된다. 리스타트 키(356)는, 휴대형 재생 장치(14)로부터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을 처음부터 듣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또, 리모트 코맨더(357)에 구비하고 있는 키도, 커서 키(352) 내지 리스타트 키(356)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9는, 휴대형 재생 장치(1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조작부(361)는, 도 18의, 커서 키(352) 내지 리모트 코맨더(357)에 대응하고,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버스(362)를 통하여, 제어부(363)에 출력한다.
제어부(363)는,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된, 이른바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휴대형 재생 장치(14)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제어부(363)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조작부(361)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통신부(364)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송출하거나, 후술하는 GUI 화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367)로부터 판독하고, 버스(362)를 통하여, 표시 제어부(365)에 출력하여, 표시 패널(351)에 표시시키거나, 통신부(364)로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버스(362)를 통하여, 음성 출력부(366)에 출력하여, 그 데이터 포맷에 적응한 재생 처리를 행하게 하여, 헤드폰(16)으로부터 음성 출력시킨다.
통신부(364)는, 예를 들면, IEEE 802. 11a,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의 소정 통신 방식으로 퍼스널 컴퓨터(1)와의 무선으로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제어부(363)으로부터, 버스(362)를 통하여 입력된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하거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스(362)를 통하여, 제어부(363)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365)는, 제어부(363)의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351)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다. 음성 출력부(366)는, 제어부(363)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그 포맷에 근거한 방법으로 재생하여, 헤드폰(16)에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음성 출력을 제어한다.
기억부(367)에는, 표시 패널(351)에 표시되는 GUI 데이터가 기억되는 동시에, 제어부(363)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기억된다.
도 20은, 간이형 재생 장치(15)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죠그 다이얼(372)은, 회전 가압 형태의 조작 소자이며,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회전 가능으로 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시키면, 그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표시창(371)에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썸네일의 선택이 변경된다. 이 때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퍼스널 컴퓨터(1)에 출력된다.
줌 버튼(373)은, 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줌아웃, 또는 줌인이 지령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리스타트 버튼(374)은, 간이형 재생 장치(15)에 있어서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처음부터 재생시키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또, 죠그 다이얼(372)을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리스타트 버튼(374)의 가압 조작과 마찬가지의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표시창(371)은,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또, 헤드폰(16)은, 잭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간이형 재생 장치(15)의 본체에 대하여 잭의 빼고 꽂기에 의해 장 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1은, 간이형 재생 장치(15)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381)는,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된, 이른바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간이형 재생 장치(15)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조작부(382)는, 죠그 다이얼(372) 내지 리스타트 버튼(374)에 대응한다. 제어부(381)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조작부(382)로부터, 버스(383)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기억부(38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이나 텍스트를 표시 제어부(385)에 출력하고, 표시창(371)에 표시시키거나 통신부(386)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송신하거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되어 온 악곡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387)에 출력해 재생시키고, 헤드폰(16)에 송출하여, 음성으로서 출력시킨다.
통신부(386)는, 예를 들면, IEEE 802. 11a,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등의 소정 통신 방식으로 퍼스널 컴퓨터(1)와의 무선으로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제어부(381)로부터, 버스(382)를 통하여 입력된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하거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스(382)를 통하여, 제어부(381)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385)는, 제어부(381)의 제어에 따라, 표시창(371)에 화상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GUI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다. 음성 출력부(387)는, 제어부(381)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그 포맷에 근거한 방법으로 재생하여, 헤드폰(16)에의 음성 출력을 제어한다.
기억부(384)에는, 표시창(371)에 표시되는 GUI 데이터가 기억되는 동시에, 제어부(381)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기억된다.
여기서는, 표시창(371)이, 예를 들면, LCD, 또는 복수의 LED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표시창(371)은,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와 바늘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표시창(371)에, 문자나 화상을 표시시킬 수 없지만, 죠그 다이얼(372)의 회동에 따라, 바늘이 메모리 상을 이동하도록 된다.
또한, 간이형 재생 장치(15)에 있어서는 줌 버튼(373)을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선곡(또는 후술하는 스테이션의 선택)은, 바늘의 위치만으로 결정되지만, 랜덤으로 여러 가지 악곡을 듣는 것을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충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늘의 위치를 바꾸어, 랜덤으로 악곡을 듣는 것이 가능하고, 마음에 든 악곡이 있었을 경우, 리스타트 버튼(374)을 조작함으로써, 그 악곡을 처음부터 들을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을 적응한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에서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와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여기서, 서버(401)는, 도 2의 퍼스널 컴퓨터(1)에 대응하고, 클라이언트(402)는, 도 2의 PDA(11) 내지 간이형 재생 장치(15)에 대응한다.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클라이언트(402)에의 악곡 데이터의 송신이나,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 내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의 정보의 등록을 제어하는 것이다. 서버 프로그램(411)은, 사용자가, 악곡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보조로 되는 표시 화면을, 표시 제어부(414)를 제어하여 LCD(25)에 표시시키고, 조작 입력부(4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악곡 데이터를, 예를 들면, ATRAC(Advanced TRansform Acoustic Coding, MP3(MPEG Audio Layer-3), 또는, WAV 등의 포맷으로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에 기록하는 동시에,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를 갱신하고, 통신부(413)를 통하여 입력되는, 클라이언트(402)로부터의 요청 신호를 기초로,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를 갱신한다.
또, 서버 프로그램(411)은, 통신부(413)를 통하여,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요청 신호의 입력을 받아 클라이언트(401)로부터 요청된 악곡 데이터를,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 및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를 참조하여,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로부터 검색하고, 통신부(413)를 통하여,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도 24는, 악곡 데이터와 함께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 일람 리스트이다. 악곡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는, 각각의 악곡에 고유하게 할당되어 있는 곡 ID,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 및 그 악곡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악곡 데이터가 요청되었을 경우, 먼저, 재생 개시 위치 정보가 참조되어, 그 악곡의 처음부터가 아니고,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이나, 클라이막스 부분 등, 청취자에게 있어, 무슨 곡이 재생되고 있는지를 알기 쉬운 위치, 또는 청취자에게 있어, 가장 곡의 이미지가 잡기 쉬운 위치로부터 재생되도록, 그 부분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가,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된다. 그 후, 청취자인 사용자가 그 곡이 마음에 들어,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 대응하는 악곡이 처음부터 재생되도록, 요청 신호가 생성되어 송신되므로, 서버 프로그램(411)은,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기초로, 악곡 데이터 전체를,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또는,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에, 악곡 전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에,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이나, 클라이막스 부분 등, 청취자에게 있어, 무슨 곡이 재생되고 있는지를 알기 쉬운 부분, 또는 청취자에게 있어서, 가장 곡의 이미지가 잡기 쉬운 부분만을 추출한, 부분적인 음성 데이터를 준비하고, 악곡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는, 재생 개시 위치 정보로 바꾸어, 부분적인 음성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를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악곡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는, 동일한 악곡이 중복 등록되지 않고,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에도, 동일한 악곡이 중복 기록되지 않는다.
도 25는,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에 기록되어 있는 링크 정보 리스트이다. 링크 정보 리스트에는, 사용자가 등록한 내용에 따라,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ID가, 가상적인 계층 구조로 분류되어 등록된다. 즉, 악곡 데이터 자체는, 계층 구조로 기록되는 것은 아니지만, 링크 정보 리스트에 있어서, 가상적인 계층 구조가 구성된다. 계층의 깊이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이다. 여기서는, 가장 큰 분류인 제1 계층(도 25에서의 「사용자 A의 마음에 드는 것」 「사용자 B의 마음에 드는 것」 「사용자 C의 마음에 드는 것」 「아침의 곡」 「밤의 곡」 및 「모두의 마음에 드는 것」)을 스테이션이라 하고, 스테이션으로부터, 악곡 데이터까지의 중분류 또는 소분류 등(도 25에서의 「드라이브용」 「클래식」 「작곡자 A」 또는 「즐거운 기분의 곡」 등)을, 계층 카테고리라고 한다. 링크 정보 리스트에 있어서는, 동일한 악곡의 곡 ID가 상이한 위치에 등록되어도 된다.
도 26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에 기록되어 있는 랭킹 리스트이다. 랭킹은, 스테이션마다 결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계층 카테고리 정보와 함께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 랭킹은, 서버 프로그램(411)의 제어에 의해,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송신되는 요청의 내용에 따라 수시 갱신된다.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에 악곡 데이터를 기록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414)에 의해 LCD(25)에 표시되는 GUI에 따라서, 그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스테이션, 및 계층 카테고리에 등록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새로운 스테이션 및 계층 카테고리를 구성하거나, 동일한 악곡을, 복수의 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에 등록하거나 이미, 다른 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에 등록되어 있는 악곡을, 다른 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조작 입력부(4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 내지 랭킹 데이터 베이스(417)를 갱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서버(401)의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에, 가족 각각의 스테이션을 준비하고, 각각의 마음에 드는 악곡 데이터를 등록해 둠으로써, 서버(401)( 즉, 퍼스널 컴퓨터(1))와는 다른 방에 있으면서, 가족 각각이,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또, 새롭게 등록된 악곡 데이터의 처음의 랭킹은, 그 시스템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되고, 예를 들면, 새로운 악곡 데이터의 등록시에 랭킹도 맞추어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새롭게 등록된 악곡을 사용자가 들을 기회가 보다 많아지도록, 대응하는 스테이션의 최상위로부터 시작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최하위로부터 시작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새로운 스테이션의 작성 및 그 스테이션에의 악곡 데이터의 등록은, 사용자로부터의 등록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송신되는 요청의 상황에 따라, 서버 프로그램(411)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침 7시 내지 9시 사이에, 악곡의 최초부터의 재생이 요청된 악곡을 모은 스테이션을 「아침의 곡」이라고 하고, 밤 9시 내지 밤 11시 사이에 악곡의 최초부터의 재생이 요청된 악곡을 모은 스테이션을 「밤의 곡」이라고 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1회의 요청가 아니고, 대응하는 조건에 있어서, 소정 회수 이상, 악곡의 최초부터의 재생이 요청된 악곡만을, 대응하는 스테이션에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대응하는 조건은, 예로 든 「아침」이나 「밤」 등의 시간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요일, 달, 계절 등이라도 되고, 단순하게, 소정 기간에 소정 회수 이상, 악곡의 최초부터의 재생이 요청된 악곡을 「모두의 마음에 드는 것」스테이션에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요청의 상황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가 재기입할 수 있으므로, 단독의 사용자의 기호에 머무르지 않고, 이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예를 들면, 가족 전원)의 기호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다.
다시, 도 23으로 돌아와, 클라이언트(40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402)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서버(401)에의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서버(401)로부터의 악곡 데이터의 수신 및 재생 처리나, 표시 제어부(426)에 의한 GUI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클라이언트(402)가, 화상이나 텍스트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예를 들면,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표시 패널(281) 등)를 가지고 있는 경우, 표시 제어부(426)을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내부의 기억부(예를 들면, 거치형 재생 장치(13)의 기억부(310) 등)에서 판독하여, 사용자가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보조로 되는 GUI를 표시시켜, 조작 입력부(4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GUI의 표시를 변경시킨다.
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F)은, 클라이언트(402)가, 화상이나 텍스트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를 가지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간이형의 표시창(371)을 가지고 있는 경우, 조작 입력부(4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표시창(371)의 바늘의 위치를 이동시킨다(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바늘의 위치가 스테이션의 선택을 나타낸 경우, 사용자가 바늘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스테이션이 전환되어, 각각의 스테이션 내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악곡 데이터가 소정 위치로부터 재생되도록,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가 송신된다. 또, 바늘의 위치가 악곡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가 바늘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악곡이 전환되어, 소정 위치로부터 재생되도록,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가 송신된다.
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조작 입력부(4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악곡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부(423)가 서버(401)로부터, 예를 들면, ATRAC, MP3, 또는, WAV 등의 포맷의 악곡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변환부(424)에 출력시킨다.
음성 데이터 변환부(424)는, 악곡 데이터의 포맷에 적절한 방법으로,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에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는, 예를 들면, 스피커(284)나 헤드폰(16) 등으로의 음성 출력을 제어한다.
클라이언트(402)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표시 제어부(426)에 의해 표시가 제어되는 GUI(또는, 메모리에 따라 움직이는 바늘)를 참조하거나, 또는, 휴대형 재생 장치(14)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등은, 이들 표시를 참조하지 않고, 조작 입력부(422)(예를 들면, 리모트 코맨더(302), 리모트 코맨더(357) 등)를 사용하여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서버(401)의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에 기록되어 있는 여러 가지 악곡을 듣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서버(401)와 클라이언트(402)와의 관계는, 말하자면, 라디오국와 라디오와 같은 관계로서 파악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402)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리모트 코맨더에 의한 커서 조작 등, 매우 단순한 조작만을 실행하여 선국(튜닝)하는 것만으로, 악곡 데이터 자체를 선택하지 않고, 원하는 프로그램(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의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현재 듣고 있는 악곡 이외의 곡을 듣고 싶은 경우는, 튜닝을 변경하면, 즉, 다른 악곡 데이터가 수신되어 재생된다.
도 27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402)로서, 예를 들면, 거치형 재생 장치(13)를 사용한 경우에, 표시 제어부(426)의 처리에 의해 표시가 제어되는 GUI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 내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에,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악곡 데이터 및 그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서버(401)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402)의 초기 화면이다. 도 27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431-1) 내지 (431-6)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링크 정보 리스트의 스테이션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의 마음에 드는 것」스테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악곡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A의 마음에 드는 것」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431-1)에 커서 라인(432)이 합쳐져, 아이콘(421-1)이 확대 표시되고, 아이콘에 대응하는 스테이션명(여기서는, 「A station」)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재생 중인 악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아이콘이, 확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표시색의 변경, 반전 표시, 하이라이트(휘도를 높게 함) 등의 방법으로, 다른 아이콘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거치형 재생 장치(13) 등의 클라이언트(402)에 전원을 투입한 시점에 있어서, 후술하는 처리에 의해, 소정 스테이션의 가장 랭킹이 높은 악곡 데이터가 요청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악곡 데이터는, 곡의 최초부터 재생되지 않고,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이나, 특징이 있는 부분이 재생된다. 사용자는, 그 부분을 듣고, 곡이 마음에 들었을 경우, 예를 들면, 도 17 (A) 및 도 17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코맨더(302)의 리스타트 버튼(335), 또는 죠그 다이얼(341)을 누룸으로써, 대응하는 곡을 최초부터 재생하기 위한 악곡 데이터를 서버(401)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17 (A) 및 도 17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코맨더(302)의 커서 버튼(331) 또는 (332)을 누르거나, 또는 죠그 다이얼(341)을 회동함으로써, 커서 라인(432)을 이동하고, 스테이션을 변경하는(라디오 방송의 수신에 비유하면, 라디오국을 선국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8은, 사용자가, 리모트 코맨더(302)의 커서 버튼(332)를 누르거나, 또는 죠그 다이얼(34)을 도면 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B스테이션(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링크 정보 리스트의 「사용자 B의 마음에 드는 것」에 대응하는 스테이션)에 커서 라인(432)이 이동된 경우의 표시 화면이다. 이 경우, 선국된 B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431-2)이 확대 표시되고, 「사용자 B의 마음에 드는 것」 가운데, 가장 랭킹이 높은 악곡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이나, 특징이 있는 부분이 재생된다.
서버(401)의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에는, 어느 클라이언트(402)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은 악곡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른 클라이언트(402)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악곡 데이터도 기록되어 있다. 종래와 같이, 폴더 형식으로 악곡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계층 구조를 더듬어 최하층의 악곡 데이터를 찾아, 재생시키지 않으면 안되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가 짠 계층 구조를 쫓아,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악곡 데이터를 재생시키려면, 매우 번잡한 조작이 필요했지만, 본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악곡이라도, 커서 라인(432)의 상하동 조작이라고 하는,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듣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8의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트 코맨더(302)의 줌인 버튼(334)을 눌렀을 경우,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B의 마음에 드는 것」아래의 계층의 계층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441-1) 내지 (441-3)이 표시된다. 여기서, 재생 중인 악곡이, 계층 카테고리 「슬픈 기분의 곡」에 포함되는 악곡이었을 경우, GUI가 전환된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는 악곡이 포함되는 계층 카테고리 「슬픈 기분의 곡」에 대응하는 아이콘(441-2)에 커서 라인(442)이 맞추어져 확대 표시된다. 또, 계층의 깊이를 직감적으로 알기 위하여, 인디케이터 에리어(443)가 형성되어 소정 간격의 메모리가 표시되어 있는 동시에, 표시 중인 계층 에리어가 포함되어 있는 스테이션명이, 텍스트 표시 에리어(444)에 표시된다.
이 경우도, 사용자는, 도 17 (A) 및 도 17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코맨더(302)의 커서 버튼(331) 또는 (332)를 누르거나, 또는 죠그 다이얼(341)을 회동함으로써, 커서 라인(442)을 이동하여, 계층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카테고리가 변경되었을 경우, 새롭게 선택된 계층 카테고리 「즐거운 기분의 곡」에 대응하는 아이콘(441-1)이 확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또한 줌인함으로써, 선택된 계층 카테고리 「즐거운 기분의 곡」의 내부를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계층 카테고리 「즐거운 기분의 곡」의 내부는, 최하층이며,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층이다.
이 경우,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중인 악곡에 대응하는 썸네일(451)(예를 들면, CD쟈켓이나, 아티스트의 사진 등)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계층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과 마찬가지로, 인디케이터 에리어(453) 및 텍스트 표시 에리어(4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에리어(453)에 표시되는 메모리의 간격은, 도 29 및 도 30의 인디케이터 에리어(443)와 비교하여, 좁은 간격으로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인디케이터 에리어에 표시되어 있는 메모리의 간격에 의해, 계층이 어떤 계층도 어떤 경우라도, 직감적으로, 계층의 깊은 부분에 있는지, 얕은 부분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도, 사용자는, 도 17 (A) 및 도 17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코맨더(302)의 커서 버튼(331) 또는 (332)을 누르거나, 또는 죠그 다이얼(341)을 회동함으로써, 커서 라인(452)을 이동하고, 상이한 악곡 데이터를 서버(401)에 요청할 수 있다. 커서 라인(452)이 이동된 경우, 커서 라인(452)의 위치에 대응한 악곡 데이터가 서버(401)에 요청되어, 그 악곡 데이터가 수신되어 재생되는(곡의 처음 부분으로부터가 아니고,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등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음) 동시에,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되고 있는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썸네일(451-2)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최하층에 있어서,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층에 있어서도, 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아이콘(461-1) 내지 (461-14)를 표시시키고, 커서 라인(452)을 이동시켜, 커서 라인(452)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도 33에 있어서는 아이콘(461-4))을 확대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각각의 GUI 화면에 있어서, 아이콘 또는 썸네일 등의 마크가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28 내지 도 33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402)로서, 거치형 재생 장치(13)를 사용한 경우의 GUI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클라이언트(402)로서, PDA(11), 휴대 전화기(12), 휴대형 재생 장치(14), 또는, 간이형 재생 장치(15)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의 GUI를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그 표시 에리어가 작은 것 같은 경우는, 간략화한 마크(아이콘, 또는 썸네일)를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도 34 내지 도 36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40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클라이언트(402)로서, 거치형 재생 장치(13)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402)에 전원이 인가된다.
스텝 S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402)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로그를 참조하고, 전회 사용시의 최후에 재생한 악곡을 포함하는 스테이션은 어느 스테이션인가를 검출하고, 그 스테이션 가운데, 가장 우선도가 높은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송신된 요청를 수신한 서버(401)는,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를 검색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402)가 전회 사용시의 최후에 재생한 악곡을 포함하는 스테이션이 「사용자 A의 마음에 드는 것」이었을 경우,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를 참조하여, 「사용자 A의 마음에 드는 것」 중, 현재 가장 우선도가 높은 악곡 데이터의 곡 ID가 「ID0081」인 것을 검출하고, 「ID0081」의 악곡 데이터를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로부터 검색하고,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악곡 데이터의 일부를 판독하여, 통신부(413)를 통하여,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3에 있어서, 통신부(423)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음성 데이터 변환부(424), 및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를 제어하여,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즉, 음성 데이터 변환부(424)는, 통신부(423)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그 포맷에 적절한 방법으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에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는, 예를 들면, 스피커(284)나 헤드폰(16) 등에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표시 제어부(426)를 제어하고, 재생 중인 악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스테이션 선택 화면을, 표시 패널(281)에 출력시켜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402)가 전회 사용시의 최후에 재생한 악곡을 포함하는 스테이션이 「사용자 A의 마음에 드는 것」이었을 경우,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GUI 화면이, 표시 패널(281)에 표시된다.
스텝 S5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조작 입력부(4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했는지, 즉, 스텝 S3에 있어서 수신한 악곡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6에 있어서,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5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동일 스테이션에서 다음에 우선도가 높은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부분을,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하므로, 스텝 S7의 종료후, 처리는, 스텝 S3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여기서, 처리가 스텝 S3로 돌아온 경우 등, 재생되고 있는 악곡이 변경될 때의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악곡 A로부터 악곡 B로 바뀔 때, 예를 들면, 도 3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악곡과 악곡 사이가 무음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면, 레코드의 바늘이 날아, 재생 부분이 중단되어 변경되어 버린 것 같은 위화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위화감을 없애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 3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페이드를 행하여, 악곡 A의 음량을 서서히 줄이면서, 악곡 B의 음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한 경우, 사용자에 있어서는, 악곡의 전환점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새 악곡이 변경되어 있는 것처럼 느껴져 버린다.
그래서,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는, 악곡을 전환하는 경우, 도 37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악곡과 악곡 사이에, 매우 짧은 화이트 노이즈를 삽입하여, 음성 출력을 행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곡의 전환을 의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튜닝을 변경하는 조작에 따라, 재생되는 악곡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악곡과 악곡 사이에 짧은 노이즈가 감으로써, 라디오의 튜닝을 변경할 때와 마찬가지의 감각을 얻을 수 있어 자연스럽게 악곡 데이터의 전환을 의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스텝 S5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스텝 S5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상이한 스테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인지, 즉,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서 라인(432)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상이한 스테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선택된 스테이션의 가장 우선도가 높은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부분을,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하므로, 스텝 S9의 종료후, 처리는, 스텝 S3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새롭게 선택된 스테이션이, 예를 들면, 「사용자 B의 마음에 드는 것」이었을 경우, 계속되는 스텝 S4에 있어서는,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GUI 화면이, 표시 패널(281)에 표시된다.
스텝 S8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상이한 스테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줌인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즉, 도 17 (A) 및 도 17 (B)를 참조하여 설명한 줌인 버튼(334)의 누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줌인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는, 후술하는 스텝 S14에 진행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줌인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예를 들면, 음량이나 음색의 변경 등의 조작이므로, 스텝 S1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입력된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는, 스텝 S5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전체를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하므로, 스텝 S13의 종료후, 처리는, 스텝 S3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줌인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줌 선(先)은, 계층 카테고리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줌 선은, 계층 카테고리 레벨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5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재생 중인 악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계층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계층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GUI 화면이, 표시 패널(281)에 표시되고, 「사용자 B의 마음에 드는 것」 중, 가장 우선도가 높은 , 「ID0077」로 나타나는 악곡의 재생 중에, 줌인 조작이 입력된 경우, 「ID0077」로 나타나는 악곡은, 「슬픈 기분의 곡」의 계층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스텝 S15에서의 표시 화면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슬픈 기분의 곡」의 계층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441-2)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스텝 S1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조작 입력부(4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6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7에 있어서,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6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7에 있어서,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동일한 계층 카테고리로 다음에 우선도가 높은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부분을,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하므로, 스텝 S18의 종료후, 처리는, 스텝 S25로 진행된다.
스텝 S16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스텝 S16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상이한 계층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인지, 즉,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커서 라인(442)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9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상이한 계층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2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선택된 계층 카테고리의 가장 우선도가 높은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서버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부분을,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하므로, 스텝 S20의 종료후, 처리는, 스텝 S25로 진행된다.
스텝 S19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상이한 계층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2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줌아웃, 또는 줌인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줌아웃, 또는 줌인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4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1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줌아웃, 또는 줌인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2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예를 들면, 음량이나 음색의 변경 등의 조작이므로, 스텝 S2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입력된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는, 스텝 S16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2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전체를,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스텝 S18, 스텝 S20, 또는 스텝 S24의 처리에 의해, 서버(401)로부터, 악곡 데이터가 송신되므로, 스텝 S18, 스텝 S20, 또는 스텝 S24의 처리의 종료후, 스텝 S25에 있어서, 통신부(423)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음성 데이터 변환부(424), 및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를 제어하여,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재생시키고, 처리는, 스텝 S15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줌 선은, 계층 카테고리 레벨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2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줌 선은, 최하층(악곡 데이터)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6에 있어서, 줌 선은, 최하층(악곡 데이터)레벨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줌 선은, 스테이션 레벨이므로, 처리는, 스텝 S4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6에 있어서, 줌 선은, 최하층(악곡 데이터)레벨인 것으로 판단된 경 우, 스텝 S2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표시 제어부(426)를 제어하여, 재생 중인 악곡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또는, 썸네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예를 들면, 도 33(또는, 도 31 또는 도 32)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악곡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스텝 S2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조작 입력부(4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8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2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9에 있어서,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8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9에 있어서, 재생 중인 악곡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3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동일한 계층 카테고리(즉, 현재 표시되어 있는 악곡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악곡 중)로, 다음에 우선도가 높은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부분을,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하므로, 처리는, 스텝 S37로 진행된다.
스텝 S28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3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상이한 악곡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인지, 즉, 도 31의 커서 라인(452)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조작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1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상이한 악곡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3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선택된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 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부분을,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하므로, 처리는, 스텝 S37로 진행된다.
스텝 S31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상이한 악곡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3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줌아웃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줌아웃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4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줌아웃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3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4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예를 들면, 음량이나 음색의 변경 등의 조작이므로, 스텝 S35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입력된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는, 스텝 S28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34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은, 악곡의 처음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조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3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를, 통신부(423)를 통하여, 서버(401)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수신한 요청를 기초로,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전체를,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스텝 S30, 스텝 S32, 또는 스텝 S36의 처리의 종료후, 스텝 S37에 있어서, 통신부(423)는, 서버(401)로부터 송신된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음성 데이터 변환부(424), 및 음성 데이터 출력 제어부(425)를 제어하여,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스텝 S3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421)은, 재생 중인 악곡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악곡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거나, 또는, 재생 중인 악곡 데이터를 나타낸 썸네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도 31 또는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악곡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처리는, 스텝 S28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 클라이언트(402)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도 27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GUI 화면을 참조하면서, 커서 라인의 상하동, 줌아웃 또는 줌인이라고 하는 간단한 처리에 의해, 서버(4O1)에 기록되어 있는 여러 가지 악곡을 듣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서 라인의 상하동의 조작에 의해, 재생되는 악곡이 바뀌는 경우, 악곡의 전환 부분에서, 화이트 노이즈가 부가되기 때문에,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악곡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악곡의 최초부터가 아니고,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의 부분이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부터 재생되므로, 사용자는, 재생되고 있는 곡이 무슨 곡인지 알고 있는 경우는, 신속하게 그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생되고 있는 곡이 모르는 곡인 경우도, 그 곡이 마음에 드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402)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GUI를 참조하면서 리모트 코맨더(302) 등을 조작하여, 자신의 기분에 있던 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의 악곡을 듣는 것도 가능하고, 리모트 코맨더(302)를 전혀 조작하지 않는 경우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이나 라디오의 인기 악곡의 소개 프로그램과 같이, 여러 가지 악곡의, 이른바 「반복되는 부분」의 부분이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을 BGM와 같이 흐르게 하여 듣는 것이 가능하다. 또, 사용자는, 적당하게 리모트 코맨더(302)를 조작함으로써, 악곡을 랜덤으로 전환하면서, BGM와 같이 흐르게 하여 듣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복수의 클라이언트(402)의 이용자가, 동일한 서버(40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재생되는 악곡 중에는, 자신 이외의 사용자가 서버(401)에 등록한 악곡도 포함되므로, 모르는 곡을 우연히 듣고, 그 곡이 마음에 들었을 경우는, 곡의 최초부터 재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38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도 34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 클라이언트(402)의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되는 서버(40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클라이언트(402)의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되는 서버(401)의 처리 전에, 서버(401)의 서버 프로그램(411)은, 조작 입력부(412)로부터, 미리, 악곡 데이터의 기록, 스테이션 및 계층 카테고리의 설정, 및, 신규 스테이션의 설정 조건에 대한 입력을 받고 있다.
즉, 서버 프로그램(411)은, 조작 입력부(41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악곡 데이터 베이스(415) 내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있다.
또, 서버 프로그램(411)은,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송신되는 요청에 따라, 신규 스테이션을 설정하는 일도 가능하다. 서버 프로그램(411)은,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면, 「아침 7시부터 9시까지의 사이에, 각각의 클라이언트(402)로부터 합계 3회 이상, 최초부터의 재생이 요청된 곡」이 있었을 경우, 「아침의 곡」스테이션을 신규로 설정하고, 그 이후, 그 조건에 합치한 악곡 데이터를, 「아침의 곡」스테이션에 등록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스텝 S51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통신부(4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받은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스텝 S51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5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402)로부터 악곡 데이터의 요청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52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클라이언트(402)로부터의 요청의 내용,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에 등록되어 있는 링크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요청 송신원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402)의 계층에서의 가상적인 위치를 검출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입력된 요청는, 우선도에 따른 요청인지 여부, 즉, 전원 투입시의 요청, 악곡 데이터의 재생 종료에 따른 요청, 또는, 스테이션이나 계층 카테고리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입력된 요청는, 우선도에 따른 요청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최하층에 있어서 악곡이 지정된 요청인지,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인 경우, 스텝 S54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에 등록되어 있는 링크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요청의 내용에 대응하는 악곡의 곡 ID를 추출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입력된 요청는,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입력된 요청는,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6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스텝 S54에 있어서 추출된 악곡의 ID를 기초로, 악곡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참조하여, 악곡의 최초부터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통신부(413)를 통하여, 요구원의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입력된 요청는, 우선도에 따른 요청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7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에 등록되어 있는 랭킹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 내의 소정(요청로 지정된) 우선도의 악곡의 곡 ID를 검색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입력된 요청는, 현재 재생 중인 악곡을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스텝 S57의 처리의 종료후, 스텝 S58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요청로 지정된 곡 ID, 또는, 스텝 S57에 있어서 검색된 곡 ID를 기초로, 악곡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재생 개시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악곡의 소정 위치로부터의 악곡 데이터를 추출하고, 통신부(413)를 통하여, 요구원의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스텝 S56, 또는 스텝 S58의 처리의 종료후, 스텝 S59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클라이언트(402)로부터 받은 요청의 내용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프로그램(411)은, 예를 들면, 요청된 악곡의 곡 ID, 요청된 시간(또는, 요일, 몇월 몇일인지, 등), 또는, 악곡의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인지 여부 등,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 또는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를 갱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스텝 S60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스텝 S59의 분석 결과에 따라,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의 랭킹 리스트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402)로부터의 요청의 내용이, 악곡의 최초부터의 재생을 행하기 위한 것이었던 경우, 서버 프로그램(411)은,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의 랭킹 리스트 중,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랭킹을 상위로 한다.
여기서는, 랭킹 리스트의 갱신을, 악곡의 최초부터 재생시키기 위한 요청인지 여부에 따라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조건에 의해 랭킹을 갱신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스텝 S61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스텝 S59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새로운 스테이션의 설정이나, 소정 스테이션에의 악곡의 추가가 필요한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버 프로그램(4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면, 「아침 7시부터 9시까지의 사이에, 각각의 클라이언트(402)로부터 합계 3회 이상, 최초부터의 재생이 요청된 곡」이 있었을 경우, 「아침의 곡」스테이션을 신규로 설정하고, 그 이후, 그 조건에 합치한 악곡 데이터를, 「아침의 곡」스테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설정의 입력을 미리 받고 있으므로, 스텝 S59의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61에 있어서, 새로운 스테이션의 설정이나, 소정 스테이션에의 악곡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1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61에 있어서, 새로운 스테이션의 설정이나, 소정 스테이션에의 악곡의 추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62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 및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의 각각 대응하는 부분을 갱신한다.
스텝 S63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411)은, 스텝 S62의 갱신 내용에 따라, 신규의 스테이션의 GUI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413)를 통하여, 필요한 클라이언트(402)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썸네일(451-1) 및 (451-2) 등을 표시 가능한 클라이언트(402)(예를 들면, PDA(11)나, 거치형 재생 장치(13) 등과 같이, GUI를 비교적 크게 표시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402))에는,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에 대응하여, 어느 스테이션의, 어느 계층 카테고리에 있어서, 어떤 썸네일이 표시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나, 필요에 따라서, 썸네일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송신된다.
또, 썸네일을 이용하지 않고, 아이콘만을 사용하여 GUI를 표시시키는 클라이언트(402)(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2), 휴대형 재생 장치(14), 또는, 간이형 재생 장치(15) 등과 같이, GUI를 비교적 작게 밖에 표시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402))에는,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에 대응하여, 어느 스테이션의, 어느 계층 카테고리에 있어서, 어떤 아이콘이 표시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송신된다.
또, 간이형 재생 장치(15)에 있어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창(37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클라이언트(402)에는, GUI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402)에서의 GUI의 표시 방법에 대응한 데이터가, 서버 프로그램(411)에 의해 송신된다.
그리고, 스텝 S63의 처리의 종료후, 처리는, 스텝 S51로 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처리에 의해, 서버(401)는, 클라이언트(402)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대하여,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를 검색하여 송신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클라이언트(402)의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반영시켜, 링크 정보 데이터 베이스(416) 및 랭킹 정보 데이터 베이스(417)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줌인 조작을 행하고, 최하층(즉, 악곡 데이터의 계층)까지 이동하여,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테이션, 또는 계층 카테고리의 이동만을 행하고 있던 경우라도, 서버(401)측에서 관리되고 있는 랭킹에 따라, 어떤 악곡 데이터가 서버(401)에 요청되어 서버(401)로부터, 악곡 데이터가 송신되어, 클라이언트(402)에 의해 재생된다. 즉, 클라이언트(402)의 사용 중에 있어서는, 항상, 어떤 악곡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 사용자는, 재생하는 악곡명을 지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곡의 반복되는 부분이나, 특징적인 부분을 들으면서, 마음에 드는 곡은, 적극적으로 최초부터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적당하게 튜닝을 반복함으로써, 자신이 모르는 악곡(예를 들면, 동일한 서버(401)를 이용하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402)의 사용자가 등록하고 있는 악곡)을 들을 기회도 주어진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서버(401)와 클라이언트(402)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서버(401)의 근처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402)가, 서버(401)와 유선으로 정보를 수수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402)는, 도 2의 PDA(11) 내지 간이형 재생 장치(15)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클라이언트(402)는, 서버(4O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튜닝, 줌아웃 및 줌인, 및, 악곡의 최초부터의 재생을 지령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부를 가지고,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장치라도 되고, 예를 들면,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나, 퍼스널 컴퓨터(1)와 마찬가지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또는, 이상의 기능을 구비한 각종 음악 재생 장치 등이라도 된다.
또, 도 27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GUI 화면에 있어서는, 동일한 레벨에, 동일한 랭크의 아이콘, 또는 썸네일만을 표시시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표시 화면에, 상이한 랭크의 상이한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어느 스테이션으로부터 줌인하여, 악곡 데이터 레벨까지 계층을 내려 갔을 때에,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콘(461-1) 내지 (461-6)과 동일한 계층에서, 상이한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481-1) 및 (481-2), 또는 계층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482-1) 및 (482-2)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동일 GUI 표시 화면에, 상이한 랭크의 상이한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처음은 전국 네트 레벨의 라디오 방송국 밖에 튜닝을 맞출 수가 없는 상태이지만, 튜닝을 정밀하게 행해 감으로써, 지방 로컬의 라디오 방송국이 방송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도록 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감각을 얻을 수 있어, 스테이션의 개념을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그 소프트웨어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 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7, 도 11, 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와는 별개로, 사용자에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21,191), 또는 (3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디스크(122, 192), 또는 (322)(CD R0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하는), 광자기 디스크(123,193), 또는(323)(MD(Mini-Disk)(상표)를 포함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24,194), 또는 (32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가 가지는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예를 들면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신호,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소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악곡 데이터 및 그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신호, 기록되어 있는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소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하고,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사용하여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예를 들면 악곡 데이터를 요구하고,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8)

  1.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 및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을 가지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보조하기 위한 표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 및 상기 수신 수단은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요청 신호 및 상기 기록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기록 데이터를 지정하거나 또는 상기 기록 데이터가 포함되는 가상적인 분류명 및 상기 기록 데이터의 분류 중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일부의 송신을 요구하는 제1 요청 신호 또는 상기 기록 데이터 전체 중 어느 것의 송신을 요구하는 제2 요청 신호로 이루어지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제1 조작이 입력된 경우, 및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제1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제2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신호에 의해 요청되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기록 데이터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있어 가장 특징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정보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1 기록 데이터 및 제2 기록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기록 데이터를 재생한 음성과 상기 제2 기록 데이터를 재생한 음성 사이에 소정 간격의 화이트 노이즈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기록 데이터의 일부의 송신을 요구하는 상기 제1 요청 신호의 송신을 지령하기 위한 제1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수단과,
    상기 기록 데이터의 전체의 송신을 요구하는 상기 제2 요청 신호의 송신을 지령하기 위한 제2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여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스텝과,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 및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을 가지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입력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입력이 제어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요청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보조하기 위한 표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컴퓨터에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 스텝과,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 및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을 가지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입력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입력이 제어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요청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수단으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보조하기 위한 표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2.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과,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과,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청 신호,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청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 수단과,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분석 수단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의 최상층에 새로운 분류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여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청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기록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1 기록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2 기록 제어 스텝과,
    상기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상기 제1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3 기록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상기 요청 신호, 상기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스텝과,
    상기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 데이터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제어 스텝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청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 스텝과,
    상기 분석 스텝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스텝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컴퓨터에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청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기록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1 기록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2 기록 제어 스텝과,
    상기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상기 제1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3 기록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상기 요청 신호, 상기 제2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스텝과,
    상기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 데이터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상기 수신 제어 스텝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청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 스텝과,
    상기 분석 스텝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제어 스텝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스텝
    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8.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로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과,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과,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에 관하여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과,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에서의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제3 기록 수단과,
    상기 제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청 신호,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가상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3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상기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요청 신호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과,
    상기 제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037008984A 2001-11-09 2002-11-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002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4396 2001-11-09
JP2001344396A JP3731525B2 (ja) 2001-11-09 2001-11-09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PCT/JP2002/011641 WO2003040959A1 (fr) 2001-11-09 2002-11-08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proced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841A KR20040060841A (ko) 2004-07-06
KR101002996B1 true KR101002996B1 (ko) 2010-12-21

Family

ID=1915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9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2996B1 (ko) 2001-11-09 2002-11-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30874B2 (ko)
EP (1) EP1443422B1 (ko)
JP (1) JP3731525B2 (ko)
KR (1) KR101002996B1 (ko)
WO (1) WO20030409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15B1 (ko) 2005-10-04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홈 네트워크 및 dlna 홈 네트워크에서의 썸네일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8905A (ja) * 2001-03-07 2002-09-20 Canon Inc プログラム動作装置、プログラム書込制御装置、プログラム書込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088749B2 (ja) 2001-11-09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731525B2 (ja) 2001-11-09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4617167B2 (ja) * 2004-02-04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95644B2 (ja) * 2004-03-08 2009-07-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放送記録再生方法並びに放送記録再生プログラム
US7492023B2 (en) * 2004-03-26 2009-02-17 Fujifilm Corporation Solid state imaging device
JP2006155782A (ja) * 2004-11-30 2006-06-15 Sony Corp 記録装置、再生装置、画像ファイル生成方法、表示制御方法
US7631352B1 (en) * 2005-06-15 2009-12-08 Daniel John Nelson Link2File automated computer location and linking system
JP4846334B2 (ja) * 2005-10-17 2011-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
US7640041B2 (en) * 2005-11-30 2009-12-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ultiple function handheld device
KR100782825B1 (ko) * 2005-12-01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컨텐츠 선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4894252B2 (ja) 2005-12-09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JP4437548B2 (ja) 2005-12-09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表示装置、音楽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音楽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JP4682878B2 (ja) * 2006-03-06 2011-05-1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US7970835B2 (en) * 2006-04-04 2011-06-28 Xerox Corporation Peer-to-peer fil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downloadable data segments
US20080125889A1 (en) * 2006-08-22 2008-05-29 William Edward Atherto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ation of entertainment selections in response to user feedback
US8564544B2 (en)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9304675B2 (en) 2006-09-06 2016-04-0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GB2444974B (en) * 2006-12-22 2011-12-28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Media device and interface
US8689132B2 (en) 2007-01-07 2014-04-0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s and lists
KR101366315B1 (ko) * 2007-01-19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US20080239888A1 (en) * 2007-03-26 2008-10-02 Yamaha Corporation Music Data Providing System
US20090092266A1 (en) * 2007-10-04 2009-04-09 Cheng-Chieh Wu Wireless audio system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voice input
JP5094341B2 (ja) * 2007-11-16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439549B1 (ko) 2008-04-07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탐색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0008435A1 (en) * 2008-06-02 2010-01-21 Dentsply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designing a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using digital images of a patient
EP2304590A4 (en) * 2008-06-20 2012-04-25 Leostream Corp METHOD OF MANAGING LAYER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SSIGNING USERS TO COMPUTER RESOURCES
US8698648B2 (en) * 2009-01-09 2014-04-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of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utility data and voice data
CN104246717A (zh) * 2012-05-08 2014-12-24 文雅科一番株式会社 数据处理系统、服务器、客户端、数据管理用程序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8444A (ja) 1997-01-28 1998-08-07 Sony Corp 音楽データ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43B2 (ja) 1989-12-28 1996-03-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機器の再生方法
JP3203069B2 (ja) 1992-11-05 2001-08-27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位相差補償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278258A (en) * 1993-05-17 1994-11-23 Ibm Token ring network
JPH07250316A (ja) 1994-03-14 1995-09-26 Brother Ind Ltd データ伝送装置
US5940610A (en) * 1995-10-05 1999-08-17 Brooktree Corporation Using prioritized interrupt callback routines to process different types of multimedia information
JP2956569B2 (ja) 1996-02-26 1999-10-0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744046B2 (ja) 1996-03-04 2006-02-08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H1063281A (ja) 1996-08-23 1998-03-06 Ado Commun:Kk 音響映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楽曲のアレンジ方法
JP3064949B2 (ja) 1997-04-02 2000-07-12 株式会社ケイ 擁壁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擁壁施工方法
US6363411B1 (en) * 1998-08-05 2002-03-26 Mci Worldcom, Inc. Intelligent network
US6385596B1 (en) * 1998-02-06 2002-05-07 Liquid Audio, Inc. Secure online music distribution system
KR100339436B1 (ko) * 1998-04-03 2002-06-03 모리시타 요이찌 휴대 시청 시스템
US6337856B1 (en) * 1998-05-20 2002-01-0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s system
JP3709086B2 (ja) * 1998-12-16 2005-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レーキ制御装置
US6643620B1 (en) * 1999-03-15 2003-1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oice activated controller for recording and retrieving audio/video programs
US20020118954A1 (en) * 2001-12-07 2002-08-29 Barton James M. Data storage management and scheduling system
JP2001054096A (ja) * 1999-08-06 2001-02-23 Sony Corp 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配信システム、並びに媒体
WO2001018630A2 (en) 1999-09-09 2001-03-15 Percussion Software, Inc. Xml dynamic content retrieval using style and content definition sheets
JP4337185B2 (ja) 1999-10-08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電話装置
GB2356732B (en) * 1999-11-26 2003-12-10 Sony Uk Ltd Editing of recorded material
EP1238482A2 (en) * 1999-12-08 2002-09-11 Tune To Com Inc. Scheduled retrieval, storage and access of media data
US6826173B1 (en) * 1999-12-30 2004-11-30 At&T Corp. Enhanced subscriber IP alerting
US6248946B1 (en) * 2000-03-01 2001-06-19 Ijockey, Inc. Multimedia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2001297093A (ja) 2000-04-14 2001-10-26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配給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EP1170882B1 (en) * 2000-07-07 2006-09-06 Hitachi, Ltd.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nd contents provider
US20020143960A1 (en) * 2000-08-02 2002-10-03 Erez Goren Virtual network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20020092019A1 (en) * 2000-09-08 2002-07-11 Dwight Marcu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on, distribution, assembly and verification of media
WO2002025460A1 (en) * 2000-09-19 2002-03-28 Phatnoise, Inc. Device-to-device network
US6507727B1 (en) * 2000-10-13 2003-01-14 Robert F. Henrick Purchase and delivery of digital content using multiple devices and data networks
EP1330713A2 (en) * 2000-10-15 2003-07-30 Digital Networks North America, Inc. Fail safe recovery
JP2002149166A (ja) 2000-11-09 2002-05-24 Yamaha Corp 楽曲情報配信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20151327A1 (en) * 2000-12-22 2002-10-17 David Levitt Program selector and guide system and method
US20030006911A1 (en) * 2000-12-22 2003-01-09 The Cadre Group Inc. Interactive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20020151313A1 (en) * 2001-02-15 2002-10-17 Graham Stea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concerning wireless handsets via the internet
US20020133821A1 (en) * 2001-03-08 2002-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tivity schedule controls personalized electronic content guide
US20030005138A1 (en) * 2001-06-25 2003-01-02 Giffin Michael Shawn Wireless streaming audio system
US7636931B2 (en) * 2001-08-17 2009-12-22 Igt Interactive television devices and systems
JP3731525B2 (ja) 2001-11-09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6066052A2 (en) * 2004-12-16 2006-06-22 Sonic Solutions Methods and systems for use in network management of cont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8444A (ja) 1997-01-28 1998-08-07 Sony Corp 音楽データ管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15B1 (ko) 2005-10-04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홈 네트워크 및 dlna 홈 네트워크에서의 썸네일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30874B2 (en) 2008-02-12
US20040136244A1 (en) 2004-07-15
EP1443422A4 (en) 2005-06-01
JP3731525B2 (ja) 2006-01-05
KR20040060841A (ko) 2004-07-06
US7774426B2 (en) 2010-08-10
JP2003150604A (ja) 2003-05-23
US20080109094A1 (en) 2008-05-08
EP1443422B1 (en) 2018-08-15
WO2003040959A1 (fr) 2003-05-15
EP1443422A1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996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408874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1562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627218B2 (en) Host implemented method for customising a secondary device
US76671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playlist selection in a portable audio device
KR100797224B1 (ko) 정보 처리 장치
JP410312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442442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6232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8478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802626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17806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48918B1 (ko) 환경 조건에 따른 음악 파일 검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음악 파일 검색 방법
JP200308478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182666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方法、遠隔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及び遠隔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70018915A (ko) 이동기기에서의 음악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HK1149094B (en) A host implemented method for customising a seconda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12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21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