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8017B1 -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017B1
KR100998017B1 KR1020090015007A KR20090015007A KR100998017B1 KR 100998017 B1 KR100998017 B1 KR 100998017B1 KR 1020090015007 A KR1020090015007 A KR 1020090015007A KR 20090015007 A KR20090015007 A KR 20090015007A KR 100998017 B1 KR100998017 B1 KR 10099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device package
refra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946A (ko
Inventor
정수진
손중곤
이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017B1/ko
Priority to US12/607,694 priority patent/US8253154B2/en
Priority to JP2009258363A priority patent/JP2010199544A/ja
Publication of KR2010009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0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28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refractive and reflective surfaces, e.g. non-imaging catadioptric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01N2021/8592Grain or other flowing solid samp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렌즈면에 대한 구조변경을 통해 발광소자 칩에서 발생되는 광이 렌즈면에 의해 내부로 전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Lens for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의 표면에 대한 구조변경을 통해 렌즈 내면에 닿는 빛의 각도를 임계각 이내로 바꿔줌으로써 광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GaAs, AlGaAs, GaN, InGaInP 등의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 재료의 변경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함으로서, 다양한 색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특성을 결정하는 기준으로는 색(color) 및 휘도, 휘도 세기의 범위 등이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특성은 1차적으로는 발광다이오드 소자에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반도체 재료에 의해 결정되지만, 2차적인 요소로 칩을 실장하기 위한 패키지의 구조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 고휘도와 사용자 요구에 따른 휘도 각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재료개발 등에 의한 1 차적인 요소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패키지 구조 등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발광소자 패키지는 열적, 전기적 신뢰성뿐만 아니라 광학적 특성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반도체 패키지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최근에는 전장용, 조명용, 플레쉬용 등으로 발광소자 패키지가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지향각 조건을 만족함은 물론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패키지 설계, 렌즈 설계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는 에피택시(epitaxy)된 LED 칩의 제조공정에서 칩의 상면에 텍스처(texture)를 형성하는 구조, 칩 형상의 태핑(tapping)을 주는 구조, 반사층을 설치하는 구조 등 다양한 방향으로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렌즈면에 대한 구조변경을 통해 발광소자 칩에서 발생되는 빛이 렌즈면에 의해 내부로 전반사되는 빛의 양을 줄임으로써 광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는 패키지 본체 상에 실장되는 발광소자 칩을 덮어 씌우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부표면이 하나의 메인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메인 곡률반경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을 가지는 굴절렌즈가 상기 렌즈의 외부표면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 곡률반경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메인 곡률반경에 대한 서브 곡률반경의 비가 조건식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1]
Figure 112009011137590-pat00001
〈 R/r 〈 1
여기서, R : 메인 곡률반경
r : 서브 곡률반경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 패턴을 이루는 각 굴절렌즈 간의 간격과 상기 굴절렌즈의 서브 곡률반경에 관하여 조건식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2] d = r/2
여기서, d : 굴절렌즈 간의 간격
r : 서브 곡률반경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외부표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서로 교차하여 구획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 볼록한 메시(mes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는 실장부가 노출되도록 상부측으로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되는 패키지 본체; 상기 패키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프레임; 상기 실장부 상에 실장되어 상기 리드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칩; 및 상기 패키지 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부표면이 하나의 메인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메인 곡률반경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을 가지는 굴절렌즈가 상기 외부표면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 곡률반경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메인 곡률반경에 대한 서브 곡률반경의 비가 조건식1 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1]
Figure 112009011137590-pat00002
〈 R/r 〈 1
여기서, R : 메인 곡률반경
r : 서브 곡률반경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 패턴을 이루는 각 굴절렌즈 간의 간격과 상기 굴절렌즈의 서브 곡률반경에 관하여 조건식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2] d = r/2
여기서, d : 굴절렌즈 간의 간격
r : 서브 곡률반경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외부표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서로 교차하여 구획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 볼록한 메시(mes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는 구조가 간단하고, 발광소자 칩에서 발생되는 광이 렌즈면에 의해 내부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추출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의 실시예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에서 굴절렌즈의 설계조건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이하 '렌즈'라 함)(40)는 패키지 본체(10) 상에 실장되는 발광소자 칩(미도시)을 덮어 씌움으로써 상기 발광소자 칩을 밀봉하는 광투과성의 몰딩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렌즈(40)는 상부측으로 볼록한 돔(dome)형상의 볼록렌즈 구조를 가져 상기 발광조사 칩의 광분포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넓은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렌즈(40)는 상기 패키지 본체(10)의 캐비티(미도시) 상부로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여 몰딩하거나,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된 렌즈(40)를 상기 패키지 본체(10)의 상부에 안착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40)는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부표면이 하나의 메인 곡률반경(R)을 가지며, 상기 메인 곡률반경(R)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r)을 가지는 굴절렌즈(50)가 상기 외부표면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 곡률반경(R)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굴절렌즈(50)는 상기 볼록한 외부표면을 따라 복수개의 굴절렌즈(50)가 서로 인접하여 일정한 패턴의 어레이(array)를 형성하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볼록한 렌즈(40)면 상에 볼록한 굴절렌즈(50)가 복수개 돌출형성되는 플라이 아이 패턴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발광소자 칩(미도시)에서 출사되는 빛은 상기 렌즈(40)의 볼록한 외부표면, 즉 공기와 접하는 렌즈(40)의 경계면에 도달시 상기 굴절렌즈(50)의 굴절면에 의해 임계각 이내의 각도로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 칩에서 출사되는 빛은 상기 렌즈(40)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렌즈(40)의 내부로 재반사되지 않아 광추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굴절렌즈(50)는 상기 렌즈(40)의 표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로선(51)과 세로선(52)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구획에 형성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플라이 아이 패턴을 이루는 상기 굴절렌즈(50)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선(51)과 세로선(52)에 의해 사각형의 메시(mesh)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굴절렌즈(50)는 소정 크기의 메인 곡률반경(R)을 가지는 상기 렌즈(40)의 돔 형상과 같이 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r)을 가지는 볼록한 돔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40)의 메인 곡률반경(R)과 상기 굴절렌즈(50)의 서브 곡률반경(r) 사이에는 다음의 조건식1을 만족하는 관계가 성립한다.
[조건식1]
Figure 112009011137590-pat00003
〈 R/r 〈 1
만일 렌즈(40)의 메인 곡률반경(R)에 대한 굴절렌즈(50)의 서브 곡률반경(r)의 비가 "
Figure 112009011137590-pat00004
"보다 작을 경우에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이 렌즈 내부면에 대해서 임계각 이상의 각도를 가지게 되어 내부로 재반사함으로써 광추출 효율의 증가비율을 최대한으로 만들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렌즈(40)의 메인 곡률반경(R)에 대한 굴절렌(50)의 서브 곡률반경(r)의 비가 "1"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서브 곡률반경(r)으로 보완하여 확대할 수 있는 임계각의 범위가 줄어들 뿐 아니라, 렌즈의 메인 곡률반경(R)을 통해 방출될 수 있는 빛도 내부로 전반사되는 확률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플라이 아이 패턴을 이루는 각 굴절렌즈(50) 간의 간격(d)과 상기 굴절렌즈의 서브 곡률반경(r) 사이에는 다음의 조건식2를 만족하는 관계가 성립한다.
[조건식2] d = r/2
다만, 상기 [조건식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굴절렌즈(50) 간의 간격(d)과 굴절렌즈의 서브 곡률반경(r)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간격(d)과 서브 곡률반경(r) 사이의 관계가 상기 [조건식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렌즈(40) 및 굴절렌즈(50)의 설계수치, 즉 상기 렌즈(40)의 곡률반경(R), 높이, 상기 굴절렌즈의 형태(플라이 아이 패턴)와 서브 곡률반경(r) 등의 수치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렌즈(40)가 장착되는 패키지 본체(10)의 캐비티(13)의 반사면 기울기(θ)와 크기, 발광소자 칩까지의 거리 등 패키지 본체(10)의 조건에 따라서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캐비티의 반사면 기울기가 45도이고, 상기 렌즈(40)의 곡률반경(R)이 3mm, 그리고 상기 굴절렌즈(50)의 서브 곡률반경(r)이 0.9mm인 경우 최상의 광추출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패키지용 렌즈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렌즈와 굴절렌즈의 설계조건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1)는 패키지 본체(10), 리드프레임(20), 발광소자 칩(30), 렌즈(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키지 본체(1)는 내부에 상기 발광소자 칩(30)을 실장하는 실장부(12) 가 상부측으로 개방되는 소정 크기의 캐비티(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패키지 본체(10)는 상기 캐비티(13)를 이루는 테두리의 내측면이 상기 실장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어 반사면(1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 칩(3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상기 반사면(11)을 통해 반사되어 외부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광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보다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상기 반사면(11) 상에는 고반사율을 갖는 반사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프레임(20)은 상기 패키지 본체(10)에 의해 에워싸여 지지되며,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 칩(3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리드프레임(20)은 상기 캐비티(13) 저면의 실장부상에 실장되는 상기 발광소자 칩(30)과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칩 본딩 방식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활한 열방출을 위해 상기 실장부(12)의 하부측에 히트싱크(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드프레임(20)은 효율적인 전류 인가를 위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소자 칩(3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반도체소자의 일종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발광소자 칩(30)이 상기 실장부(12)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의 발광소자 칩(30)을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 칩(30)은 청색 발광소자 칩, 적색 발광소자 칩 및 녹색 발광소자 칩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키지 본체(10)의 상부측으로는 캐비티(13) 내에 실장되는 발광소자 칩(30)을 덮어 보호하도록 볼록한 돔 형상의 렌즈(40)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40)는 상기 패키지 본체(10)의 캐비티(13) 상부로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여 몰딩하거나,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된 렌즈(40)를 상기 패키지 본체(10)의 상부에 안착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40)는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부표면이 하나의 메인 곡률반경(R)을 가지며, 상기 메인 곡률반경(R)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r)을 가지는 굴절렌즈(50)가 상기 외부표면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 곡률반경(R)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굴절렌즈(50)는 상기 볼록한 외부표면을 따라 복수개의 굴절렌즈(50)가 서로 인접하여 일정한 패턴의 어레이(array)를 형성하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볼록한 렌즈(40)면 상에 볼록한 굴절렌즈(50)가 복수개 돌출형성되는 플라이 아이 패턴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발광소자 칩(미도시)에서 출사되는 빛은 상기 렌즈(40)의 볼록한 외부표면, 즉 공기와 접하는 렌즈(40)의 경계면에 도달시 상기 굴절렌즈(50)의 굴절면에 의해 임계각 이내의 각도로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 칩에서 출사되는 빛은 상기 렌즈(40)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렌즈(40)의 내부로 재반사되지 않아 광추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굴절렌즈(50)는 상기 렌즈(40)의 표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로선(51)과 세로선(52)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구획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플라이 아이 패턴을 이루는 상기 굴절렌즈(50)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선(51)과 세로선(52)에 의해 사각형의 메시(mesh)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굴절렌즈(50)는 소정 크기의 메인 곡률반경(R)을 가지는 상기 렌즈(40)의 돔 형상과 같이 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r)을 가지는 볼록한 돔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굴절렌즈(50)의 구체적인 설계조건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조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40) 및 플라이 아이 패턴(50)의 설계수치, 즉 상기 렌즈(40)의 곡률반경(R), 높이, 상기 플라이 아이의 형태와 셀의 곡률반경(r) 등의 수치는 상기 캐비티(13)의 반사면 기울기(θ)와 크기, 발광소자 칩(30)까지의 거리 등 패키지 본체(10)의 조건에 따라서 최적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발광소자 칩을 실장하는 패키지 본체에 소정 기울기의 반사면을 이루는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부측에는 볼록한 돔 형상의 표면을 따라 플라이 아이 패턴의 굴절렌즈를 형성한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광추출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렌즈의 외부표면에 플라이 아이 패턴의 굴절렌즈를 복수개 형성함으로 써 발광소자 칩에서 출사되는 광이 렌즈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추출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에서 굴절렌즈의 설계조건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렌즈와 굴절렌즈의 설계조건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12)

  1. 패키지 본체 상에 실장되는 발광소자 칩을 덮어 씌우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부표면이 하나의 메인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메인 곡률반경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을 가지는 굴절렌즈가 상기 렌즈의 외부표면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 곡률반경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메인 곡률반경에 대한 서브 곡률반경의 비가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조건식1]
    Figure 112009011137590-pat00005
    〈 R/r 〈 1
    여기서, R : 메인 곡률반경
    r : 서브 곡률반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 패턴을 이루는 각 굴절렌즈 간의 간격과 상기 굴절렌즈의 서브 곡률반경에 관하여 조건식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조건식2] d = r/2
    여기서, d : 굴절렌즈 간의 간격
    r : 서브 곡률반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외부표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서로 교차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 볼록한 메시(mes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7. 실장부가 노출되도록 상부측으로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되는 패키지 본체;
    상기 패키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프레임;
    상기 실장부 상에 실장되어 상기 리드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칩; 및
    상기 패키지 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부표면이 하나의 메인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메인 곡률반경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곡률반경을 가지는 굴절렌즈가 상기 외부표면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 곡률반경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렌즈;
    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메인 곡률반경에 대한 서브 곡률반경의 비가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조건식1]
    Figure 112009011137590-pat00006
    〈 R/r 〈 1
    여기서, R : 메인 곡률반경
    r : 서브 곡률반경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플라이 아이 패턴을 이루는 각 굴절렌즈 간의 간격과 상기 굴절렌즈의 서브 곡률반경에 관하여 조건식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조건식2] d = r/2
    여기서, d : 굴절렌즈 간의 간격
    r : 서브 곡률반경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외부표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서로 교차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선과 세로선에 의해 볼록한 메시(mesh)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KR1020090015007A 2009-02-23 2009-02-23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Active KR10099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07A KR100998017B1 (ko) 2009-02-23 2009-02-23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US12/607,694 US8253154B2 (en) 2009-02-23 2009-10-28 Lens for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JP2009258363A JP2010199544A (ja) 2009-02-23 2009-11-11 発光素子パッケージ用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る発光素子パッケー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07A KR100998017B1 (ko) 2009-02-23 2009-02-23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46A KR20100095946A (ko) 2010-09-01
KR100998017B1 true KR100998017B1 (ko) 2010-12-03

Family

ID=4263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007A Active KR100998017B1 (ko) 2009-02-23 2009-02-23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53154B2 (ko)
JP (1) JP2010199544A (ko)
KR (1) KR100998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344B1 (ko) * 2011-03-29 2015-02-04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광소자 및 그러한 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사 방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6310B (zh) * 2009-10-02 2013-05-11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發光二極體結構
JP2012069589A (ja) * 2010-09-21 2012-04-05 Toshiba Corp 発光装置
US9029887B2 (en) * 2011-04-22 2015-05-12 Micron Technology, Inc.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having improved color uniformity and associated methods
CN102997178A (zh) * 2011-09-09 2013-03-27 欧司朗股份有限公司 透镜以及具有该透镜的照明装置
US9065024B2 (en) * 2012-05-01 2015-06-23 Bridgelux, Inc. LED lens design with more uniform color-over-angle emission
TWI459600B (zh) * 2012-07-06 2014-11-01 Lextar Electronics Corp 發光二極體封裝體及其製造方法
CN103474423A (zh) * 2013-03-28 2013-12-25 深圳信息职业技术学院 高光效led集成光源及led灯
US10935211B2 (en) * 2014-05-30 2021-03-02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LED luminaire with a smooth outer dome and a cavity with a ridged inner surface
KR102277125B1 (ko) 2014-06-09 2021-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DE102016122770B4 (de) 2016-11-25 2022-01-05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uteil mit einem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
EP4136490A1 (en) * 2020-04-15 2023-02-22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cables i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964A (ja) 2006-02-28 2007-10-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KR100770424B1 (ko) 2006-12-13 2007-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0469D0 (en) * 1996-01-10 1996-03-13 Secr Defence Three dimensional etching process
JPH11142610A (ja) 1997-11-14 1999-05-28 Seiko Epson Corp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基板の製造方法
US6193393B1 (en) * 1998-09-10 2001-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nsifying illumination brightness by time-superposing multiple pulsed light sources
JP2004503923A (ja) * 2000-07-10 2004-02-05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ォー レーザー オプティックス リサーチ 帯域幅強調によるスペックル低減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DE10038213A1 (de) * 2000-08-04 2002-03-0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ahlungsqu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insensform
US6831786B2 (en) * 2002-03-11 2004-12-14 Eastman Kodak Company Surface formed complex multi-layered polymer lenses for light diffusion
US6890642B2 (en) 2002-03-11 2005-05-10 Eastman Kodak Company Surface formed lenses on voided polymer light diffuser
US6900941B2 (en) * 2002-05-16 2005-05-31 Eastman Kodak Company Light diffuser with colored variable diffusion
US7377671B2 (en) * 2003-02-04 2008-05-27 Light Prescriptions Innovators, Llc Etendue-squeezing illumination optics
JP4366121B2 (ja) * 2003-06-11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素子の製造方法
JP2005070631A (ja) * 2003-08-27 2005-03-17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タ
TWI283764B (en) * 2003-09-19 2007-07-11 Hon Hai Prec Ind Co Ltd LED light source and backlight system using thereof
DE102004003013B3 (de) * 2004-01-20 2005-06-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ilderfassungssystem und dessen Verwendung
JP4380522B2 (ja) * 2004-02-06 2009-12-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用複製型の製造方法
US20060044806A1 (en) * 2004-08-25 2006-03-02 Abramov Vladimir S Light emitting diode system packages
FR2875948B1 (fr) * 2004-09-28 2006-12-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mposant d'encapsulation de micro-systeme electromecaniques integres et procede de realisation du composant
US7315048B2 (en) * 2004-10-22 2008-01-01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light emitted by a plurality of solid-state light emitters
TWM275418U (en) * 2004-12-03 2005-09-11 Chip Hope Co Ltd Lens with light uniformization
US7375312B2 (en) * 2005-01-26 2008-05-20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Planar fly's eye detector
EP2365376B1 (en) * 2005-05-18 2015-10-07 Visual Physics, LLC Image presentation and micro-optic security system
US7595515B2 (en) * 2005-10-24 2009-09-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molded encapsulant
KR100691440B1 (ko) 2005-11-15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패키지
US20070170449A1 (en) * 2006-01-24 2007-07-26 Munisamy Anandan Color sensor integrated light emitting diode for LED backlight
US7796335B2 (en) * 2006-04-03 2010-09-14 William Karszes Microlens windows and interphased images for packaging and print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e
US8044585B2 (en) * 2006-05-02 2011-10-25 Chain Technology Consultant Inc. Light emitting diode with bumps
JP4937845B2 (ja) * 2006-08-03 2012-05-2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SG140473A1 (en) * 2006-08-16 2008-03-28 Tinggi Tech Private Ltd Improvements in external light efficiency of light emitting diodes
EP1925874B8 (en) * 2006-11-24 2014-09-10 OSRAM GmbH LED color-mixing lighting system
US20080169480A1 (en) * 2007-01-11 2008-07-17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Optoelectronic device package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TW200832744A (en) * 2007-01-26 2008-08-01 Delta Electronics Inc Light-emitting diod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288410A (ja) * 2007-05-18 2008-11-27 Toshiba Corp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328670U (en) * 2007-07-10 2008-03-11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LED lamp lens
US20090050910A1 (en) * 2007-08-21 2009-02-26 Edison Opto Corporation Flat panel base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CN101515423B (zh) * 2008-02-22 2011-12-28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8105853B2 (en) 2008-06-27 2012-01-31 Bridgelux, Inc. Surface-textured encapsulations for use with light emitting diodes
WO2010033836A2 (en) * 2008-09-18 2010-03-25 Taylor Corporation Thin film high definition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964A (ja) 2006-02-28 2007-10-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KR100770424B1 (ko) 2006-12-13 2007-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344B1 (ko) * 2011-03-29 2015-02-04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광소자 및 그러한 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사 방출 장치
US9632214B2 (en) 2011-03-29 2017-04-2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ical element and radiation-emitting device comprising such an optical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46A (ko) 2010-09-01
JP2010199544A (ja) 2010-09-09
US8253154B2 (en) 2012-08-28
US20100213480A1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017B1 (ko) 발광소자 패키지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US11598509B2 (en) Backlight unit
KR100757196B1 (ko) 실리콘 렌즈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KR101007131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0818518B1 (ko) Led 패키지
JP4229447B2 (ja) 半導体発光装置及び製造方法
JP6484745B1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KR102024291B1 (ko)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KR102550461B1 (ko) 광학 렌즈,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CN102694114B (zh) 发光器件封装件
US11994269B2 (en) Backlight unit
KR200453847Y1 (ko) 균일한 수지표면을 형성한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102086077B1 (ko) 광학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090032775A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20180034929A (ko) 광학 렌즈,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100604602B1 (ko) 발광 다이오드 렌즈 및 그것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KR20120074104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248514B1 (ko)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그것에 이용되는 접시반사구
KR101334315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N216389419U (zh) 可调发光面的发光二极管
KR100903309B1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09758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090024996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의 후면 봉지재 충진 방법
KR101309760B1 (ko) 볼록한 반사면을 구비한 반사컵을 채택한 발광 다이오드패키지
KR20140108783A (ko) Led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