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058B1 - Sewage flush-type faucet - Google Patents
Sewage flush-type fauc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3058B1 KR100993058B1 KR1020080100135A KR20080100135A KR100993058B1 KR 100993058 B1 KR100993058 B1 KR 100993058B1 KR 1020080100135 A KR1020080100135 A KR 1020080100135A KR 20080100135 A KR20080100135 A KR 20080100135A KR 100993058 B1 KR100993058 B1 KR 100993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ischarge port
- water discharge
- faucet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raz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7—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space-saving features, e.g. retractable, demou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였다가 물 사용시에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ut-filled faucet that is normally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water is embedded in the wash basin or bathtub, the water,
냉온수 조절밸브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토수구(1)를 구비하고 있으며, 냉온수 및 수량 조절레버(6)에 의해 상기 토수구(1)을 통한 물 공급 및 냉온수의 조절이 가능케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It is provided with a water discharge port (1)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and hot water control valve to the outside,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 (1) and the control of cold and hot water by the cold and hot water and the water quantity control lever (6) In the faucet,
세면대 나 욕조의 상판(5)에는 토수구(1)가 출입하기위한 통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수구(1)는 완만하게 구부러진 호의 형태로서 그 하부에는 물 공급관이 연결되어있고,The upper plate (5) of the wash basin or bathtub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53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water discharge port (1), the water discharge port (1) is in the form of a gently curved arc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t the bottom thereof,
상기 상판(5) 내부의 공간에는 상기 토수구(1)의 상하이동의 경로를 안내하기위한 가이드장치(2)가 구비되어 있으며,The space inside the upper plate 5 is provided with a guide device (2) for guiding the route of the Shanghai-dong of the water discharge port (1),
토수구(1)의 하단과 상판(5) 사이에는 스파이럴 스프링(52)이 상기 토수구(1)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며,Between the lower end of the water jet (1) and the upper plate 5 is a spiral spring 52 is installed so that the elastic forc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jet (1) is extended,
상기 토수구(1)의 하단에는 걸림수단(1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에는 지지수단(31)이 구비되어서, 토수구(1) 하강시 상기 걸림수단(14)이 지지수단(31)에 삽입되면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토수구(1)를 눌러주면 상기 걸림수단(14)과 지지수단(31)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ort (1)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14), the support (3)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ans 31,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1) descends the locking means (14) support means ( 31) the jammed state is maintained, and when the water jet port 1 is pressed again in this state, the toe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jammed state between the catching means 14 and the support means 31. It relates to a water pit flush.
토수구, 수도꼭지, 매립, 스프링, 가이드, 밸브, 세면대, 욕조 Water Well, Faucet, Landfill, Spring, Guide, Valve, Wash Basin, Bathtub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였다가 물 사용시에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ut-filled faucet that is normally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water is embedded in the wash basin or bathtub, the water,
토수구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토수구 하강 시(매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토수구 상승 시(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 상기 토수구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The water discharge port is configured to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a guide means, and a valv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so that the valve is closed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descends (embedded state), and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rise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closed state), the valve is in an open state, and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mbedded in the sewage outlet buried faucet configured to be discharged.
일반적으로 수도꼭지에서는, 온수관과 냉수관이 냉온수 조절레버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냉온수 조절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의 토출측은 토수구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냉온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faucet, the hot water pipe and the cold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cold and hot water control valve is opened and closed controlled by the cold and hot water control lever, the discharge side of the cold and hot water control valve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ort,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cold and hot water do.
또한, 종래의 수도꼭지에서는 냉온수 밸브나 배관등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이지만, 토수구는 외부에 상시 노출된 상태이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aucet, the hot and cold water valve or the pipe is embedded in the sink or the bathtub, but the water discharge port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미관상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세면대와 욕조 위의 공간에 비누, 면도기, 샴푸 등과 같은 비품을 두고자할 때 공간 확보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 생하기도 한다.Therefore, not only does not look aesthetically go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is not enough to secure the equipment, such as soap, razor, shampoo in the space above the sink and bathtub.
또한, 수도꼭지를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수도꼭지가 매립된 상태에서 물이 토출되어지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확인할 길이 없으므로 물을 낭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aucet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sink or the bathtub, even if the water is discharged in the buri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wasted because there is no way for the user to check.
본 발명은, 토수구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 및 욕조의 내부로 하강된 상태(매립상태)가 되어 미관상 아름다울뿐만 아니라 비품 배치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물을 사용하고자할 때에만 토수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미관과 실용적인 가치를 함께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jet is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a guide means, but the water jet is normally lowered into the interior of the sink and the bathtub (to be buried), so it is not only aesthetically beautiful but also a space for fixture arrangement. In order to ensure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but only when you want to use the wa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pursue both aesthetic and practical value.
또한, 토수구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토수구의 상승, 하강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를 상기 토수구로의 공급 관로에 구비함으로써,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에서는 물 공급이 항상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낭비되는 일이 발생하지않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by supplying a valve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and lowering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port in the supply line to the water discharge port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only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water is supplied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mbedded. This configuration is always blocked so that no water is wasted in any case.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물을 사용하고자 할시에는 토수구의 매립상태가 해제되고 필요한 길이만큼 충분히 노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buried in ordinary times, when the water is to be used, the landfill state of the water discharge port is released and exposed enough to the required length, so as to facilitate the use do.
상기 목적은, 토수구가 가이드 수단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구 성하되 하강시에서는 세면대나 욕조의 내부로 매립되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승시에는 그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능케된다.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configuring the water jet to be raised or lowered by the guide means, but at the time of descending to be embedded into the inside of the wash basin or bath a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lift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온수 조절 밸브이외에도, 토수구로의 물공급을 개폐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냉온수 조절밸브와 토수구 사이의 관로 중간에 구비하되, 밸브의 레버는 상기 토수구의 위치에 따라 개폐제어되도록(토수구가 상승시에는 개방되고, 토수구 하강시에는 폐쇄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토수구가 매립된 위치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토출되지 않게함으로써 물 낭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hot and cold water control valve,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discharge port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pipeline between the cold and hot water control valve and the water discharge port, the lever of the valve to open and close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port As the water discharge port is opened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is raised and closed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is lowered, water is not discharged in any case at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discharge port is buried so that no water waste problem occurs.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수구와 상판사이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물을 사용하고자할 시에는 매립상태의 토수구가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신속히 신장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며,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iral spring is coupled between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the top plate, when the water is to be used, the water discharge port in the buried state is rapidly extend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iral spring, there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토수구의 하부에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있고, 토수구의 경로 아래에 위치한 지지대에는 상기 걸림수단과 결합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어있으므로, 토수구를 손으로 밀어넣어 매립시킬 때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and the support located under the path of the water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means coupled with the locking means, so that the state is maintained continuously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is pushed into the landfill by hand.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감추어진 상태이었다가 물 사용시에만 토수구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관상 아름다름다울뿐만 아니라 비품 배치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discharge port is normally concealed in a wash basin or a bathtub, the water discharge port can be exposed and used only when water is used, so it is not only beautiful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sufficient space for arranging fixtures.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토수구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토수구의 상승, 하강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를 상기 토수구로의 공급 관로에 구비함으로써,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에서는 물 공급 자체가 차단되어 물이 낭비되는 일이 발생하지않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mbedded by providing a valve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port in the supply line to the water discharge port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only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state, the water supply itself is cut off so that no water is wasted.
또한, 본 발명에서 토수구가 매립상태로부터 신장될시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신장되므로, 토수구를 물 사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신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수구를 밀어넣어 매립시키고자 할 시에는, 걸림수단과 지지수단에 의해 토수구의 매립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임의로 토수구를 매립하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jet is extended from the embedded state, it is elongated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spiral spring, so that the water jet can be extended to a length sufficient to use water, and the water jet is pushed into the landfill At the time of self-supporting, since the state of embedding the water discharge port can be maintained by the locking means and the support means, the user can freely embed or expose the water discharge por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ucet is installed in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mbedd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2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ucet is installed in the wash ba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xpos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Figure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buri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xposed.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냉온수 조절밸브(미도시함)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토수구(1)를 구비하고 있으며, 냉온수 및 수량 조절레버(6)에 의 해 토수구(1)을 통한 물 공급 및 냉온수의 조절이 가능케된다.In general, the faucet is provided with a water discharge port (1)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and hot water control valve (not shown) to the outside, an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 (1) by the hot and cold water and the water quantity control lever (6)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ter supply and cold and hot water.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에서는 도 1 및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토수구(1)가 평상시에는 세면대 나 욕조의 상판(5)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있다가 물을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만 외부에 노출되어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water discharge port (1) is usually embedded in the upper plate (5) of the wash basin or bathtub and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you want to use water It consists of the structure which becomes.
그러기 위해서 상기 세면대 나 욕조의 상판(1)에는 토수구(1)의 헤드 단면적에 일치하는 통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수구(1)는 완만하게 구부러진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토수구(1)의 노출 정도에 관계없이 상기 통공(53) 내부에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수구(1)의 단면적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한편, 상기 토수구(1)의 상단에는 다수의 토출공(11)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상기 토출측 관로(42)가 연결되어있으며, 그 측부에는 상기 토수구(1)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12)이 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상기 가이드수단(12)은 도시된 예에서는 롤러타입의 것을 사용하였는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드 타입의 것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guide means 12 uses a roller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lide type may be used.
또한, 상기 상판(5)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토수구(1)의 상하경로의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수단(1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21)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가이드장치(2)가 위치한다.In addi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 가이드수단(12)은, 상기 토수구(1)가 상판(5) 내부로 매립되는 위치로부터 물을 사용하기에 충분하게 노출되는 위치까지, 토수구(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진다.The guide means 12 is sufficient to allow the
한편, 가이드수단(12)의 중간에는 지지대(3)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냉온수 조절밸브(미도시함)로부터의 유입측 관로(41)와 상기 토수구(1)로의 토출측 관로(42)와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4)가 위치하는데, 상기 밸브(4)의 레버(43)는 횡방향으로 위치하되 내측지지단(47)과 상기 지지대(44)사이에는 스프링(44)이 연결되고, 레버의 외측지지단(48)은 수직연결봉(46)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연결봉(46)은 상기 토수구(1)의 하부에 닿을 수 있도록 길게 신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middle of the guide means 12, a
한편, 상기 수직연결봉(46)이 상기 지지대(3)를 거쳐 상기 토수구(1)의 하부를 제대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3)에는 상기 수직연결봉(46)이 관통하기위한 통공(32)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토수구(1)의 하단에는 상기 수직연결봉(46)과의 접촉을 용이케하기위한 지지판(13)이 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connecting
상기 밸브(4)는 상판(5) 내부의 공간에서 위치가 고정되야할 것이므로, 상기 가이드장치(2)의 일 측벽의 하부에 설치되고 레버(43)는 좌,우 가이드장치(2)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위치하여야 한다.Since the
상기 스프링(44)은 지지대(3)와 상기 레버(43)의 내측지지단(47) 사이에 연결되므로, 상기 스프링(44)은 레버(43)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되며, Since the
스프링(45)는 수직연결봉(46)의 하단과 상기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 사이에 연결되므로, 상기 스프링(45)은 레버(43)를 수직연결봉(46)의 하단쪽으로 당기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된다.Since the
따라서, 밸브(4)의 레버(43)는 상기 스프링(44)(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 차이에 의해 선회방향이 정해지게된다. Therefore, the
즉, 토수구(1)가 하강한 상태(매립된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수직연결봉(46)이 토수구(1)에 밀려 하강하게되므로,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과 수직연결봉의 하단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이 길게 신장되어진다.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보다 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이 커지게되므로 레버(43)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되는데, 상기 밸브(4)는 레버(43)의 시계방향 선회시에 관로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상기 토수구(1)에 물이 공급되지 않게된다.Therefore, in this case, since the moment valu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또한, 토수구(1)가 상승한 상태(외부 노출된 상태)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직연결봉(46)이 함께 상승되어진 상태이므로,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과 수직연결봉의 하단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은 짧게 수축되어진다. Further, in the state where the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보다 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이 작아지게되므로 레버(43)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되는데, 상기 밸브(4)는 레버(43)의 반시계방향 선회시에 관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상기 토수구(1)에 물이 공급되어진다.Accordingly, in this case, since the moment valu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본 발명에서, 토수구가 상하이동하는 과정과, 토수구로의 물 공급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ocess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Shanghai-dong, and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discharge por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jet is embedded, Figure 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osed state.
상기 토수구(1)는 완만한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측부에는 가이드수단(12)이 결합되어, 가이드장치(2)의 가이드홈(21)을 통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판(5)의 통공(53)은 상기 토수구(1)의 헤드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토수구(1)가 하강할 시에는 상판(5)의 표면과 일치하는 높이까지 하강하여 매립된 상태가 되고, 토수구(1)가 상승할 시에는 물 사용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높이까지 충분히 상승하게된다.The water discharge port (1) is made in the form of a gentle arc and the guide means 12 is coupled to its side, it is configured to be moved through the
한편, 상기 지지대(3)와 밸브의 레버(43)사이에 결합된 스프링(44)은, 레버(43)를 윗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가해지는데, 상기 레버(43)의 외측 선단에는 수직연결봉(46)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연결봉(46)은 상기 토수구(1)의 하부를 받치고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레버(43)를 윗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려는 힘은 상기 수직연결봉(46)을 거쳐 상기 토수구(1)를 윗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과 수직연결봉(46)의 하단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은, 수직연결봉(46)을 위로 움직이도록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44)과 함께 상기 토수구(1)를 윗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토수구(1)를 도 4에서와 같이 상판(5) 내부에 매립시키기 위해서는, 토수구(1)를 손이나 별도의 하강수단을 사용하여 강제로 하강시켜야하며, 토수 구(1)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걸림수단(미도시함)을 사용하여 토수구(1)의 상승하려는 힘이 상쇄되도록 해야한다.Therefore, in order to embed the water jet (1) in the
이와 같이 토수구(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직연결봉(46)이 토수구(1)에 밀려 과도하게 하강된 상태이므로, 상기 수직연결봉(46)의 하단과 레버(4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 역시 과도하게 늘어난 상태가 되어서, 상기 레버(43)와 지지대(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4)에 비해 훨씬 큰 힘으로 작용하게된다.As the water discharge port (1) is lowered in this way, because the
따라서, 레버(43)는 상기 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레버(43)를 하강시키는 방향(시계방향)으로 작용하며, 레버(43)가 하강하면 밸브(4)는 닫히게 되므로, 일단 토수구(1)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토수구(1)에 공급되지 않게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걸림수단(미도시함)을 해제하여 토수구(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해야하는데,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프링(44)(45)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수직연결봉(45)을 상승시켜 토수구(1)를 위로 미는 방향으로 작용하게될 것이므로, 토수구(1)는 상승하여 외부에 노출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water, as shown in Figure 5, to release the catch means (not shown) so that the water jet (1)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mentioned earlier
이와 같이 토수구(1)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직연결봉(46)도 함께 상승할 것이므로, 상기 수직연결봉(46)의 하단과 레버(4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은 수축된 상태가 되어서, 상기 레버(43)와 지지대(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4)에 비해 작은 힘으로 작용하게된다.As the
따라서, 레버(43)는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레 버(43)를 상승시키는 방향(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며, 레버(43)가 상승하면 밸브(4)는 열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냉온수 및 수량조절레버(6)(도 1, 2 참조)를 조작함으로써 물을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밸브 레버(43)의 내측지지단(47)과 외측지지단(48)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44)(45)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고, 토수구(1)가 상승 또는 하강할 시에 상기 스프링(44)(45)에 의한 탄성복원력의 합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토수구(1)의 상하이동시에 상기 밸브(4)는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rings 44 and 45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토수구(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밸브(4)가 항상 닫힌 상태가 되므로, 토수구(1)가 매립된 위치에서 사용자 실수로 물공급 레버가 조작된 경우에도 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토수구의 매립 상태와, 토수구의 완전 노출 상태만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밸브(4)의 레버(3)가 토수구의 완전 하강한 단계에서 폐쇄되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겠으나, 실제적으로는 상기 스프링(44)(45)의 탄성복원력의 크기는 토수구(1)가 상판(5) 내부로 하강하기 전에 이미 역전되어지므로, 토수구(1)의 매립상태 이전, 즉 하강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물 공급은 이미 중단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the embedded state of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the fully exposed state of the water discharge port are described.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따라서, 토수구(1)가 상판(5) 내부로 하강한 이후에는 절대 물이 공급되지않을 것이므로, 침수의 문제나 물 낭비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water will never be supplied after the
또한, 본 발명에서 토수구(1)의 하단과 상판(5)사이에는 스파이럴 스프 링(52)이 상기 토수구(1)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스파이럴 스프링(52)의 본체는 스프링지지부(51)에 의해 상판(5)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52)의 일단부는 상기 토수구(1)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 지지부(15)에서 고정되어지므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52)은 토수구(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되는 것이다.The main body of the
또한, 상기 토수구(1)의 하단에는 걸림수단(1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3)에는 지지수단(31)이 구비되어서, 토수구(1) 하강시 상기 걸림수단(14)이 지지수단(31)에 삽입되면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토수구(1)를 눌러주면 상기 걸림수단(14)과 지지수단(31)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ort (1)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14, the support means (3)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ans 31, when the water discharge port (1) descends the locking means (14) The locking state is maintained when inserted into the support means 31. When the
따라서,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52)은 그 일단부가 토수구(1)와 함께 하강하게되므로 길게 신장된 상태(탄성력이 크게 작용하는 상태)이지만, 상기 걸림수단(14)은 지지수단(31)에 삽입되어 걸려진 상태이므로, 토수구(1)는 상승하지 못하고 매립 상태를 유지하게된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mbedded, as shown in FIG. 4,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 위해 토수구(1)를 눌러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14)과 지지수단(31)간의 결합상태가 해지되어서, 토수구(1)는 스파이럴 스프링(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속히 상승하게될 것이므로, 토수구(1)는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노출될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ucet is installed in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mbedd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2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ucet is installed in the wash ba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xpos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Figure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buri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Figure 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 is expos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토수구 2 : 가이드장치1: Water discharge port 2: Guide device
3 : 지지대 4 : 밸브 3: support 4: valve
5 : 상판 11 : 토출공5: top plate 11: discharge hole
12 : 가이드수단 13 : 지지판12: guide means 13: support plate
14 : 걸림수단 15 : 스프링 지지부14: locking means 15: spring support
21 : 가이드홈 31 : 지지수단21: guide groove 31: support means
32 : 통공 41 : 유입측 관로32: through-hole 41: inflow line
42 : 토출측 관로 43 : 레버42: discharge line pipe 43: lever
44, 45 : 스프링 51 : 스프링 지지부44, 45: spring 51: spring support
52 : 스파이럴 스프링52: spiral spring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0135A KR100993058B1 (en) | 2008-10-13 | 2008-10-13 | Sewage flush-type fauc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0135A KR100993058B1 (en) | 2008-10-13 | 2008-10-13 | Sewage flush-type fauc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1119A KR20100041119A (en) | 2010-04-22 |
KR100993058B1 true KR100993058B1 (en) | 2010-11-08 |
Family
ID=4221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0135A Active KR100993058B1 (en) | 2008-10-13 | 2008-10-13 | Sewage flush-type fauc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305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505B1 (en) * | 2015-03-20 | 2015-09-01 | 이권영 | Faucets for sinks |
KR102432951B1 (en) * | 2020-09-03 | 2022-08-12 | 홍기 | Water spray device of control box for bathroom slide ba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650B1 (en) | 2005-04-11 | 2007-03-30 | 강선우 | Inlet Water Supply |
-
2008
- 2008-10-13 KR KR1020080100135A patent/KR1009930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650B1 (en) | 2005-04-11 | 2007-03-30 | 강선우 | Inlet Water Supp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1119A (en) | 2010-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25148B1 (en) | Water-sav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a sink with a float-operated drain valve | |
KR100756652B1 (en)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
KR20100029326A (en) | Device for water supply of bidet one body sanitary ware | |
KR100901186B1 (en) | Toilet bowl with non-return check valve between wash bowl and water tank | |
US20010049841A1 (en) |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 |
KR100993058B1 (en) | Sewage flush-type faucet | |
US20010052147A1 (en) |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 |
KR100993067B1 (en) | Sewage flush-type faucet | |
KR102195888B1 (en) | auto-flushing device of electronic bidet with auto-flushing fuction combined use hand-operating toilet bowl and water tank toilet bowl | |
JP2004324061A (en) | Drainage structure of washing and dressing stand | |
KR102195889B1 (en) | Hand-operating toilet bowl and water tank toilet bowl combined use auto-flushing release device | |
JP7705596B2 (en) | Flush water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device equipped with same | |
KR100354527B1 (en) | Toilet bowl of Water closet | |
KR100993053B1 (en) | Sewage flushing faucet with solenoid valve | |
KR101245067B1 (en) | Device for operating cleaning water for a chamber pot | |
KR102032988B1 (en) |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 |
KR200372410Y1 (en) | Water saving toilet flusher | |
KR20120084476A (en) | Using expandable member non-powered device automatic flushing of toilet | |
KR101010343B1 (en) | Toilet | |
KR200437206Y1 (en) | Fill valve directs water supply to the cylinder | |
KR101058551B1 (en) | Washing water supply shutoff device of toilet | |
KR101009369B1 (en) | Washing machine for flush toilet | |
KR102425348B1 (en) | Device for water control in toilet | |
JP4748632B2 (en) | Piping structure of remotely operated drain plug device and eye plate member used therefor | |
JP7691639B2 (en) | Flush water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device equipped with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