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652B1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Google Patents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6652B1 KR100756652B1 KR1020060119950A KR20060119950A KR100756652B1 KR 100756652 B1 KR100756652 B1 KR 100756652B1 KR 1020060119950 A KR1020060119950 A KR 1020060119950A KR 20060119950 A KR20060119950 A KR 20060119950A KR 100756652 B1 KR100756652 B1 KR 100756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elete delete
- pressure
- tank
- bid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9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제어부와;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set according to the large urin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유입되는 물이 작동부로 공급되도록 물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와;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of water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bucket of the bidet from the tap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밸브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면서 수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는 작동부로 구성하되,Consists of an operation unit for raising the siphon cover so that the outlet of the tank is opened while a certain distance rises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valve,
상기 작동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비데의 물통과 연결된 밸브에 연결되어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을 비데의 물통과 다른 방향의 승하강작동부로 공급하는 호스와;A hose connected to a valve connected to the bucket of the bidet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to the tap water to a lifting operation uni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bidet;
상기 호스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작동로드가 일정높이 상승하며, 물의 압력이 해제되면 작동로드가 원위치로 하강하도록 구비된 승하강작동부와;An elevating operation part provided with an operation rod rising by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hose, and the operation rod being lowe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of the water is released;
상기 승하강작동부의 작동로드와 사이폰덮개를 연결하여 작동로드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사이폰덮개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수조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사이폰덮개연결부와;A siphon cover connection part provided to connect the operation rod and the siphon cover of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of the tank while the siphon cover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rod rising and falling;
상기 승하강작동부의 작동로드 상승동작으로 사이폰덮개를 상승시켜 개방되는 배출구로 수조에 담긴 물이 변기로 배출되면서 낮아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여 승하강작동부의 하부를 개방시켜 압력을 해제하고,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여 수조로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여 승하강작동부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된 압력해제부와;As the opening of the elevating rod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raises the siphon cover to open the discharge port,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is lower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lowered as the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toilet to release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to release the pressure. A pressure releasing unit provided to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close the lower part of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by elevating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water tank;
상기 승하강작동부의 일측에 형합하여 오버플로우어관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도록 탄력있게 장착하는 클램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에 관한 것이다.Regarding the bidet is added to the automatic water lowering function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mount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flow pipe by mating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will be.
본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므로 수조내에 전기가 들어가지 않아 감전의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부품의 간소화로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By constructing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phon cover is rais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the electricity does not enter the water tank, so that it can be used stably without the risk of electric shock, and the maintenance of the internal parts can be simplified. will be.
본 발명은 상기 사이폰덮개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어느 위치 즉, 수조에 저장된 물속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으므로 설치 호환성을 물론 설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모터방식이 아니고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장률을 절감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of the overflow pipe, that is, the siphon cover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water tank stored in the water tank can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because the installation compatibility of cours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stallation ti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and by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faucet rather than the electric motor method, it can be used stably because the failure rate can be reduced despite the long-term use.
또한, 본 발명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작동부에 의해 사이폰덮개의 개폐시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설정된 물을 배수시킴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draining the set water while maintaining the sam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siphon cover by the operation unit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또한, 본 발명은, 물이 배수되도록 사이폰덮개가 상승된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솔레노이드밸브가 자동으로 폐쇄되면서 정전시에도 사이폰덮개가 수조의 배출구를 폐쇄시킴으로 밸브으로부터 계속 공급되면서 낭비되는 불필요한 물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밸브의 작동시간으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출시킴으로 밸브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어 환경과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부구조를 간소화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ly of power is stopped while the siphon cover is raised to drain the water, the solenoid valve is automatically closed while the siphon cover is closed from the valve by closing the outlet of the tank even during power failure Not only does it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water, but it also saves water from the valve by discharging water corresponding to large and small urine as the operation time of the valve, which not only improves the environment and economy, but also simplifies the internal structure,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by improveme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5a to 5f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어부 110: 착좌감지센서100: control unit 110: seating detection sensor
200: 밸브 300: 작동부200: valve 300: operating part
310: 호스 320: 승하강작동부310: hose 320: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340: 사이폰덮개연결부 330: 압력해제부340: siphon cover connecting portion 330: pressure release
350: 클램프350: clamp
삭제delete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용변 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를 자동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수조의 배출구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배출구로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ft toilet, and more specifically, after the user's toilet, the siphon cover is automatically rais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and at the same time open the outlet of the tank,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as an open outlet This drainage is related to a bidet with an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seat for washing the toilet.
일반적으로 용변을 보고난 후, 변기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용변의 세척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수동레버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면서 배출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배출구로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면서 변기본체에 위치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세척을 하게 된다.In general, after looking at the toilet, washing of the toile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toilet, by opening the outlet opening while the siphon cover is rotated upwardly about the axis of the overflow pipe by a manual lever pressed by the user, the open outlet As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is drained, the stool located in the toilet body is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그러나 사용자의 용변 후,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수동레버에 의해 대변과 소변에 관계없이 수조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수하여 변기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였으나, 이는 소변시에도 대변과 동일한 량의 물을 배수시켜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fter the user's stool, the manual lever pressurized by the user drained all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regardless of the stool and urine to wash the stool located inside the stool body. Since it must be drained, there was an uneconomic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2002년 특허 제17445호로 출원하여 특허 제464635호로 등록받은 좌변기의 자동 절수장치와, 2003년 특허 제69221호로 출원하여 특허 제430047호로 등록받은 자동절수 시스템이 구비된 양변기 및 2005년 특허 제92567로 출원한 절수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의 자동물내림 장치 및 방법 등 다수의 특허를 발명하고, 실용신안을 고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is an automatic water saving device of a toilet seat filed as a patent No. 17445 in 2002 and registered as Patent No. 464635, and an automatic water saving system which is registered as Patent No. 430047 in 2003 No. 69221. He has invented a number of patents, including a toilet and a toilet and a bidet automatic flushing device and method, which is provided with a water saving function, which was filed as a patent No. 92567 in 2005, and devised a utility model.
선 등록된 특허와 선 출원된 특허는 사용자 감지시간으로 판단된 대.소변에 따라 모터를 회전시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수하여 대.소변을 세척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모터는 반드시 수면위 즉, 오버플로우어관의 상부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오버플로우어관의 높이 및 오버플로우어관에 모터를 고정시키는 방법, 수조의 크기에 따라 부품이 호환되지 않으면서 부품의 설치가 어려워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의 상승에 따른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registered patent and the pre-patented patent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by washing the urine by draining the water corresponding to the urine by rotat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urine determined by the user's detection time. The motor that rotates the siphon cover upward to open must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at is, on the upper part of the overflow tube, which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overflow tube and the method of fixing the motor to the overflow tube and the size of the water tank. This incompatibility is difficult to install parts due to difficult work efficiency, which takes a lot of work time, there was a problem of lowering the economics due to the increase in labor costs.
또한, 상기 모터로 유입되는 물의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수 방법을 개선해 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상기 모터로 유입되는 습기를 100% 차단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터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라 발생하는 결로현상 즉, 습기에 의해 모터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됨과 아울러 모터의 손상 및 잦은 고장으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ituation is improving various waterproof methods to block the mois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motor, but not only can not block 100% of the moisture flowing into the motor, but also condens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motor. In other words, the motor is unable to function normally due to moistu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is difficult due to damage and frequent failure of the motor.
또한,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당김끈을 감아 사이폰덮개를 배출구의 상부로 이동시켜 개방되는 배출구로 물이 배수되는 상태에서 모터에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사이폰덮개가 배출구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개방된 배출구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배출구를 폐쇄시키기 전까지 계속 배수되기 때문에 물의 낭비는 물론, 경제성을 떨어뜨리면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is drained and the moto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wash the toilet, the siphon cover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let by moving the siphon cover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outlet while the water supply is stopped. If the motor does not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siphon cover is kept away from the outle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o the open outlet continues to drain until the outlet is closed. There was a problem of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while dropp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2006년 특허 제34246호로 변기/비데의 정전시 세정수 누출 차단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pplied for a wash water leakage blocking device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f the toilet / bidet in 2006 Patent No. 34246.
선 출원된 특허는, 모터를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축이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탄성부재의 반발에너지를 충진한 상태에서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도록 모터가 동력전달부재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력전달부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당김끈안내판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당김끈안내판에 고정된 사이폰덮개를 당김끈안내판의 회전각도만큼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지지력이 해제되면서 충진된 반발에너지에 의해 탄성부재가 서서히 풀리고, 상기 모터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사이폰덮개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당김끈이 연결된 당김끈안내판을 동력전달부재에서 이탈시킴과 동시에 당김끈안내판의 안내에 따라 사이폰덮개가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배출구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은 있으나, 탄성부재의 복원시간이 오일의 주입량과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차에 따라 사이폰덮개의 폐쇄시간이 달라지거나 사이폰덮개가 배출구를 폐쇄시키지 못하고 멈추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patented patent discloses that when the motor rotates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n a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operating shaft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long the motor presses the elastic member to fill the resilient energy of the elastic member, the siphon cover is raised. As the transmission memb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iphon cover fixed to the pull string guide plate ascends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pull string guide plate while rotating the pull string guide plate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elastic member is gradually released and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is stopped, the pulling string guide plate connected to the pulling string for guiding the lowering and lowering of the siphon cover is separa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siphon is guided by the pulling string guide plate. By closing the outlet while the cover descends to its own weight, there is an advantag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storation time of the elastic member is chang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oil injection and the change in temperature, the closing time of the siphon cover is changed, or the siphon cover does not close the outlet port,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not only difficult to assemble, but also a lot of work time, productivity is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수조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fects, and its object is that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seat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of the tank while the siphon cover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he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the to provide a bid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폰덮개의 상승 및 하강을 물의 수압으로 안내하는 작동부가 수조의 물에 잠긴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므로 오버플로우어관의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어 설치시간의 단축 및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가 수조 내부에 들어가지 않음으로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ortion for guiding the rise and fall of the siphon cover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can be operated even in the state submerged in the water of the tank, so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verflow air pipe shortening the installation time and In addition to maximizing compatibility, the electric motor does not go inside the tank, and the bidet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which can be safely us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물의 공급시간을 설정하여 사이폰덮개를 개방시키면서 대.소변에 설정된 물을 정확하게 배수시킴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물의낭비를 막아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s well a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precisely draining the water set in the urine while opening the siphon cover by setting the water supply time from the tap water. When stopped, the water supply to the faucet is automatically cut off to prevent the waste of water to provide a bidet with an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seat to facilitate mainten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유입되는 물이 작동부로 공급되도록 물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밸브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면서 수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는 작동부로 구성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비데의 물통과 연결된 밸브에 연결되어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을 비데의 물통과 다른 방향의 승하강작동부로 공급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작동로드가 일정높이 상승하며, 물의 압력이 해제되면 작동로드가 원위치로 하강하도록 구비된 승하강작동부와;
상기 승하강작동부의 작동로드와 사이폰덮개를 연결하여 작동로드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사이폰덮개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수조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사이폰덮개연결부와;A control unit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set according to the urine;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of water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bucket of the bidet from the tap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onsists of an operation unit for raising the siphon cover so that the outlet of the tank is opened while a certain distance rises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valve,
The operation unit,
A hose connected to a valve connected to the bucket of the bidet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to the tap water to a lifting operation uni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bidet;
An elevating operation part provided with an operation rod rising by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hose, and the operation rod being lowe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of the water is released;
A siphon cover connection part provided to connect the operation rod and the siphon cover of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of the tank while the siphon cover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rod rising and falling;
상기 승하강작동부의 작동로드 상승동작으로 사이폰덮개를 상승시켜 개방되는 배출구로 수조에 담긴 물이 변기로 배출되면서 낮아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여 승하강작동부의 하부를 개방시켜 압력을 해제하고,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여 수조로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여 승하강작동부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된 압력해제부와;
상기 승하강작동부의 일측에 형합하여 오버플로우어관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도록 탄력있게 장착하는 클램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s the opening of the elevating rod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raises the siphon cover to open the discharge port,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is lower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lowered as the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toilet to release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to release the pressure. A pressure releasing unit provided to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close the lower part of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by elevating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water tank;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lamp to be elastically mount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flow pipe by joining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대.소변에 따라 설정된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제어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유입되는 물이 작동부(300)로 공급되도록 물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200)가 구성되며, 상기 밸브(20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가 개방되도록 사이폰덮개(13)를 상승시키는 작동부(300)로 구성하되,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비데(20)의 물통(22)과 연결된 밸브(200)에 연결되어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을 비데(20)의 물통(22)과 다른 방향의 승하강작동부(320)로 공급하는 호스(310)가 구성되고, 상기 호스(310)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작동로드(322)가 일정높이 상승하며, 물의 압력이 해제되면 작동로드(322)가 원위치로 하강하도록 구비된 승하강작동부(320)가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작동로드(322)와 사이폰덮개(13)를 연결하여 작동로드(322)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사이폰덮개(13)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사이폰덮개연결부(340)가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작동로드(322) 상승동작으로 사이폰덮개(13)를 상승시켜 개방되는 배출구(11)로 수조에 담긴 물이 변기로 배출되면서 낮아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여 승하강작동부(320)의 하부를 개방시켜 압력을 해제하고, 상기 배출구(11)를 폐쇄하여 수조(10)로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여 승하강작동부(32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된 압력해제부(330)가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일측에 형합하여 오버플로우어관(12)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도록 탄력있게 장착하는 클램프(350)로 구성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e
상기 승하강작동부(320)는, 상기 작동로드(322)가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몸체의 하부에 상기 호스(310)가 결합되는 유입공(321')이 관통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 외주면에 클램프(350)가 형합되는 착탈안내돌기(321a)가 돌출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 압력해제부(330)의 부구(333) 이동을 안내하는 부구안내돌기(321b)가 돌출되며, 상기 유입공(3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공(321c)이 관통되고 상부에 걸림홈(321d)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실린더(32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321) 유입공(321') 상부에 위치하도록 실링부재(322')가 장착되어 실린더(321)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로드(32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322)의 하강을 안내하는 탄성부재(323)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323)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동로드(322)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면서 사이폰덮개연결부(340)의 당김끈고정구(341)를 고정시키도록 실린더(321)의 걸림홈(321d)에 걸림돌기(324')가 결합되는 고정지지구(324)로 구비된다.The elevating
상기 사이폰덮개연결부(340)는,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고정지지구(324)에 장착되어 당김끈(14)의 단부를 지지부재(341')에서 결합하는 당김끈고정구(34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지지구(341) 상면에 밀착되어 당김끈(14)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기어(342a)가 장착된 이동안내부재(342)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재(342)를 작동로드(322)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43)로 구비된다.The siphon
상기 이동안내부재(342)가 사이폰덮개(13)와 수직 선상을 유지하도록 이동안내부재(342)의 회전안내홈(342')이 작동로드(322)의 회전안내돌기(32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또한, 압력해제부(330)는,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회전공(321c)과 연통되는 배출공(331a)이 관통되면서 일측에 접촉면(331')이 절단되어 회전공(321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33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31)의 접촉면(331')과 면접촉되도록 수용하는 수용공(332')이 형성되면서 단부에 회전공간(332a)이 형성된 회전부재(332)가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부구안내돌기(321b)에 부구안내홈(333')이 결합되면서 회전부재(332)의 회전공간(332a)에 결합되는 회전안내축(333a)이 형성되고, 내부에 물저장공간(333b)과 부력공간(333c)이 각각 형성되는 부구(333)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착탈안내돌기(321b)에 장착되는 착탈안내홈(351)이 형성되면서 클램프(350)의 흘러내림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오버플로우어관(12)의 외주면에 박혀 고정되는 뾰족한 돌기(350a)가 클램프(350) 내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클램프(350)를 벨트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시트(S)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 또는 인체를 착좌감지센서(110)에서 감지하여 사용자의 용변을 판단하나, 상기 착좌감지센서(110)에서 일정시간(예를 들어 6초)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할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First, the user's load or human body sitting on the seat (S) is detected by the
또한, 사용자의 용변 후, 착좌감지센서(110)에서 사용자가 이탈하여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면, 착좌감지센서(110)에서 감지한 사용자 감지시간으로 사용자의 대.소변을 판단하고, 판단된 대.소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를 회전시켜 작동부(300)와 연통되도록 한 후, 연통된 밸브(200)를 통해 비데(20)의 물통(2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작동부(300)로 공급되도록 한다.In addition, after the user's toilet, when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여기서 상기 밸브(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을 작동부(3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폐쇄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작동부(300)로 유입되는 물은,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10)를 경유하여 승하강작동부(320)의 유입공(321')을 통해 실린더(321)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실린더(32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작동로드(322)에 장착된 실링부재(322')를 가압하며, 상기 실링부재(322')를 가압하는 물의 수압 즉 압력으로 작동로드(322)는 탄성부재(323)를 압축시키면서 실린더(321)의 내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다.5A to 5F, the water flowing into the
이때, 상기 승하강작동부(320)의 실린더(321) 상면에 개폐안내구(340)의 고정지지구(324)로 고정된 당김끈고정구(341)의 지지부재(341')가 당김끈(14)의 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동로드(322)에 고정볼트(343)로 고정된 이동안내부재(342)가 작동로드(322)와 같이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당김끈고정구(341)의 지지부재(341')에 단부가 고정된 당김끈(14)이 이동안내부재(342)의 롤러기어(342a)를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당김끈(14)의 이동거리를 작동로드(322)의 상부 이동거리보다 2배 정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당김끈(14)이 상승함에 따라 당김끈(14)의 타측이 고정된 사이폰덮개(13)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사이폰덮개(13)를 상승시키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배출구(11)로 수조(10)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어 변기본체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As the
상기 수조(10)에 저장된 물이 배출구(11)로 배수되어 낮아지는 수위가 따라 압력해제부(330)의 부구(333) 부력이 상실됨과 동시에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를 폐쇄시키면서 비데(20)의 물통(2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작동부(3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As the water stored in the
이때, 상기 수조(10)에 저장된 물의 완전배수시간이 8초라고 가정할 경우, 물의 배수시간이 6초가량 경과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를 폐쇄시킨다.At this time, assuming that the complete drainage time of the water stored in the
상기 밸브(200)가 폐쇄되어 수도전으로부터 비데(20)의 물통(22)으로 물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부력이 상실된 압력해제부(330)의 부구(333)를 실린더(321)의 내부 압력으로는 지지할 수 없으며, 상기 작동로드(322)가 상승하면서 가압한 탄성부재(323)의 복원력 뿐만 아니라 부구(333)의 물저장공간(333b)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의해 승하강작동부(320)의 부구안내돌기(321b)에 부구안내홈(333')이 결합된 부구(333)가 부구안내돌기(321b)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When the
이때, 상기 부구(333)가 하강함과 동시에 부구(333)의 회전안내축(333a)이 회전부재(332)의 회전공간(332a)의 일측공간으로 이동하면서 회전공간(332a)의 일측단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부재(332)의 수용공(332')에 접촉면(331')이 결합된 회전축(331)은 회전부재(332)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작동부(320)의 회전공(321c)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공(331a)이 실린더(321) 내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실린더(321)에 내장된 물이 배출공(331a)을 경유하면서 수조(10) 내부로 배출되면서 작동로드(322)의 자중과 탄성부재(323)의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321)의 하부로 하강한다.At this time, the sub-ball 333 is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322)의 하강시간을 단축시키려면, 작동로드(322)의 중량을 늘릴 수 있도록 중량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부(325)는 작동로드(32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325a)에 중량부재(325b)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중량부재(325b)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물질로 부식되지 않는 금속, 석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order to shorten the fall time of the
상기 중량부(325)가 포함된 작동로드(322)는 중량부(325)에서 증가된 무게만큼 실린더(321)의 하부로 빠르게 하강함과 동시에 작동로드(322)에 고정된 이동안내부재(342) 또한 작동로드(322)를 따라 빠르게 하강하면서 롤러기어(342a)에 맞물린 당김끈(14)이 사이폰덮개(13)의 지지력을 상실하게 된다.The
상기 당김끈(14)의 지지력이 상실된 사이폰덮개(13)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조(10)의 배출구(11)를 폐쇄시키며, 상기 배출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10)에 저장하는데, 상기 수조(1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부구(333)의 부력공간(333c)에 발생하는 부력으로 압력해제부(330)의 부구(333)가 부구안내돌기(321b)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부구(333)의 회전안내축(333a)에 결합된 회전부재(332)의 회전공간(332a) 타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부재(332)는 회전축(331)과 동일하게 상부로 회전한다.The siphon
이때, 상기 회전부재(332)를 따라 실린더(321)의 회전공(321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31)의 배출공(331a)은 실린더(321)의 내부와 연통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수된 물의 양만큼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10)에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어부(100)에서 판단된 대.소변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물을 배수시키려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밸브(200)의 개방시간을 조절하면서 작동부(300)의 작동에 따라 수조(10)에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rain the water corresponding to the large urine determined by the
또한 상기 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수시키도록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는 사이폰덮개(13)의 중량을 가중시키도록 무게추(M)를 사이폰덮개(13)에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200)가 폐쇄되면, 수조(10)에 저장된 물이 완전배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이폰덮개(13)에 장착된 무게추(M)의 무게에 위해 사이폰덮개(13)가 하향으로 회전하여 배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M) to the siphon
따라서 무게추(M)가 장착된 사이폰덮개(13)는, 밸브(200)의 개방시간(예를 들어 대변일 경우는 8초, 소변일 경우는 4초)으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용이하게 배수시키면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siph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사이폰덮개를 상승시키므로 수조내에 전기가 들어가지 않아 감전의 위험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부품의 간소화로 유지관리가 간편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the siphon cover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to the bucket of the bidet, so that electricity does not enter the water tank, so that it can be used stably without the risk of electric shock, and the internal parts are kept simple. The benefits are easy to manage.
본 발명은 상기 사이폰덮개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어느 위치 즉, 수조에 저장된 물속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으므로 설치 호환성을 물론 설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모터방식이 아니고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장률을 절감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of the overflow pipe, that is, the siphon cover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water tank stored in the water tank can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because the installation compatibility of cours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stallation time By utiliz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bucket of the bidet from the faucet rather than the electric motor method using electricit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ilure rate despite the long-term us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stably.
또한, 본 발명은, 수도전으로부터 비데의 물통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작동부에 의해 사이폰덮개의 개폐시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설정된 물을 배수시킴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draining the set water while maintaining the sam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siphon cover by the operation unit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o the bucket of the bidet.
또한, 본 발명은, 물이 배수되도록 사이폰덮개가 상승된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솔레노이드밸브가 자동으로 폐쇄되면서 정전시에도 사이폰덮개가 수조의 배출구를 폐쇄시킴으로 수도전으로부터 계속 공급되면서 낭비되는 불필요한 물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밸브의 작동시간으로 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배출시킴으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어 환경과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부구조를 간소화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upply of power is stopped while the siphon cover is raised so that the water is drained, the solenoid valve is automatically closed while the siphon cover closes the outlet of the tank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to continue supply from the water tap It not only prevents unnecessary water wasted, but also saves water from tap water by discharging water corresponding to large and small urine with the operation time of the valve, thereby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economy and simplifying the internal structure. The increase in efficiency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productivity.
삭제delete
Claims (3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9950A KR100756652B1 (en) | 2006-11-30 | 2006-11-30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PCT/KR2007/004226 WO2008030016A1 (en) | 2006-09-04 | 2007-09-03 | Auto flushing devices of toilet bowls using the water press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9950A KR100756652B1 (en) | 2006-11-30 | 2006-11-30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6652B1 true KR100756652B1 (en) | 2007-09-07 |
Family
ID=3873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9950A Active KR100756652B1 (en) | 2006-09-04 | 2006-11-30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6652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609B1 (en) | 2007-02-26 | 2007-11-13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Cylinder structure of automatic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can operate at low water pressure |
KR100882947B1 (en) | 2007-05-16 | 2009-02-10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Cylinder pressure switchgear of automatic flushing bidet |
KR200445807Y1 (en) * | 2007-10-31 | 2009-09-03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auto flushing device of upper button type |
KR100915254B1 (en) * | 2007-11-13 | 2009-09-03 | 이규동 | device for operating cleaning water for a chamber pot |
WO2009096666A3 (en) * | 2008-01-31 | 2009-10-22 | Auto-Flush Co., Ltd |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
KR101020102B1 (en) | 2008-05-19 | 2011-03-09 | 주식회사 에이에프 | No-power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toilet bowl |
KR101023763B1 (en) | 2008-10-24 | 2011-03-21 | 주식회사 에이에프 | Non-powered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toilet and human body detection unit |
KR101032105B1 (en) * | 2008-03-31 | 2011-05-02 | 박민승 | Water flushing system of wallless button type non-powered toilet using water pressure |
KR101120636B1 (en) * | 2009-03-24 | 2012-03-16 | 대림비앤코주식회사 | bidet and bowl |
KR102195889B1 (en) | 2020-01-31 | 2020-12-28 | 주식회사 에어붐 | Hand-operating toilet bowl and water tank toilet bowl combined use auto-flushing release device |
CN114382142A (en) * | 2021-08-27 | 2022-04-22 | 厦门齐义成卫浴科技有限公司 | Drain valve with simple flushing device |
KR20220065300A (en) | 2020-11-13 | 2022-05-20 | 대림비앤코주식회사 | Device for water control in toile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3908A (en) * | 2000-08-10 | 2000-11-06 | 주진용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Saving Of Bedpan |
JP2003313918A (en) * | 2002-04-23 | 2003-11-06 | Vaital:Kk | Tank equipment for water closet |
-
2006
- 2006-11-30 KR KR1020060119950A patent/KR1007566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3908A (en) * | 2000-08-10 | 2000-11-06 | 주진용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Saving Of Bedpan |
JP2003313918A (en) * | 2002-04-23 | 2003-11-06 | Vaital:Kk | Tank equipment for water closet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609B1 (en) | 2007-02-26 | 2007-11-13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Cylinder structure of automatic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can operate at low water pressure |
KR100882947B1 (en) | 2007-05-16 | 2009-02-10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Cylinder pressure switchgear of automatic flushing bidet |
KR200445807Y1 (en) * | 2007-10-31 | 2009-09-03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auto flushing device of upper button type |
KR100915254B1 (en) * | 2007-11-13 | 2009-09-03 | 이규동 | device for operating cleaning water for a chamber pot |
WO2009096666A3 (en) * | 2008-01-31 | 2009-10-22 | Auto-Flush Co., Ltd |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
US20110010831A1 (en) * | 2008-01-31 | 2011-01-20 | Af Co., Ltd |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
KR101032105B1 (en) * | 2008-03-31 | 2011-05-02 | 박민승 | Water flushing system of wallless button type non-powered toilet using water pressure |
KR101020102B1 (en) | 2008-05-19 | 2011-03-09 | 주식회사 에이에프 | No-power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toilet bowl |
KR101023763B1 (en) | 2008-10-24 | 2011-03-21 | 주식회사 에이에프 | Non-powered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toilet and human body detection unit |
KR101120636B1 (en) * | 2009-03-24 | 2012-03-16 | 대림비앤코주식회사 | bidet and bowl |
KR102195889B1 (en) | 2020-01-31 | 2020-12-28 | 주식회사 에어붐 | Hand-operating toilet bowl and water tank toilet bowl combined use auto-flushing release device |
KR20220065300A (en) | 2020-11-13 | 2022-05-20 | 대림비앤코주식회사 | Device for water control in toilet |
CN114382142A (en) * | 2021-08-27 | 2022-04-22 | 厦门齐义成卫浴科技有限公司 | Drain valve with simple flush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6652B1 (en)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
KR100764836B1 (en) |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toilet using water pressure | |
TW201636479A (en) | Flush valve assembly and toilet flus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 |
KR200439595Y1 (en)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
KR200441830Y1 (en)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
KR100942041B1 (en) | Flushing device of direct outlet typic toilet bowl | |
KR100775609B1 (en) | Cylinder structure of automatic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can operate at low water pressure | |
KR200424276Y1 (en)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oilet | |
KR100263368B1 (en) | Device for water supply adjustment in toilet | |
KR101230354B1 (en) | A water flapper of toilet bowl's water tank for controlling a water volumn | |
KR101427304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drop and of toilet bowls of air pressure type | |
KR100882947B1 (en) | Cylinder pressure switchgear of automatic flushing bidet | |
KR200440466Y1 (en) | Cylinder pressure switchgear of automatic flushing bidet | |
KR101020102B1 (en) | No-power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toilet bowl | |
KR200437206Y1 (en) | Fill valve directs water supply to the cylinder | |
KR102195889B1 (en) | Hand-operating toilet bowl and water tank toilet bowl combined use auto-flushing release device | |
KR102258606B1 (en) | Water saving flush valve of urine and feces distintion type | |
KR20100013117A (en) | Waterway conversion device of toilet flasher valve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 |
KR200445807Y1 (en) | auto flushing device of upper button type | |
KR101010343B1 (en) | Toilet | |
KR200427510Y1 (en) | Two stage drainage of washing water in toilet | |
KR101108715B1 (en) | Flushing device of direct outlet typic toilet bowl | |
KR100705646B1 (en) | Automatic flushing device and method of toilet / bidet with water saving function | |
KR20070064462A (en)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oilet | |
CN217923946U (en) | Rural village changes vertical retaining closestool in lavato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