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343B1 - Toilet - Google Patents
Toi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0343B1 KR101010343B1 KR1020080117388A KR20080117388A KR101010343B1 KR 101010343 B1 KR101010343 B1 KR 101010343B1 KR 1020080117388 A KR1020080117388 A KR 1020080117388A KR 20080117388 A KR20080117388 A KR 20080117388A KR 101010343 B1 KR101010343 B1 KR 1010103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oilet
- blocking
- overflow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6—Devices preventing overflow or locks inhibiting the use of the flushing system ; Devices preventing sucking-up of sealing and flushing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부가 구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에 장착되어 변기본체의 오염수가 수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차단부가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부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여 수도전으로부터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차단하는 세척수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verflow portion, and a reverse flow blocking portion mounted on the overflow portion to block backflow of contaminated water from the toilet body into the tank, and ri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back to the overflow portion. It relates to a toilet comprising a washing water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o the tank.
본 발명 양변기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오염수가 수조로 역류될 때, 수조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압력으로 역류차단부재가 배수공을 폐쇄시켜 오염수의 역류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오버플로우부 내부로 역류되어 상승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개폐레버가 힌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볼탭의 급수공을 폐쇄시켜 수도전으로부터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으로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세척수를 차단하여 오염수가 화장실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toilet body flows back to the tank, the backflow blocking member closes the drain hole by the pressure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 back into the tank not only blocks the back flow of the contaminated water, but also flows back into the overflow por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olluted water,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rotates upwards around the hinge, closing the water supply hole of the ball tap to block the unnecessarily supplied washing water from the faucet to the washing space of the toilet bod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pleasant environment while preventing.
용변, 역류, 세척수, 차단, 연결, Stool, backwash, wash water, shutoff, conn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이 포함된 변기본체의 오염수가 수조로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오버플로우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여 볼탭으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toilet body containing the stool not only prevents the back flow into the water tank, but also ris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ed back through the overflow to the water supply to the ball tap The toilet is to block.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욕실이나 화장실에 설치되어 용변자가 앉아 용변을 볼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10)에 앉은 용변자의 용변시, 용변자의 용변을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1)에서 수집보관하고, 용변 후, 배수버튼(21)을 가압한다.In general, the toilet is installed in the bathroom or toilet to be used when the toilet seated toilet seat, as shown in Figures 1 to 2, when the toilet of the toilet seated on the
이때, 상기 배수버튼(21)에 당김끈으로 연결된 사이폰덮개(23)가 오버플로우어관(22)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하면서 배수공(22')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공(22')으로 세척수가 배수되면서 낮아지는 세척수 수위에 따라 부구(42)가 볼탭(30)의 수조측 급수관(31) 하부로 하강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부구(42)의 하강으로 부구(42)에 고정된 작동대(43)가 스토퍼(41")로부터 이탈되어 개폐레버(41)를 지지하지 못하면, 급수변(33)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개폐레버(41)의 자중에 의해 힌지(4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급수공(33')을 개방하고, 개방된 급수공(33')으로 급수변(33)을 가압한 세척수가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ng table 43 fixed to the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지지력이 상실된 급수변(33)은 볼탭(3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으로 이동하여 공급공(35)을 개방함과 동시에 공급공(35)을 통과한 세척수는 개폐변(34)이 수조측 급수관(31)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므로 림측 급수관(32)으로만 공급한다.As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e
상기 림측 급수관(32)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와 오버플로우어관(22)의 배수공(22')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1)에 잔류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세척을 하고, 용변의 세척이 완료되면, 낮아지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부구(42)가 하강하면서 부구(42)에 고정된 작동대(43)가 회전부재(44)를 가압한다.Washing to discharge the stool remaining in the
이때, 상기 회전부재(44)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압봉(45)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봉(45)의 가압으로 회전하는 개폐변(34)이 수조측 급수관(32)를 개방시키면서 림측 급수관(32)을 폐쇄하여 수조측 급수관(31)으로만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otating
또한, 상기 세척수의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사이폰덮개(23)가 오버플로우어관(22)의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동하여 배수공(22')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수조 측 급수관(3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부구(42)가 상승하면서 부구(42)에 고정된 작동대(43)가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를 가압하면, 상기 개폐레버(41)는 힌지(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급수공(33')을 폐쇄시킨다.In addition, the
상기 급수공(33')이 폐쇄되면, 볼탭(30)의 공급공(35)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급수변(33)의 급수안내공(33a)을 통과하여 급수변(33)과 급수안내공(33a) 사이로 공급되고, 상기 급수변(33)과 급수안내공(33a) 사이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으로 급수변(33)이 공급공(35)을 폐쇄시킨다.When the
여기서 상기 공급공(35)을 급수변(33)이 폐쇄시킨 상태는,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배출된 세척수량만큼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조(20)에 저장한 상태로, 이 상태에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Here, the state in which the
그러나 용변자의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가압되는 배수버튼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회동하여 개방된 배수공을 통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급수변의 상승으로 개방된 공급공을 통해 림측 급수관으로 세척수가 공급되어 용변을 세척할 때, 용변자의 용변에 의해 변기본체가 막힐 경우, 상기 급수변이 공급공을 폐쇄시키기 전까지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가 계속 공급됨에 따라 변기본체의 수위기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변기본체보다 수조가 낮게 설치된 양변기의 경우, 용변이 포함된 오염수가 수조로 역류하여 수조 내부를 오염시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심하게는 변기본체의 오염수가 화장실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the siphon cover is rotated by the drain button pressurized to wash the toilet of the toilet,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opened, and the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rim water pipe through the supply hole opened by the rise of the water valve. In the case of washing, when the toilet body is blocked by the toilet of the toilet, the water level of the toilet body increases as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tap water until the water supply valve closes the supply hole, and at the same time, the tank of the toilet body is lower than the toilet body. In the case of the installed toilet, there was an unsanitary problem that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ing the stool flows back to the tank to contaminate the inside of the tank, and badly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toilet body flows to the toilet floor.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에 의해 변기본체가 막힐 경우,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폐쇄하여 용변이 포함된 오염수가 수조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fec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 the drain hole of the overflow pipe when the toilet body is blocked by the toilet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ing the toilet is in the tank. A toilet is provided to prevent backflow.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버플로우어관으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는 개폐레버가 급수공을 폐쇄시켜 볼탭으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 closing lever which ri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taminated water flowing back into the overflow pipe to close the water supply hole and block the water supplied to the ball tap.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버플로우부의 배수부재와 결합부재 사이에 역류차단부를 위치시켜 역류차단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버플로우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bowl that facilitates the assembly of the overflow por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flow of the reverse flow blocking portion by placing the reverse flow blocking portion between the drain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of the overflow portion.
본 발명 양변기는,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오버플로우부와;An overflow section;
상기 오버플로우부에 장착되어 변기본체의 오염수가 수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차단부와;A reverse flow blocking unit mounted on the overflow unit to block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toilet body from flowing back into the tank;
상기 오버플로우부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여 수도전으로부터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차단하는 세척수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shing water blocking unit for rising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ed back to the overflow unit to block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tap.
본 발명 양변기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오염수가 수조로 역류될 때, 수조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압력으로 역류차단부재가 배수공을 폐쇄시켜 수조 내부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수조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toilet body flows back into the tank, the backflow blocking member is clo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aminated water back to the tank to prevent the backflow into the tank to prevent contamination inside the tank You can have this advantage.
또한, 본 발명 양변기에 의하면, 오버플로우부 내부로 역류되어 상승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개폐레버가 힌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볼탭의 급수공을 폐쇄시켜 수도전으로부터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세척수를 차단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s back into the overflow portion,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rotates upwardly around the hinge to close the water supply hole of the ball tap to wash the water unnecessarily supplied from the tap water. Blocking can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economics.
또한, 본 발명 양변기에 의하면, 오버플로우부의 배수부재와 결합부재 사이에 역류차단부재가 유동하지 않도록 위치시켜 오염수의 역류를 차단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기본체가 막힌 상태에서는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지 않아 변기본체의 오염수가 화장실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so that the backflow blocking member does not flow between the drain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of the overflow portion to block the backflow of contaminated water to enable users to use hygien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benefit to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contaminated water from flowing into the floor of the toilet do not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faucet in the state that the toilet body is blocked.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100)에 장착되어 변기본체(10)의 오염수가 수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차단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부(100)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여 수도전으로부터 수조(2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차단하는 세척수차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오버플로우부(100)는, 내부가 관통되고, 하단부에 리브(111)가 돌출된 관(110)이 구비되며, 상기 관(110)의 리브(111)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재(12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120)에 안착되는 배수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재(130)를 개폐시키도록 관(110)의 축(112)에 장착되는 사이폰덮개(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결합부재(120)와 배수부재(1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돌기(15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51)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부재(120)의 외주면에 고정홈(152)이 형성된다.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상기 역류차단부(200)는, 상기 오버플로우부(100)의 결합부재(120)와 배수부재(130) 사이에 배수부재(130)를 폐쇄시키는 역류방지부재(21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210)에 배수부재(130)의 배수공을 폐쇄시키는 차단판(220)이 구비된다.The
상기 세척수차단부(300)는, 상기 오버플로우부(100)의 관에 차단부구(320)가 승하강하도록 형성된 공간(310)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310)의 걸림턱(311)에 안착되어 오버플로우부(100)의 관(110)으로 역류되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는 차단부구(320)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구(320)에 고정핀(340)으로 결합되어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를 수용하는 연결대(3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washing
상기 연결대(330)는, 상기 차단부구(320)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핀(340)으로 결합되는 제1링크(3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331)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3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332)에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를 수용하는 고정구(333)가 형성된다.The connecting table 330 is formed with a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1)에 수집보관된 용변자의 용변을 세척하려고 배수버튼(21)을 가압하면, 상기 배수버튼(21)에 당김끈으로 연결된 오버플로우부(100)의 사이폰덮개(140)가 관(110)의 축(112)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하면서 배수부재(130)의 배수공(131)을 개방함과 동시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131)으로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가 통과하면서 역류차단부(200)의 차단편(220)을 외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관(110)의 리브(111)에 리브결합공(121)이 결합된 결합부재(120)를 경유하여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1)으로 배출된다.First, when the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20)와 배수부재(130)는 고정부(150)의 고정돌기(151)가 고정홈(152)에 결합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배수부재(13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상기 배수공(131)으로 세척수가 배수되면서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구(42)가 볼탭(30)의 수조측 급수관(31) 하부로 하강한다.A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또한, 상기 부구(42)의 하강으로 부구(42)에 고정된 작동대(43)가 스토퍼(41")로부터 이탈되어 개폐레버(41)를 지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레버(41)는 급수공(33')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자중에 의해 힌지(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급수공(33')을 개방하고, 개방된 급수공(33')으로 급수변(33)을 가압한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급수변(33)의 지지력을 상실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ng table 43 fixed to the
이때, 상기 급수변(33)은, 볼탭(3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으로 이동하면서 공급공(35)을 개방함과 동시에 공급공(35)을 통과한 세척수는 개폐변(34)이 수조측 급수관(31)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므로 림측 급수관(32)으로만 공급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림측 급수관(32)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와 배수부재(130)의 배수공(131)과 결합부재(120)를 통과하여 변기본체(10)로 배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공간(11)에 잔류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세척을 할 때, 용변자의 용변에 의해 변기본체(10)가 막히면 세척공간(11)의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세척을 하지 못함과 동시에 림측 급수관(32)과 배수부재(130)의 배수공(131)으로는 세척수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세척공간(11)에 용변이 포함된 오염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Stool remaining in the
상기 세척공간(11)의 수위가 상승하는 오염수를 배수부재(130)의 배수공(131)을 결합부재(120)로 배수되는 세척수가 밀어내지 못함에 따라 세척공간(11)의 오염수가 오버플로우부(100)의 결합부재(120) 내부로 역류한다.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20) 내부로 역류되는 오염수가 역류차단부재(210)의 차단판(220)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차단판(220)은 배수부재(130)의 배수리브(132)에 밀착되면서 배수공(131)을 폐쇄시켜 오염수가 수조(20)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조(2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B,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back into the
또한, 상기 결합부재(120) 내부로 역류되는 오염수는 도 5c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결합공(121)에 결합된 리브(111)를 통해 관(110)의 내부로 공급되어 관(110) 내부의 오염수 수위가 상승함과 동시에 상승하는 오염수에 의해 세척수차단부(300)의 걸림턱(311)에 안착된 차단부구(320)가 공간(310)의 상부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back into the
이때, 상기 차단부구(320)의 상부 이동에 따라 차단부구(320)에 고정핀(340)으로 고정된 연결대(330)가 상승하는데, 상기 연결대(330)는 상기 고정핀(340)으로 차단부구(320)에 결합된 제1링크(331)와 상기 제1링크(331)에 결합된 제2링크(332) 및 상기 제2링크(332)에 결합된 고정구(333)가 동시에 상승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제1링크(331)는 고정핀(340)이 결합되는 차단부구(320)의 핀공(321)과 제1링크(331)의 핀공(331a)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1링크(331)의 핀공(331a)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링크(33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또한, 상기 제1링크(331)의 결합공(331b)에 결합되는 제2링크(332)의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결합공(331b)에 연결고정구(332a)를 결합하여 제2링크(332)를 가압하면, 상기 연결고정구(332a)가 제2링크(332)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upling of the
또한, 상기 제2링크(332)의 고정공(332b)에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된 고정구(333)가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구(333)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333a) 하단부 내면이 개폐레버(41)의 스토퍼(41") 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스토퍼(41")를 상승시킨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xing
여기서 상기 고정홈(333a)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개폐레버(41)가 작동될 때에는 스토퍼(41")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어야 한다.Since the fixing
상기 스토퍼(41")의 상부 이동에 따라 개폐레버(41)는 힌지(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급수공(33')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볼탭(30)의 공급공(35)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급수변(33)의 급수안내공(33a)을 통과하여 급수변(33)과 급수안내공(33a)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압력으로 급수변(33)이 공급공(35)을 폐쇄시키면서 수도전으로부터 볼탭(3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중단함과 동시에 변기본체(10)의 막힘이 뚫릴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As the
또한, 용변자에 의해 변기본체(10)의 막힘이 해제되면, 변기본체(10)의 세척공간(11)에 용변을 포함한 세척수와 수조(20) 내부의 세척수가 정화조로 배출하는 세척을 하고, 용변의 세척이 완료되면, 통상적인 작동으로 수조(20)에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lockag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 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의 평면구성도1 is a plan view of a common toilet
도 2는 종래의 세척수 급수장치인 볼탭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l tap is a conventional water supply for washing water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4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5a to 5d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오버플로우부 110: 관100: overflow portion 110: pipe
120: 결합부재 130: 배수부재120: coupling member 130: drain member
140: 사이폰덮개 150: 고정부140: siphon cover 150: fixed portion
200: 역류차단부 210: 역류차단부재200: countercurrent blocking member 210: countercurrent blocking member
220: 차단판 300: 세척수차단부220: blocking plate 300: washing water blocking unit
310: 공간 320: 차단부구310: space 320: blocking hole
330: 연결대330: connecting ro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388A KR101010343B1 (en) | 2008-11-25 | 2008-11-25 | Toi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388A KR101010343B1 (en) | 2008-11-25 | 2008-11-25 | Toi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8835A KR20100058835A (en) | 2010-06-04 |
KR101010343B1 true KR101010343B1 (en) | 2011-01-25 |
Family
ID=4236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7388A KR101010343B1 (en) | 2008-11-25 | 2008-11-25 | Toi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034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9029B1 (en) | 2011-10-14 | 2013-05-29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 toilet water tank |
KR102601393B1 (en) * | 2023-05-11 | 2023-11-10 | 계림요업주식회사 |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low-tank toile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20358A (en) | 1999-07-09 | 2001-01-23 | Inax Corp | Tankless stool |
WO2001023678A1 (en) | 1999-09-27 | 2001-04-05 | Toto Ltd. | Water closet and flushing water feed device |
KR200297671Y1 (en) | 2002-07-22 | 2002-12-12 | 유창근 | Noiseless ball tap |
KR100758827B1 (en) | 2005-12-17 | 2007-09-14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oilet |
-
2008
- 2008-11-25 KR KR1020080117388A patent/KR1010103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20358A (en) | 1999-07-09 | 2001-01-23 | Inax Corp | Tankless stool |
WO2001023678A1 (en) | 1999-09-27 | 2001-04-05 | Toto Ltd. | Water closet and flushing water feed device |
KR200297671Y1 (en) | 2002-07-22 | 2002-12-12 | 유창근 | Noiseless ball tap |
KR100758827B1 (en) | 2005-12-17 | 2007-09-14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oile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9029B1 (en) | 2011-10-14 | 2013-05-29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 toilet water tank |
KR102601393B1 (en) * | 2023-05-11 | 2023-11-10 | 계림요업주식회사 |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low-tank toil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8835A (en) | 2010-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96679B2 (en) | Western style toilet fill valve backflow prevention device | |
KR100756652B1 (en) | Bidet with automatic flushing function using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toilet of the toilet | |
KR100901186B1 (en) | Toilet bowl with non-return check valve between wash bowl and water tank | |
KR200432070Y1 (en) | Washing water drainage support of toilet | |
KR101010343B1 (en) | Toilet | |
KR101072565B1 (en) | device for water out of toilet controling quantity of water for feces and urine | |
KR100986216B1 (en) | Channel switching device of toilet water supply control valve | |
KR200453734Y1 (en) | Manual water supply device of bidet integrated sanitary ware | |
KR101058551B1 (en) | Washing water supply shutoff device of toilet | |
KR100882947B1 (en) | Cylinder pressure switchgear of automatic flushing bidet | |
KR200440466Y1 (en) | Cylinder pressure switchgear of automatic flushing bidet | |
KR200378340Y1 (en) | device for rim washing of a toilet | |
JP6662138B2 (en) | Wash water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equipped with the wash water tank device | |
KR20200137221A (en) | Supplement water supply device of toilet water tank | |
US2022031619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lf-cleaning toilet rim | |
KR101007054B1 (en) | Countercurrent prevention device of toilet bowl | |
KR200452869Y1 (en) |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of feedwater control valve | |
KR200437206Y1 (en) | Fill valve directs water supply to the cylinder | |
KR20120041347A (en) | Device for prevention flowing backward of clean water in toilet and water tank | |
KR20070064462A (en)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oilet | |
KR101009369B1 (en) | Washing machine for flush toilet | |
KR20130023470A (en) | Bowl make-up water supply adjustable toilet fixture of the make-up water supply hose | |
KR200206146Y1 (en) | Water saving device of a chamber pot | |
JP7172590B2 (en) | drain valve device | |
KR200169266Y1 (en) | Water saving toilet flu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