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9872B1 -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 Google Patents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872B1
KR100989872B1 KR1020080027691A KR20080027691A KR100989872B1 KR 100989872 B1 KR100989872 B1 KR 100989872B1 KR 1020080027691 A KR1020080027691 A KR 1020080027691A KR 20080027691 A KR20080027691 A KR 20080027691A KR 100989872 B1 KR100989872 B1 KR 10098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plunger
piston
drug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324A (ko
Inventor
이용학
Original Assignee
이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학 filed Critical 이용학
Priority to KR102008002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87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96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부터 고무캡(1)을 포함하는 주사침(2)이 설치되는 주입구(10a)가 마련되고, 내측에 두 가지의 약제 중 어느 하나의 약제를 유통되도록 하여 혼합시키기 위한 약제통로(11)가 형성된 원통형의 주사통(10)과, 상기 주사통 내에 삽입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기 위한 플런저(20)와, 상기 주사통(10) 내에서 플런저(20)와 이격 설치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는 피스톤(30) 및 피스톤 로드(40)와, 상기 플런저(20)와 피스톤(30)을 기준으로 격리 구분되어 장전되는 분말약제(50) 및 액상의 용해제(60)를 포함하여서 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에 있어서, 상기 약제통로(11)를 다수개 형성하기 위한 가압턱(12)이 상기 주사통(10) 내에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주사통 내에서 용해제를 가압하는 피스톤에 대해 액압으로 전진되는 플런저가 원주상으로 배열된 가압턱에 안정되게 도달되도록 함은 물론, 가압턱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약제통로를 따라 용해제가 분말약제와 신속하게 용해되어 주사액을 제공함으로써, 플런저 및 피스톤의 정확하고 안정된 가압동작을 구가하여 두 가지의 약제를 정확히 혼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사통의 후방에 밀폐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시린지의 손잡이 기능은 물론, 내부에 장전되는 약제 중 후방에 위치하는 용해제의 누액발생을 주사통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함께 이중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주어 장기 보존성을 높이고, 유통상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린지, 플런저, 피스톤, 약제, 약액, 가압턱, 마개, 밀폐부재

Description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Two kind pre-filled syringe}
본 발명은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두 가지의 약제를 혼합, 사용하는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에 있어, 시린지 내부를 개선하여 피스톤과 플런저의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여 각각 장전된 분말약제와 액상의 용해제 혼합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장전된 약제 중 시린지의 후측에 위치한 용해제의 누액될 수 있는 점을 보완하여 장기 보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리필트 시린지(Pre-filled Syringe: 주사기)는 하나의 주사기 내에 해당하는 두 가지의 약물이 장전된 상태로 포장된 주사제품으로 1회 주사에 필요한 용량이 미리 적정량 포장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종 마이신, 백신, 인슐린 주사 등에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주사제품이다.
보통 해당 약제 주사를 놓기 위해서는 각각 분말약제가 담긴 약병과 액상의 용해제가 담긴 약병이 별도로 보관되며, 일회용 시린지를 이용하여 용해제를 시린지에 주입한 다음, 이를 다시 분말약제가 담긴 약병에 투입시킨 후 흔들어 분말약제를 용해시키고, 용해된 약제를 다시 해당 시린지로서 적정량 뽑아 내에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주사는 비교적 약병에 남게 되어 버려지는 약제의 손실이 많으며, 적정량의 약제의 혼합시 주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중 후리휠드 방식의 시린지가 보급,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를 살피면 첨부된 도 1에서와 같다.
시린지는 주사침을 꽂을 수 있는 주사통(10)과, 주사통(10) 내에 플런저(20)와 함께 피스톤(30)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30)은 피스톤 로드(40)와 연결된다.
상기 주사통(10) 내에는 일측에 용해제(60)가 통과될 수 있는 약제통로(10-1)가 편중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약제통로(10-1)를 기준으로 그 후방에 플런저(20)가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20)와 이격되는 지점에는 플런저(20)를 주사통(10) 내에서 액압으로 밀어내기 위한 피스톤(30)이 설치된다.
상기 주사통(10)에 있어, 주입구(10a)에는 탈,착 가능한 고무캡(1)이 끼워져 장착되고, 분말약제(50)는 약제통로(10-1)의 전방에 적정량 장전되고, 액상의 용해제(60)는 플런저(20)와 피스톤(30)이 위치한 사이에 장전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가지의 약제가 장전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의 실제 사용은, 피스톤 로드(40)를 주사통(10)에 장착된 피스톤(30)에 나사 체결한 다음 전진시키면, 장전된 액상의 용해제(60)를 가압하고, 여기서 가압되는 용해제는 첨부 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0)를 가압하여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런저(20)의 전진은 주사통(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약제통로(10-1)를 지나게 되며, 이때 플런저(20)의 후단이 약제통로를 벗어나는 상태가 되어 약제통로(10-1)의 중간지점에 머무는 상태라면, 이때부터 액상의 용해제(60)는 약제통로(10-1)를 따라 플런저(20)의 선단과 약제통로(10-1)를 통해 분말약제(50)가 장전된 곳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액상의 용해제(60)는 계속되는 피스톤(30)의 가압으로서, 분말약제(50)와 혼합, 용해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여기서 플런저(20)는 상기 약제통로(10-1)의 위치에 계속 머무르는 상태에서 용해제(60)가 완전히 빠져나가는 시점, 즉 피스톤(30)이 플런저(20)의 후단을 밀어 가압하여 피스톤(30)이 분말약제(50)가 충진된 공간까지 이동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용해제(60)의 유입으로서 분말약제(50)와 완전히 혼합되어 용해된 주사 약물은 계속되는 피스톤(30)과 플런저(20)의 전진동작 연속으로 주사통(10)의 주입구(10a)측에 장착되는 주사침(2)을 통해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는 약제통로를 지나게 되는 플런저에 있어 다음과 같이 문제점이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다.
첨부된 도 2에서 발췌된 부분에서와 같이, 주사통(10)에 형성된 약제통로(10-1)는 일측으로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지나면서 플런저(20)의 전 후측이 모두 개방되어 액상의 용해제(60)가 통과되는 시점에서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플런저(20)가 뒤틀리는 사례로서 용해제가 미처 다 빠져나가지 못하고, 막히는 폐단이 발생하거나, 그 뒤를 이어 피스톤(30)의 전진상태에서 플런저가 일부가 약제통로(10-1)에 걸릴 수 있는 등의 불량작동에 따라 피스톤(30)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며, 일부만 분말약제(50)와 혼합되기 때문에 혼합되어 희석되는 약물의 정량이 제대로 얻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후리휠드 시린지(100)는 액상의 용해제(60)와 분말약제(50)를 구획보관함에 있어서, 제품의 제조시, 보관 및 유통상에서 주사통(10) 내에 삽입된 피스톤(50)의 후방으로 용해제(60)가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 가지의 약제를 혼합, 사용하는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에 있어, 시린지 내부를 개선하여 피스톤과 플런저의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여 각각 장전된 분말약제와 액상의 용해제 혼합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장전된 약제 중 시린지의 후측에 위치한 용해제의 누액될 수 있는 점을 보완하여 장기 보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으로부터 고무캡을 포함하는 주사침이 설치되는 주입구가 마련되고, 내측에 두 가지의 약제 중 어느 하나의 약제를 유통되도록 하여 혼합시키기 위한 약제통로가 형성된 원통형의 주사통과, 상기 주사통 내에 삽입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기 위한 플런저와, 상기 주사통 내에서 플런저와 이격 설치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는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플런저와 피스톤을 기준으로 격리 구분되어 장전되는 분말약제 및 액상의 용해제를 포함하여서 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에 있어서, 상기 주사통 내에 약제통로를 다수개 형성하기 위한 가압턱이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는 주사통 내에서 용해제를 가압하는 피스톤에 대해 액압으로 전진되는 플런저가 원주상으로 배열된 가압턱에 안정되게 도달되도록 함은 물론, 가압턱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약제통로를 따라 용해제가 분말약제와 신속하게 용해되어 주사액을 제공함으로써, 플런저 및 피스톤의 정확하고 안정된 가압동작을 구가하여 두 가지의 약제를 정확히 혼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사통의 후방에 밀폐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시린지의 손잡이 기능은 물론, 내부에 장전되는 약제 중 후방에 위치하는 용해제의 누액발생을 주사통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함께 이중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주어 장기 보존성을 높이고, 유통상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인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및 내부에 약제가 장전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고무캡(1)을 포함하는 주사침(2)이 설치되는 주입구(10a)가 마련되고, 내측에 두 가지의 약제 중 어느 하나의 약제를 유통되도록 하여 혼합시키기 위한 약제통로(11)가 형성된 원통형의 주사통(10)과, 상기 주사통 내에 삽입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기 위한 플런저(20)와, 상기 주사통(10) 내에서 플런저(20)와 이격 설치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는 피스톤(30) 및 피스톤 로드(40)와, 상기 플런저(20)와 피스톤(30)을 기준으로 격리 구분되어 장전되는 분말약제(50) 및 액상의 용해제(60)를 포함하여서 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에 있어서, 상기 약제통로(11)를 다수개 형성하기 위한 가압턱(12)이 상기 주사통(10) 내에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가압턱(12)은 주사통(10)의 직경에 따라 그 개수는 다르게 형성되며, 주사통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턱(12)은 플런저(20)가 주사통(10) 내에서 접하는 외경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런저(20)의 외경이 가압턱(12)에 밀착된 상태에서 액상의 용해제(60)를 안정되게 유입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가압턱(1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플런저(20) 및 피스톤(30)의 외츨둘레의 가압이 진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한 경사부(12a)를 형성할 수 있으면 좋다. 이는 주사통(10)의 직경 제작에 따라 비교적 큰 직경과 가압턱(12)의 돌출되는 길이가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상기 주사통(10) 내부를 섭동시키기 위한 상기 플런저(20) 및 피스톤(30)의 외표면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등등의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의 고분자물질을 선택하여 라미네이트 처리되도록 한다. 이는 주사통(10) 내에 각각 장전되는 약제와 플런저 및 피스톤의 제작시 고무성분의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약제와의 이물감을 없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0)이 설치되는 주사통(10)의 후방으로부터 장전된 액상의 용해제(60)의 후방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70)가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밀폐부재(70)는 주사통(10)의 후단부를 삽입하는 내경(71a)과 후단부를 지지하는 단턱(71b)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7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몸체(71)의 외측둘레 상에 상호 양측으로 굴곡진 날개형태의 손잡이부(7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71)의 일측으로부터 지지편(7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73) 일측에는 상기 내경에 삽입되어 피스톤(30)의 후방을 이차로 기밀시키는 마개부(74)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주사통(10)의 주입구(10a)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끼우는 삽입관부(8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부(81) 내에는 주입구(10a)의 내경에 삽입되어 분말약제(50)의 누출을 방지하는 삽입돌부(82)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소재의 주입구 기밀캡(8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입구 기밀캡(80)은 주사통(10)의 주입구(10a)측으로 탈거하고, 상기 주입구(10a)에는 주사침(2)을 장착할 수 있는 어댑터(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침(2)의 선단으로는 고무캡(1)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30)은 일측으로부터 그 내부에 나사체결홈(31)이 형성되고, 이에 일치되어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40)의 일단에는 나사부(41)를 형성하여 후리휠드 시린지(100)의 실사용시 이들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준비된 후리휠드 시린지에 있어, 주사통(10)의 주입구(10a)에는 주입구 기밀캡(80)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주입구 기밀캡(80)은 주입구(10a)의 내경에 삽입돌부(82)가 삽입되고, 삽입관부(81)는 주입구(10a)의 외측둘레를 밀착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주입구(10a)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사통(10) 내에는 분말약제(50)를 먼저 장전하고, 주사통(10)의 후방으로부터 플런저(20)를 삽입하여 약제통로(11)를 형성하고 있는 가압턱(12)이 시작되는 이전의 위치시키고, 이어서 상기 분말약제(50)의 용량과 대응되는 액상의 용해제(60)를 주입한 다음, 그 후방에 피스톤(30)을 삽입하여 각각의 약제를 격리시켜 포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각각의 약제(50, 60)가 장전된 상태에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는 별도로 구비되는 피스톤 로드(40)와 함께 각각 낱개로 포장되거나 단위로 포장되어 유통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의 주사통(10) 후방에는 별도의 밀폐부재(70)를 장착함으로써, 피스톤(30)의 후방측을 이중으로 보완하여 상기 플런저(20)와 피스톤(30) 사이에 장전된 액상의 용해제(60)가 피스톤(30)의 후방으로 새어 나올 수 있는 만약을 위해 누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폐부재(70)를 주사통(10)의 후부에 결합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밀폐부재(70)의 내경(71b)에 대해 주사통(10)의 후단부를 삽입하고, 몸체(71)측 내경(71a)에 형성된 단턱(71b)에는 절곡된 플랜지부분을 갖는 주사통(10)의 후단부분이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71)에는 그 양측으로 굴곡진 날개형태의 손잡이부(72)가 형성되어 검지와 중지로 걸고, 사용자의 엄지는 피스톤 로드(40)의 후단을 밀어줄 수 있는 형태로서 주사통을 안정된 상태로 쥘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71)에 연장 형성된 지지편(73)측에는 상기 단턱(71b)에 안내되어 주사통(10) 후방을 기밀시킬 수 있는 마개부(74)가 연결 형성되어 있어, 첨부된 도 4에서와 지지편(73)을 구부려 마개부(74)를 결합하는 두 가지 기능을 갖게된다.
상기와 같이 밀폐부재(70)는 주사통(10)을 손가락으로 걸어 쥘 수 있는 기능과 함께 마개부로서 내경(71a)을 막아 주사통(10)의 후방측을 피스톤(30)과 함께 이중으로 기밀하기 때문에,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의 유통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액을 방지하는 효과와 더불어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의 장기 보존에 유리함이 있다..
한편, 상기 주사통(10) 내에 각각의 약제(50,60)가 장전된 상태에서 후리휠드 시린지(100)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준비된 피스톤 로드(40)의 나사부(41)를 직접 상기 피스톤(30)에 형성한 나사체결홈(31)에 체결하여 결합하거나, 상기 밀폐부재(70)의 마개부(74)를 몸체(71)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피스톤(30)을 체결하여 사용한다.
밀폐부재(70)의 손잡이(72)에 엄지와 중지를 걸고, 피스톤 로드(40)의 후단에는 엄지로 밀어 가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첨부된 도 8에서 도시된 같이, 상기 피스톤(30)에 의해 가압되는 액상의 용해제(60)는 그 전방에 위치된 플런저(20)를 액압으로 밀어내고, 여기서 플런저(20)는 주사통(10) 내부에 마련된 가압턱(12)으로 이동되어 플런저(20)의 외직경이 모두 가압턱(12)에 걸려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주사통(10) 내에 형성한 가압턱(12)을 지나게 되는 플런저(20)는 가압턱(12)의 일단으로부터 형성된 경사부(12a)에 의해 보다 자연스럽게 가압턱(12)으로 안내 유도되면서 그 외경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액상의 용해제(60)는 다수개의 가압턱(12)이 원주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는 이유에서 그 사이사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약제통로(11)를 통해 분말약제(50)가 놓인 곳으로 유입되며, 이때 분말약제(50)를 주사용 약물로 사용하기 위한 용해제(60)와의 용해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플런저(20)와 피스톤(30)은 외표면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등등의 고분자물질 중 어느 하나의 고분자물질이 선택되어 라미네이트 처리되어있기 때문에, 항상 약제와 함께 포장된 상태, 또는 상기와 같이 약제들의 용해작용시 고무소재로 제작된 플런저 및 피스톤이 직접적인 접 촉되는 약제와의 이물감을 없앨 수 있다.
결국, 고무소재의 플런저와 피스톤의 외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됨에 따라 제작시에도 이물질이 달라붙는 현상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런저(20)와 피스톤(30)이 주사통(10) 내에서 가압하여 분말약제(50)와 용해제(60)가 혼합되어 용해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주사통(10)의 주입구(10a)에는 상기 주입구 기밀캡(8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주입구 기밀캡(80)외에 첨부된 도 6에서 준비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와 같이 주사통(10)의 주입구(10a)에 주사침(2)을 꽂기 위한 어댑터(3)를 꽂아 먼저 고정하고, 여기에 주사침(2) 및 고무캡(1)을 장착된 상태에서 주사통(10)의 후방에 결합된 밀폐부재(70)의 마개부(74)를 열고, 피스톤 로드(40)를 피스톤(30)에 장착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를 전진작동시킴으로써 분말약제(50)와 용해제(60)의 용해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는 첨부된 도 9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피스톤(30)과 플런저(20)의 단면상태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상기 플런저(20)와 피스톤(30)은 그 외부직경이 같은 형태이나, 주사통(10)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30)의 단면에 대한 외직경(L1)에 대해 상기 플런저(20)가 가압턱(12)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외직경(L2)은 그만큼 가압턱(12)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약제통로(11)를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그대로 가압턱(12)에 위치된 플런저(20)는 액상의 용해제의 유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연속되는 피스톤(30)의 직접적인 밀착 가압으로 분말약제가 위치된 주사통(10) 내부로 피스톤(30)이 가압턱(12)을 지나 이동되게 함으로써, 분말약제(50)와 용해제(60)가 혼합된 약물은 주사통(10)의 주입구(10a)에 설치된 주사침(2)을 통해 주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를 통해 약제가 혼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및 내부에 약제가 장전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린지의 후단에 밀폐부재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밀폐부재가 결합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후리휠드 실린지의 선단에 주사용 니들을 포함한 고무캡이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후리휠드 실린지에 피스톤 로드를 적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후리휠드 실린지를 통해 장전된 분말약제에 용해제를 혼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의 "가"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도 9에서 시린지 내에 피스톤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에서 시린지 내에 플런저가 가압턱에 위치되어 용해제가 유통되 는 상태를 도시한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를 통해 약제가 주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고무캡 2: 주사침
3: 어댑터 10: 주사통
10a: 주입구 11: 약제통로
12: 가압턱 12a: 경사부
20: 플런저 30: 피스톤
31: 나사체결홈 40: 피스톤 로드
50: 분말약제 60: 용해제
70: 밀폐부재 80: 주입구 기밀캡
100: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Claims (7)

  1. 삭제
  2. 일측으로부터 고무캡(1)을 포함하는 주사침(2)이 설치되는 주입구(10a)가 마련되고, 내측에 두 가지의 약제 중 어느 하나의 약제를 유통되도록 하여 혼합시키기 위한 약제통로(11)가 형성된 원통형의 주사통(10)과, 상기 주사통 내에 삽입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기 위한 플런저(20)와, 상기 주사통(10) 내에서 플런저(20)와 이격 설치되어 약제를 가압 이송시키는 피스톤(30) 및 피스톤 로드(40)와, 상기 플런저(20)와 피스톤(30)을 기준으로 격리 구분되어 장전되는 분말약제(50) 및 액상의 용해제(60)와, 상기 주사통(10) 내에 약제통로(11)가 형성된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100)에 있어서,
    상기 약제통로(11)는 플런저(20)가 주사통(10) 내에서 접하는 외경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가압턱(12)이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압턱(1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플런저(20) 및 피스톤(30)의 외측둘레의 가압이 진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한 경사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주사통(10)의 후방으로부터 장전된 액상의 용해제(60)의 후방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70)가 설치되고,
    상기 주사통(10)의 주입구(10a)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끼우는 삽입관부(8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부(81) 내에는 주입구(10a)의 내경에 삽입되어 분말약제(50)의 누출을 방지하는 삽입돌부(82)가 일체로 형성된 고무소재의 주입구 기밀캡(8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70)는 주사통(10)의 후단부를 삽입하는 내경(71a)과 후단부를 지지하는 단턱(71b)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7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몸체(71)의 외측둘레 상에 상호 양측으로 굴곡진 날개형태의 손잡이부(7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71)의 일측으로부터 지지편(7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73) 일측에는 상기 내경에 삽입되어 피스톤(30)의 후방을 이차로 기밀시키는 마개부(7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6. 삭제
  7. 삭제
KR1020080027691A 2008-03-26 2008-03-26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KR10098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691A KR100989872B1 (ko) 2008-03-26 2008-03-26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691A KR100989872B1 (ko) 2008-03-26 2008-03-26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324A KR20090102324A (ko) 2009-09-30
KR100989872B1 true KR100989872B1 (ko) 2010-10-29

Family

ID=4135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691A KR100989872B1 (ko) 2008-03-26 2008-03-26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8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938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대경피앤씨 주사기 방식의 이종 물질 혼합기 및 그 조립방법
WO2020111296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대웅제약 2실식 용기 겸용 주사기
KR20200109824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KR20200109821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주사기형 충진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69A1 (ko) * 2017-09-08 2019-03-14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실란트 실린지 어셈블리
CN109394537A (zh) * 2018-12-03 2019-03-01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预充式压强平衡注射器
CN119345532A (zh) * 2024-12-23 2025-01-24 山东永聚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分子双腔预灌封注射器及其制备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938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대경피앤씨 주사기 방식의 이종 물질 혼합기 및 그 조립방법
KR101890655B1 (ko) * 2016-04-28 2018-08-22 주식회사대경피앤씨 주사기 방식의 이종 물질 혼합기 및 그 조립방법
WO2020111296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대웅제약 2실식 용기 겸용 주사기
CN113056298A (zh) * 2018-11-27 2021-06-29 株式会社大熊制药 双腔式兼用作容器的注射器
KR20200109824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KR20200109821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주사기형 충진용기
KR102205149B1 (ko) * 2019-03-14 2021-01-19 장건주 주사기형 충진용기
KR102234866B1 (ko) * 2019-03-14 2021-03-31 장건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324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872B1 (ko)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JP6523499B2 (ja) バイアルを利用する注入メカニズム
US7534222B2 (en) Injection device
US6379328B1 (en) Disposable syringe
CN106535964B (zh) 预填充注射装置
NO20110085A1 (no) Injeksjonsinnretning
BG100450A (bg) Многокамерна спринцовка
US20220265933A1 (en) Mixing vial
JP6013484B2 (ja) 流体の順次送出のための装置
EP3468646B1 (en) Triple chamber with prefilled injection device
KR101479258B1 (ko) 일회용 주사기
US20180036488A1 (en) Priming Mechanism For Automatic Injection Device
KR101992055B1 (ko) 단위 체결을 통한 확장형 약액 주사장치
KR20110009755A (ko) 프리필드 주사기
US11850211B2 (en) Mixing vial
WO2011117877A1 (en) A dual chamber pre-filled syringe
KR20180054114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스마트 주사기
EP4149597A1 (en) A syringe,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yringes and an assembly
KR20150002026A (ko)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CZ2009101A3 (cs) Tríkomorový automatický injek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