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4544B1 - 액추에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544B1
KR100984544B1 KR1020057008019A KR20057008019A KR100984544B1 KR 100984544 B1 KR100984544 B1 KR 100984544B1 KR 1020057008019 A KR1020057008019 A KR 1020057008019A KR 20057008019 A KR20057008019 A KR 20057008019A KR 100984544 B1 KR100984544 B1 KR 10098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nnector
actuator device
sensor
drive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477A (ko
Inventor
나오히사 신무라
나오히코 시바타
유키노부 구지라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57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0313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52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2406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5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8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associated with geared commutator motors of the worm-and-whe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액추에이터 장치는, 구동 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감속기구와, 감속기구에 연결되는 출력축과,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출력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와,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핀을 갖춘 커넥터부와, 구동 모터에 접속되는 급전단자를 갖춘 급전부를 구비한다. 센서 수용부, 커넥터부 및 급전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급전단자 및 커넥터 핀은 단일의 도전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전 플레이트가 일체적으로 조립되도록 수지를 이용하여 몰드 성형된다. 그 결과, 조립이 용이한 액추에이터 장치가 얻어진다.
액추에이터, 구동 모터, 감속기구, 출력축, 커넥터, 센서, 수지, 몰드 성형

Description

액추에이터 장치{ACTUATOR DEVICE}
본 발명은, 구동 모터를 갖춘 액추에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평9-219957호 공보는, 구동 모터, 복수의 기어를 포함한 감속기구, 및 출력축을 갖춘 액추에이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구동 모터의 회전이 감속기구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되고, 그 출력축에 연결된 피동기기가 구동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는 또, 구동 모터에 접속되는 급전(給電)단자, 출력축의 회전각도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및 외부 커넥터와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 핀을 갖추고 있다. 외부 커넥터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구동 모터에 대해서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동시에, 센서에 의해 얻어진 회전각도신호가 외부에 출력된다.
상기 커넥터 핀은,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고 있다. 상기 급전단자는 제1 도전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핀은 제2 도전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도전 플레이트가 제1 도전 플레이트에 코킹된 후에 스폿 용접됨으로써, 양 도전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센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턴 기판은, 감속기구를 구성하는 기어 중 하나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제1 도전 플레이트에 접속된 브러쉬가, 이 패턴 기판에 미끄럼 접촉한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는, 아래와 같은 결점을 가진다. 즉, 상기 커넥터 핀은,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므로, 커넥터 하우징 내의 소정위치에 커넥터 핀을 정확하게 배치하는데 수고를 필요로 한다. 또, 급전단자를 가지는 제1 도전 플레이트와 커넥터 핀을 가지는 제2 도전 플레이트를 연결할 필요가 있으므로, 2개의 도전 플레이트의 관리 및 조립이 번잡하다. 게다가, 기어에 접착된 패턴 기판과 브러쉬와의 접촉상태 확인을 행하기 어렵다. 이러한 결과, 상기 공보의 액추에이터 장치는, 조립에 수고를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한편, 일본 특개평9-308188호 공보는, 상기 공보와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 복수의 기어를 포함한 감속기구, 및 출력축을 갖춘 액추에이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액추에이터 장치에서는, 감속기구를 구성하는 기어(단,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웜 이외의 기어) 중 하나가 스프링 와셔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기어의 가압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는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그 결과 회전축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상기 공보에서는, 기어 중 1개를 축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전용의 스프링 와셔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프링 와셔의 제조 및 그 조립작업이 필요해,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액추에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 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동력전달기구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이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액추에이터 장치는 또, 상기 출력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단자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접속되어 이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상기 커넥터 단자 및 상기 급전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외부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단자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상기 구동 모터에 대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센서에 의해 얻어진 회전각도 신호가 외부에 출력된다. 액추에이터 장치는 또한,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와, 상기 커넥터 단자를 갖춘 커넥터부와, 상기 급전단자를 갖춘 급전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수용부,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급전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액추에이터 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동력전달기구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이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액추에이터 장치는 또, 상기 출력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단자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접속되어 이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단자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상기 구동 모터에 대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센서에 의해 얻어진 회전각도 신호가 외부에 출력된다. 액추에이터 장치는 또한,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와, 상기 커넥터 단자를 갖춘 커넥터부와, 상기 급전단자를 갖춘 급전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수용부,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급전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부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의해 보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액추에이터 장치는,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모터 기어와, 상기 모터 기어에 연결되는 기어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와, 상기 기어열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상기 기어열을 통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상기 기어열을 구성하는 기어 중 적어도 1개는, 이 기어를 축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는 이 회전축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부하가 주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2b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2c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a는, 구동 모터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구동 모터의 우측면도.
도 3c은, 도 3a의 구동 모터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3a의 구동 모터 및 제1 감속기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웜을 축방향에서 본 도면.
도 6a는, 제1 감속기어의 정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제1 감속기어의 평면도.
도 6c는, 도 6b의 6c - 6c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에 조립된 제1 감속기어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제1 베어링을 축방향에서 본 도면.
도 9a는, 제3 감속기어의 정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제3 감속기어의 평면도.
도 9c는, 도 9a의 제3 감속기어의 저면도.
도 10a는, 제2 감속기어, 제3 감속기어 및 센서 수용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b는, 하부 케이스에 조립된 제2 감속기어 및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11a는, 하부 케이스의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하부 케이스의 정면도.
도 11c는, 도 11a의 하부 케이스의 부분 사시도.
도 12a는, 상부 케이스의 저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상부 케이스의 정면도.
도 13은,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액추에이터 장치의 평면도.
도 14는, 액추에이터 장치의 정면도.
도 15는, 에어컨용 통로의 개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차량용 에어컨 장치로 구체화한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장치는,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에어컨용 통로(1)를 갖추고 있다. 그 에어컨용 통로(1)에는, 복수(도 15에서는 3개)의 댐퍼(2, 3, 4)가 마련되어 있다. 댐퍼(2 ~ 4)는, 에어컨용 통로(1) 내의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공기 도입구를 바깥공기 도입용 또는 차량 실내 순환용으로 전환하거나, “벤트”나 “풋”이나 “디퍼렌셜"을 위한 공기 분출구 각각을 개폐하거나 한다. 각 댐퍼(2 ~ 4)에는, 액추에이터 장치(9)가 마련되어 있다. 각 액추에이터 장치(9)는, 에어컨 앰프 Z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전력에 근거해, 대응하는 댐퍼(2 ~ 4)를 구동시킨다.
이하,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9) 중 1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장치(9)의 하우징은, 제1 케이스로서의 하부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로서의 상부 케이스(11)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장치(9)는 또, 구동 모터(12), 기어의 일종인 워엄(13), 기어열을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감속기어(14, 15, 16), 및 커넥터 어셈블리(17)를 갖추고 있다. 워엄(13) 및 제1 ~ 제3 감속기어(14 ~ 16)는, 동력전달기구, 상세하게는 감속기구를 구성한다.
도 11a ~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0)에는, 경사부 (20) 및 한 쌍의 모터 지지부(21, 22)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20)는,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에 대해서 경사하는 단면(20a)을 가지고 있다. 양 모터 지지부(21, 22)는,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 그들 사이에 상기 구동 모터(12)를 보관 유지시키고 또한 고정시킨다.
도 3a ~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12)는 대략 원주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동 모터(12)는, 그 일단에 정수리 벽(18a)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모터 요크(18)를 갖추고 있다. 이 모터 요크(18)의 개구부는 엔드 하우징(19)에 의해 막혀 있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요크(18)의 정수리 벽(18a)은, 그 지름방향 상반되는 곳에 2개의 함몰부(18b, 18c)를 가지고 있다. 구동 모터(12)는, 한 쪽의 함몰부(18c)가 상기 하부 케이스(10)의 경사부(20)와 맞닿도록, 하부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함몰부(18c)와 경사부(20)와의 맞닿음에 의해, 하부 케이스(10)에 대한 구동 모터(12)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고정각도가 결정된다. 구동 모터(12)의 회전축(12a)은, 정수리 벽(18a)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형상 모터 단자(12b, 12c)는, 상기 엔드 하우징(19) 지름방향의 상반되는 곳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모터 단자(12b, 12c)는, 함께 동일한 방향(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위쪽방향)을 향하여 꺾여 구부러져 있고, 엔드 하우징(19)과 대치하는 모터 단자(12b, 12c)의 면이 엔드 하우징 (19)에 밀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엄(13)은, 상기 구동 모터(12)의 회전축(12a)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12a)은 대략 원주형상을 이루고 있고, 모터 요크(18)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회전축(12a)의 선단에는, 그 선단의 일부가 평면이 되도록 절결부(12d)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12a)의 선단 외주면은 이 회전축(12a)의 축선 L2 방향에서 보아 대략 D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워엄(13)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워엄(13)의 외주면에는 나선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워엄(13)은, 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구멍(13b)을 가지고 있다. 삽입구멍(13b)의 지름은, 워엄(13)의 선단(도 4의 좌측 끝)에 가까워짐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아진다. 워엄(13)의 기단에서의 삽입구멍(13b)의 직경은, 회전축(12a)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워엄(13)은 회전축(12a)에 대해서 축선L2를 따라 미끄럼운동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엄(13)은, 상기 삽입구멍(13b)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a)의 절결부(12d)에 대응하는 볼록부(13c)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13c)와 대응하는 삽입구멍(13b) 부분의 단면형상은, 절결부(12d)와 대응하는 회전축(12a) 부분의 단면형상과 마찬가지로, D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록부(13c)가 절결부(12d)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워엄(13)은 회전축(12a)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12a)에 부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감속기어(14)는, 상기 워엄(13)의 나선홈(13a)에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12d)는, 상기 회전축(12a)의 축선 L2 방향에 대해서, 제1 감속기어(14)의 중심보다 워엄(13)의 선단 근처에 위치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감속기어(14)는, 축부(14a)를 갖추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14a)의 양단부는, 하부 케이스(10) 및 상부 케이스(11)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1 베어링(23, 24)(도 11a 및 도 12a 참조)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축부(14a)는, 양 제1 베어링(23, 24)에 의해 이 축부(14a)의 축선 L1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가압되고 있다.
제1 베어링(23)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 베어링(24)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부 케이스(11)의 상부 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각 제1 베어링(23, 24)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축부(14a)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단부의 직경과 대략 같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연결부(14c)는, 상기 축부(14a)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또한 축부(14a)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들 연결부(14c)의 선단에는, 원통형상의 톱니바퀴부인 워엄 휠(14b)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워엄 휠(14b)이 상기 워엄(13)의 나선홈(13a)에 맞물린다(도 4 참조).
탄성부(118)는, 상기 각 연결부(14c)의 길이방향(제1 감속기어(14)의 지름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c는, 도 6b의 6c - 6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각 탄성부(118)는, 대응하는 연결부(14c)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탄성부(118)의 선단부(118a)는,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경사가 약간 완만하게 되어 있다. 탄성부(118)의 상단면 은, 선단부(118a)의 근방에 있어서 완만한 볼록형상 곡면을 이루고 있다. 이 선단부(118a)는, 워엄 휠(14b)의 상단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3개의 탄성부(118)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감속기어(14)의 축선 L1의 방향에 대해서, 워엄 휠(14b)의 상단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은, 3개의 탄성부(118)의 어느 쪽도 같다. 바꾸어 말하면, 3개의 탄성부(118)의 선단부(118a)는, 제1 감속기어(14)의 축선 L1과 직교하는 일평면 내에 위치한다. 또, 축선 L1의 주위에 있어서, 3개의 선단부(118a)가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제1 베어링(23, 24)에 의해 제1 감속기어(14)가 축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탄성부(118)의 선단부(118a)는 상부 케이스(11)의 제1 베어링(24)의 단면에 맞닿는다. 이 제1 베어링(24)의 단면이 탄성부(118)를 축선L1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도록, 양 제1 베어링(23, 24)의 서로 대향하는 양 단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제1 베어링(24)의 단면은, 탄성부(118)를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면(受承面)으로서 기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상을 이루는 제1 베어링(24)의 단면에는, 4개의 오목부, 즉 그리스 홈(138, 139, 140, 141)이 등각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그리스 홈(138 ~ 141)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수용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그려진 원은, 제1 감속기어(14)가 회전할 때에 탄성부(118)의 선단부(118a)가 제1 베어링(24)의 단면 위를 미끄럼 운동하는 궤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그리스 홈(138 ~ 141)은, 선단부(118a)의 미끄럼 운동 궤적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그리스 홈(138 ~ 141)은, 제1 베어링(24)의 중심과 그리스 홈 의 일단을 통과하는 지름방향 선에 대해서, 각도 θ만큼 경사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14a) 상에는 톱니바퀴부(14d)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바퀴부(14d)의 톱니 수는 상기 워엄 휠(14b)의 톱니 수보다 적다. 이 톱니바퀴부(14d)는, 상기 제2 감속기어(15)와 맞물려 있다(도 13 참조). 톱니바퀴부(14d)는 소직경 톱니바퀴부이고, 워엄 휠(14b)는 대직경 톱니바퀴부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감속기어(15)는, 제1 톱니바퀴부(15a) 및 제2 톱니바퀴부(15b)를 갖추고 있다. 양 톱니바퀴부(15a, 15b)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부(15a)의 톱니 수는 상기 제1 감속기어(14)의 톱니바퀴부(14d)의 톱니 수보다 많고, 제2 톱니바퀴부(15b)의 톱니 수는 제1 톱니바퀴부(15a)의 톱니 수보다 적다. 제1 톱니바퀴부(15a)는 제1 감속기어(14)의 톱니바퀴부(14d)와 맞물려 있다(도 13 참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감속기어(15)는, 그 축방향 양단부에 통형상 하부 축부(15c) 및 상부 축부(15d)를 갖추고 있다. 하부 축부(15c) 및 상부 축부(15d)는, 하부 케이스(10) 및 상부 케이스(11)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2 베어링(25, 26)(도 11a 및 도 12a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제2 베어링(25)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2 베어링(25)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하부 축부(15c)의 외주면 직경과 대략 같다. 도 12a에 도시된 제2 베어링(26)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부 케이스(11)의 상부 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2 베어링(26)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상부 축부(15d)의 직경과 대략 같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톱니바퀴부(15b)는 상기 제3 감속기어(16)와 맞물려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감속기어(16)는, 원반부(31), 원통형 톱니바퀴부(32), 원통형 상부 축부(33) 및 원통형 하부 축부(34)를 갖추고 있다. 톱니바퀴부(32)는 원반부(31)의 주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톱니바퀴부(15b)와 맞물린다. 상부 축부(33)는 원반부(3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고, 하부 축부(34)는 원반부(31)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다. 톱니바퀴부(32)는 원반부(31)보다 축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3 감속기어(16)는, 원반부(31)의 하면과 톱니바퀴부(32)의 내주면과 하부 축부(34)의 외주면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대략 링 형상의 오목부(16a)를 가지고 있다. 톱니바퀴부(32)의 톱니 수는 상기 제2 감속기어(15)의 제2 톱니바퀴부(15b)의 톱니 수보다 많다.
출력축(35)은, 상기 상부 축부(33)의 선단으로부터 더욱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35)의 외주면은, 단면이 대략 D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축부(34)의 외주면도, 단면이 대략 D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 축부(34) 및 상기 상부 축부(33)는, 하부 케이스(10) 및 상부 케이스(11)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3 베어링(38, 39)(도 11a 및 도 12a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제3 베어링(38)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3 베어 링(38)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하부 축부(34)의 외주면 직경과 대략 같다. 도 12a에 도시된 제3 베어링(39)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부 케이스(11)의 상부 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3 베어링(39)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상부 축부(33)의 외주면 직경과 대략 같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베어링(39)의 내주면 형상에 맞추어 상부 벽을 원형으로 절결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1)에는 출력개구(39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출력개구(39a)는 제3 베어링(39)의 내주면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베어링(39)의 내주면 및 출력개구(39a)는, 상부 케이스(11)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축부(33)가 제3 베어링(39)에 삽입관통 되었을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축부(33)의 상단면이 상부 케이스(11)의 상부 벽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다. 즉, 액추에이터 장치(9)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부 축부(33)로부터 연장되는 출력축(35)이 액추에이터 장치(9)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출력축(35)에 대해서, 피동 기기인 댐퍼가 끼워맞춰져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축부(34)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7)에 조립된다. 도 1 ~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17)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모양을 이루며, 센서 수용부(41), 커넥터부(42) 및 급전부(43; 給電部)를 갖추고 있다. 센서 수용부(41)는 일단에 천장 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천장 벽의 중심에는 상기 하부 축부(34)가 삽입관통되는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수용부(41)에는, 대략 링 형상을 이루는 센서(44)가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센서(44)가 수용된 상태로 센서 수용부(41)의 개구단이 평판(48)에 의해 막혀 있다. 도 1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48)은 그 외주연부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발톱(48a)에 의해 센서 수용부(41)에 부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48)의 중심부에는, 상기 하부 축부(34)가 삽입관통되는 구멍(4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44)의 중심부에는, 단면이 대략 D자 모양을 이루는 압입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구멍(45)에는 상기 하부 축부(34)가 압입되고, 센서(44)는 제3 감속기어(16)와 일체로 회전한다. 센서 수용부(41)는, 상기 제3 감속기어(16)에 구획형성된 오목부(16a)에 수용되어 있다. 센서(44)는, 예를 들면 내부에 가변 저항을 갖춘 포텐셔미터로 이루어지고, 제3 감속 기어(16)의 회전각도를 검출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센서 수용부(41) 내에는, 센서(44)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회로부는, 제3 감속기어(16)와 함께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센서 수용부(41) 내에 고정 배치된 것이다.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수용부(41)의 개구단에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9)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49)는 개구단의 주위에서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49)는 2개의 절결면(49a, 49b)을 가지고 있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절결면(49a, 49b)의 사이에 상기 제2 감속기어(15)가 배열설치 된다.
도 1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49)의 외주부에는, 한 쌍 의 위치결정 오목부(46, 47)가 180도의 각도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 오목부(46, 47)는, 플랜지(49)를 센서 수용부(41)의 축심을 향하여 절결해 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 오목부(46, 47)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10)에 마련된 대략 원주형상의 위치결정 볼록부(50, 51)가 각각 걸어맞춰져 있다. 위치결정 볼록부(50, 51)는, 상기 제3 베어링(38)(도 11a 참조)을 사이에 두고 상반되는 지름방향 양측에 마련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46, 47)와 상기 위치결정 볼록부(50, 5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0)에 대한 상기 센서 수용부(41)의 배열설치 위치가 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부(42)는, 상기 플랜지(49)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 수용부(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42)는 커넥터 하우징(40)을 갖추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40)은 대략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내부 공간에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 즉 제1 ~ 제5 커넥터 핀(42a ~ 42e)이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핀(42a ~ 42e)은 커넥터 하우징(40)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7)는 도전 플레이트(54)를 갖추고 있다. 도전 플레이트(54)는 한 장의 금속판 등의 도전판을 소정형상으로 타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그 일부가 상기 커넥터 핀(42a ~ 42e)을 구성하고 있다. 도전 플레이트(54)는 또, 상기 급전부(43)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급전단자(56, 57)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 플레이트(54)는 또한 배선부(53)를 갖추고 있다. 배선부(53)는, 제1 ~ 제3 연결부(53a ~ 53c), 1개의 절단부(53d) 및 제1 ~ 제3 접속부(53e ~ 53g)를 갖추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b에서는, 절단부(53d)가 존재하는 동시에, 제2 및 제3 연결부(53b, 53c)가 도중에서 절단되어 있다. 그러나, 도전 플레이트(54)가 타발 형성된 시점에서는, 절단부(53d)는 존재하지 않는 동시에, 제2 및 제3 연결부(53b, 53c)는 제1 연결부(53a)와 마찬가지로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제1 ~ 제3 접속부(53e ~ 53g)는, 상기 센서(44)와 접속되도록, 상기 센서 수용부(41)의 내부에 연장되어 있다. 배선부(53)의 구성에 따라, 접속부(53e ~ 54g)와 커넥터 핀(42a ~ 42e)과 급전단자(56, 57)와의 사이의 접속 상태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커넥터 핀(42a)이 제2 급전단자(57)와 접속되어 있다. 제2 및 제3 커넥터 핀(42b, 42c)은, 제1 급전단자(56) 및 제1 접속부(53e)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제4 커넥터 핀(42d)이 제2 접속부(53f)와 접속되어 있고, 제5 커넥터 핀(42e)이 제3 접속부(53g)와 접속되어 있다.
센서 수용부(41), 커넥터부(42) 및 급전부(43)는, 상기 도전 플레이트(54)의 배선부(53)가 노출되도록, 수지를 이용해 일체적으로 몰드 성형된다. 그 후, 절단부(53d)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1 ~ 제3 연결부(53a ~ 53c) 중 임의의 것이 절단된다.
절단부(53d)는, 제1 커넥터 핀(42a)을 배선부(53)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센서 수용부(41)에 수용되는 센서(44)의 종류 등에 따라, 제 1 ~ 제3 연결부(53a ~ 53e) 중으로부터 절단해야 할 것이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및 제3 연결부(53b, 53e)가 절단되어 있다. 절단해야 할 연결부(53a ~ 53c)의 선택에 따라, 각종 센서(44)에 대응할 수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40)의 하면에는, 위치결정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오목부(55)는, 하부 케이스(10)의 저벽에 마련된 리브(52)(도 11a 참조)에 끼워넣어진다. 위치결정 오목부(55)와 리브(52)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하부 케이스(10)에 대한 커넥터부(42)의 배열설치 위치가 결정된다.
도 1 ~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전부(43)는, 상기 커넥터부(42)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이 커넥터부(4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전단자(56, 57)는, 급전부(43)의 내부로부터 이 급전부(43)의 외측에 연장되어 있다. 급전단자(56, 57)는 금속판을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급전단자(56, 57)의 선단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V자 모양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있고, 그 굴곡된 부분이 맞닿음부(56a, 57a)를 형성하고 있다. 맞닿음부(56a, 57a)는, 상기 구동 모터(12)의 모터 단자(12b, 12c)(도 3b 참조)에 각각 맞닿는다. 맞닿음부(56a, 57a)가 대응하는 모터 단자(12b, 12c)에 맞닿은 상태로 급전단자(56, 57)가 탄성변형 되도록, 맞닿음부(56a, 57a)는 형성되어 있다. 또, 액추에이터 장치(9)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맞닿음부(56a, 57a)가 대응하는 모터 단자(12b, 12c)에 적정하게 맞닿도록, 급 전단자(56, 57)의 각각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급전단자(56, 57)로부터 모터 단자(12b, 12c)를 통해서, 구동 모터(12)에 전기를 공급한다.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전부(43)는, 상기 양 급전단자(56, 57)의 사이에 있어서 위치결정 오목부(58)를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 오목부(58)의 내부 코너부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위치결정 오목부(58)의 형상은 상기 하부 케이스(10)에 형성된 모터 지지부(22)(도 11a 참조)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또, 급전부(43)의 폭방향(도 2b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두께는, 모터 지지부(22)와 거기에 대향하는 하부 케이스(10)의 측벽과의 사이의 간격과 대략 같다. 상기 급전부(4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지지부(22)와 하부 케이스(10)의 측벽과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하부 케이스(10) 내에서의 배열설치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17)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42)에 외부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상태로, 하부 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11)와의 사이에 보관 유지된다. 외부 커넥터가 커넥터부(42)에 삽입됨으로써, 외부 커넥터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가 각각 커넥터 핀(42a ~ 42e)에 접속된다. 그 결과, 외부 커넥터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구동 모터(12)에 대해서 구동전류나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동시에, 센서(44)로 얻어진 검출신호가 외부에 출력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0)의 측벽 외면에는, 4개의 걸림 볼록부(130 ~ 133)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측벽 외면에는, 4개의 걸림발톱(143 ~ 146)이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발톱(143 ~ 146)은, 상기 걸림 볼록부(130 ~ 133)에 각각 대응하고 있고, 대응하는 걸림 볼록부(130 ~ 133)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오목부(143a ~ 146a)를 갖추고 있다.
걸림 볼록부(130 ~ 133)가 대응하는 걸림발톱(143 ~ 146)이 걸림 오목부(143a ~ 146a)에 각각 걸어맞춰짐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0)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추에이터 장치(9)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 모터(12)가 구동되면, 워엄(13)이 회전축(12a)과 일체가 되어 회전되어, 워엄(13)의 회전이 제1 감속기어(14)에 전달된다(도 4 참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18)는, 제1 감속기어(14)를 그 축선 Ll을 따라 하부 케이스(10)의 제1 베어링(23)을 향하여 가압하여, 제1 감속기어(14)를 제1 베어링(23)에 가압한다. 따라서, 제1 감속기어(14)와 제1 베어링(23)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은 비교적 크다.
제1 감속기어(14)와 제1 베어링(23)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이 커지면, 제1 감속기어(14)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동 모터(12)의 토크도 커진다. 워엄(13)은, 증대된 마찰저항만큼 여분의 강한 힘으로, 제1 감속기어(14)에 토크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한편, 워엄(13)으로부터 제1 감속기어(14)에 전달되는 토크가 커짐 따라, 제1 감속기어(14)로부터 워엄(13)에 대해서, 그 큰 토크에 따른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은, 제1 감속기어(14)와 워엄(13)과의 사이의 맞물림 개소로부터 제1 감속기어(14)의 지름방향 외측(도 4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여 작용한다.
워엄(13)의 삽입구멍(13b)에 삽입된 구동 모터(12)의 회전축(12a)도 상기 제1 감속기어(14)로부터의 반력을 받는다. 그 때문에 회전축(12a)은, 그 반력이 작용하는 방향(도 4의 아래방향)을 향하여 가압된 상태로 회전된다.
상기한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커넥터 어셈블리(17)를 구성하는 센서 수용부(41), 커넥터부(42) 및 급전부(4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액추에이터 장치(9)의 조립 공정수가 감소해, 용이하게 액추에이터 장치(9)를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센서 수용부(41)는, 제3 감속기어(16)의 톱니바퀴부(32) 내측에 구획형성된 대략 링형상의 오목부(16a)에 수용되어 있다(도 10a 참조). 따라서, 센서(44)를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톱니바퀴부(32)의 안쪽에 마련할 수가 있어, 액추에이터 장치(9)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7)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을 이룬다(도 2b 참조).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17)의 외형 치수가 짧아져, 액추에이터 장치(9)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사용 대상이 되는 센서(44)의 종류에 따라, 절단해야 할 연결부(53a ~ 53c) 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사용 대상이 되는 센서(44)에게 적절한 배선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포텐셔미터 타입의 센서(44)를 대신해, 출력 펄스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형성해 출력축(35)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검출하는 펄스 엔코더 타입의 센서나, 온· 오프 신호에 의해 출력축(35)의 회전각도를 2대로 검출하는 타입의 센서이어도, 공통의 커넥터 어셈블리(17)에 수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센서(44)의 종류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17)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 어셈블리(17)의 범용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비절단 상태의 연결부(53a ~ 53c)를 절단함으로써, 소망하는 배선구조가 실현된다. 따라서, 소망하는 배선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 납땜 등과 같은 접속작업을 실시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납의 사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엔드 하우징(19)으로부터 연장되는 모터 단자(12b, 12c)는 접혀 구부러져 있고, 엔드 하우징(19)과 대치하는 모터 단자(12b, 12c)의 면이 이 엔드 하우징(19)에 밀착되어지고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따라서, 구동 모터(12)의 축방향에 대해서 액추에이터 장치(9)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모터 단자(12b, 12c)는, 엔드 하우징(19)에 밀착되어지고 있는 동시에, 급전단자(56, 57)의 맞닿음부(56a, 57a)에 의해 엔드 하우징(19)에 눌려져 있다. 그 결과, 모터 단자(12b, 12c)의 공진점(共振点)이 올라가, 귀에 거슬리는 소리인 1kHz 부근에서의 공진을 피할 수가 있다.
모터 요크(18)의 함몰부(18c)가 하부 케이스(10)에 형성된 경사부(20)에 맞닿도록, 구동 모터(12)는 하부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원주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구동 모터(12)를, 그 원주방향에 있어서 확실히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배선부(53)는 센서 수용부(41) 내의 센서(44)에 접속된다. 커넥터 어셈블리(17)의 성형시에, 센서 수용부(41)에 대한 배선부(53)의 배열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커넥터부(42)는 커넥터 하우징(40)을 갖추고 있고, 커넥터 핀(42a ~ 42e)은 커넥터 하우징(40)의 성형시에 이 커넥터 하우징(40) 내에 매립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장치(9)의 조립시에 커넥터 핀(42a ~ 42e)을 별도로 조립하는 수고는 생기지 않는다.
커넥터 핀(42a ~ 42e) 및 급전단자(56, 57)는, 도전 플레이트(54)의 일부분으로서 이 도전 플레이트(54)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핀(42a ~ 42e)과 급전단자(56, 57)를 별도로 접속하는 수고는 생기지 않는다.
제1 감속기어(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탄성부(118)에 의해, 제1 감속기어(14)가 축선 Ll을 따라 가압된다(도 7 참조). 예를 들면 스프링 와셔 등의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는 일 없이, 제1 감속기어(14)가 축선 Ll을 따라 가압된다. 그 때문에, 부품수의 저감 및 조립공정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어 액추에이터 장치(9)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회전축(12a)은, 워엄 휠(14b)의 지름방향 외측(도 4의 아래쪽)을 향하여, 다시 말해서 회전축(12a)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회전축(12a)은, 구동 모터(12) 내에 마련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서 지름방향을 향하여 눌려진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12) 내의 베어링에 대한 회전축(12a)의 흔들림이 억제되어, 그 흔들림에 기인하는 소음 및 회전축(12a)의 진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
탄성부(118)는, 제1 감속기어(14)의 축부(14a)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달아 설치된 연결부(14c)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a ~ 도 6c 참조). 탄성부(118)는, 축부(14a)에 형성된 톱니바퀴부(14d)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탄성부(118)를 포함한 제1 감속기어(14)를 성형할 때에, 성형 형틀을 제1 감속기어(14)의 축선 Ll을 따라 형 분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탄성부(118)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제1 감속기어(14)의 형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3개의 탄성부(118)의 선단부(118a)는, 제1 감속기어(14)의 축선 Ll과 직교 하는 일평면 내에 위치한다. 또, 축선 Ll의 주위에 있어서, 3개의 선단부(118a)가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탄성부(118)는 제1 감속기어(14)에 대해서, 축선 Ll을 따라 밸런스 좋게 안정된 부하를 부여한다.
탄성부(118)는, 축부(14a)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부(14c)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감속기어(14)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탄성부(118)의 길이를 비교적 크게 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부(118) 길이의 설정가능 범위를 크게 할 수가 있어, 그것들 탄성부(118)에 발휘될 수 있는 가압력의 강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수용하는 그리스 홈(138 ~ 141)은, 탄성부(118)의 선 단부(118a)가 미끄럼 운동하는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제1 베어링(24)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따라서, 제1 감속기어(14)의 회전시에 선단부(118a)에 자동적으로 윤활제가 도포되어, 제1 감속기어(14)가 매끄럽게 회전한다.
그리스 홈(138 ~ 141)은, 제1 베어링(24)의 지름방향에 대해서 경사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부(118)의 선단부(118a)가 그리스 홈(138 ~ 141) 상을 미끄럼 운동할 때에 이 그리스 홈(138 ~ 141)에 걸리는 것이 억제된다.
삽입구멍(13b)의 내부에 마련된 볼록부(13c)가 회전축(12a)에 형성된 절결부(12d)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회전축(12a)과 워엄(13)과의 일체 회전이 실현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예를 들면 회전축(12a)에 워엄(13)의 회전멈춤을 실시하는 칼라를 압입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회전축(12a)의 축선 L2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해 액추에이터 장치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상기 절결부(12d)는, 회전축(12a)의 축선 L2의 방향에 대해서, 제1 감속기어(14)의 중심보다도 워엄(13)의 선단 근처에 위치된다(도 4 참조). 즉, 절결부(12d)와 걸어맞춰지는 워엄(13)의 볼록부(13c)는, 제1 감속기어(14)와 워엄(13)과의 맞물림 개소보다도, 워엄(13)의 선단 근처에 위치된다. 볼록부(13c)와 대응하는 워엄(13)의 부분은, 두께가 원주방향에 있어서 일정하지는 않고, 워엄(13)의 수지 성형에 있어서 외형에 일그러짐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두께가 원주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워엄(13)의 부분에는, 외형에 일그러짐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엄(13)은 일그러짐이 매우 적은 부분에서 제1 감속기어(14)와 맞물리므로, 워엄(13) 외형의 일그러짐에 기인하는 회전축(12a)의 진동 및 이 회전축(12a)의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워엄(13)은 회전축(12a)에 대해서 축선 L2를 따라 미끄럼 운동 가능하다. 그 때문에, 워엄(13)에 대해서 축선 L2를 따른 힘이 부여되어도, 그 힘이 회전축(12a)에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회전축(12a)의 축방향 이동에 기인하는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1 감속기어(14)가 양 제1 베어링(23, 24)에서 지지되었을 때, 탄성부(118)는 완만한 볼록형상 곡면으로서 상부 케이스(11)의 제1 베어링(24)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1 감속기어(14)가 어느 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탄성부(118)가 제1 베어링(24)에 대해서 걸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부(42)에 접속된 외부 커넥터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액추에이터 장치(9)로의 제어신호의 입력 및 센서(44)로 얻어진 검출신호의 외부로의 출력을 행하였다. 그러나, 액추에이터 장치(9)에 통신용 IC를 조립해, 그러한 신호를 무선 혹은 유선으로 통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커넥터부(42)에 마련된 커넥터 핀(42a ~ 42e)의 수는 5개로 한정되지 않고, 4개 이하 혹은 6개 이상이어도 좋다.
감속기구에 마련된 감속기어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감속기어(14)가 제2 감속기어(15)에 맞물리고, 제 2 감속기어(15)가 제3 감속기어(16)에 맞물리고 있다. 그러나, 제1 감속기어가 제2 감속기어와 제3 감속기어에 맞물려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3 감속기어(16)에 마련된 출력축(35)에 피동 기기가 끼워맞춰졌지만, 그것에 대신하여, 출력축은 피동 기기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1 감속기어(14)에 마련된 탄성부(118)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도 7과는 반대로, 탄성부(118)가 하부 케이스(10)에 마련된 베어링에 의해 가압되는 형태로 실시되어도 좋다.
그리스 홈(138 ~ 141)은, 윤활제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예를 들어 반구형상 오목부 등, 어떤 형상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그리스 홈(138 ~ 141)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그리스 홈(138 ~ 141)에 수용되는 윤활제는 그리스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감속기어(14)에 탄성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감속기어(14)를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를 항상 소정값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제2 감속기어(15) 또는 제3 감속기어(16)에 탄성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24)

  1.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장치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동력전달기구에 연결되는 출력축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이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출력축에 전달되는 것과,
    상기 출력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와,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되며 또한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접속되며 또한 이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단자를 구비하는 급전부를 가지며,
    상기 급전단자 및 상기 센서는 상기 커넥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부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단자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상기 구동 모터에 대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센서에 의해 얻어진 회전각도 신호가 외부에 출력되고,
    상기 센서 수용부,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급전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조립 부착되는 단일의 어셈블리를 구성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장치 하우징에 조립 부착될 때,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부가 보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장치 하우징에 조립 부착될 때,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보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이들 기어 중 하나는, 상기 출력축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센서 수용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가지는 기어는 원통형 톱니바퀴부를 가지고 있고, 그 원통형 톱니바퀴부가 상기 오목부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오목부 내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L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용부,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급전부는, 상기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수지를 이용해 몰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 및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어셈블리에 일체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 및 상기 커넥터 단자는 단일의 도전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이 도전 플레이트는 배선부를 구비하고, 이 배선부는, 상기 센서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임의로 절단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연결부의 절단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 단자와 상기 급전단자와의 사이의 접속 상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도전 플레이트가 일체적으로 조립되도록 수지를 이용하여 몰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배선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몰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모터 기어와, 이 모터 기어에 연결되는 기어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열을 구성하는 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이 기어를 축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를 구비한 기어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축부의 지름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를 구비한 기어는,
    상기 축부 상에 마련된 소직경 톱니바퀴부와,
    상기 축부의 지름방향 외측에 마련된 원통형의 대직경 톱니바퀴부와,
    상기 대직경 톱니바퀴부를 상기 축부에 일체로 연결시키도록, 축부와 대직경 톱니바퀴부와의 사이를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대응하는 기어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를 구비한 기어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소직경 톱니바퀴부 및 대직경 톱니바퀴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소직경 톱니바퀴부의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직경 톱니바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기어는 워엄이고, 상기 대직경 톱니바퀴부는 상기 워엄과 맞물리는 워엄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대응하는 기어의 축선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기 가압부를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은, 상기 가압부의 미끄럼 운동 궤적과 대응하는 개소에 있어서, 윤활제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홈형상을 이루며, 대응하는 기어의 지름방향에 대해서 경사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57008019A 2002-11-08 2003-11-06 액추에이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84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5745A JP4031351B2 (ja) 2002-11-08 2002-11-08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2325216A JP4142406B2 (ja) 2002-11-08 2002-11-08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JP-P-2002-00325745 2002-11-08
JPJP-P-2002-00325216 2002-11-08
PCT/JP2003/014147 WO2004047257A1 (ja) 2002-11-08 2003-11-06 アクチュエ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477A KR20050072477A (ko) 2005-07-11
KR100984544B1 true KR100984544B1 (ko) 2010-09-30

Family

ID=3232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0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4544B1 (ko) 2002-11-08 2003-11-06 액추에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02926B2 (ko)
KR (1) KR100984544B1 (ko)
DE (1) DE10393646T5 (ko)
WO (1) WO20040472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962B2 (en) 2012-03-30 2016-03-22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Hollow driving module
KR101621599B1 (ko) 2012-10-22 2016-05-16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기어드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3832A1 (en) * 2004-04-02 2005-10-13 Zhihang Li Actuator using spur gears
JP4499784B2 (ja) * 2005-04-19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ヘッド移送機構の動力伝達部材および同ヘッド移送機構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5502409B2 (ja) * 2009-09-25 2014-05-28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US20110162409A1 (en) * 2010-01-07 2011-07-07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5568126B2 (ja) * 2010-03-15 2014-08-06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ウォームホイール、減速機および減速機付モータ
JP5345099B2 (ja) * 2010-04-09 2013-11-20 矢崎総業株式会社 計器ユニット
JP5551564B2 (ja) * 2010-10-22 2014-07-16 アスモ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106953461B (zh) * 2012-06-26 2019-08-30 株式会社电装 电动机驱动器
EP3010121B1 (en) 2013-06-11 2018-07-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lternating-current generator, voltage regulation device for alternating-current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JP2016171737A (ja) * 2015-03-11 2016-09-23 株式会社デンソー 給電端子構造およびモータの組み付け方法
JP6652279B2 (ja) 2016-06-17 2020-02-19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回転装置及びその回転装置を備える空調システムを有する乗り物
JP7057083B2 (ja) 2017-09-13 2022-04-19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回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1274A (en) 1978-01-27 1979-08-09 Hitachi Ltd Manufa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
JPS59105649A (ja) 1982-12-10 1984-06-19 Toyo Ink Mfg Co Ltd 光導電性材料
US4795867A (en) * 1986-01-17 1989-01-03 Diesel Kiki Co., Ltd. Motor actuator for air conditioning system
JP2842907B2 (ja) * 1989-12-07 1999-01-0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の配線の製造方法
JPH04315987A (ja) 1991-04-16 1992-11-06 Seiko Epson Corp アナログ電子時計の輪列構造
JPH0595177A (ja) 1991-04-25 1993-04-16 Y E Data Inc 電子部品の実装方法とその電子部品
JPH0539168A (ja) 1991-08-02 1993-02-19 Hitachi Metals Ltd 内燃機関のオイルリング用異形鋼線材の巻付け方法
JPH0539168U (ja) * 1991-10-21 1993-05-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モータアクチユエータ
JP2572012Y2 (ja) * 1992-02-27 1998-05-20 アスモ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装置
DE69324667T2 (de) * 1993-01-26 1999-09-09 Asmo Co. Motorisiertes Betätigungsgerät und Basis-Tafel dafür
JP3558311B2 (ja) 1995-10-06 2004-08-25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ギヤ付き小型モータ
US5777410A (en) * 1995-12-04 1998-07-07 Asmo Co., Ltd. Motor actu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9308188A (ja) 1996-05-10 1997-11-28 Tokyo Parts Ind Co Ltd ギヤードアクチュエータ
JPH109367A (ja) 1996-06-25 1998-01-13 Sony Corp 移動操作装置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JP3721740B2 (ja) 1997-09-26 2005-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動力伝達機構および電子時計
JP3980204B2 (ja) * 1998-06-10 2007-09-26 アスモ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におけるターミナル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コネクタ、及びモータ
DE10018230A1 (de) 2000-04-12 2001-10-25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Antrieb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JP2002267407A (ja) 2001-03-14 2002-09-18 Asmo Co Ltd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回転位置検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962B2 (en) 2012-03-30 2016-03-22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Hollow driving module
KR101621599B1 (ko) 2012-10-22 2016-05-16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기어드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477A (ko) 2005-07-11
US7402926B2 (en) 2008-07-22
DE10393646T5 (de) 2005-10-06
WO2004047257A1 (ja) 2004-06-03
US20060096400A1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44B1 (ko) 액추에이터 장치
CN1331300C (zh) 致动器装置
JP2002160581A (ja) 車輌用灯具及び回動用駆動装置
US20220329131A1 (en) Rotating device
JP6690857B2 (ja) 回転装置
EP1176397B1 (en) Rotary sensor
JP3734353B2 (ja) 回転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JP7054718B2 (ja) 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
EP1342983B1 (en) Rotary sensor
JP5484190B2 (ja) ギヤード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73853B2 (ja) ブラシホルダ及び電動モータ
JP2008210693A (ja) 雲台装置のスリップリング
US7208690B1 (en) Rotary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438277C (zh) 铆接固定装置、固定方法、铆接固定构件及雨刷用马达
WO2019082490A1 (ja) 回転装置
JP4022364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028863A (ja) モータ
JP2001016824A (ja) 減速機付モータ
JP2020136023A (ja) ダイヤル式操作スイッチ装置
JP7105527B2 (ja) 回転装置
JP7027896B2 (ja) モータ及び電動コラム装置
JP2531172Y2 (ja) 歯 車
JP3708823B2 (ja) モータ
JP2023139883A (ja) 磁気センサおよび回転機器
JPH11329806A (ja) 車載用回転操作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