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3075B1 -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075B1
KR100963075B1 KR1020080106359A KR20080106359A KR100963075B1 KR 100963075 B1 KR100963075 B1 KR 100963075B1 KR 1020080106359 A KR1020080106359 A KR 1020080106359A KR 20080106359 A KR20080106359 A KR 20080106359A KR 100963075 B1 KR100963075 B1 KR 100963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substrate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457A (ko
Inventor
서창수
김태곤
고성수
전희철
한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075B1/ko
Priority to JP2009101240A priority patent/JP2010108903A/ja
Priority to US12/541,888 priority patent/US20100102713A1/en
Priority to CN200910179213A priority patent/CN101728418A/zh
Priority to EP09174344A priority patent/EP2182564A1/en
Publication of KR2010004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0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2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 복수의 발광 소자 사이의 제 2 전극과 대응하도록 제 2 기판에 형성된 스페이서, 및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제 2 전극과 접촉되는 보조 전극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06359
캐소드 전극, 전압 강하, 보조 전극,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면 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소자의 캐소드 전극이 화소 영역의 전면에 공통으로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가 배열된 기판,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봉지 기판, 그리고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전면 발광 구조와 배면 발광 구조로 구분된다. 봉지 기판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전면 발광 구조는 발광 소자가 배열된 기판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배면 발광 구조에 비하여 개구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전면 발광 구조의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는 봉지 기판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기 때문에 캐소드 전극이 ITO, IZO 등과 같은 투명전극 물질로 얇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투명전극 물질은 비저항이 높기 때문에 캐소드 전극이 공통 전극 형태로 화소 영역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위치에 따라 전압 차이가 발생하여 화질이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원 공급원과 가까운 위치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의 전압 차이(전압 강하)로 인해 화소 간의 휘도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전압 차이는 전류 구동 방식으로 동작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크기가 증가될수록 심각하게 나타난다. 전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는 구동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구동전압이 증가하면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대형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캐소드 전극의 재료 및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소드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전압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소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의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보조 전극이 안정적인 접촉을 이룰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사이의 상기 제 2 전극과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전극과 접촉되는 보조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는 봉지 기판에 적층 구조의 스페이서 및 보조 전극이 형성되고, 스페이서에 의해 보조 전극이 캐소드 전극과 밀착된다. 저저항의 보조 전극에 의해 캐소드 전극의 전압이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화소 간의 휘도 차이가 발생되지 않으며, 스페이서에 의해 보조 전극이 캐소드 전극과 안정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고품위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 전극은 투과율이 낮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외부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역할을 하기 때문에 블랙(black) 휘도를 감소시키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블랙 매트릭스나 편광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표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13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은 화소 영역(120)과, 화소 영역(120) 주변의 비화소 영역(140)을 포함한다. 화소 영역(120)에는 주사 라인(150) 및 데이터 라인(160)과, 주사 라인(150) 및 데이터 라인(160)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발광 소자(130)가 배열되고, 비화소 영역(140)에는 화소 영역(120)의 주사 라인(150) 및 데이터 라인(160)으로부터 연장된 주사 라인(150) 및 데이터 라인(160), 발광 소자(130)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 라인(도시안됨) 그리고 패드(19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처리하여 주사 라인(150) 및 데이터 라인(160)으로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170) 및 데이터 구동부(180)가 배치된다. 주사 구동부(170) 및 데이터 구동부(180)는 패드(19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를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발광 소자(13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130)는 애노드 전극(131), 캐소드 전극(134) 및 애노드 전극(131)과 캐소드 전극(134) 사이의 유기 발광층(133)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131)은 화소부의 기판(100) 상에 각각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133)은 화소 정의막(132)에 의해 정의되는 발광 영역(애노드 전극(131)이 노출되는 영역)(136)에 형성되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전극(134)은 화소 영역(120)의 전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발광 소자(130)의 공통 전극으로 사용된다.
또한, 발광 소자(130)에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110) 및 신호를 유지시키기 위한 캐패시터(도시안됨)가 연결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10)는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을 제공하는 반도체층(112), 게이트 절연층(113)에 의해 반도체층(112)과 절연되는 게이트 전극(114), 그리고 절연층(115) 및 게이트 절연층(113)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의 반도체층(112)과 연결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을 포함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111은 버퍼층이며, 117은 평탄화 절연층이다.
도 3은 복수의 발광 소자(130)가 형성된 화소 영역(120)을 밀봉시키기 위한 봉지 기판(300)의 일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1 - I2 부분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봉지 기판(300)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130) 사이 의 캐소드 전극(134)과 대응하도록 스페이서(320) 및 보조 전극(340)이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A 부분은 발광 소자(130)의 발광 영역(136)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복수의 발광 소자(130) 사이의 캐소드 전극(134)과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하였다.
스페이서(320)는 발광 소자(130)와 봉지 기판(3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보조 전극(340)을 캐소드 전극(134)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페이서(320)의 높이는 발광 소자(130)와 봉지 기판(300) 사이의 간격과 보조 전극(340)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스페이서(320)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극(340)은 캐소드 전극(134)과 접촉하여 전극의 비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균일하게 분포된 접촉부를 통해 위치에 따른 전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캐소드 전극(134)보다 비저항이 낮은 금속이나 도전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134)이 ITO, IZO 등으로 형성될 경우, 보조 전극(340)은 비저항이 낮은 금속 예를 들어, Al, Mo, Cr, Pt, W, Cu, Ag, Au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스페이서(320) 및 보조 전극(340)이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보조 전극(340)과 캐소드 전극(134)의 접촉부가 균일하게 분포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130)를 포함하는 기판(100) 상부에 화소 영역(120)을 밀봉시키기 위한 봉지 기판(300)이 배치되고, 밀봉재(400)에 의해 봉지 기판(300)이 기판(100)에 합착된다. 봉지 기판(300)이 기판(100)에 합착됨으로써 봉지 기판(300)의 보조 전극(340)이 캐소드 전극(134)과 접촉되며, 스페이서(320)에 의해 보조 전극(340)과 캐소드 전극(134)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전극(340)을 크롬(Cr)과 같이 투과율이 낮은 금속, 상기 투과율이 낮은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예를 들어, Cr2O3 등) 또는 두께에 따라 무기물과 금속이 반비례적 조성비를 갖는 MIHL(Metal Insulator Hybrid Layer) 등의 도전물로 형성하면 외부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블랙 매트릭스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블랙 휘도를 감소시키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블랙 매트릭스나 편광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표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의 구조에서 스페이서(320)와 대응되는 화소 정의막(132) 상에 스페이서(도시안됨)를 형성하면 보조 전극(340)과 캐소드 전극(134)의 접촉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 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복수의 발광 소자가 형성된 화소 영역을 밀봉시키기 위한 봉지 기판의 일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1 - I2 부분을 절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0: 박막 트랜지스터
111: 버퍼층 112: 반도체층
113: 게이트 절연층 114: 게이트 전극
115, 117: 절연층 116: 소스 및 드레인 전극
120: 화소 영역 130: 발광 소자
131: 애노드 전극 132: 화소 정의막
133: 유기 발광층 134: 캐소드 전극
136: 발광 영역 140: 비화소 영역
150: 주사 라인 160: 데이터 라인
170: 주사 구동부 180: 데이터 구동부
190: 패드 300: 봉지 기판
320: 스페이서 340: 보조 전극
400: 밀봉재

Claims (8)

  1.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사이의 상기 제 2 전극과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전극과 접촉되는 보조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극이 Cr, CrO 및 MIHL(Metal Insulator Hybrid Layer)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물로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공통 전극으로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이 메쉬 형태 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제 1 전극과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20080106359A 2008-10-29 2008-10-29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Active KR10096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359A KR100963075B1 (ko) 2008-10-29 2008-10-29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JP2009101240A JP2010108903A (ja) 2008-10-29 2009-04-17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12/541,888 US20100102713A1 (en) 2008-10-29 2009-08-14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200910179213A CN101728418A (zh) 2008-10-29 2009-10-10 有机发光显示装置
EP09174344A EP2182564A1 (en) 2008-10-29 2009-10-2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359A KR100963075B1 (ko) 2008-10-29 2008-10-29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457A KR20100047457A (ko) 2010-05-10
KR100963075B1 true KR100963075B1 (ko) 2010-06-14

Family

ID=4157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359A Active KR100963075B1 (ko) 2008-10-29 2008-10-29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02713A1 (ko)
EP (1) EP2182564A1 (ko)
JP (1) JP2010108903A (ko)
KR (1) KR100963075B1 (ko)
CN (1) CN101728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5866B2 (en) 2013-08-05 2015-08-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7480A1 (ja) * 2009-07-17 2011-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elデバイス、有機el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有機el照明装置
KR101094292B1 (ko) 2010-05-28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82233B1 (ko) 2010-06-11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93195B1 (ko) 2010-07-02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93199B1 (ko) 2010-07-13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26849B1 (ko) 2010-10-26 2018-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07587B1 (ko) * 2011-06-02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466352B (zh) * 2011-09-30 2014-12-21 Au Optronics Corp 有機電激發光元件陣列及有機電激發光元件
CN103151367B (zh) * 2011-12-07 2016-03-1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006352B1 (ko) * 2012-11-20 2019-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943649B (zh) * 2013-02-15 2017-10-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KR102083983B1 (ko) 2013-05-29 2020-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2015069844A (ja) * 2013-09-30 2015-04-1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4635967B (zh) * 2013-11-12 2018-04-10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设备
CN104752476B (zh) * 2013-12-31 2018-05-22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6387561B2 (ja) * 2014-01-29 2018-09-12 株式会社Joled 有機電界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236704B1 (ko) * 2014-09-11 2021-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87173B2 (ja) 2014-10-08 2019-03-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465709B (zh) 2014-12-26 2017-06-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封装结构、显示装置
CN104821329A (zh) 2015-05-04 2015-08-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
KR102467353B1 (ko) * 2015-11-27 2022-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355648B (zh) * 2015-12-09 2018-06-29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照明面板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243175B2 (en) * 2016-02-02 2019-03-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apparatus fabricated using a fluoropoly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630829B (zh) * 2017-03-17 2019-1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作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666343B (zh) * 2017-03-31 2019-08-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面板
CN107359274A (zh) * 2017-06-27 2017-11-17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7565048B (zh) 2017-08-24 2020-05-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的制备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07342372A (zh) * 2017-08-30 2017-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顶发射有机电致发光二极管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CN107887526B (zh) * 2017-10-31 2019-1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9935618A (zh) * 2019-03-06 2019-06-2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210032798A (ko) 2019-09-17 2021-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N110911457A (zh) * 2019-11-11 2020-03-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1509138A (zh) 2020-04-27 2020-08-07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2635693A (zh) * 2021-01-05 2021-04-0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507A (ko) * 2005-01-07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를 포함한 화소회로
KR100662557B1 (ko) * 2005-11-15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80003057A (ko) * 2006-06-30 2008-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080025500A (ko) * 2006-09-18 200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472A (ja) * 2001-08-29 2003-03-07 Hitachi Ltd 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表示装置
JP2005019211A (ja) * 2003-06-26 2005-01-20 Casio Comput Co Ltd El表示パネル及び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552972B1 (ko) * 2003-10-09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4489472B2 (ja) * 2004-03-19 2010-06-2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642490B1 (ko) * 2004-09-16 2006-1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13293A1 (en) * 2005-07-12 2007-01-1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spacers
US20070077349A1 (en) * 2005-09-30 2007-04-05 Eastman Kodak Company Patterning OLED device electrodes and optical material
US8053971B2 (en) * 2006-07-31 2011-11-0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24880B1 (ko) * 2006-11-10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507A (ko) * 2005-01-07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를 포함한 화소회로
KR100662557B1 (ko) * 2005-11-15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80003057A (ko) * 2006-06-30 2008-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080025500A (ko) * 2006-09-18 200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5866B2 (en) 2013-08-05 2015-08-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2564A1 (en) 2010-05-05
CN101728418A (zh) 2010-06-09
US20100102713A1 (en) 2010-04-29
KR20100047457A (ko) 2010-05-10
JP2010108903A (ja)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07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US10411080B2 (en)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590212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US972814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1010158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659057B (zh) 用于显示装置的阵列基板
US8149188B2 (en) EL display device
KR10085969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92083A1 (zh) 显示面板
US91659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87603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08467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608070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CN106206673A (zh) Amoled显示装置
US972812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859339B2 (en)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21108366A (ja) 薄膜デバイス
US9570624B2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0164942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9817816B (zh) 显示面板及制造方法
US2022010244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050140302A1 (en)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07275409A (zh) 有机el显示装置和有机el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078687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70066257A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