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2183B1 -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183B1
KR100952183B1 KR1020070098251A KR20070098251A KR100952183B1 KR 100952183 B1 KR100952183 B1 KR 100952183B1 KR 1020070098251 A KR1020070098251 A KR 1020070098251A KR 20070098251 A KR20070098251 A KR 20070098251A KR 100952183 B1 KR100952183 B1 KR 10095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opening
plate
closing
support gr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765A (ko
Inventor
오명호
오병은
박학범
김용관
장흥순
임상현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1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69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76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집합체 주요 구성품 중의 하나인 지지격자 용접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지격자를 구성하는 지지격자판을 용접하는 용접장치의 수동 작동 부분을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지지격자 취급 중 손상 방지를 위함과 동시에 보다 편한 작업을 위해 자동화 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접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용접회전판에 장입되어진 지지격자에 장착된 용접치구를 자동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실린더와 지지격자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챔버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것과 지지격자판이 조립된 용접치구가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지고 특수 고안된 회전실린더 및 장입장치 기구에 의해 용접챔버 내부로 장입하는 장치와 용접 완료된 지지격자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격자용접, 용접장치, 자동용접장치, 지지격자판용접

Description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Automatic Welding Fixtur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본 발명은 핵연료집합체내에 위치하는 계측관과 안내관 그리고 핵연료봉을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지지격자 제조에 있어서, 지지격자를 구성하는 얇은 판 모양의 지지격자판들을 용접하기 위해 지지격자가 장착된 용접치구를 자동으로 용접 챔버내에 장입하고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란 핵분열성 물질의 연쇄핵분열반응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열을 발생 시키거나 방사성 동위원소 및 플루토늄의 생산, 또는 방사선장 형성 등의 여러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경수로 원전에서는 우라늄-235의 비율을 2∼5%로 높인 농축우라늄을 사용한다.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로 가공하기 위하여 우라늄을 5g 정도 무게의 원통형 펠렛(Pellet)으로 만드는 성형가공을 한다. 이 펠렛들은 지르칼로이 피복관에 장입하고 여기에 스프링과 헬륨기체를 넣은 후 상부봉단마개를 용접하여 연료봉을 제조한다. 상기 연료봉은 골격체내에 장입되어 최종적으로 핵연료집합체를 구성하여 원자로 내에서 핵반응을 통하여 연소하게 된다.
핵연료집합체의 일반적인 형상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핵연료집합체는 상단고정체(4), 하단고정체(5), 지지격자(2), 안내관(3), 계측관(6)으로 이루어지는 골격체와 상기 지지격자(2) 내에 장입되어 상기 지지격자(2)내에 형성된 스프링(미도시) 및 딤플(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는 연료봉(1)으로 구성된다. 집합체 조립 시 연료봉(1) 표면의 흠집을 방지하고 지지격자내 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봉의 표면에 락커를 도포하여 골격체에 장입한 다음 상·하단 고정체를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핵연료집합체의 조립이 끝나고 완성된 집합체의 락커를 제거한 후 연료봉의 간격, 뒤틀림, 전장, 치수 등을 검사하는 것으로 집합체 제조공정이 마무리 된다.
핵연료집합체내 지지격자는 핵연료봉과 계측관과 안내관과 함께 골격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수십 개의 지지격자판들에 의해 만들어 진다. 각각의 지지격자판은 슬롯과 같은 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격자판은 종·횡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각각의 지지격자판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지지격자판들이 각각의 절개부와 절개부가 맞물려 끼워짐으로써 격자공간이 형성되는 지지격자가 된다.
하지만 이처럼 지지격자판들이 절개부에 끼워져 체결이 되더라도 절개부에서 대부분이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지격자 자체의 흔들림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지지격자판과 지지격자판이 교차하는 각각의 교차지점들 및 외부, 모서리 등의 고정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용접하여 지지격자의 흔들림을 제거하는 것이다. 지지격자의 용접 방식으로는 레이저용접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조립되어진 지지격자의 사방의 외부옆면 중간부분에는 지지격자와 넓이가 같은 4각형의 리텐션스트랩(Retention Strap)(10)이 끼워진다. 이는 각 지지격자판의 절개부를 통해 조립된 지지격자가 용접을 하기 전에는 절개부 유격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 때문에 조립되어진 지지격자의 모양이 변하기 때문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리텐션스트랩(10)이 끼워진 지지격자의 상·하부에는 리텐션스트랩(10)과 평행하게 4각형의 판 형태인 상부누름판(Top Plate)(20)과 하부받침판(Bottom Plate)(30)이 끼워진다. 이 상부누름판(20)과 하부받침판(30)에는 지지격자의 종·횡 방향 지지격자판들이 교차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곳에 관통공(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2)을 통해 레이저를 쏘아 줌으로 해서 종·횡 방향 지지격자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용접이 이루어진다.
또한 4각형의 상부누름판(20)은 네 변 중 한 변의 중앙부분과 이와 마주보는 변의 중앙부분에는 상부누름판고정홀(2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받침판(30)에도 상부누름판(20)과 마찬가지로 같은 형태의 하부누름판고정홀(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누름판고정홀(24)과 하부누름판고정홀(34)은 서로 90도의 간격으로 위치한다.
상기 각 고정홀(24)(34)은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지격자가 용접을 위해 용접회전판에 놓일 때, 이 지지격자와 용접회전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결합을 하기 위한 것이다.(용접회전판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보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리텐션스트랩(10), 상부누름판(20) 및 하부누름판(30)을 총칭하여 용접치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지지격자 용접장치 구성요소 중 용접챔버(100)를 [도 3]및 [도 4]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접챔버(100)는 챔버(110), 용접챔버개폐장치(120) 및 용접회전판(130;[도 4]참조)으로 구성되어 있다.
챔버(110)는 내부공간이 비어있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태이며, 상기 내부공간은 지지격자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공간(112)이다.
상기 챔버(110)의 옆면 중 일면이 일정한 크기로 개방되어 있어서 이 부분이 용접하여야 할 지지격자의 출입로 역할을 한다. 또한 용접챔버(100)의 상부면 역시 일정면적을 갖고 외부로 개방되어져 있어 이곳으로 레이저가 관통하고, 이로 인해 챔버(110) 내부에 위치한 지지격자가 레이저에 의해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 또한 후술할 용접회전판(130)의 회전을 위해 모터 등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용접챔버개폐장치(120)는 상기 챔버(110)의 옆면 중에서 지지격자의 출입로 역할을 하는 부분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판의 일측이 챔버(110)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여닫이문과 같은 형상의 개폐문(121)이 존재한다.
그리고 힌지결합이 이루어진 부분의 맞은편에는 걸림부재(122)가 부착되어 있고, 이 개폐문(121)이 닫혔을 경우, 걸림부재(122)와 대응되는 챔버(110)의 특정 부분에는 걸림봉(124)이 부착되어 있고, 걸림봉(124)과 챔버(110)는 힌지결합 되어 있다.
즉, 용접챔버개폐장치(120)를 수동으로 열고 닫을 때에 챔버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장착된 걸림봉(124)과 개폐문(121)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걸림부재(122)가 서로 걸림과 풀림을 통하여 용접챔버개폐정치(120)의 닫힘과 열림이 이루어진다.
상기 용접챔버(100)의 용접공간(112)에 위치하는 용접회전판(13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용접회전판(140)과 제2용접회전판(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용접회전판(140)은 사각형태의 판으로 회전 중심축이 지면과 수평이 되어 판의 중심을 지나간다.
상기 회전중심축이 지나는 제1용접회전판(140)의 양 끝단 중 일단에는 제1용접회전판(1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회전전달장치(144)가 장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1용접회전판이 상기 회전중심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제1용접회 전판지지장치(146)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용접회전판(140)의 윗면에는 원형형태의 제2용접회전판(1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용접회전판(150)의 윗면에는 용접해야 할 지지격자가 놓이며, 회전 중심축이 지면과 수직이 되어 판의 중심을 지나가기 때문에 마치 레코드판의 회전처럼 제1용접회전판(140)과 수평이 되어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2용접회전판(150)에는 전술한 지지격자가 놓일 때, 지지격자를 제2용접회전판(150)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격자에 끼워진 하부받침판(30)에 형성된 고정홀(34)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용접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개폐문(121)을 수동으로 연 후, 리텐션스트랩(10), 상부누름판(20) 및 하부받침판(30)과 결합되어진 지지격자(40)를 에어밸런스(로봇 팔)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제2용접회전판(150)에 안착 시킨다.
그리고 제2용접회전판(150)과 하부받침판(30)이 나사결합 된 후, 제1용접회전판(140)과 제2용접회전판(150)이 레이저 용접에 맞도록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지지격자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이저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지지격자를 용접하기 위해 용접회전판에 고정시킬 때, 매번 수동으로 나사를 조이거나 풀러야 하는 번거로움과 챔버의 개폐문(121)을 매번 수동으로 열고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지지격자가 장착된 용접치구를 자동으로 용접챔버내에 위치한 용접회전판에 장착시키는 장치와 용접치구가 용접챔버내로 장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레이저용접장치의 개폐문을 열고 닫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접 전 핵연료집합체용 지지격자의 외부에 끼워지는 용접치구, 중공의 형상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챔버, 상기 챔버의 중공 하부에 위치하고, 위쪽으로 솟은 기둥 형태인 회전지지장치, 판의 형상으로 측면의 중앙부분이 상기 회전지지장치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1용접회전판 및 판의 형상으로 상기 제1용접회전판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부면에 상기 용접치구와 결합된 지지격자가 장착되어 회전축이 상기 제1용접회전판의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용접회전판,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지지격자가 장착된 용접치구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동 용접챔버개폐장치를 포함하되,
판의 형상으로 중앙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지지격자용접치구가 끼워진 지지격자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한 면이 끼워지는 홀더와 상기 제1용접회전판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제2용접회전판 상부면에 장착될 때, 클램핑실린더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용접회전판의 상부에 안착된 홀더의 상부면의 측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용접회전판을 고정시키는 상부바를 구비한 클램핑실린더 클램핑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용접개폐장치는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면에 장착되고, 개방부가 형성되어진 개폐판, 상기 개방부의 세로방향 양 측에는 판과 수직하여 부착되고, 세로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개폐레일, 판의 형태로 상기 개폐판에 형성된 개방부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덮개, 일측은 상기 덮개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개폐레일의 레일홈과 연결되는 결합부재, 일측은 상기 덮개에 장착되고, 타측은 개폐판에 장착되며, 종방향으로 위치하여, 피스톤 운동을 통해 상기 덮개의 상하 움직임을 유발하는 개폐봉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집합체용 지지격자의 자동 용접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자동으로 지지격자를 용접공간에 위치한 용접회전판에 장착시키고, 지지격자가 장착된 용접치구를 챔버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자동으로 레이저용접장치의 개폐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하여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지격자가 장착된 용접치구를 용접챔버내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거나 용접 작업이 끝난 지지격자가 장착된 용접치구를 용접챔버에서 인출해야 할 때, 번거롭게 나사결합을 수작업을 통해 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용접치구의 장입 및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지지격자가 장착된 용접치구를 용접챔버 안으로 장입하거나 인출할 때, 번거롭게 수작업으로 개폐장치를 열고 닫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개폐장치가 열고 닫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레이저용접장치의 구성과 같은 구성이며 동시에 같은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또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용접치구(210), 홀더(220), 본체(310), 챔버(320), 회전지지장치(330), 회전전달장치(340), 제1용접회전판(350), 제2용접회전판(360), 클램핑실린더(370)와 용접챔버개폐장치(380)로 구성되어있다.
(용접치구(210)는 앞에서 설명한 상부누름판, 리텐션스트랩, 하부받침판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위한 용어정리에 불과하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홀더(220)를 설명한다.
홀더(220)는 원형 판의 형태로 중앙 특정부분이 일정 형태로 절개된 절개 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의 측면에는 수개의 나사구멍(224)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구멍은 절개부(222)의 측면까지 관통되어 있다.
판의 형태는 반드시 원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할 클램핑실린더(370)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홀더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원형의 형태가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절개부(222)에는 용접치구(210)와 결합된 지지격자가 위치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접치구(210) 중 상부누름판 또는 하부받침판이 절개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홀더(220)의 나사구멍(224)을 관통한 수개의 나사가 홀더의 절개부(222)에 위치한 상부누름판 또는 하부받침판에 접하여 중심쪽으로 밀기 때문에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상부누름판 또는 하부받침판에 별도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나사가 사방에서 밀어 용접치구(210)와 결합된 지지격자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홀더(220)의 절개부(222)는 어떠한 모양이든 지지격자를 홀더(220)에 고정시키는데 문제 되지 않으며, 이렇기 때문에 상부누름판 또는 하부받침판이 어떠한 모양을 갖더라도 홀더(220)와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본체(310; [도 8]참조)는 지지격자용접장치를 전반적으로 컨트롤 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인 지지격자용접장치 본체와 같이 용접챔버(320; [도 8]참조)와 레이저용접부(390; [도 8]참조)가 본체(310)에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챔버(320), 회전지지장치(330), 회전전달장치(340), 제1용접회전 판(350), 제2용접회전판(360)은 기존의 것과 같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은 클램핑실린더(37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용접치구(210)와 홀더(220)가 결합된 지지격자가 제2용접회전판(360)위에 놓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클램핑실린더(370)는 챔버 내부에 위치한 제1용접회전판(350)의 특정 부분에 종(縱)방향으로 끼워져 위치하고, 이 위치와 마주보는 제1용접회전판(350) 부분에 또 하나의 클램핑실린더(370)가 위치한다.
이러한 클램핑실린더(370) 상부는 'ㄱ'자 형태로 하부가 제1용접회전판(350)에 끼워져 유압방식으로 상·하 피스톤 운동을 하며, 또한 종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의 바(bar)(371)가 회전운동을 한다.
클램핑실린더(370)의 상부가 'ㄱ'자로 굽어진 형상에 의해 형성된 상부 바(371)가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누르기 때문에 지지격자, 용접치구(210) 및 홀더(220)가 결합한 후, 지지격자가 용접을 위해 제2용접회전판(360)에 안착되었을 때, 클램핑실린더(370)의 굽어진 상부바(371)가 홀더(220)의 위치까지 닿도록 되어 있어 홀더(22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자동화된 용접개폐장치(380)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4각형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을 띠는 용접장치 챔버(320)([도 8]참고) 의 옆면 중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데(이하 이 면을 '옆개방면'이라 한다.), 이 면에는 직사각형 판 형태인 개폐판(38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381) 상부에는 두개의 개방부(38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부(382)는 챔버(320) 옆개방면과 같은 모양과 면적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개폐판(381)에 형성되어있는 각각의 개방부(382) 양 측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개폐레일(383)이 장착되어 있다. 개폐레일(383)에는 세로방향으로 레일홈(384)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개폐레일(38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개폐레일(383)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진 레일홈(384) 상부에는 종방향의 일정간격을 두고, 개폐판(381)쪽으로 두 개의 굴곡부(385)가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일정간격이라 함은 후술할 덮개(386)가 개폐레일(383)에 끼워지기 위해 덮개(386)에 부착되는 결합부재(387)간의 세로방향 간격과 같다.
그리고 챔버(320)에 형성되어 있는 옆개방면을 닫거나 열기 위한 덮개(386)가 있다. 상기 덮개(386)는 개폐판(38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382)의 가로길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단, 챔버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개방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레일의 간격보다는 길게 형성 될 수는 없다.), 세로길이는 개방부(382)의 세로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의 상하부, 좌우측에는 4개의 결합부재(387)가 장착되는데, 마치'L'자와 같이 굽어진 형태로 일측은 나사 또는 못 등으로 덮개(386)와 결합되고, 타측은 개폐레일(383)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384)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덮개(386)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상하 움직임은 유압식의 개폐봉(389)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압식의 개폐봉(389)은 제1개폐봉(389a)과 제2개폐봉(389b)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개폐봉(389a)의 상단은 덮개(386)의 중앙부분과 힌지결합하고, 하단은 제2개폐봉(389b)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피스톤 운동을 한다.
제2개폐봉(389b)의 하부와 중간 부분이 개폐판(386)과 결합되어 개폐봉(389)을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더하여 용접장치의 자동화를 위해 용접해야 할 지지격자 또는 용접이 끝난 지지격자를 운반 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410)가 개폐판(381)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용접해야 할 지지격자 또는 용접이 끝난 지지격자를 챔버(320) 내부로 밀어 넣거나 빼내기 위한 출입장치(420)가 개폐판(381)과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레이저용접부(390)가 부착된 본체(310)의 앞부분에는 전술한 2개의 챔버(320)가 위치하고, 상기 챔버(320)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부 누름판, 하부 받침판, 리텐션스트랩이 끼워진 지지격자를 홀더(220)의 절개부(222)에 위치시키고 컨베이어(410)에 올려놓으면, 컨베이어(410)에 의해 챔버(320) 앞으로 용접치구(210) 및 홀더(220)와 결합된 용접할 지지격자가 운반되고, 상하 피스톤 운동을 하는 개폐봉(389)에 의해 챔버의 덮개(386)가 열린다.
열린 챔버(320) 안으로 출입장치(420)에 의해 용접치구(210) 및 홀더(220)와 결합된 용접할 지지격자가 이동되어지며, 챔버(320) 내의 제2용접회전판(360) 상부 면에 안착되게 된다.
제1용접회전판(350)에 장착된 클램핑실린더(370)와 바(bar; 371)가 상하 운동과 회전을 하면서 홀더(220)를 위에서 눌러 잡아줌으로써 고정시킨다.
그리고 개폐판(381)과 덮개에 부착되어진 개폐봉(389)에 의하여 개폐레일(383)에 끼워진 덮개(386)가 슬라이드 형식의 움직임으로 상부로 올라가 챔버(320)가 닫히게 되는데, 이때, 개폐레일(383)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부(385)에 의해 개폐판(381)은 조금 더 챔버(320)와 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덮개(386)가 닫히고 나면 제1용접회전판(350)과 제2용접회전판(360)이 각각 필요한 상황에 맞게 회전을 하며 레이저용접부(390)에 의해 지지격자를 이루고 있는 각 지지격자판들의 교차점 등에서 용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격자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챔버(320) 내부의 용접환경을 준비하여야 한다.
용접환경이란 지르코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지지격자가 질화와 산화성이 강하기 때문에 챔버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한 후 아르곤가스를 충진시켜 산소 7PPM, 수분 100PPM이하의 용접조건을 만들어야 하는 것 등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되었듯이 본체(310)에 챔버(320)를 두 개 장착시키고,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 쪽 챔버(320)에서는 용접을 위한 준비를 수 행하고, 다른 쪽 챔버(320)에서는 용접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용접이 끝나면 다시 두 개의 챔버(320)가 앞에서와는 반대로 이동하여, 용접을 준비했던 챔버(320)는 용접을 하게 되고, 용접이 끝난 챔버(320)는 용접이 이루어진 지지격자를 빼내기 위해 클램핑실린더(370)를 위로 올려 회전시킨 후 다시 아래쪽으로 내림으로서 홀더 고정을 풀고, 출입장치(420)는 용접된 지지격자를 챔버(320) 밖으로 운반하여 다시 컨베이어(410)에 안착시키고, 전술한 것처럼 다시 용접해야할 지지격자를 넣어 용접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 발명은 손으로 일일이 용접장치의 개폐장치를 열고 닫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 형식의 자동화 개폐장치를 이용하고, 또한 지지격자와 용접회전판의 나사결합 연결을 일일이 수작업이 아닌 클램핑실린더를 이용함으로써 지지격자의 용접 작업과정이 간편해 진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지지격자 자동용접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 일반적인 핵연료 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 - 일반적인 용접 전 지지격자 용접하기 위해 지지격자에 장착되어지는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 - 일반적인 지지격자 용접챔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 일반적인 용접회전판을 나타낸 개략도
도 5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와 홀더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회전판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개??장치의 사시도
도 8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220 : 홀더 222 : 절개부
224 : 나사구멍 370 : 클램핑실린더
371 : 상부 바(bar) 381 : 개폐판
382 : 절개부 383 : 개폐레일
385 : 굴곡부 386 : 덮개
387 : 결합부재 388 : 결합돌기
389 : 개폐봉 410 : 컨베이어장치
420 : 출입장치

Claims (6)

  1. 용접 전 핵연료집합체용 지지격자의 외부에 끼워지는 용접치구;
    중공의 형상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판 형상의 제1용접회전판;
    상기 제1용접회전판 상부면에 장착되어 제1용접회전판과 함께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이 제1용접회전판의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회전하는 판 형상의 제2용접회전판;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에 용접치구가 끼워진 지지격자가 장착되어 상기 제2용접회전판 상부면에 안착되는 홀더; 및,
    클램핑실린더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용접회전판의 상부에 안착된 홀더의 상부면의 측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용접회전판을 고정시키는 상부바를 구비한 클램핑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용접 전 핵연료집합체용 지지격자의 외부에 끼워지는 용접치구;
    중공의 내부에 지지격자가 고정된 용접치구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판 형상의 제1용접회전판;
    상기 제1용접회전판 상부면에 장착되어 제1용접회전판과 함께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이 제1용접회전판의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회전하는 판 형상의 제2용접회전판;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에 용접치구가 끼워진 지지격자가 장착되어 상기 제2용접회전판 상부면에 안착되는 홀더;
    상기 제2용접회전판의 상부에 안착된 홀더의 상부면의 측부를 상기 제1용접회전판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회전되는 상부바를 구비한 클램핑실린더;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면에 장착되고,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세로방향 양 측에 형성된 개폐레일을 포함하는 개폐판;
    상기 개방부의 세로방향 양 측에는 판과 수직하여 부착되고, 세로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개폐레일;
    판의 형태로 상기 개폐판에 형성된 개방부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덮개;
    일 측은 상기 덮개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개폐레일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및,
    일측은 상기 덮개에 장착되고, 타측은 개폐판에 장착되며, 종방향으로 위치하여, 피스톤 운동을 통해 상기 덮개의 상하 움직임을 유발하는 개폐봉;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일의 상부에는 상기 개폐판 쪽으로 절개 홈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은 개폐판과의 연결부분이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KR1020070098251A 2007-09-28 2007-09-28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Active KR10095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251A KR100952183B1 (ko) 2007-09-28 2007-09-28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251A KR100952183B1 (ko) 2007-09-28 2007-09-28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765A KR20090032765A (ko) 2009-04-01
KR100952183B1 true KR100952183B1 (ko) 2010-04-09

Family

ID=4075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251A Active KR100952183B1 (ko) 2007-09-28 2007-09-28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311A (ko) 2014-11-27 2016-06-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지지격자 용접치구 장입장치
CN108044293A (zh) * 2018-01-15 2018-05-18 重庆新久融科技有限公司 一种铝模板机器人焊接工作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74B1 (ko) * 2009-11-17 2012-05-03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치구 분리장치
CN103056705B (zh) * 2012-12-21 2014-12-24 燕山大学 小高度侧开式滚动大型件180度翻转机
CN103056707B (zh) * 2012-12-21 2014-12-24 燕山大学 双钳侧摆整体滚动式大型件180度翻转机
CN104493399A (zh) * 2014-11-20 2015-04-08 芜湖普威技研有限公司 旋转焊接夹具装置
CN105070324A (zh) * 2015-08-20 2015-11-18 哈尔滨工业大学 用于核燃料组件定位格架的组装夹具
CN105382478A (zh) * 2015-12-09 2016-03-09 镇江远大传动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焊接万向节的旋转圈
CN105290699A (zh) * 2015-12-09 2016-02-03 镇江远大传动机械有限公司 一种万向节的焊接工装
CN106425185B (zh) * 2016-11-16 2018-07-20 广西科技大学 一种吸油法兰夹紧定位旋转工作台及焊接生产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1589A (en) * 1987-08-31 1989-03-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Workpiece treater
KR20030031115A (ko) * 2000-07-10 2003-04-18 뉴포트 코포레이션 Fims 시스템에 구현하는데 적합한 포드 로드인터페이스 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1589A (en) * 1987-08-31 1989-03-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Workpiece treater
KR20030031115A (ko) * 2000-07-10 2003-04-18 뉴포트 코포레이션 Fims 시스템에 구현하는데 적합한 포드 로드인터페이스 장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311A (ko) 2014-11-27 2016-06-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지지격자 용접치구 장입장치
US9649724B2 (en) 2014-11-27 2017-05-16 Kepco Nuclear Fuel Co., Ltd. Charging device of a welding fixture of spacer grid
CN108044293A (zh) * 2018-01-15 2018-05-18 重庆新久融科技有限公司 一种铝模板机器人焊接工作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765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83B1 (ko)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US6580085B1 (en) Transport container for nuclear fuel assemblies
US8208597B2 (en) Channel confinement system and method for dry-storage of BWR fuel bundles
US8428214B2 (en) Method for aligning and handling fuel rods within a nuclear fuel bundle
WO1995010838A1 (en) Containers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KR101494032B1 (ko) 제거가능한 베이스를 구비한 장기 저장 패키지
JPS5828697A (ja) 原子炉の燃料貯蔵ラツク
KR100922161B1 (ko) 지지격자용 다축 레이저용접 헤드
US3894327A (en) Industrial technique
FR2585870A1 (fr) Procede et dispositif d&#39;adaptation d&#39;equipements internes superieurs neufs sur la cuve d&#39;un reacteur nucleaire a eau sous pression.
US20220355424A1 (en) Spacer grid welding fixture
JPS6222878Y2 (ko)
KR100922162B1 (ko)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레이저용접장치
JPH02122299A (ja) 正方形横断面の管および二重レーザ溶接法の使用による制御棒の中性子吸収部材の製造
JPS6017075B2 (ja) 貯蔵容器
US9437332B2 (en) Nuclear fuel storage rack
JPH0536140B2 (ko)
US4448744A (en) Method of loading and/or unloading a nuclear reactor, and support member, especially for the foregoing method
JPH0672945B2 (ja) 核燃料組立体の棒束把持装置
JP4291277B2 (ja) ハウジング内の適所で核燃料アセンブリをロッ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149550B1 (ko) 핵연료 집합체용 상단고정체
JP3100496B2 (ja) 非核燃料炉心構成体挿入用治具及び非核燃料炉心構成体挿入用治具を備えた挿入装置
WO2005071694A2 (fr) Coeur d&#39;un reacteur nucleaire refroidi par de l&#39;eau sous pression et assemblage de combustible du coeur
Biard et al. The VINON-LOCA test facility: exploring the LOCA phenomenology through an out-of-pile thermal sequence on irradiated pressurized fuel rod
JP3605272B2 (ja) 照射試験用テストピース収納棒及びシンブルプラグ集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