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9642B1 - 차폐된 프레임 - Google Patents

차폐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642B1
KR100949642B1 KR1020077027831A KR20077027831A KR100949642B1 KR 100949642 B1 KR100949642 B1 KR 100949642B1 KR 1020077027831 A KR1020077027831 A KR 1020077027831A KR 20077027831 A KR20077027831 A KR 20077027831A KR 100949642 B1 KR100949642 B1 KR 10094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le
module
conductive material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145A (ko
Inventor
크리스터 룬드보그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08000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6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8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aperture leakages in walls, e.g. terminals, connectors,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 또는 다른 파티션 내에 배치되고 벽 또는 다른 파티션을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1)은 프레임(1) 내에 수용된 각각의 케이블(9) 또는 파이프를 포위하는 압축가능한 모듈(2)을 수용한다. 모듈(2)의 배리어,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 및 가능한 지지판(7)들은 프레임(1)의 일 단부에 배치된다. 전도성 재료의 층(8)이 모듈(2)의 배리어, 압축 유닛(3) 및 지지판(7) 내부에 배치된다. 프레임(1)은 특히 전자기 교란/EMI의 감쇄를 유도하게 된다.
케이블, 파이프, 프레임, 압축가능한 모듈, 압축 유닛, 전도성 재료, 전자기 교란, EMI

Description

차폐된 프레임{SHIELDED FRAME}
본 발명은 케이블 진입부 및/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은 특히 전자기 교란/EMI(전자기 간섭)의 감쇄를 지향한다.
케이블 진입부용 프레임은 벽 또는 다른 파티션 내에서 수용되기 위한 외측 프레임을 보통 포함한다. 프레임 내부에 개별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압축가능한 모듈,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 그리고 하나 이상의 지지판이 수용된다. 각각의 모듈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 둘레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절반부들로 종종 형성된다. 다수의 모듈은 프레임 내부에서 서로의 위에 수 개의 층 또는 열로, 각각의 층 사이의 이동가능한 지지판과 함께 배치된다. 또한, 압축 유닛은 압축 유닛이 팽창될 때, 압축가능한 모듈들이 케이블 또는 파이프 둘레에서 압축되는 방식으로 프레임과 모듈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프레임은 캐비닛, 기술적 쉘터(technical shelter), 접속함(junction box) 및 기계와 같은 많은 다른 환경에서 밀봉을 위해 사용된다. 이들은 해양 및 연안뿐만 아니라 자동차, 원격 통신, 동력 발전 및 분배와 같은 다수의 다른 산업 환경에서 사용된다.
프레임은 유체, 가스, 불, 설치류, 흰 개미,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되어야만 하며, 전기, 통신, 컴퓨터 등을 위한 케이블 또는 물, 압축 공기, 유압 유체 및 조리 가스와 같은 상이한 가스 또는 액체를 위한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다.
몇몇 설비에서 프레임을 수용하는 벽, 파티션 등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상이한 전기 또는 전자 장비를 보호하도록 전자기 교란을 감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스크린을 따라 진행하는 교란과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 양자 모두는 전술한 형태의 프레임에서 감쇄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의 컨덕터로 들어오는 교란은 이러한 형태의 프레임에서 감쇄시킬 수 없다. 이러한 교란은 보통 케이블에 연결된 필터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감쇄된다.
전기 및 전자 기기는 전자기 교란에 다소 민감하다. 전자기 교란은 전자기 방사선이며, 이는 빠르게 변하는 신호를 동반하는 전기 회로에 의해 그 정상 동작의 부산물로써 자주 방사되며, 원치않는 신호(간섭 또는 노이즈)가 다른 회로에 유도되게 한다. 이것은 이들 다른 회로의 유효 성능을 차단, 방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저해 또는 제한한다. 이것은 전자전(electronic warfare)의 몇몇 형태로서 의도적으로는 유도될 수 있거나, 또는 비의도적으로는 의사 방출(spurious emission) 및 응답의 결과, 상호 변조 생성물 등으로서 유도될 수 있다.
케이블은 전자기 교란에 대한 보호부로써 케이블 컨덕터를 포위하는 통상 전도성 층의 형태인 스크린을 갖는다. 효율적이 되기 위해서, 케이블 스크린은 전자기 교란으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케이블 외부로 전달할 수 있어야만 하며, 이는 케이블 스크린을 접지함에 의해 달성된다. 적절한 접지는 전자기 교란으로부터 좋은 보호를 얻기 위해 중요하며 모든 전자 및 전기적 설계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접지의 효율과 얻어진 감쇄와의 사이에는 수학적인 관계가 있다.
무선 주파수 간섭을 감쇄하기 위해 어떤 형태의 도파관(웨이브 트랩) 및/또는 RFI 스크린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도파관은 접지되어야만 한다.
오늘날에는 상이한 형태의, 소위 EMC 모듈이 존재한다. EMC는 전자기 양립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을 말하며, 즉 그들의 사용되는 전자기 환경에서 적절히 기능하기 위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장치의 능력이다. EMC 모듈은 기본적으로 어떤 형태의 도파관 및/또는 RFI 스크린과, 전자기 교란/간섭을 갖는 케이블 스크린을 접지로 탭 오프(tap off)시키기 위한 케이블 스크린에 대한 전기적 접점을 구비하는 표준 모듈이다. 도파관은 보통 RFI에 대한 트랩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목적인 파이프, 덕트 등으로서 형성된 어떤 종류의 전도성 재료이다. RFI 스크린은 전체 EMC 모듈을 통해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RFI 스크린은 은으로 코팅되며 고무 재료 내에 배치되는 유리 비드로 만들어진다. 통상적으로,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해 RFI 스크린 내에 개구가 만들어진다. 케이블 스크린과 접촉하는 전도성 재료는 주석 코팅을 갖는 구리가 될 수 있다. 좋은 접속을 갖기 위해, 전도성 재료는 특정 길이를 가져야만 하며 양호하게는 케이블 스크린 둘레에서 360°진행해야 한다. 또한, 오늘날의 많은 설비에서 전도성 재료의 특별한 커버는 RFI에 대한 보호 그리고 임의의 돌출 볼트의 적절한 접지를 보장하도록 압축 유닛 상에 또는 내에 배치되어야만 한다.
케이블 스크린 외측의 케이블 재료가 통상적으로 케이블이 EMC 모듈의 내부에 수용되기 전에 제거된다는 사실 때문에, 상기 모듈은 종종 두 개의 상이한 내측 직경을 가져야만 하는데, 하나의 직경은 전체 케이블에 맞춰지고, 다른 하나는 케 이블 스크린에 맞춰진다. 전술한 견지에서, 당업자는 EMC 모듈이 표준 모듈보다 더욱 복잡하며 제조 비용이 EMC 모듈에 대해 더욱 비싸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RFI 스크린 및 전도성 재료에 기인하여, EMC 모듈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밀봉 영역이 표준 모듈에 비해 짧아짐에 따라, EMC 모듈의 밀봉 능력은 표준 모듈에 비하여 감소된다. 이것은 가혹한 환경에서 중요할 수 있다.
비전도성 재료 또는 광학 섬유 케이블의 튜브 또는 파이프가 설명한 형태의 프레임 내에 수용되는 경우라면 특별한 도파관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도파관은 파이프, 튜브 또는 광학 섬유 케이블 둘레에 래핑된 전도성 테이프의 형태나 또는 파이프, 튜브 또는 광학 섬유 케이블 둘레에 배치된 전도성 재료의 튜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파관은 통상적으로 프레임에 접지된다.
많은 군사적인 적용예에서, 석유 굴착 장치에서, 병원에서, 비행기 상에서, 선박 상에서, 많은 상이한 형태의 차량에서, 몇몇 산업계 등에서, 교란에 더욱 민감한 영역이 있을 수 있으며 즉, 이러한 영역들이 파손(knock out)되면 대단히 위험하다. 이러한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더욱 효율적인 감쇄를 필요로 한다. 또한,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정탐 또는 다른 원치 않는 감시를 막도록 프레임의 내부에서 장비를 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표준 EN 50 147-1 1996§5.2.2.에 따르면 감쇄 효과는 dB로 측정된다. 감쇄 효과는 케이블이 수용될 때 케이블을 갖지 않는 프레임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된다. 간단하게는, 케이블과 같은 전기적 전도성 재료를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즉, 이들이 더 작거나 더 큰 정도로 전기장을 픽업 및 송신 양자 모두를 하도 록 배치한다.
전자기 교란의 어느 정도의 감쇄를 주는 다수의 장비가 존재한다. 감쇄 효과는 많은 경우에 비교적 복잡한 세트의 개조된 구성품 및 취급 단계에 의해 증가된다. 그러나, 케이블이 수용될 때 공지된 장비에 의해서 약 40 내지 60 dB을 초과하는 감쇄를 얻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민감한 영역을 위해 감쇄는 적어도 60 dB 또는 양호하게는 그 이상이 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무선파와 같은 원치 않는 전자기장이 임의의 방향에서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 스크린 내에서 전류에 의해 전달되는 원치않는 전자기 에너지를 픽업하고 이들을 접지로 전향시키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표준 구성품이 가능한 한 넓은 범위에서 사용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설치, 제조, 재고 유지 등에 관해 유리하다.
또다른 목적은 복잡한 구성품의 필요성을 회피함에 의해 설비를 간소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이 벽 또는 다른 파티션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치된다. 프레임은 프레임 내에 수용된 각각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포위하는 압축가능한 모듈을 수용한다. 모듈의 배리어는 밀봉을 형성하도록 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압축 유닛과 함께 배치된다. 또한, 전도성 재료의 층은 압축 유닛 및 모듈의 배리어에 인접한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다.
전도성 재료의 층은 프레임의 각단부에서의 모듈 등의 두 개의 배리어들 사이에 또는 일단부의 모듈 등의 일 배리어와 프레임의 타단부에서의 커버 사이에 형성된 프레임 내부의 간극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재료의 층은 상이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금속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컨대, 무정형 다발, 섞여 짜인 실, 네트, 패드 및 벌집 구조이다. 또한, 전도성 재료의 층은 니들 펠트 매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 모듈, 압축 유닛 등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표준 구성품이다. 전도성 재료의 층은 접지되며 프레임 내에 수용된 각각의 케이블의 케이블 스크린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시험에 있어서, 이러한 배열체는 프레임 내에 수용된 케이블과 함께 약 100dB 이상의 정도의 감쇄를 보여준다. 전자기적 교란을 감쇄시키기 위한 능력은 케이블 스크린의 형태에 또한 의존한다. 낮은 품질의 스크린을 갖는 케이블이 사용된 경우라면, 전자기적 교란을 감쇄시키기 위한 가능성은 감소된다.
전도성 재료의 층의 두께는 양호하게는 케이블 또는 케이블들의 두께와 바람직한 감쇄의 양에 따라 선택된다. 실(thread)은 가능한 가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석으로 코팅된 구리가 사용된다. 무정형 실 다발은 일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실로 만들어진 강철모이다. 또한 상이한 전도성 재료의 실들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긴 실 또는 니들 펠트 매트로 형성된 패드가 사용된다.
사용된 것이 어떤 물질이고 그것이 어떤 형태로 배치되었는지에 무관하게, 전도성 재료의 층은 케이블 스크린과 안전한 접속으로 배치되어야만 하며, 안전한 방식으로 접지되어야만 한다.
당업자는 모듈, 압축 유닛, 및 프레임의 정확한 형태가 본 발명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이한 형태의 표준 모듈과 EMC 모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표준 모듈을 사용함에 의해 가혹한 환경에 대한 보호가 향상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프레임에서 압축 유닛 위에 전도성 재료의 커버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추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의 방식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일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3은 하나의 케이블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프레임 내에서 차폐된 형태로 수용되기 위한 케이블 셋업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추가적인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프레임의 도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부품의 일 예시의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부품의 추가적인 예시의 개략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프레임(1)의 일 예시가 도시되며, 이 프레임은 벽 또는 다른 파티션(미도시됨)에 수용된다. 프레임(1)의 내부에서 다수의 모듈(2)이 프레임(1)의 각 단부에서 수용되며, 이 모듈(2)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여기서는 웨지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은 모듈(2)을 압축하도록 프레임(1)의 각각의 단부에서 모듈(2)과 연결되어 배열된다.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스크류(4) 및 지지판(7)에 의한 웨지에 의해 가해진 압축에 의해, 모듈(2)이 압축되고, 밀폐식 밀봉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프레임, 모듈, 지지판, 및 압축 유닛의 정확한 설계가 중요하지 않으며 프레임 내에 수용된 모듈, 압축 유닛 및 지지판의 개수는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많은 상이한 형태의 프레임, 모듈, 지지판, 및 압축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2)은 합쳐진 두 개의 절반부로 형성되며 중앙 블라인드(5)와 다수의 박리가능한 시트(6)를 도시한다. 스탠더드 모듈이 도면에 지시되어 있더라도, 당업자는 상이한 형태의 EMC 모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의 각 단부에 있는 모듈들(2)과 압축 유닛들(3) 사이에서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은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뒤섞인 금속사의 층(8) 또는 무정형 다발로 배치된 금속사로 충전된다. 금속사는 임의의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철모(steel wool)가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성 재료의 층(8)은 벌집 구조(12), 수 개의 맞물려진 네트(13) 등의 형태를 갖는다. 벌집 구조(12) 및 맞물려진 네트의 예시는 각각 도7 및 도8에 나타나있다. 네트(13) 또는 벌집 구조(12)가 사용되는 경우라면, 케이블(9)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기 전에, 네트(13) 또는 벌집 구조(12) 내에 각각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위해 개구가 형성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금속사의 패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패드는 하나의 금속사를 코어 둘레에 권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권선 후에 코어가 제거되며, 형성된 코일은 패드로 평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패드가 매우 탄성적이므로 프레임(1) 내에 압력 끼워맞춤 상태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성 재료는 니들 펠트 매트(needle-felt mat)의 형태를 가지며, 이 니들 펠트는 적절한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성긴 실 다발이 사용되는 경우라면, 충분한 전도성 재료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은 설비를 만드는 사람에게 달려있다. 그러나, 표준화된 크기의 패드 또는 매트를 사용함에 의해, 적절한 양의 전도성 재료가 삽입되었는지 검사하는 것이 설비를 만드는 사람의 숙련도에 좌우되지 않아도 된다. 통상적으로, 패드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의 접촉을 보장하도록 약간 크게 형성된다.
케이블(9)이 프레임 내에 배치되기 전에 케이블(9)의 외부 차폐체는 케이블 스크린(10)을 노출하도록 제거된다. 노출된 케이블 스크린(10)의 길이는 간극의 길이 즉, 프레임(1)의 각 단부에 있는 모듈(2)들의 웨지(3)들의 배리어 사이의 거리에 맞춰진다. 더욱 정확하게는, 노출된 케이블 스크린(10)의 길이는 전도성 재 료의 층(8)의 두께에 맞춰진다. 그에 의해, 케이블 스크린(10)은 프레임(1) 내의 금속사의 층(8)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금속사의 층(8) 그리고 따라서 노출된 케이블 스크린(10)은 프레임에 접지된다. 케이블 스크린(10)과 전도성 재료의 층(8) 사이의 접촉 영역의 크기는 감쇄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프레임(1)의 접지는 상이한 많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선박내 및 많은 다른 설비에서, 접지는 프레임(1)을 수용하는 벽 또는 다른 파티션 내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라면, 프레임은 지면에 연결하기 위한 접촉부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RFI 보호를 위해 압축 유닛(3) 위에 어떠한 특수한 커버도 필요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2), 압축 유닛(3), 및 지지판(7)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배리어가 프레임(1)의 일단부에만 위치된다. 프레임(1)의 타단부에서 오직 커버(11)만이 전도성 재료의 층(8)을 정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위치된다. 모듈(2) 등의 오직 하나의 배리어를 구비하는 프레임(1)은 단지 프레임(1)의 일측 상에만 가혹한 환경이 존재하는 곳에서의 설비를 위해 주로 의도된 것이다. 커버(11)는 상이한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것은 프레임에 부착된 판, 네트, 고무 직물 또는 포일, 핀 및/또는 실일 수 있다. 도5 및 도6에서, 커버로써 판(11)을 구비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설치 예시에서, 강철모는 첫째로 프레임(1)의 바닥에 모듈(2)의 절반에 대응하는 수준까지 배치된다. 이어서, 케이블(9)은 케이블 스크린(10)이 모듈 절반부들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상태로 프레임(1)의 각 단부의 대응하는 하부 모듈 절반부들 내에 배치된다. 그 후, 모듈(2)의 상부 절반부가 하부 절반부의 위에 배치된다. 이후에, 추가적인 강철모가 프레임(1)의 바닥에 있는 강철모의 위에, 노출된 케이블 스크린(10)을 둘러싸며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레벨 상의 하나의 열 내의 모든 케이블(9)은 동시에 설치되며 강철모는 모든 케이블(9)과 접촉하고 이를 포위하며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지지판(7)이 모듈(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어서, 각 단부의 모듈(2)의 열이 완성되고 압축 유닛(3)이 각각의 배리어 내에 배치되고 모듈(2) 등의 배리어들 사이의 간극이 강철모로 충전될 때까지 이러한 단계들이 반복된다. 전도성 재료층(8)을 형성하는 강철모는 외측 프레임(1)과, 그리고 각각의 케이블(9)의 노출된 케이블 스크린(10)과, 연장된 그리고 안전한 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전도성 재료의 패드를 사용할 때, 설치는 전술한 바와 대략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선 하나 이상의 패드가 모듈(2)의 절반부에 대응하는 수준까지 프레임(1)의 바닥에 배치된다. 이어서,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통상적으로 모듈 절반부 또는 절반부들에 배치되고 그 후 하나 이상의 상부 모듈 절반부들이 하부 모듈 절반부들 상에 배치된다. 이후에, 패드의 새로운 층들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 위에 배치된다. 이어서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능한 파티션의 배치와 함께 프레임(1)의 간극이 충전될 때까지 반복된다.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비교적 얇은 경우라면, 패드의 가요성은 가능한 간극을 충전하기에 충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두꺼운 케이블 및 특히 두꺼운 파이프용으로 특별한 측면 패드가 프레임, 패드의 다른 층들, 파이프, 및/또는 케이블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Claims (15)

  1.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1)이며,
    상기 프레임(1)은 프레임(1) 내에 수용된 각각의 케이블(9) 또는 파이프를 둘러싸는 압축가능한 모듈(2)을 수용하고, 벽 또는 다른 파티션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치되며, 상기 모듈(2)이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과 함께 프레임(1)의 일 단부에서 배치되어 밀봉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의 층(8)이 프레임(1) 내부에서 상기 모듈(2) 및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전도성 재료의 층(8)은 섞여 짜인 실, 네트(13), 패드, 벌집 구조(12) 또는 니들 펠트 매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모듈(2)과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을 포함하는 배리어가 프레임(1)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며, 전도성 재료의 층(8)이 프레임(1)의 각 단부의 모듈(2)과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을 포함하는 배리어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의 타단부에 커버(11)가 배치되며, 전도성 재료의 층(8)이 모듈(2)과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을 포함하는 배리어와 커버(11) 사이에서 프레임(1)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는 강철모 또는 금속사의 다른 무정형 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는 벌집 구조(12)의 형태를 갖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는 다수의 맞물린 네트(13)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는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모듈은 EMC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모듈은 표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9)은 모듈(2)의 내부에서 수용되며, 각각의 케이블(9)의 케이블 스크린(10)은 전도성 재료의 층(8)의 영역 내에 노출되며 전도성 재료와 접촉하게 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11.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의 층(8)이 프레임(1)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1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는 프레임(1)의 모듈(2)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13.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또는 케이블의 둘레에는 프레임(1) 내부의 전도성 재료의 층(8) 또는 다른 형태의 도파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프레임.
  14. 삭제
  15. 삭제
KR1020077027831A 2005-05-30 2006-05-29 차폐된 프레임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1233A SE528689C2 (sv) 2005-05-30 2005-05-30 Ram med avskärmning vid kabel- och/eller rörgenomföringar i en vägg eller annan skiljedel
SE0501233-1 2005-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145A KR20080009145A (ko) 2008-01-24
KR100949642B1 true KR100949642B1 (ko) 2010-03-26

Family

ID=3748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8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642B1 (ko) 2005-05-30 2006-05-29 차폐된 프레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90194644A1 (ko)
EP (1) EP1886390B1 (ko)
JP (1) JP4875694B2 (ko)
KR (1) KR100949642B1 (ko)
CN (1) CN101185219B (ko)
BR (1) BRPI0609264A2 (ko)
DK (1) DK1886390T3 (ko)
ES (1) ES2687434T3 (ko)
NO (1) NO20075884L (ko)
PL (1) PL1886390T3 (ko)
RU (1) RU2007149525A (ko)
SE (1) SE528689C2 (ko)
TW (1) TW200822482A (ko)
WO (1) WO2006130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2027C2 (sv) * 2008-02-15 2009-10-06 Roxtec Ab Genomföringsram med integrerad kompressionsenhet
SE535015C2 (sv) * 2009-02-04 2012-03-13 Roxtec Ab Komprimerbar tätning eller genomföring samt tätningssystem
SE533818C2 (sv) * 2009-02-04 2011-01-25 Roxtec Ab Excentrisk del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SE533744C2 (sv) * 2009-02-04 2010-12-21 Roxtec Ab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med modulariserade moduler
SE533541C2 (sv) * 2009-02-04 2010-10-19 Roxtec Ab Smörjning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SE533639C2 (sv) * 2009-06-18 2010-11-16 Roxtec Ab EMC-Skyddad kompressionsenhet och ett tätningssystem som innefattar en sådan kompressionsenhet
BR112013006314B1 (pt) 2010-09-17 2020-03-24 Roxtec Ab Conector modular para cabos ou tubulações e sistema que compreende tal conector modular
DE102014006061B4 (de) * 2014-04-25 2019-01-17 Jenny Science Ag Elektrisch leitendes Gehäuse mit Kabelzugentlastung und Schirmanbindung
WO2016097137A1 (en) 2014-12-19 2016-06-23 Hans-Erik Johansson I Hagstad Aktiebolag Feed-through
SE539322C2 (en) * 2015-11-18 2017-07-04 Roxtec Ab Transition and module
SE543123C2 (en) * 2019-02-06 2020-10-13 Roxtec Ab Transition for an optical fibre cable
WO2021040632A1 (en) 2019-08-23 2021-03-04 Bi̇med Tekni̇k Aletler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Cable feedthrough element
WO2022238156A1 (en) * 2021-05-11 2022-11-17 Roxtec Ab A reten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holding one or more cables and use thereof
SE545523C2 (en) * 2021-06-30 2023-10-10 Roxtec Ab A sealing module for a cable or pipe and transit systems comprising such a sealing module
SE545999C2 (en) * 2021-06-30 2024-04-09 Roxtec Ab A sealing module for cables or pipes, a transit system comprising such a sealing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ling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898Y1 (ko) * 2002-10-16 2003-03-19 송양미 금속사(絲)로 직조한 전자파차단용 매트의 접지선을제공하는 전기장판
JP2004506399A (ja) * 2000-08-08 2004-02-26 ビー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ビー.ブイ. ブッシュ配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9890C2 (de) * 1979-03-14 1982-05-27 System- Und Verfahrenstechnik Verwaltungsgesellschaft Mbh, 2105 Seevetal Vorrichtung zur Abschirmung hochfrequenter elektrischer und elektromagnetischer Wellen bei dichten Durchführungen für Leitungsbündel durch eine Wand
DE2932612C3 (de) * 1979-08-10 1982-02-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abelschirmerdung
US4547623A (en) * 1983-10-07 1985-10-15 Automation Industries, Inc. Cable shield grounding apparatus
US4656313A (en) * 1983-12-19 1987-04-07 General Signal Corporation EMI/EMP electrical cable penetration seal
SE441795B (sv) * 1984-03-23 1985-11-04 Lyckeaborgs Bruk Ab Skyddsanordning for att dempa pulsformad hogfrekvent, elektromagnetisk stralnings passage genom en brandskyddande genomforing
GB2186443B (en) * 1986-02-11 1990-06-20 Hawke Cable Glands Ltd Improved transit for cables and pipes
US5416271A (en) * 1991-10-29 1995-05-16 General Signal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penetration seal with compliant module
JPH0828759A (ja) * 1994-07-13 1996-02-02 Tomoe Corp 電磁波シールド・耐火用配管ユニット
US6184460B1 (en) * 1998-02-27 2001-02-06 Berg Technology, Inc. Modular box shield for forming a coaxial header
NL1008638C2 (nl) * 1998-03-06 1999-09-07 Beele Eng Bv Doorvoerinrichting.
DE19838951C1 (de) * 1998-08-27 2000-05-04 Schroff Gmbh HF-dichte Durchführung
US6375361B1 (en) * 2000-08-21 2002-04-23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electromagnetic shield assembly
NL1018262C2 (nl) * 2001-06-12 2002-12-13 Beele Eng Bv Afdichtsysteem.
TWI258771B (en) * 2001-12-04 2006-07-21 Laird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MI shielding
SE520363C2 (sv) * 2001-12-14 2003-07-01 Roxtec Int Ab Genomföringsanordning för genomföring av långsträckt ledning genom en öppning i en vägg
SE0200158L (sv) * 2002-01-22 2003-02-25 Roxtec Int Ab Ram, för kabelgenomföring eller liknande, försedd med ett brytbart skydd
JP4309121B2 (ja) * 2002-12-19 2009-08-0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のノイズ抑制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6399A (ja) * 2000-08-08 2004-02-26 ビー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ビー.ブイ. ブッシュ配置
KR200307898Y1 (ko) * 2002-10-16 2003-03-19 송양미 금속사(絲)로 직조한 전자파차단용 매트의 접지선을제공하는 전기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5219B (zh) 2010-11-17
JP2008533748A (ja) 2008-08-21
RU2007149525A (ru) 2009-07-10
SE528689C2 (sv) 2007-01-23
NO20075884L (no) 2007-11-15
PL1886390T3 (pl) 2018-12-31
US20090194644A1 (en) 2009-08-06
EP1886390A1 (en) 2008-02-13
ES2687434T3 (es) 2018-10-25
TW200822482A (en) 2008-05-16
KR20080009145A (ko) 2008-01-24
JP4875694B2 (ja) 2012-02-15
CN101185219A (zh) 2008-05-21
SE0501233L (sv) 2006-12-01
EP1886390A4 (en) 2016-11-30
EP1886390B1 (en) 2018-07-18
DK1886390T3 (en) 2018-10-15
WO2006130104A1 (en) 2006-12-07
BRPI0609264A2 (pt)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642B1 (ko) 차폐된 프레임
KR101740073B1 (ko) Emc 보호 압축 유닛 및 이러한 압축 유닛을 포함하는 밀봉 시스템
CA2811329C (en)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JP2012508447A (ja) クロストーク減衰量が改善された通信ケーブル
US20030037942A1 (en) EMI enclosure having a flexible cable shield
US12362548B2 (en) Transit for passing at least one cable and/or at least one metallic pipe
JP7531990B2 (ja) シールド部材のケーブル貫通部構造
CN2284995Y (zh) 电缆线
JP2662110B2 (ja) 電磁波漏洩防止構造
KR101418219B1 (ko)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KR20190111610A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광-전력 쉴드 브레이드 복합 케이블
CN110112600A (zh) 一种电连接器及电子装置
JPH08336226A (ja) 電磁波遮蔽機能を備えたバスダクト
HK40011473A (en)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HK1172741A (en)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