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4577B1 -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577B1
KR100944577B1 KR1020037015358A KR20037015358A KR100944577B1 KR 100944577 B1 KR100944577 B1 KR 100944577B1 KR 1020037015358 A KR1020037015358 A KR 1020037015358A KR 20037015358 A KR20037015358 A KR 20037015358A KR 100944577 B1 KR100944577 B1 KR 10094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impulse
transmission
stage
gene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606A (ko
Inventor
마르쿠스 헨네켄
프리데만 야우흐
프란츠-요제프 슐러
토마스 마우츠
미카엘 키퍼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0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57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16H2059/0243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with push buttons, e.g. shift buttons arranged on steering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 e.g. preventing forward-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67Control convertible between automatic and manual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59Control lever movable through plural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변속장치에 있어서 자동변속장치의 실제의 변속비의 변동을 위한 요구는 자동차의 입력된 작동상태의 도달시에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변속모드에서 수동입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특히 자동차의 자동변속장치를 위한 변속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경우에 임펄스 계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임펄스에 의하여 연속하는 임펄스가 수동입력을 기능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변속신호가 상기 연결에 의존하여 생성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SHIFT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상세히 정의된 유형에 따른 차량의, 특히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변속 장치는 공지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운전자는 선택 레버에 의하여 자동 주행 모드와 수동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 변속 채널에 선택 레버가 설치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선택 레버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주차를 위한 변속 위치 P, 후진 주행을 위한 R, 중립을 위한 N(공전) 및 전진 주행(구동)을 위한 D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최저 변속단과 최고 변속단의 범위 내에서 가속 페달의 변위 속도, 엔진 회전수, 차량 가속 및 기타 중요한 전자 제어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계수에 따라서 자동 변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실제로 최대 변속 가능한 변속단에 대한 변속 위치를 갖는 변속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정한 주행 조건하에서 4단과 5단 사이에서 너무 빈번한 단변속을 하게 되는 경우, 변속 위치 "4"로 하면 5단이 차단 가능하고, 예를 들어 구배가 긴 산간 도로나 또는 경사 도로의 경우에, 변속 위치 "2"로 하면 그보다 높은 단으로의 고단 변속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단의 변속 위치도 물론 가능하다. 다양한 변속 범위에 대한 이러한 변속 위치를 갖는 변속 장치의 설계는 엔진 제동 작용의 동시 사용하에 엔진 출력의 보다 나은 효용을 가져오며, 불필요한 고단 변속과 저단 변속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실제로 공지된 변속 장치는 흔히 소위 "터치-변속"을 위한 추가 변속 장치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운전자에게 예를 들어 민첩한 주행 방법의 실시를 위하여 간단한 수동 조작의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다음의 저단 변속 또는 다음의 고단 변속으로의 변속은 선택 레버 또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 가능한 별도의 스위치나 버튼에 의하여 해당 센서를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변속 장치는 DE 38 07 881 C2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동력학적 변속 프로그램의 변속 채널과 병렬인 제2 변속 채널에 의하여 터치 기어 변환의 "수동-프로그램"이 이루어진다. 수동-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하여 선택 레버가 횡채널에 의하여 제2 변속 채널에 이르며, 여기에서 중립의 중간 위치의 비작동 위치를 유지한다. 변속기의 고단 변속과 저단 변속을 위하여 이것은 각각 수동으로 변위되며, 선택 레버의 변위는 센서가 검출하고, 그의 신호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로 도입된다.
DE 197 09 506 A1은 마찬가지로 자동 변속기에 사용하기 위한 변속 제어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자동 변속기의 변속비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입력하여 가변한다. 자동 변속 제어는 차량이 운전 범위 내에 있을 때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변속비를 변경하기 위한 수동 입력은 특히 자동 변속기의 과부하 보호를 보장하기 위하여 억제된다. 수동 고단 변속 또는 저단 변속 제어 명령의 수신은 자동 변속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중지된다.
동력학적 변속 프로그램에 추가로 설정되어 있는 수동 터치-변속에 의한 모든 상기한 해결 방안의 경우에 있어서, 플러스(+) 센서를 쳐서 다음의 보다 높은 단으로의 수동 고단 변속 또는 마이너스(-) 센서를 쳐서 수동으로 다음의 보다 낮은 단으로의 저단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운전자가 예를 들어 극단적인 가속에 대하여 다단 변속단으로의 저단 변속 또는 고단 변속을 원할 때에 운전자를 위한 선택폭이 아주 제한되고, 특히 운전의 안정도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운전자는 여러 번 반복하여 마이너스 센서 또는 플러스 센서를 쳐서, 이에 상당하는 각각의 변속을 기다린 후에야, 원하는 총 변속비 변경을 얻을 수 있다.
수동-프로그램에서 운전에 적합하도록 다단 변속단으로의 저단 변속 또는 고단 변속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간단한 변속을 위한 선택 장치에 대한 변속 위치 및 최대 변속에 대한 기타 변속 위치가 고단 변속에 대해서도 물론이고 저단 변속에 대해서도 제공되고 있지만, 추가적인 변속 위치의 배열은 그것이 선택 레버 위치의 형태이건 또는 버튼 형태이건 간에 항상 운전 과실의 큰 위험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특히 자동차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자동 변속 모드 외에도, 최상의 가능한 운전의 안정을 보장하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허용된 범위 내에서 변속 가능한 수동 변속 모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따른 변속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에 있어서, 임펄스 계수기(impulse counter)가 제공되고, 이러한 임펄스 계수기에 의해서 수동 입력에 의한 연속적인 임펄스들이 기능적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어, 이러한 연결에 따라 변속 신호가 발생될 수 있으며, 허용된 운전 범위 내에 있을 때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다단 저단 변속 또는 고단 변속에 응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에 의하여 직접 미리 터치-임펄스에 의해 표시되는 수동 입력의 보정을 감안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는 운전자에게 재래식 터치 기어 변환의 경우보다 수동 입력을 위한 훨씬 큰 여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의 간단한 형태에서, 전술한 연결에 있어서 고단 변속 또는 저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를 합산한 다음 처리되며, 특히 고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에 있어서는 임펄스 계수기의 계수값이 증가되고, 저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에 있어서는 계수값이 감소된다.
운전자에게 수동 입력에 의하여, 예를 들어 터치 임펄스에 의하여 다단 변속을 위한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임펄스의 확인 후에 적용 가능한 휴지 시간이 개시되고, 이 휴지 시간 내에 추가적으로 합산 가능한 임펄스가 확인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의 한 가지 바람직한 형태에서, 또한 다단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차량의 정지시에 발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수동 변속 모드의 경우에도 예를 들어 평탄한 주행 도로상에서의 고단에서의 발진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의 여타 다른 이점과 바람직한 형태가 추가 청구범위, 다음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유일한 도면은 임펄스 계수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 자동 변속기의 변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 변속 장치는 선택 레버 또는 다중 기능 스티어링 휠(운전대)에 설치된 터치-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자동 변속 모드나 수동 변속 모드로 조작 가능하다.
도 1은 임펄스 계수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 자동 변속기의 변속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2)에 의하여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3)의 변속 장치(1)를 볼 수 있으며, 자동 변속기는 기호로 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승용차용으로 구비되는 변속 장치(1)는 동력학적 변속 프로그램을 위한 제1 변속 장치(4)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차량의 주차를 위한 변속 위치(P), 후진 주행을 위한 변속 위치(R), 공전을 위한 변속 위치(N) 및 자동 전진 주행을 위한 변속 위치(D)의 선택에 의하여 적당한 변속기 제어의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자동으로 변속할 변속단의 사전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선택 장치로서 작용하는 선택 레버(5)가 제1 변속 채널(6)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변속채널(6) 내에 상기 변속 위치들에 대한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변속 위치(P, R, N 및 D) 외에도, 이러한 제1 변속 채널(6)에는 제4 변속단을 위한 "4", 제3 변속단을 위한 "3" 및 제2 변속단을 위한 "2"의 추가 변속 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변속은 제1 변속단과 전술한 변속단들 간에 각각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자동 변속 모드를 위한 제1 변속 채널(6)에 추가로 수동 변속 모드를 이루기 위하여, 제1 변속 채널(6)에 병렬로 배치된 제2 변속 채널(7)이 구비되어 있어서, 선택 레버(5)가 횡채널(8)을 거쳐서 위치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변속 채널(6)에서 선택 레버의 위치가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신호 전달 장치(9, 10)를 거쳐서 신호로서 전자 제어 장치(2)로 발생되는 선택 레버(5)의 전환은 횡채널(8)에 배치된 센서(11)에 의하여 검출된다.
선택 레버(5)가 제2 변속 채널(7)에 있는 경우에, 선택 레버는 스프링(13, 14)에 의하여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중립의 중간 위치를 유지한다. 이러한 중간위치로부터 선택 레버(5)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고단 변속 조작을 위한 화살표(15)로 도시된 제1 방향과 저단 변속 조작을 위한 화살표(16)로 도시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변속 장치(1)의 변속 채널에 관한 선택 레버의 구조적인 형태는 이 경우에 재래식 구조 형태에 상당하다.
선택 레버(5)가 방향(15)을 따라서 고단 변속으로 이동되면, 플러스 센서(17)에 대응하는 변속 위치 "+"에 도달하며, 이에 상당하는 신호가 도면에서 기호만으로 도시된 전자 제어 장치(2)의 임펄스 계수기(18)로 발생된다. 운전자가 선택 레버(5)를 제2 변속 채널(7)의 중간 위치로부터 이동 방향(16)으로 이동하도록 당기면, 저단 변속을 위한 변속 위치 "-"에 이르며, 마이너스 센서(20)가 이에 상당하는 신호를 전자 제어 장치(2)의 임펄스 계수기(18)로 발생시킨다.
제1 변속 장치(4)의 변속 채널 외에도, 변속 장치(1)는 추가로 제2 변속 장치(21)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선택 장치로서 터치-누름버튼(22)이 다중 기능 스티어링 휠(운전대)(23)에 설치된다. 도면에 아주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터치-누름버튼(22)은 저단 변속을 위한 제1 버튼(24)과 고단 변속을 위한 제2 버튼(25)을 구비하며, 운전자는 터치-누름버튼(22)을 쳐서 고단 변속 방향이나 저단 변속 방향으로 전자 제어 장치(2)로 수동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다.
선택 레버(5)의 조작의 경우는 물론이고 터치-누름버튼(22)의 조작에 의하여 수동 입력에 의한 연속적인 임펄스는 임펄스 계수기(18)에 의하여 기능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에 따라 변속 신호가 발생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임펄스는 고단 변속을 위하여 "+" 또는 저단 변속을 위하여 "-"로 합산된 연후에 처리되며, 임펄스 계수기(18)의 계수값은 고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는 값 "+1"을 가지고 증가되고, 저단 변속의 경우에는 이에 따라서 감소되는데, 즉 값 "1"이 감해진다. 터치-임펄스 계수기(18)는 계수값이 "0"으로 될 때까지 처리된다. 계수값이 "0"보다 큰 값을 가지는 한에 있어서 고단 변속이 요구되며, 계수값이 "0"보다 작으면 저단 변속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터치 임펄스에 의한 2단 저단 변속과 같은 다단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임펄스의 확인 후에 적용 가능한 휴지 시간이 개시되어, 이러한 휴지 시간 내에 추가의 합산 가능한 임펄스가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휴지 시간의 경과 후에, 예를 들어 "-2"보다 작은 계수값이 검출되면, 이것은 2단 저단 변속이나 또는 최대 저단 변속의 요구가 된다.
임펄스의 보존에 의하여, 이에 따라 다단 저단 변속이나 다단 고단 변속의 신호가 발생 가능하며, 한편으로 다단 변속 요구시 그 요구되는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요구되는 변속단보다 낮은 변속단으로의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2단 저단 변속이 지나치게 높은 출력 회전수로 인하여 불가하면, 1단 저단 변속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또한, 선택 레버(5)의 플러스 위치나 마이너스 위치 또는 터치-누름버튼(22)의 터치에 의하여 전자 제어 장치(2)의 임펄스 계수기(18)에 발생되는 임펄스의 연결시에, 일방향으로의 변속을 위한 임펄스와 그 임펄스에 선행하는 반대방향으로의 변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행 임펄스에서, 변속 신호는 최후 임펄스에 따라 발생되며, 선행 임펄스는 소멸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변속 신호의 발생이 그러한 경우에 중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운전자가 많은 터치 임펄스를 하나의 변속 방향으로 전달하고 그 즉시 터치 임펄스를 반대방향으로 처리하는 경우를 고려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이전의 변환되지 않은 터치 임펄스는 소멸되는데, 성급하게 행동하는 운전자가 신속하게 다른 변속단으로의 변속을 하고자 하여 여러 번 터치함과 동시에 원하는 변속비를 초과한 것을 확인하면서 터치 임펄스를 반대 변속 방향으로 하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고단 변속이 요구되고 터치 임펄스 계수기(18)의 계수값이 마이너스(-) 범위 내에 있을 때, 계수값은 "1" 또는 "0"으로 설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저단 변속이 요구되고 계수값이 플러스(+) 범위 내에 있을 때, 계수값은 "-1" 또는 "0"으로 설정된다.
한가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터치 임펄스 후에 지연 시간이 개시되며, 이러한 지연 시간 동안에는 하등의 추가 터치 임펄스가 확인되지 않는데, 즉 예를 들어 변속기 변속 중에 하등의 터치 임펄스가 수신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추가 지연 시간 내에 많은 터치 임펄스가 발생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간섭 전압 또는 피드백(feedback)과 같은 하드웨어 고장이 터치 조작시에 확인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선택 레버가 수동 변속 채널(7)에 있을 때라도 수동 조작을 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되는 특별한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다단 고단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차량의 정지시에도 발생 가능하도록 고려된다. 즉, 경우에 따라서 예를 들어 평탄한 주행 도로상에서 제1 변속단보다 높은 제2 변속단 또는 제3 변속단에서 발진할 수 있도록 제2 변속단 또는 제3 변속단으로 터치하고 또한 다시 원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한가지 조건은 최대 가압된 페달 위치가 소정의 최대 역치보다 작은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단 고단 변속 요구시 그 요구되는 변속단은 무시되며, 예를 들어 변속기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요구되는 변속단보다 낮은 변속단에서 발진한다.
운전자가 제1 변속단보다 높은 제2 변속단 또는 제3 변속단에서 발진할 때에도, 변속 장치(1)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이 소정의 고속 한도 이상의 속도로부터 정지되거나 차량 속도가 제1 변속단에 할당되는 속도로 감속되는 경우에, 항상 최저 변속단, 즉 제1 변속단으로의 저단 변속이 허용된다.
제1 변속단보다 높은 제2 변속단 또는 제3 변속단에서 발진한 후 즉시 또는 짧은 소정의 시간대 내에서 다시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적용 가능한 속도 한도 및 소정의 최대 가압된 페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차량의 정지가 인식되는 경우에, 차량 정지 상태로부터 제1 변속단보다 높은 변속단으로의 발진 요구는 전자 제어 장치(2)에 보존된다.
이때, 차량 정지 상태로부터 다시 발진하는 경우에, 제1 변속단보다 높은 변속단에 대한 요구는, 제1 변속단보다 높은 변속단에서의 발진시 적용 가능한 속도 한도 또는 최대 가압된 페달 위치를 초과하거나 운전자가 예를 들어 다른 변속단을 터치함으로 인해 수동 입력에 의한 임펄스가 존재하면 소멸된다.
또한, 본 변속 장치(1)에 있어서는, 전자 제어 장치(2)에 보존되는 터치-변속 프로그램에 의하여 차량의 소정의 운전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변속은 자동적으로 개시되며, 그러한 변속 중에는 수동 입력에 의한 임펄스는 무시되거나, 단지 수동 입력에 의한 최초 임펄스만이 보존된다. 따라서 자동 변속이 운전자가 원하는 것으로서 해석되고, 운전자의 터치 임펄스에 의한 추가의 변속 요구는 무시될 수 있다. 이는 자동 고단 변속과 고단 변속의 수동 입력과의 조합에 대해서도 물론이고 자동 저단 변속과 수동으로 요구되는 저단 변속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다른 조합은 회전수 한계선을 초과함으로 인해 허용되지 않는다. 임펄스의 수동 입력에 의한 후속 터치-변속을 허용하기 위하여, 자동 변속의 한가지 또는 여러 가지 다음의 결과가 발생되어야 한다. 즉, 동기 회전수에 도달하고, 분리되는 클러치 상태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며, 결합하는 클러치 상태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고, 엔진 접속이 종결되며, 이전 변속단에 대한 회전수 차이가 최대값에 도달하고, 새로운 변속단에 대한 회전수 차이가 최소값에 도달하며, "변속 종결" 상태에 도달한다.
또한, 전술한 연결에 따라 발생하는 변속 신호가 현재의 운전 상태에 대하여 불허로 인식되는 경우에, 전술한 연결을 유발한 수동 입력에 의한 임펄스가 소정의 시간 동안 보존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터치에 의하여 저단 변속을 요구하고 저단 변속이 예를 들어 회전수 한계값의 초과로 인해 이루어질 수 없을 때, 터치-임펄스는 소정의 시간 동안 보존되며, 이때 운전자는 브레이크를 조작하고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지연시에 엔진 제동력이 최적으로 활용되는데, 즉 최대의 허용 회전수에서 저단 변속이 되도록 한다.
본 변속 장치에 의하여 운전자에게 수동 변속 모드를 위한 최대한의 여지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변속기와 엔진을 보호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차량 변속기 및/또는 엔진의 온도가 허용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를 때 수동 변속 모드를 벗어나며, 이제 당해 온도의 저감을 유도하는 자동 변속 모드의 변속 특성 곡선이 선택된다.
본 발명은 변속 장치의 상기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수동 변속 모드와 자동 변속 모드의 실현을 위하여 임의의 다른 구조로 실시된 선택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와 동시에 "터치"의 개념하에서 임펄스 입력은 또한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나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의 조작에 의한 임펄스 입력으로도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단식 자동 변속기와 CVT 자동 변속기일 수 있는 특히 전자 제어식 차량용 자동 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에 적합하다. 한편으로 예를 들어 전자 제어식 차량용 자동 변속기를 구비한 오토바이나 수상기와 같은 다른 동력 운반체에의 적용도 가능한 이유는 자동 변속 모드나 수동 변속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운전이 가능하고 운전자에게는 수동 변속 모드에서도 지속적으로 응답되기 때문이다.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 및 오토바이와 수상기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6)

  1. 차량의 소정의 운전 상태의 도달시 자동 변속기(3)의 현재 변속비를 변경하기 위한 요구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 변속 모드에서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로서,
    상기 변속 장치는 고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를 더하거나 저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를 뺌으로써 수동 입력에 의한 다수의 연속하는 임펄스들을 합산하는 임펄스 계수기(18)를 포함하고,
    상기 임펄스 계수기(18)에 의해 결정되는 계수값은 고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의 경우에 증가되고 저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의 경우에 감소되며, 상기 임펄스 계수기에 의해 결정되는 다수의 연속하는 임펄스들의 합산치인 계수값에 따라 변속 신호가 발생되고,
    다단 고단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차량 정지시에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다단 고단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는 가압된 페달 위치가 그 가압된 페달 위치의 최대 역치보다 작을 경우에 차량 정지시에 발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임펄스 확인 후에 휴지 시간이 개시되고, 상기 휴지 시간 내에 또 다른 합산될 수 있는 임펄스가 확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단 저단 변속을 위한 또는 다단 고단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상기 계수값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다단 변속 요구시 그 요구되는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요구되는 변속단보다 낮은 변속단으로의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단 고단 변속 요구시, 가압된 페달 위치가 그 가압된 페달 위치의 최대 역치보다 클 경우에, 상기 요구되는 변속단보다 낮은 변속단으로의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요구되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가 소정의 고속 한도 이상의 속도로부터 최저 변속단에 할당되는 속도로 감속되는 경우에, 최저 변속단으로의 저단 변속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9. 차량의 소정의 운전 상태의 도달시 자동 변속기(3)의 현재 변속비를 변경하기 위한 요구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 변속 모드에서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로서,
    상기 변속 장치는 고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를 더하거나 저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를 뺌으로써 수동 입력에 의한 다수의 연속하는 임펄스들을 합산하는 임펄스 계수기(18)를 포함하고,
    상기 임펄스 계수기(18)에 의해 결정되는 계수값은 고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의 경우에 증가되고 저단 변속(-)을 위한 임펄스의 경우에 감소되며, 상기 임펄스 계수기에 의해 결정되는 다수의 연속하는 임펄스들의 합산치인 계수값에 따라 변속 신호가 발생되고,
    다단 고단 변속을 위한 변속 신호가 차량 정지시에 발생될 수 있고,
    차량 정지 상태로부터 제1 변속단보다 높은 변속단으로의 발진 요구는, 상기 제1 변속단보다 높은 변속단으로의 발진 후, 소정의 시간대 내에서, 속도 한도 및 소정의 최대 가압된 페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차량의 정지가 인식되는 경우에 보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차량 정지 상태로부터 다시 발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변속단보다 높은 변속단으로의 요구는 속도 한도 또는 최대 가압된 페달 위치를 초과하거나 수동 입력에 의해 임펄스가 발생하면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의 변속을 위한 하나의 임펄스와, 그 임펄스에 선행하는 반대방향으로의 변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선행하는 임펄스의 경우에, 최후의 임펄스에 대응하는 변속 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하는 임펄스는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의 변속을 위한 하나의 임펄스와, 그 임펄스에 선행하는 반대방향으로의 변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선행하는 임펄스의 경우에, 변속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하는 임펄스는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의 소정의 운전 상태의 도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시되는 변속 중에, 수동 입력에 의한 임펄스는 무시되거나, 단지 수동 입력에 의한 최초 임펄스만이 보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값으로부터 발생되는 변속 신호가 현재의 운전 상태에 대하여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계수값을 생성시킨 수동 입력에 의한 임펄스가 소정의 시간 동안 보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037015358A 2001-05-25 2002-05-18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944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5700.7 2001-05-25
DE10125700A DE10125700A1 (de) 2001-05-25 2001-05-25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getriebe eines Fahrzeuges
PCT/EP2002/005507 WO2002097307A1 (de) 2001-05-25 2002-05-18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getriebe eines fahrzeu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606A KR20040007606A (ko) 2004-01-24
KR100944577B1 true KR100944577B1 (ko) 2010-02-25

Family

ID=768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358A Expired - Lifetime KR100944577B1 (ko) 2001-05-25 2002-05-18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01308B2 (ko)
EP (1) EP1390646B1 (ko)
JP (1) JP4312592B2 (ko)
KR (1) KR100944577B1 (ko)
DE (2) DE10125700A1 (ko)
WO (1) WO2002097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3039A1 (de) * 2001-10-26 2003-05-15 Audi Ag Getriebesteuerung
JP3792586B2 (ja) * 2002-03-12 2006-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変速操作装置
DE10328313B4 (de) * 2003-06-23 2013-05-16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chaltsteuerung eines automatisierten Kfz-Getriebes
DE102004042207B4 (de) * 2004-09-01 2015-03-0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fahrsteuerung eines Kraftfahrzeuges
JP4113173B2 (ja) * 2004-09-29 2008-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04054617B3 (de) * 2004-11-11 2006-05-11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Tasten
DE102006025625B4 (de) * 2006-06-01 2020-10-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automatisch schaltenden Getriebes
JP5155569B2 (ja) * 2007-01-29 2013-03-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US7747372B2 (en) * 2007-07-03 2010-06-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control of vehicular transmission shift points
DE102007035297A1 (de) 2007-07-27 2009-01-2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matg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8011641B4 (de) 2008-02-28 2023-08-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matisch schaltenden Getriebes
DE102008001603A1 (de) 2008-05-07 2009-11-12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eines Getriebes
KR200447644Y1 (ko) * 2008-08-09 2010-02-11 황정남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
JP5225937B2 (ja) * 2009-06-08 2013-07-03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US8322247B2 (en) * 2009-08-14 2012-12-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hifter assemblies for electronically shifted manual transmissions
US8843284B2 (en) * 2009-08-14 2014-09-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anual transmissions
US8393240B2 (en) * 2009-08-14 2013-03-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strumented control pedals for electronically shifted manual transmissions
US8972130B2 (en) * 2011-02-14 2015-03-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vehicle
DE102012200172B4 (de) 2012-01-09 2023-01-1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etriebevorrichtung eines Fahrzeugantriebsstranges mit einer Antriebsmaschine
JP6319358B2 (ja) * 2016-04-27 2018-05-0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KR102599389B1 (ko) 2018-06-29 2023-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신호 송출방법
CN114645938B (zh) * 2020-12-18 2023-08-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手自一体换档器实现换档的方法、装置以及汽车
US12338606B2 (en) * 2021-09-02 2025-06-24 Caterpillar Inc. Inching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967A (ja) * 1997-05-29 1998-12-15 Jatco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18749D0 (en) * 1984-07-23 1984-08-30 Eaton Ltd Semi-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DE3807881A1 (de) 1988-03-10 1989-09-21 Porsche Ag Schaltvorrichtung fue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GB8906918D0 (en) 1989-03-28 1989-05-10 Eaton Corp Method for upshifting a compound semi-blocked splitter type automatic mechanical transmission
GB2256683B (en) * 1991-06-15 1994-05-25 Gen Motors Franc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US5506771A (en) * 1992-08-27 1996-04-09 Eaton Corporation Start gear ratio control system and method
GB9301294D0 (en) * 1993-01-23 1993-03-17 Eaton Corp Gear butt warning
SE502155C2 (sv) * 1993-12-30 1995-09-04 Saab Scania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en fordonsväxellåda
JP3435964B2 (ja) 1996-03-07 2003-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マニュアル変速制御装置
GB2315526B (en) 1996-07-25 2001-02-14 Luk Getriebe Systeme Gmbh Method for the function monitoring of a motor vehicle gearbox and motor vehicle for use with the method
US5816100A (en) * 1996-09-17 1998-10-06 Eaton Corporation Skip shift sel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799539A (en) * 1997-01-21 1998-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anually shifted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DE19736406B4 (de) * 1997-08-21 2007-05-16 Siemens Ag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für ein Kraftfahrzeug
GB9721823D0 (en) * 1997-10-16 1997-12-17 Eaton Corp Shift into optimal engine bra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9807346A1 (de) * 1998-02-20 1999-08-2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US6151977A (en) * 1999-02-26 2000-11-28 Freightliner Corporation Lever assembly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vehicle transmission
DE19926823B4 (de) * 1999-06-12 2008-08-28 ZF Lemförder GmbH 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Automatgetriebes
DE19951374B4 (de) * 1999-10-26 2007-10-3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durch ein elektronisches Steuergerät gesteuertes Fahrzeugautomatgetrie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967A (ja) * 1997-05-29 1998-12-15 Jatco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606A (ko) 2004-01-24
US20040142794A1 (en) 2004-07-22
EP1390646A1 (de) 2004-02-25
EP1390646B1 (de) 2005-01-05
WO2002097307A1 (de) 2002-12-05
DE50201956D1 (de) 2005-02-10
DE10125700A1 (de) 2002-11-28
JP2004527713A (ja) 2004-09-09
US7001308B2 (en) 2006-02-21
JP4312592B2 (ja)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577B1 (ko)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장치
US6474186B1 (en) Gear-change system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automatic gearbox
JP5411222B2 (ja) シフト装置
US6035735A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100886519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US10139001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260432B1 (en) Selecting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10256535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JP4650355B2 (ja) 車両のシフト制御装置
CN100443781C (zh) 用于控制一种自动变速器的方法
JP2008261440A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3844199B2 (ja) 自動変速機の後進中の前進変速制御方法
CN114251443A (zh) 车辆挡位切换装置、方法和车辆
JPH10329567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4129714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10210046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6223501A (ja) 車両用シフト切替装置
CN109203987B (zh) 车辆的控制装置
JP483685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機構
JPH0119343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減速制御装置
JP2006519966A (ja) 重車両の中立段から噛合ギヤ段への変速のための車両ブレーキペダルインターロック
JP201812713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H0324361A (ja) 産業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KR20220059038A (ko) 지능형 수동변속기 차량의 페달 모드 전환 시스템 및 방법
FR3153289A1 (fr) Procédé de commande d’un véhicule automobile avec boite de vitesse automatique, dispositif et véhicule associé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