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5868B1 - 자동창고 - Google Patents

자동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868B1
KR100935868B1 KR1020060008742A KR20060008742A KR100935868B1 KR 100935868 B1 KR100935868 B1 KR 100935868B1 KR 1020060008742 A KR1020060008742 A KR 1020060008742A KR 20060008742 A KR20060008742 A KR 20060008742A KR 100935868 B1 KR100935868 B1 KR 10093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urntable
rack
turn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366A (ko
Inventor
타케노리 야나이
히로시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스태커 크레인(4)의 승강대(16)에 턴테이블(22)과 슬라이드 포크(20)를 설치하고, 턴테이블(20)의 선회중심(C)과 슬라이드 포크(20)나 카세트(14)의 중심(G)을 편심시킨다. 카세트(14)의 이송시에 턴테이블(20)을 회전시켜, 카세트(14)의 선회범위(24)가 랙(10)측의 지주(12)를 피하면서, 랙(10)내의 스페이스에 겹치도록 하고, 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26)는 통로 스페이스(6)내에 포함시킨다.
스태커 크레인의 슬라이드 포크나 마스트를 경량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창고{AUTOMATIC WAREHOUSE}
도1은, 실시예의 자동창고의 주요부 평면도이며, 물품의 이송시의 선회범위를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2는, 실시예에서의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의 평면도이며, 물품이송시의 선회범위를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3은, 실시예의 자동창고에서의 물품의 이송순서를 나타내며, 1)은 선반으로 슬라이드 포크를 진출시킨 상태를, 2)는 슬라이드 포크를 승강대상으로 복귀시킨 상태를, 3)은 물품과 슬라이드 포크의 90°선회를, 4)는 선회를 종료해서 물품의 이송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2:자동창고 4:스태커 크레인
6:통로 스페이스 8:주행 레일
10:랙 12:지주
14:액정 카세트 16:승강대
18:마스트 20:슬라이드 포크
22:턴테이블 24∼26:선회범위
28:톱 플레이트 29,30:정점
32:모서리부 34:선단
36:후단 40:제어부
G:물품의 중심 C:턴테이블의 선회중심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과 랙을 사용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발명자들은, 특허문헌1에서 액정 카세트 등의 중량물의 이송에 적합한 슬라이드 포크를 제안했다. 중량물의 이송에서는 슬라이드 포크 자체에도 상당한 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포크는 큰 중량을 갖고, 또한 슬라이드 포크를 전진시키면 승강대에 큰 힘의 모멘트가 가해진다. 이 결과, 스태커 크레인의 대차로부터 승강대를 지지하는 마스트에도 높은 강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스케일러 암 등의 다른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수단의 승강대로부터 랙내로의 신축을 이용한 것이어도 마찬가지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4-23809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창고의 스태커 크레인에 사용하는 이송수단의 신축 스트로크를 짧게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2, 3의 발명에서의 과제는, 스태커 크레인의 통로 스페이스를 좁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서의 추가의 과제는, 물품의 선회범위가 랙내 스페이스와 겹쳐도 이송수단의 선회범위를 랙내 스페이스와 겹치지 않도록 해서, 물품을 적재하고 있지 않을 때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5의 발명에서의 과제는, 이송수단의 선회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 상에 턴테이블을 통해 신축가능한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수단을 신축시킴으로써, 랙과 승강대 사이에서 직육면체상의 물품을 주고 받도록 한 자동창고에 있어서, 물품의 형상에 대응해서 장변부와 단변부가 형성되는 상기 이송수단의 물품적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을,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에 대해서, 이송수단의 신장방향의 선단측으로 편심시키는 위치관계로 해서, 물품적재부의 장변부의 변의 방향이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와, 랙의 안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 사이에서,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수단을 90°선회시키는 스텝과, 이송수단을 신축시켜서 물품을 랙측과 승강대측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텝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수단과 물품을 90°선회시키는 동안에, 물품의 선회범위와 랙내의 스페이스가 겹치도록 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한 이송수단의 선회범위가 랙내의 스페이스와 겹치도록 함과 아울러,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을 정지한 상태에서 이송수단을 선회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어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랙으로부터 승강대에 물품을 받을 때, 상기 물품적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이, 상기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에 대해서 일치하기 바로 전에서 이송장치의 단축을 중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품적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을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에 대해서 편심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수단의 물품적재부의 폭을 상기 물품의 폭보다 짧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한 이송수단의 선회범위를 스태커 크레인의 통로 스페이스내로 한정함과 아울러, 물품을 적재하고 있지 않을 때, 이송수단을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중에 선회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어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3에, 실시예의 자동창고(2)를 나타낸다. 각 도면에 있어서, 4는 스태커 크레인이며, 6은 그 통로 스페이스이며, 8은 주행 레일이다. 통로 스페이스(6)의 예를 들면 양측에 랙(10,10)을 설치하고, 12는 랙(10)의 지주이다. 스태커 크레인(4)이 반송하는 물품의 종류는 임의이지만, 여기에서는 액정기판을 복수매 수납한 액정 카세트(14)를 반송하는 것으로 한다. 액정 카세트(14)의 형상은 직육면체상이며, 평면에서 볼 때 단변방향과 장변방향이 있다. 액정 카세트(14)의 중량은 톤단위이며, 사이즈는 평면에서 볼 때 단변방향의 길이(W)가 2m정도, 장변방향의 길이(L)가 3m정도이다. 액정 카세트(14)는 랙(10)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장변방향이 랙(10)의 안길이방향과 평행하며, 스태커 크레인(4)으로 이송된 상태에서는, 장변방향이 스태커 크레인(4)의 주행방향과 평행하다.
16은 승강대이며, 예를 들면, 4개의 마스트(18)를 따라, 스태커 크레인(4)의의 대차에 대해서 승강한다. 마스트(18)는 4개의 마스트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마스트나 3개의 마스트 등이어도 좋다. 승강대(16) 상에는 턴테이블(22)을 설치한다. C는 그 선회중심이며, 선회각은 360°이어도 좋고, 또는, 도1과 같이, 액정 카세트(14)의 장변방향을 스태커 크레인(4)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향한 상태로부터 ±90°선회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턴테이블(22) 상에는, 예를 들면 한쪽 돌출이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미들 플레이트 및 톱 플레이트를 구비한 슬라이드 포크(20)를 설치한다. 슬라이드 포크(20) 대신에, 스케일러 암 등의 다른 신축형의 이송수단이어도 좋다. 어느 경우나, 이송수단에서의 물품적재부의 폭은 카세트(14)의 단변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한다.
40은 스태커 크레인(4)의 제어수단이며, 특히, 턴테이블(22)의 선회나 슬라이드 포크(20)의 신축을 제어한다. 제어수단(40)은, 1)턴테이블의 90°선회, 2)슬라이드 포크의 신축, 3)턴테이블의 역방향의 90°선회의 3개의 스텝을 이 순서대로 실행한다. 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가 통로 스페이스(6)내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1), 3) 중에서, 물품을 적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턴테이블의 선회와 스태커 크레인(4)의 주행을 동시에 행해서, 이송시간을 단축시킨다.
G는 카세트(14)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이며, 실시예에서는 카세트(14)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G)과 무게중심은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 슬라이드 포크(20)를 승강대(16) 상으로 완전히 끌어넣었을 때의 슬라이드 포크의 중심은 선회 중심(C)과 일치하고, 중심(G)에 대해서 편심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22)을 동작시켜서, 선회중심(C)을 중심으로 카세트(14)나 슬라이드 포크(20)를 선회시켰을 때의 선회범위를, 도면에 쇄선(24∼26)으로 나타낸다. 카세트(14)의 중심(G)은 선회중심 (C)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으므로, 카세트(14)에는 선회중심(C)으로부터 먼 측의 2개의 정점(29,29)과, 가까운 측의 2개의 정점(30,30)이 있다. 먼 측의 정점에 의한 선회범위를 쇄선(24)으로 나타내고, 가까운 측의 정점의 선회범위를 쇄선(25)으로 나타낸다. 또 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를 쇄선(26)으로 나타낸다.
도1에 나타내듯이, 액정 카세트(14)의 단변방향의 사이즈는, 스태커 크레인(4)의 대차폭이나 승강대(16)의 폭보다 큰 것이 있으며, 또, 슬라이드 포크(20)의 단변부의 폭(D)은 카세트(14)의 단변방향의 길이(W)보다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 카세트(14)의 정점(29,29)의 선회궤적보다, 슬라이드 포크(20)의 모서리부의 선회궤적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포크(20)의 4개의 모서리부(32)를 슬라이드 포크(20)의 선단(34)이나 후단(36)보다, 슬라이드 포크의 중심측으로 향해서 후퇴시켜, 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26)를 좁게 한다. 즉 슬라이드 포크(20)의 모서리부(32)를 커트하면, 선회범위(26)가 좁아진다. 슬라이드 포크(20) 대신에 스케일러 암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그 암이나 핸드의 폭은 카세트(14)의 단변방향의 길이(W)보다 짧게 하고, 물품적재부의 모서리를 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도2와 같이, 승강대(16) 상에 카세트(14)를 완전히 끌어넣은 상태에서의, 선회중심(C)과 물품의 중심(G) 사이의 편심량을 S라고 한다.
도3에, 실시예에서의 랙(10)으로부터 승강대(16)로의 카세트(14)의 이송을 나타낸다. 또, 이 도면에서는, 스태커 크레인의 대차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 승강대(16)로부터 랙(10)으로 카세트(14)를 이송하는 경우, 도3의 4)로부터 1)로의 역순으로 이송하면 된다. 카세트(14)는 그 단변방향이 통로 스페이스(6)를 향하고, 장변방향이 랙(10)의 안길이방향과 겹치도록 랙(10)에 수납되고, 예를 들면 한쪽 돌출이며, 한쪽에만 톱 플레이트(28)를 진출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포크(20)를 턴테이블에 의해 90°선회시킨 후에, 톱 플레이트(28)를 이송대상인 카세트(14A)의 하부로 진출시킨다(도3의 1)). 또 2)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26)는 통로 스페이스(6)내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카세트(14A)를 받기 전의 상태에서는, 턴테이블(22)의 회전을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카세트(14A)를 랙(10)으로 보낸 후의 선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3의 1)의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포크(20)를 끌어넣은 상태를 도3의 2)에 나타내고, 이 때 슬라이드 포크(20)의 물품적재부의 중심과 카세트(14A)의 중심(G)은 일치하고, 선회중심(C)에 대하여 상기 편심량(S)만큼 편심되어 있다. 이 때, 카세트(14A)와 슬라이드 포크(20)는 모두 통로 스페이스(6)내에 포함되어 있다. 다음에 턴테이블(22)을 90°회전시켜, 카세트(14A)의 장변방향(슬라이드 포크(20)의 장변부의 변의 방향)을 승강대(16)의 장변방향(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카세트(14A)의 정점(29)의 선회범위(24)는 랙(10)내의 스페이스와 겹치지만, 지주(12)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또 카세트(14A)의 좁은 측의 선회범위(25)나 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26)는 예를 들면 통로 스페이스(6)내에 포함되어 있다(도3의 3)). 카세트(14A)의 선회를 종료한 후의 상태를 도3의 4)에 나타내고, 스태커 크레인은 이 상태에서 카세트(14A)를 반송한다. 또 카세트(14)의 출고처가, 도3의 1)의 랙(10)과 같은 측의 스테이션이면, 도3의 2)의 상태에서 주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통로 스페이스(6)를 좁게, 또한 카세트(14)의 선회범위(24)와 랙(10)의 통로 스페이스(6) 부근의 지주(12)가 간섭하지 않도록, 지주(12)를 랙(10)의 안길이측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26)를 랙(10)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포크(20)의 톱 플레이트는, 이송대상인 물품(카세트(14))보다 1단 아래의 선반의 물품의 상부의 스페이스를 통과한다. 그 결과, 통로 스페이스(6)를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카세트(14)(슬라이드 포크(20)의 물품적재부)의 중심(G)이 턴테이블의 선회중심(C)으로부터 슬라이드 포크(20)의 신장방향의 선단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포크(20)를 구동하여, 턴테이블(22)을 선회시킨다. 승강대(16) 상에서는, 카세트(14)의 중심을, 슬라이드 포크(20)의 중심이나 선회중심(C)과 일치시켜서 적재해도 좋다. 이 경우, 도3의 2)에서는, 슬라이드 포크(20)의 중심과 카세트(14)의 중심을 일치시켜 두고, 다음에 슬라이드 포크(20)를 완전히 끌어넣지 않고, 톱 플레이트(28)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부 전진한 상태까지 끌어넣고, 이 상태로부터 턴테이블(22)을 선회시키면, 도3의 3), 4)와 같은 동작으로 된다.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물품의 중심(G)과 턴테이블(22)의 선회중심(C)의 편심량 분만큼 슬라이드 포크(20)의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성을 저하시키고, 또 톱 플레이트를 진출시키는 것에 따른 힘의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액정 카세트(14)와 같은 중량물을 이송할 경우, 슬라이드 포크(20) 자체의 중량도 예를 들면 톤단위이다.
(2)슬라이드 포크의 경량화나 스트로크의 단축에 따라,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16)나 마스트(18)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 4개의 마스트(18)를 사용하면, 슬라이드 포크(20)를 좌우로 진출시켰을 때의 힘의 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마스트(18)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14)를 선회시킬 때에 선회범위(24)를 피하도록, 마스트(18)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3)클린룸내에서 스태커 크레인을 주행시켰을 때에, 전후의 마스트(18,18)가 서로 겹치므로,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풍을 작게 할 수 있다.
(4)슬라이드 포크(20)의 선회범위(26)가 통로 스페이스(6)내에 포함되는 경우, 물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슬라이드 포크의 선회를,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5)슬라이드 포크의 선회범위(26)가 랙(10)내의 스페이스와 겹치는 경우, 랙(10)을 이용해서 슬라이드 포크(20)를 선회시켜, 통로 스페이스(6)를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품의 중심과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의 편심량 분만큼, 이송수단의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송수단의 경량화나, 스트로크의 단축에 의한 힘의 모멘트의 경감에 의해,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나 마스트를 경량화할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물품의 선회범위가 랙내의 스페이스와 겹치도록 하므 로, 스태커 크레인의 통로 스페이스를 좁게 할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포크의 선회범위가 랙내의 스페이스와 겹칠 경우, 랙을 이용해서 슬라이드 포크를 선회시켜, 통로 스페이스를 좁게 할 수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서는, 이송수단의 선회범위를 물품의 선회범위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물품의 선회범위가 랙내의 스페이스와 겹치는 경우라도, 이송수단의 선회범위는 랙과 겹치지 않도록 해서, 물품을 적재하고 있지 않을 때에 이송수단을 선회시킬 수 있다.
청구항5의 발명에서는, 물품적재부의 단축을 제어함으로써 물품적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을,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에 대하여 용이하게 편심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6의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포크의 선회범위가 통로 스페이스내에 포함되는 경우, 물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슬라이드 포크의 선회를,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 상에 턴테이블을 통해 신축 가능한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수단을 신축시킴으로써, 랙과 승강대 사이에서 직육면체상의 물품을 주고 받도록 한 자동창고에 있어서, 물품의 형상에 대응해서 장변부와 단변부가 형성되는 상기 이송수단의 물품적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을,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에 대해서, 이송수단의 신장방향의 선단측으로 편심시키는 위치관계로 해서, 물품적재부의 장변부의 변의 방향이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와, 랙의 안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 사이에서,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수단을 이송하는 랙측으로 편심 방향이 향하도록 90°선회시키는 스텝과, 이송수단을 신축시켜서 물품을 랙측과 승강대측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텝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이송수단과 물품을 90°선회시키는 동안에, 물품의 선회범위와 랙내의 스페이스가 겹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 의한 이송수단의 선회범위가 랙내의 스페이스와 겹치도록 함과 아울러,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을 정지한 상태에서 이송수단을 선회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의 물품적재부의 폭을 상기 물품의 폭보다 짧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으로부터 승강대에 물품을 받을 때, 상기 물품적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이, 상기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에 대해서 일치하기 바로 전에서 이송장치의 단축을 중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품적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중심을, 턴테이블의 선회중심에 대하여 편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 의한 이송수단의 선회범위를 스태커 크레인의 통로 스페이스내로 한정함과 아울러, 물품을 적재하고 있지 않을 때, 이송수단을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중에 선회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KR1020060008742A 2005-04-22 2006-01-27 자동창고 KR100935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5237 2005-04-22
JP2005125237A JP4203760B2 (ja) 2005-04-22 2005-04-22 自動倉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366A KR20060111366A (ko) 2006-10-27
KR100935868B1 true KR100935868B1 (ko) 2010-01-07

Family

ID=3746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742A KR100935868B1 (ko) 2005-04-22 2006-01-27 자동창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03760B2 (ko)
KR (1) KR100935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3580B2 (ja) * 2012-11-13 2015-06-1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収納設備
DE102013205012A1 (de) * 2013-03-21 2014-09-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galbedien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405A (ja) * 1990-05-15 1992-01-24 Daifuku Co Ltd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H06156632A (ja) * 1992-11-27 1994-06-03 Murata Mach Ltd クレーンの昇降台
JPH06305514A (ja) * 1993-04-27 1994-11-01 Nippon Filing Co Ltd 物品保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405A (ja) * 1990-05-15 1992-01-24 Daifuku Co Ltd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H06156632A (ja) * 1992-11-27 1994-06-03 Murata Mach Ltd クレーンの昇降台
JPH06305514A (ja) * 1993-04-27 1994-11-01 Nippon Filing Co Ltd 物品保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98615A (ja) 2006-11-02
JP4203760B2 (ja) 2009-01-07
KR20060111366A (ko) 200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328B2 (ja) 物品収納設備
JP6136775B2 (ja) 搬送装置
CN111439606A (zh) 装车机、系统及方法
JP4200387B2 (ja) 搬送システム
KR101112011B1 (ko) 이송 장치
JP5966588B2 (ja) カゴ台車用移載装置
KR100935868B1 (ko) 자동창고
CN103889779B (zh) 货物输送车辆
CN207876570U (zh) 基板搬运系统及转向平台
US20240051745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2007186319A (ja) 搬送システム
CN107399621B (zh) 岸边装卸设备及装卸方法
JP5928304B2 (ja) 基板搬送設備
CN206051033U (zh) 一种迁车台和卸车系统
JP7331445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10241547A (ja) 走行車システム
JP5904098B2 (ja) 物品搬送設備
JP5365302B2 (ja) 走行車システム
JP2015040126A (ja) 物品移載装置及び搬送設備
CN112172649A (zh) 一种搬运机器人
US12017874B2 (en) Orientation switching apparatus
TWI736853B (zh) 用於容器的收納和轉移裝置、包含該收納和轉移裝置的系統,以及用於收納容器的方法
CN207861806U (zh) 搬运装置
CN115943112A (zh) 用于辊子的穿梭机和用于悬挂式辊子的穿梭机
JP6536218B2 (ja) 昇降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