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3448B1 -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448B1
KR100923448B1 KR1020090046379A KR20090046379A KR100923448B1 KR 100923448 B1 KR100923448 B1 KR 100923448B1 KR 1020090046379 A KR1020090046379 A KR 1020090046379A KR 20090046379 A KR20090046379 A KR 20090046379A KR 100923448 B1 KR100923448 B1 KR 10092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main fuel
oxygen
recircul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남
정용수
이창래
문성모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4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448B1/ko
Priority to PCT/KR2009/006064 priority patent/WO2010137774A1/ko
Priority to US13/322,556 priority patent/US91121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2Voltage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28Humidity; Water cont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연료전지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메인연료전지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과, 메인연료전지 운전 중에 발생되는 수분과 재순환되는 수소 및 산소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재생수단이 구비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메인연료전지(110)와, 상기 메인연료전지(110)에 연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120)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메인연료전지(110)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130)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cell)전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40)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일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재생수단(150)과, 상기 공급수단(120), 재순환수단(130), 감지수단(140) 및 재생수단(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환경에서 수소 및 산소를 사용시에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메인연료전지의 발전효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밀폐형, 메인연료전지, 재순환, 불순물, 재생수단, 희생연료전지

Description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A closed loop type fuel cell system}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일 구성인 재순환수단 동작시의 연료 및 수소 흐름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일 구성인 재생수단 동작시 연료 및 수소 흐름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110. 메인연료전지
112. 배수로 120. 공급수단
122. 연료탱크 124. 산소탱크
130. 재순환수단 131. 기체액체분리기
133. 재순환관 137. 재순환펌프
140. 감지수단 150. 재생수단
152. 재생용관 153. 체크밸브
154. 재생용밸브 156. 희생연료전지
157. 단락스위치 158. 집수부
160. 제어수단 170. 가습기
180. 물저장탱크 182. 수위조절관
184. 조절밸브 190. 드레인부
192. 드레인관 194. 드레인밸브
본 발명은 메인연료전지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메인연료전지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과, 메인연료전지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재생수단이 구비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LNG, LPG, 수소, 메탄올 등)와 산소의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동시에 부산물로서 물과 열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서 발전효율이 높고 환경 유해요소가 제거된 발전장치이다.
그리고,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폴리머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이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종류 중에서 PEMFC, PAFC, DMFC는 작동온도가 각각 80℃-120℃, 190℃-200℃, 25℃-90℃ 정도로 낮으며, 자동차 등의 수송용이나, 가정용 및 휴대용 전력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들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확대하기 위해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의 소형화, 경량화, 저렴화 등에 연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연료전지 내부에는 고전류 영역에서의 운전 환경에서 반응물의 생성이 과다해지며, 과량의 수분인 물방울로 인하여 촉매층으로의 가스의 공급 및 고분자막으로의 프로톤의 확산이 억제되므로 연료전지의 성능 저하가 나타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연료전지 내에 존재하는 단위 셀(cell) 별로 균질하지 않은 물 분포로 인한 일부 셀의 성능 저하로 정상적인 운전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과다한 수분 즉, 플러딩(flooding)은 반응 효율의 저하는 물론 연료전지의 안정적인 운전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상기 과량의 수분을 연료전지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제0509818호에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내부 퍼지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간략히 살펴보면, 복수개 셀의 전압을 감지하고, 플러딩 발생시에 퍼지밸브와 재순환 펌프를 제어하여 압력차를 이용한 스택 내부의 수분 및 가스 혼합물을 스택 외부로 방출(purge)하며, 수분과 분리된 가스를 스택으로 재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연료의 순도는 100%가 될 수 없으므로, 수분과 분리된 가스가 연료전지로 재공급되더라도 결국 연료전지 내부에 불순물이 쌓이게 되어 발전 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연료전지 내부에서 분리판 및 전극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와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주변장치의 금속 이온 및 입자 등의 불순물이 쌓이게 되면 연료전지의 내구성에 점차적으로 영향을 줌은 물론 셀 내부의 전류 누설을 발생시켜 연료전지의 수명의 단축 또는 파손을 야기하게 되어 막대한 수리비가 발생하게 되는 듯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연료전지 내부의 가스를 재순환시켜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수분을 내부에서 제거하더라도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결국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다시 연료전지 내부로 불순물이 유입되므로 연료전지의 성능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연료전지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메인연료전지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과, 메인연료전지 운전 중에 발생되는 수분과 재순환되는 수소 및 산소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재생수단이 구비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순환수단 일측과 재생수단 일측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메인연료전지의 발전과, 수분 및 불순물의 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수단에 구비된 희생연료전지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메인연료전지의 발전효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미연에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메인연료전지와, 상기 메인연료전지에 연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메인연료전지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메인연료전지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과, 상기 메인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cell) 전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메인연료전지 일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메인연료전지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공급수단, 재순환수단, 감지수단 및 재생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재순환수단을 경유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재생용관과, 상기 재생용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재생용밸브와, 상기 재생용관으로부터 제공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내부에서 반응시켜 물을 생성하는 희생연료전지와, 상기 희생연료전지에서 발생한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순환수단은, 상기 메인연료전지에서 생성된 물과 반응가스를 물과 기체로 분리하는 기체액체분리기와, 상기 기체액체분리기에서 물로부터 분리된 기체를 메인연료전지로 안내하는 재순환관과, 상기 재순환관 내부의 기체 흐름을 강제하는 재순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용관과 재순환관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부와 기체액체분리기는, 물을 집수하는 물저장탱크 내부와 선택적 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생연료전지는, 수소 및 산소를 공급받아 발전하며, 전기흐름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전극은 선택적으로 접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생연료전지는 메인연료전지보다 작은 발전량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생연료전지 일측에는, 한 쌍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단락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단락스위치는 재생용밸브가 차폐된 후 일정 시간 경과하여 개방시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수단은, 수소를 보관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연료탱크와, 산소를 보관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산소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순환관 일측에는, 상기 연료탱크에서 공급된 수소가 재순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셀 각각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재생용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액체분리기 일측에는, 상기 기체액체분리기 내부에 보관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드레인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연료전지와, 공급수단과, 재순환수단과, 감지수단과, 재생수단 및 제어수단은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연료전지의 발전효율 및 내구성이 향상되며 메인연료전지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100)은 연료인 수소(H2)와 산소(O2)를 공급받아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메인연료전지(110)와, 상기 메인연료전지(110)에 연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120)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메인연료전지(110)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130)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cell) 전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40)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일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재생수단(150)과, 상기 공급수단(120), 재순환수단(130), 감지수단(140) 및 재생수단(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의해 잠수정, 잠수함, 우주선 등의 밀폐된 공간을 갖는 장치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100)으로서, 메인연료전지(110), 공급수단(120), 재순환수단(130), 감지수단(140), 재생수단(150) 및 제어수단(160)이 밀폐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작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메인연료전지(110)는 연료와 산소를 포함한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연료전지가 선택적으 로 적용 가능하며, 상기 공급수단(120)으로부터 수소와 산소를 포함한 기체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공급수단(120)은, 메인연료전지(110)에 수소와 산소가 포함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소를 보관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연료탱크(122)와, 산소를 보관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산소탱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료탱크(122)와 산소탱크(124)는 가습기(170)와 연통되며, 상기 가습기(170)는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탱크(122)와 산소탱크(124) 내부의 수소 및 산소는 가습기(170)를 경유하여 가습된 후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가습기(170)는 메인연료전지(110) 내부로 공급되는 연료 및 기체가 보다 잘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상측에는 감지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수단(140)은 메인연료전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cell)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메인연료전지(110)는 복수개의 셀을 적층하여 높은 전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복수의 셀은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셀 내에서 발생한 수분의 양 및 전류밀도의 변화에 의해 서로 다른 전압을 발생하게 되어 셀 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연료전지를 운전하면서도 수분의 양 및 전류밀도 변화를 측정하여 사전에 진단하기 위해 감지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수단(140) 우측에는 재순환수단(130)이 구비된다. 상기 재순환수단(130)은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에서 반응하지 못하고 배출되는 수소 및 산소를 메인연료전지(110)로 재순환시켜 연료의 이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재순환수단(130)은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에서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된 물과 반응하지 못한 기체를 분리하는 기체액체분리기(131)와, 상기 기체액체분리기(131)에서 물로부터 분리된 기체를 메인연료전지(110)로 안내하는 재순환관(133)과, 상기 재순환관(133) 내부의 기체 흐름을 강제하는 재순환펌프(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재순환수단(130)은 연료탱크(122)와 산소탱크(124)에 각각 연통하는 가습기(170)에 하나씩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인연료전지(110)의 우측 상부와 우측 하부에는 각각 재순환수단(130)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우측 상부에 연결된 재순환수단(130)은 수소를 가습기(170) 전단으로 재순환하게 되고,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우측 하부에 연결된 재순환수단(130)은 산소를 가습기(170) 전단으로 재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액체분리기(131)에서 물로부터 분리된 기체(수소 또는 산소)는 재순환관(133)을 통해 재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재순환관(133)의 일측에는 체크밸브(153)가 구비된다. 상기 체크밸브(153)는 연료탱크(122)에서 공급되는 수소가 재순환관(13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재순환펌프(137)에 의해 메인연료전 지(110) 전단으로 공급되는 재순환 가스(수소 및 산소)가 가습기(17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강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체액체분리기(131) 하측에는 드레인부(190)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부(190)는 메인연료전지(110)로부터 토출된 물이 기체액체분리기(131) 내부에 적정 수위 이상으로 늘어났을 때 물저장탱크(180)로 물이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드레인부(190)는 기체액체분리기(131) 내부와 물저장탱크(180) 내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드레인관(192)과, 상기 드레인관(192)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드레인밸브(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밸브(194)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기체액체분리기(131) 내부의 물은 드레인관(192)을 통해 물저장탱크(180)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기체액체분리기(131) 내부의 수위는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재순환수단(130) 우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재생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재생수단(150)은 감지수단(140)에 의해 감지된 메인연료전지(110)의 복수개 셀의 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은 경우, 재순환관(133)으로 유입된 기체를 순간적으로 우회함으로써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의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재생수단(150)은 재순환수단(130)을 경유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재생용관(152)과, 상기 재생용관(15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재생용밸브(154)와, 상기 재생용관(152)으로부터 제공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내부에서 반응시켜 물을 생성하는 희생연료전지(156)와, 상기 희생연료전지(156)에서 발생한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생용관(152)은 재순환관(133)의 일측에서 분지되어 희생연료전지(156) 내부와 연통된 것으로, 상기 재생용밸브(154)의 동작에 의해 기체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희생연료전지(156)는 재생용밸브(154) 개방시에 수소 및 산소의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희생연료전지(156)는 구성의 명칭과 같이 메인연료전지(110)가 내부의 수분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거나 불순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메인연료전지(110)보다 작은 발전량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희생연료전지(156)는 수소 및 산소를 공급받아 발전하며, 전기 흐름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전극 일측에는 단락스위치(157)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에서 토출된 기체는 단락스위치(157)의 접속에 의해 희생연료전지(156) 내부에서 소모되어 물이 되며, 그외의 불순물은 희생연료전지(156) 내부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희생연료전지(156) 내에서는 공급된 미반응 가스를 전기 접속에 의해 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불순물을 흡착 및 포집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희생연료전지(156)는 메인연료전지(110)의 내구성 증대를 위해 공급되는 반응가스 내의 미량의 불순물 및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내의 불순물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상기 희생연료전지(156)는 메인연료전지(110)를 보호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대신, 가혹한 환경 조건에 놓이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 주기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수단(140), 재순환펌프(137), 재생용밸브(154), 단락스위치(157) 등은 제어수단(1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160)은 복수의 셀 각각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재생수단(150)을 동작시키며, 정상적인 전압인 경우에는 상기 재순환수단(130)을 동작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재순환펌프(137)를 동작시키고, 상기 단락스위치(157)는 off 상태로 둔 상태에서 상기 재순환수단(130)을 동작시킨다.
반대인 경우, 상기 재순환펌프(137)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재생용밸브(154)는 재생용관(152)을 일정 시간 차폐한 후 개방하고 단락스위치(157)는 on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재생수단(150)을 동작시킨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수단(160)은 기체액체분리기(131) 내부의 수위에 따라 드레인밸브(19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체액체분리기(131) 내부는 드레인관(192)에 의해 물저장탱크(18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일측에 구비된 배수로(112)에 의해 상기 메인연료전지(110)와 물저장탱크(180) 내부는 연통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158) 내부도 물저장탱크(180) 내부와 연통된다. 즉, 상기 집수부(158)의 좌측면에는 집수부(158)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관(182) 및 조절밸브(184)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조절관(182)은 양단부가 상기 집수부(158)와 물저장탱크(180) 내부에 각각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조절밸브(184)는 수위조절관(182)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밸브(184)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집수부(158) 내부의 물은 물저장탱크(180)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의 물, 기체액체분리기(131) 내부의 물 및 집수부(158) 내부 물은 모두 물저장탱크(180)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되어 밀폐된 공간 내부에 설치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100)이 동작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 2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일 구성인 재순환수단(130) 동작시의 연료 및 수소 흐름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100)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수단(120)은 수소와 산소를 가습기(17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가습기(170)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산소와 수소를 메인연료전지(110)는 공급받아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순환관(133)은 개방되어 재순환관(133)은 기체의 유동을 안 내 가능하므로,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에서 반응하지 못하고 토출된 산소와 수소는 기체액체분리기(131)를 통해 물에서 분리되어 상기 가습기(170) 전단으로 재순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생용밸브(154)는 재생용관(152)을 차폐하여 기체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감지수단(140)은 메인연료전지(110)를 구성하는 복수 셀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락스위치(157)는 off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재순환수단(130)의 작용에 의해 수소와 산소의 재활용율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감지수단(140)에 의해 감지된 복수의 셀 각각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전압보다 낮아 상기 재생수단(150)을 동작하는 경우 기체의 흐름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일 구성인 재생수단(150) 동작시 연료 및 수소 흐름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메인연료전지(110)의 발전효율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재생수단(150)은 동작하여 메인연료전지(110)의 발전효율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160)은 재생용밸브(154)를 차폐하며, 상기 단락스위치(157)는 on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재순환펌프(137)는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22)와 산소탱크(124)로부터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면 상기 재생용밸브(154)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높은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차폐된 재생용밸브(154)를 개방하여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의 불순물이 수소 및 산소와 같이 순간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연료전지(110)로부터 배출된 불순물 및 기체는 기체액체분리기(131)를 통해 서로 분리되며, 기체는 상기 재생용관(152)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희생연료전지(156)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재순환펌프(137)는 동작을 멈추고 있고, 재순환관(133)(재순환펌프(137) 좌측의 재순환관(133))의 내부 압력은 재생용관(152) 내부의 압력보다 높으므로 기체의 유입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희생연료전지(156)는 발전하게 되며, 발전된 전기는 상기 단락스위치(157)가 on 되어 있으므로 접지되어 상기 희생연료전지(156)는 내부에 물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희생연료전지(156) 내부에서 생성된 물은 집수부(158)로 흘러들어 보관되며, 상기 조절밸브(184)의 선택적 개방에 의해 상기 물저장탱크(180)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작용에 따라 상기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의 물, 불순물 등은 상기 희생연료전지(156) 내부에 적체됨으로써 메인연료전지(110) 내부에는 불순물이 감 소되고 결국 내구성이 증대되어 재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연료전지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메인연료전지의 발열량을 낮추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수회로를 더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에서는, 메인연료전지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메인연료전지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과, 메인연료전지의 발전효율이 낮아질 때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재생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잠수함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연료효율이 극대화되며, 재생수단의 작용에 의해 메인연료전지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생수단에 구비된 희생연료전지를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메인연료전지의 발전효율이 저하될 때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메인연료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희생연료전지를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연료전지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며, 희생연료전지의 정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연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메인연료전지와, 상기 메인연료전지에 연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메인연료전지에서 배출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메인연료전지로 재순환하는 재순환수단과, 상기 메인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cell) 전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메인연료전지 일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메인연료전지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공급수단, 재순환수단, 감지수단 및 재생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재순환수단을 경유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재생용관과,
    상기 재생용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재생용밸브와,
    상기 재생용관으로부터 제공된 수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내부에서 반응시켜 물을 생성하는 희생연료전지와,
    상기 희생연료전지에서 발생한 물을 집수하는 집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수단은,
    상기 메인연료전지에서 생성된 물과 반응가스를 물과 기체로 분리하는 기체액체분리기와,
    상기 기체액체분리기에서 물로부터 분리된 기체를 메인연료전지로 안내하는 재순환관과,
    상기 재순환관 내부의 기체 흐름을 강제하는 재순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용관과 재순환관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와 기체액체분리기는,
    물을 집수하는 물저장탱크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연료전지는,
    수소 및 산소를 공급받아 발전하며, 전기흐름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전극은 선택적으로 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연료전지는 메인연료전지보다 작은 발전량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연료전지 일측에는, 한 쌍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단락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단락스위치는 재생용밸브가 차폐된 후 일정 시간 경과하여 개방시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수소를 보관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연료탱크와,
    산소를 보관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산소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관 일측에는,
    상기 연료탱크에서 토출된 수소가 재순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셀 각각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재생용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액체분리기 일측에는,
    상기 기체액체분리기 내부에 보관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드레인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13. 제 2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연료전지와, 공급수단과, 재순환수단과, 감지수단과, 재생수단 및 제어수단은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090046379A 2009-05-27 2009-05-27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092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379A KR100923448B1 (ko) 2009-05-27 2009-05-27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PCT/KR2009/006064 WO2010137774A1 (ko) 2009-05-27 2009-10-20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US13/322,556 US9112198B2 (en) 2009-05-27 2009-10-20 Closed loop type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379A KR100923448B1 (ko) 2009-05-27 2009-05-27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448B1 true KR100923448B1 (ko) 2009-10-27

Family

ID=4156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379A KR100923448B1 (ko) 2009-05-27 2009-05-27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12198B2 (ko)
KR (1) KR100923448B1 (ko)
WO (1) WO201013777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19B1 (ko) * 2010-05-27 2011-06-29 한국기계연구원 미반응 물질 제거 기능을 가지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1442977B1 (ko) 2013-05-28 2014-09-23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버퍼 탱크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WO2014196673A1 (ko) * 2013-06-05 2014-12-11 지에스칼텍스(주)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160077646A (ko) * 2014-12-24 2016-07-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형 식물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8249A2 (en) * 2012-03-12 2013-09-19 Nuvera Fuel Cells, Inc.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 fuel cell
US10038208B2 (en) * 2014-11-12 2018-07-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system
KR101926915B1 (ko) * 2016-07-22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극 가스 재순환 시스템
JP7539075B2 (ja) * 2020-02-17 2024-08-23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燃料電池装置の制御方法
CN112038667B (zh) * 2020-09-11 2021-04-30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用于氢氧燃料电池测试的气体循环加湿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438A (ja) * 1995-06-26 1997-01-1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を搭載した移動体における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509818B1 (ko) * 2003-04-07 2005-08-23 (주)퓨얼셀 파워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내부 퍼지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JP2008282737A (ja) * 2007-05-11 2008-11-20 Nippon Soken Inc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1821A (en) * 1994-12-23 1995-08-15 Ballard Power Systems Inc. Electrochemical fuel cell system with a regulated vacuum ejector for recirculation of the fluid fuel stream
WO2004015796A2 (en) * 2002-04-17 2004-02-19 Aerovironment, Inc. Closed loop energy storage system
US20050003244A1 (en) * 2003-07-01 2005-01-06 Ai-Quoc Pham Direct hydrocarbon fuel cell system
US6984464B2 (en) * 2003-08-06 2006-01-10 Utc Fuel Cells, Llc Hydrogen passivation shut down system for a fuel cell power plant
KR101181857B1 (ko) * 2004-08-27 2012-09-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가습장치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
JP5071843B2 (ja) * 2007-03-30 2012-11-1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水素・酸素回収機構を備えた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438A (ja) * 1995-06-26 1997-01-1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を搭載した移動体における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509818B1 (ko) * 2003-04-07 2005-08-23 (주)퓨얼셀 파워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내부 퍼지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JP2008282737A (ja) * 2007-05-11 2008-11-20 Nippon Soken Inc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19B1 (ko) * 2010-05-27 2011-06-29 한국기계연구원 미반응 물질 제거 기능을 가지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US20110294023A1 (en) * 2010-05-27 2011-12-01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Closed loop type fuel cell system with unreacted material removing function
US9406956B2 (en) 2010-05-27 2016-08-02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Closed loop type fuel cell system with unreacted material removing function
KR101442977B1 (ko) 2013-05-28 2014-09-23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버퍼 탱크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WO2014196673A1 (ko) * 2013-06-05 2014-12-11 지에스칼텍스(주)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160077646A (ko) * 2014-12-24 2016-07-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형 식물전지
KR101714399B1 (ko) 2014-12-24 2017-03-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형 바이오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2198B2 (en) 2015-08-18
WO2010137774A1 (ko) 2010-12-02
US20120070751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447B1 (ko) 개방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0923448B1 (ko)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WO2005053075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starting it
CN112928310B (zh) 气液分离器排水阀的控制方法和装置、燃料电池及交通工具
KR101044619B1 (ko) 미반응 물질 제거 기능을 가지는 밀폐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0962382B1 (ko) 수소 재순환 장치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1001589B1 (ko) 미반응 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개방형 연료전지 시스템
JP200522270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運転方法
JP200911068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EP3252858B1 (en) Fuel cel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411199B2 (ja) 未反応物質除去機能を有する開放型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382317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퍼지방법
KR102575715B1 (ko) 차량용 연료전지시스템
EP1901384A1 (en) Fuel Cell System with Purg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098628B1 (ko) 연료전지용 세퍼레이터
KR101361254B1 (ko)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 불순물 배출 장치
US11697356B2 (en) Fuel cell system
KR102098625B1 (ko) 운전 부하에 따른 연료전지의 연료공급 시스템
KR101291571B1 (ko) 연료 전지용 물 공급 장치
KR101289497B1 (ko) 크로스오버 가스를 재활용하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가습시스템
KR20240123887A (ko) 고효율 연료전지 퍼지 시스템
JP2009187699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JP464396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40083729A (ko) 수소배기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JP200828261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