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7403B1 -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403B1
KR100907403B1 KR1020080002838A KR20080002838A KR100907403B1 KR 100907403 B1 KR100907403 B1 KR 100907403B1 KR 1020080002838 A KR1020080002838 A KR 1020080002838A KR 20080002838 A KR20080002838 A KR 20080002838A KR 100907403 B1 KR100907403 B1 KR 10090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portion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양한
심장엽
도완석
김정훈
조원기
하서희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4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며, 일측에 형성된 패드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기판부와, 상기 액정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제2 기판부와, 상기 제1 기판부와 상기 제2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기판부를 구비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 기판부, 상기 제2 기판부 및 상기 제3 기판부가 하나의 시트에 일체로 성형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실장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일체화하여 구성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휴대용 기기 등에서도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패널과,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액정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여기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하는 발광 다이오드 기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 기판은, 솔더링(soldering)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 판과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각각 다른 시트에 형성하고, 이들을 결합하는 솔더링 공정 등의 중간단계를 통해 연결하면, 중간단계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솔더링 공정 등에서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실장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일체화하여 구성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며, 일측에 형성된 패드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기판부와, 상기 액정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제2 기판부와, 상기 제1 기판부와 상기 제2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기판부를 구비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 기판부, 상기 제2 기판부 및 상기 제3 기판부가 하나의 시트에 일체로 성형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액정 표시패널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부는, 상기 제1 기판부와 인접한 일측에 형성된 패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기판부의 패드부는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패드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판부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 기판부의 일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광원이 삽입되는 장착홈이 구비된 몰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몰드 프레임에 수납되며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와, 상기 광학 시트의 둘레를 따라 상기 광학 시트와 상기 액정 표시패널 사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홈과 대응되는 상기 접착부재의 일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에는 상기 제1 기판부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실장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하나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일체화하여 구성함에 의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작업효율 및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모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불량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전면) 및 제2면(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패널(100)과, 액정 표시패널(100)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 액정 표시패널(1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구동하기 위한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을 포함하며,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에는 광원(312) 및 회로부품(324)이 실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패널(100)은 상/하부기판과, 이들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미도시)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패널(100)은 집적회로(1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공급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액정 표시패널(100)의 일측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으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패드부(110)가 형성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액정 표시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패널(100)로 광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액정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 는 광학 시트(210)와, 광학 시트(2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및 반사판(미도시)과, 액정 표시패널(100), 광학 시트(210), 도광판 및 반사판의 측면을 감싸며 이들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220)을 구비한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220)의 내측에는 광원(312)이 삽입되는 장착홈(또는, 장착홀)(2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액정 표시패널(100)과 광학 시트(210) 사이에는, 광학 시트(210)의 둘레를 따라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230)가 부착되어 액정 표시패널(100)과 광학 시트(210)를 접착한다.
이때, 접착부재(230)는 액정 표시패널(100)의 비화소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광원(312)이 삽입되는 장착홈(240)과 대응하는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은 내부에 도전배선(미도시)을 포함하며, 광원(312) 및 회로소자(324)를 실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312)이 실장되는 제1 기판부(310)와, 액정 표시패널(1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소자(324)가 실장되는 제2 기판부(320)와, 제1 기판부(310)와 제2 기판부(3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기판부(330)를 구비한다.
제1 기판부(310)의 배면, 즉,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향하는 면에는 광원(312)이 실장된다. 이와 같은 제1 기판부(310)는, 액정 표시장치가 조립될 때, 광원(312)이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내부, 특히, 광원 장착홈(240)에 수납될 수 있도록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 액정 표시패널(100)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제1 기판부(310)의 배면은 광원 장착홈(240) 주변의 접착부재(230)에 부착되거나, 혹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접착부재에 의해 몰드 프레임(22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기판부(320)의 배면에는 액정 표시패널(1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회로소자들(324)이 실장된다.
여기서, 도 2a 및 도 2b에서는 제2 기판부(320)의 배면에 회로소자들(324)을 실장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로소자들(324)은 제2 기판부(320)의 전면에 실장되거나, 혹은 전면 및 배면 모두에 실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2 기판부(320)의 일측, 특히, 제1 기판부(310)와 인접한 일측에는 패드부(322)가 구비되며, 패드부(322)의 배면에는 다수의 패드들(P)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패드부(322)는, 액정 표시장치가 조립될 때, 액정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10) 상에 위치되어 액정 표시패널(100)과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의해,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에서 생성된 구동신호들이 액정 표시패널(100)(특히, 집적회로(120))로 전달된다. 한편, 광원(31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들은 제3 기판부(330)를 통해 제1 기판부(310)로 전달된다.
제3 기판부(330)는 제1 기판부(310)의 일단부와, 이에 대향되는 제2 기판 부(320)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즉, 제3 기판부(33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3 기판부(330)는 액정 표시장치가 조립될 때 휘어지는 부분으로, 내부에 도전배선층이 한 층 또는 비교적 적은 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기판부(330)는 제1 기판부(310)에 실장된 광원(312)을 구동하기 위한 비교적 적은 수의 도전배선층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3 기판부(330)의 두께는 제1 기판부(310) 및 제2 기판부(3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은 일체로 성형된 회로기판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일체로 성형되었다는 것은 각 부분이 접착제 또는 결합부재로 연결되지 않고, 성형시부터 하나의 시트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은 하나의 기판 소재(즉, 하나의 시트)를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기판부(310 내지 330) 형상으로 재단한 후, 제1 기판부(310)에 광원(312)을 실장함과 아울러 제2 기판부(320)에 회로소자들(324)을 실장함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 내지 제3 기판부(310 내지 330)는 하나의 시트로부터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에 액정 표시패널(1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소자들(324)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312)을 모두 실장하여 일체화된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솔더링 또는 기타 접합 수단으로 인쇄회로기판들 및 커넥터를 연결시켰던 종래에 비해,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작업효율 및 조립성을 개선하는 한편, 모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불량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시트(210)를 고정하는 데 이용되는 접착부재(230)를 이용하여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 기판부(310)를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제1 기판부(3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설명할 때, 도 1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부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12) 및 회로소자들(324)이 실장된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의 배면이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12)이 장착홈(240)에 삽입되도록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 기판부(310)를 몰드 프레임(220) 내부에 수납한다. 이때, 제1 기판부(310)는 접착부재(230)에 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패널(100)을 몰드 프레임(220)의 내부에 삽입하고,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의 제2 기판부(320)에 형성된 패드부(322)가 액정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10) 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연성 인쇄회로 기판(300)과 액정 표시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c에서는 제1 기판부(310)와 제2 기판부(320)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부(320), 특히 제2 기판부(320)의 패드부(322)와, 제1 기판부(310)가 서로 접하도록(예컨대, 이들 사이의 간격이 0mm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 기판부(330)의 길이가 짧아져, 제3 기판부(330)가 휘어질 때 돌출되는 길이가 감소된다. 이에 의해, 연성 인쇄회로기판(3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전면) 및 제2면(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전면) 및 제2면(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액정 표시패널 110, 322: 패드부
120: 집적회로 200: 백라이트 어셈블리
210: 광학 시트 220: 몰드 프레임
230: 접착부재 240: 광원 장착홈
300: 연성 인쇄회로기판 310: 제1 기판부
312: 광원 320: 제2 기판부
324: 회로소자 330: 제3 기판부

Claims (8)

  1. 화상을 표시하며, 일측에 형성된 패드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패널;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기판부와, 상기 액정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제2 기판부와, 상기 제1 기판부와 상기 제2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기판부를 구비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1 기판부, 상기 제2 기판부 및 상기 제3 기판부가 하나의 시트에 일체로 성형된 액정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액정 표시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액정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부는, 상기 제1 기판부와 인접한 일측에 형성된 패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기판부의 패드부는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패드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부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 기판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액정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되는 액정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광원이 삽입되는 장착홈이 구비된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몰드 프레임에 수납되며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와, 상기 광학 시트의 둘레를 따라 상기 광학 시트와 상기 액정 표시패널 사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홈과 대응되는 상기 접착부재의 일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액정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접착부재에 부착된 액정 표시장치.
KR1020080002838A 2008-01-10 2008-01-10 액정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0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838A KR100907403B1 (ko) 2008-01-10 2008-01-10 액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838A KR100907403B1 (ko) 2008-01-10 2008-01-10 액정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403B1 true KR100907403B1 (ko) 2009-07-10

Family

ID=4133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8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7403B1 (ko) 2008-01-10 2008-01-10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215B1 (ko) * 2009-08-12 2015-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751A (ja) 2000-03-15 2001-09-26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5070121A (ja) 2003-08-27 2005-03-17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
KR20050107028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5572B1 (ko) 2006-02-08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피씨비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751A (ja) 2000-03-15 2001-09-26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5070121A (ja) 2003-08-27 2005-03-17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
KR20050107028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5572B1 (ko) 2006-02-08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피씨비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215B1 (ko) * 2009-08-12 2015-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479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표시기기
JP5507237B2 (ja) 液晶表示装置
US75930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21043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JP2011180402A (ja) 液晶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5539664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1885805B1 (ko) 액정표시장치
CN108227295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103469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70064249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07403B1 (ko) 액정 표시장치
US9123265B2 (en) Planer light source device with fixing portio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59625A (ko) 액정 표시장치
KR2010003386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187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플렉시블 기판
JP4398205B2 (ja) 液晶表示装置の光源の位置合わせ構造
KR102046294B1 (ko) 엘이디모듈 및 그 제조방법과 엘이디모듈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50841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5205780B2 (ja) 表示モジュール
KR20100001678U (ko) 회로기판
JP7038636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US1070536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70117701A (ko) 액정표시장치
WO2018147269A1 (ja) 画像表示装置
KR101399226B1 (ko) 액정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